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008Y1 - 진동 운동기 - Google Patents

진동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008Y1
KR200444008Y1 KR2020070013346U KR20070013346U KR200444008Y1 KR 200444008 Y1 KR200444008 Y1 KR 200444008Y1 KR 2020070013346 U KR2020070013346 U KR 2020070013346U KR 20070013346 U KR20070013346 U KR 20070013346U KR 200444008 Y1 KR200444008 Y1 KR 200444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iaphragm
electromagnet
operat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495U (ko
Inventor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이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형 filed Critical 이진형
Priority to KR2020070013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00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4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0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면상에 위치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장착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진동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U"자형의 금속 몸체와, 이 몸체의 내측 상부 일측에서 타측 상부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측면상으로 장착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의 일측과 상기 금속 몸체의 내측 상부 사이에 형성된 작동공간에 일단부가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장착되는 강자성체인 작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전자석을 이용하여 발판