KR200444249Y1 -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 Google Patents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249Y1
KR200444249Y1 KR2020080009031U KR20080009031U KR200444249Y1 KR 200444249 Y1 KR200444249 Y1 KR 200444249Y1 KR 2020080009031 U KR2020080009031 U KR 2020080009031U KR 20080009031 U KR20080009031 U KR 20080009031U KR 200444249 Y1 KR200444249 Y1 KR 200444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base
wire rope
guide pulle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균
Original Assignee
(주)한국무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무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한국무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080009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2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대장치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에 관한 것으로 각종 세트물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 세트물과 연결된 와이어로프의 원활한 진행을 안내하는 활차로서, 종래의 장착 방법인 베이스에 구멍가공을 하여 안내활차를 안착시켜 좌, 우 고정판에 형성된 구멍으로 볼트를 체결하여 설치하던 것을, 고정판 하단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베이스 형강에 걸어서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활차의 회전을 지탱하는 축은 종래의 축에 나사부와 단차 가공을 하여 조립에 사용 되어졌던 것을 나사부와 단차 가공 부분을 없애고, 축의 고정구인 R-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가공 및 조립,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 및 원가 절감 효과를 가져 오도록 하였다.
활차, 축, 고정판, R-핀, 걸림부

Description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Vertical Roller of Stage Equipment}
본 고안은 무대장치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에 관한 것으로 활차를 지지하는 좌, 우 고정판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베이스("ㄷ" 형강)에 바로 장착이 가능토록 한 것이며, 종래에 활차 축은 한쪽 단에 나사 가공을 하여 너트로 체결하는 고정 방식을 사용 하였으나, 본 고안은 나사 가공 공정을 없애고 축의 양 끝단에 R-핀으로 고정 하는 방식으로 축의 가공 공정을 간소화 하고, 조립 및 장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는 활차를 지지하는 좌, 우 고정판이 철판과 "ㄴ" 형강으로 조합된 구조로 구성되어 "ㄴ" 형강의 양단에 구멍을 뚫어 체결구인 볼트를 사용하여 베이스("ㄷ" 형강)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때 베이스("ㄷ" 형강)에 안내활차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 가공을 해야 하는 작업 공정이 필요하였으며, 안내활차의 위치가 변경되면 베이스("ㄷ" 형강)에 구멍을 재가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활차의 회전을 돕는 축의 가공 공정 및 고정 방법에 있어, 한쪽 단을 나사 가공하여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활차의 장시간 사용 및 회전으로 인한 너트의 풀림 현상이 발생되어지고, 축이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되어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의 조립 및 설치에 있어 작업 공정과 제작 편의를 제공하고, 안내 활차가 장착되어질 베이스("ㄷ" 형강)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장착 위치 변경에 따른 좌, 우 유동이 가능토록 활차를 지지하는 고정판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작업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의 장착에 있어 베이스("ㄷ" 형강)에 구멍 가공을 하지 않고 바로 장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며, 활차를 지지하는 고정판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종래의 체결구인 볼트의 수량을 반으로 줄였으며, 장착 위치 변경에 따른 좌, 우 유동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활차의 회전을 돕는 축의 조립에 있어 양단에 R-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및 해체에서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킨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본 고안은 안내활차의 조립과 장착함에 있어 고정판 및 축의 형상에서 그 효과가 나타나는데, 이는 고정판의 하단 한쪽 부분을 "ㄷ" 형강(베이스) 경사면의 모양과 똑같은 형상으로 레이져 가공을 하여 베이스("ㄷ" 형강)에 바로 걸어서 장착을 할 수 있으며, 위치 변동에 따른 이동 설치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종래의 안내활차는 베이스("ㄷ" 형강)에 장착시키기 전에 베이스("ㄷ" 형강)에 구멍 가공을 하고 안내활차를 안착 시켜 안내활차의 고정판 구멍과 베이스("ㄷ" 형강)의 구멍을 맞추고 체결구인 볼트를 조여 안내활차를 고정하는 것으로 한번 장착하면 위치이동이 불가능하며, 장착에 소요되는 작업 공정이 길었던 것에 비해,
본 고안의 안내활차는 베이스("ㄷ" 형강)에 구멍 가공을 하지 않고 고정판에 걸림부를 형상하여 바로 걸어서 장착한 후 다른 한쪽 부분에 체결구인 고정 클립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작업을 마무리하므로 작업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안내활차의 축은 가공 공정을 줄여 나사부의 가공을 없애고 너트를 사용하지 않으며, 축의 양단에 R-핀의 삽입 구멍 가공만으로 손쉽게 R-핀을 꽂아 고정하므로 조립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킨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안내활차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비교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100)의 안내 및 원활한 진행을 돕는 활차(10)와 활차의 회전을 돕는 베어링(20), 활차를 지지하는 축(30), 축을 좌, 우에서 지지하는 고정판(70, 71)과 축이 좌, 우로 밀려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R-핀(50), 활차가 고정판의 면과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O-링(40), 와이어로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핀(60, 61), 안내활차의 고정을 위한 고정 클립(93)과 볼트(94)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활차의 구성을 토대로 조립 공정을 나열하면, 활차(10)에 원활한 회전 을 위한 베어링(20)을 양쪽으로 삽입하고 축(30)을 끼워 고정 시킨후 축(30)의 양쪽 끝단에 O-링(40)을 끼우고, 좌, 우 고정판(70, 71)의 축구멍(72)과 축(30)이 일치 되도록 하여 조립을 한 후 축(30)의 양 끝단에 가공된 구멍(31)으로 R-핀(50)을 삽입하고, 이탈방지 핀(60, 61)을 고정판(70, 71)에 형성된 구멍(73, 74)에 맞추고 둥근머리 렌치볼트(80)를 체결하므로 조립의 공정은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 조립된 안내활차의 장착에 있어 본 고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고정판(70, 71)의 형상을 설명하면, 우선 좌, 우 대칭으로 2개 1조를 이루어 구성되어지며, 하단의 한쪽부분을 제2베이스("ㄷ" 형강(92)) 상단 경사부분(a)에 걸리도록 그 부분의 모형과 똑같이 레이져 가공 하여 걸림부(b)를 형상화 시키고, 다른 한쪽부분은 "ㄴ"자(c) 형태로 절곡한 후 제1베이스("ㄷ" 형강(91)) 윗면 수평부에 안착 되도록 형상화 하였으며, 고정 클립(93)을 사용하여 체결구인 볼트(94)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74) 가공을 한다. 여기서 베이스("ㄷ" 형강(90)) 상단 수평면에는 구멍가공을 하지 않는다.
또한, 안내활차의 위치 변경으로 재설치 할 경우 체결된 볼트(94)를 약간 풀어 헐겁게 한 후 표시된 부분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그대로 좌, 우 이동하여 풀어준 볼트(94)를 조여 손쉽게 재설치 할 수 있다.
상기 안내활차에서 본 고안의 또 하나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축(30)에 대한 설명을 하면, 일직선 형태의 원형 부재를 사용하여 길이에 맞게 절단 가공을 하고, 양 끝단에 R-핀(50)이 삽입되어질 구멍(31) 가공을 하므로서 가공 공정을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축(30) 형상과 종래의 축 형상을 도 6 내지 도 7를 통하여 비교해 보면, 종래의 축은 원형 부재를 3단 형태로 가공하여 한쪽 끝단에 다시 나사 가공을 하여 너트를 체결하도록 하였으며, 다른 한쪽 단은 고정판 옆면에 밀착 되도록 가공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축의 비교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30)은 종래의 축 가공 공정을 줄이고 체결 방법을 변경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조립 및 장착의 편의성을 제공하므로 그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어진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에 사용되어진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종래에 사용되어진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의 축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의 축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의 설치 상태도

Claims (3)

  1. 와이어로프(100)가 감겨지는 활차(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판(70,71); 및 상기 한 쌍의 고정판(70,7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베이스("ㄷ"형강(90));를 포함하는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ㄷ"형강(90))는 상기 한 쌍의 고정판(70,71)의 일측 하단에 결합되는 제1베이스("ㄷ"형강(91))와, 상기 한 쌍의 고정판(70,71)의 타측 하단에 결합되는 제2베이스("ㄷ"형강(92))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판(70,71)의 일측 하단부는 각각 상기 제1베이스(91)의 상단 경사부분(a)에 걸리도록 상기 제1베이스(9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상화된 걸림부(b)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판(70,71)의 타측 하단부는 상기 제2베이스(92)의 상면 수평부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클립(93)과 볼트(94)체결되도록 하는 구멍(74)이 형성된 ㄴ자 형태의 절곡부(c)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90)의 상단 수평면에 구멍가공을 하지 않고도 상기 고정판(70,71)에 상기 베이스(90)를 장착할 수 있는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10)는 상기 한 쌍의 고정판(70,71)을 관통하는 축(30)의 양 끝단에 R-핀(50)을 사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KR2020080009031U 2008-07-07 2008-07-07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KR200444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031U KR200444249Y1 (ko) 2008-07-07 2008-07-07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031U KR200444249Y1 (ko) 2008-07-07 2008-07-07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249Y1 true KR200444249Y1 (ko) 2009-04-22

Family

ID=4134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031U KR200444249Y1 (ko) 2008-07-07 2008-07-07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2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97B1 (ko) * 2013-05-02 2013-11-13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장치
KR101425349B1 (ko) * 2014-03-25 2014-08-05 (주)하온아텍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KR101453528B1 (ko) * 2013-12-31 2014-10-23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무대장치용 와이어 가이드장치
KR200478839Y1 (ko) * 2013-10-14 2015-11-25 (주)코스텍 무대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97B1 (ko) * 2013-05-02 2013-11-13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장치
KR200478839Y1 (ko) * 2013-10-14 2015-11-25 (주)코스텍 무대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KR101453528B1 (ko) * 2013-12-31 2014-10-23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무대장치용 와이어 가이드장치
KR101425349B1 (ko) * 2014-03-25 2014-08-05 (주)하온아텍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249Y1 (ko)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KR101328197B1 (ko)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장치
US20150222218A1 (en) Solar Cell Panel Mount
JP2007205035A (ja) H型鉄骨の上フランジ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み付け方法
KR200429997Y1 (ko)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US20050086781A1 (en) Bearing press support adaptor
KR101279699B1 (ko) 범용공작기계의 각도분할용 치구
KR101012927B1 (ko) 스탠션 바
JP2008253091A (ja) 鉄塔構成部材等における昇降用ステップボルトの取付装置
CN210490637U (zh) 抽油机电机调整装置
JP5694982B2 (ja) ダンパーの締め付け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ダンパーの取り付け方法
KR101340231B1 (ko) 파이프 연결 지그
KR100597783B1 (ko) 난간대용 지주대
CN210794664U (zh) 一种无损提升机张紧机壳
JP5417057B2 (ja) 安全フェンス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2012161225A (ja) 仮連結機能を有するバーニヤ金具とその連結工法
CN220539279U (zh) 一种建筑行业快速安拆护栏
CN219826074U (zh) 施工用的生命线装置
CN218504052U (zh) 一种螺杆转子旋转装置
CN215617579U (zh) 一种电站法兰检修用对准工具
CN216239664U (zh) 无配重可调节吊篮悬挂装置
JPH10286752A (ja) ワイヤーソー用ガイドシーブとシーブ取り付け用具
JP2003104651A (ja) メインロープの固定方法およびメインロープ把持装置
KR200431183Y1 (ko) 송배전의 연선용 블록행거
JP4749149B2 (ja) ステップ着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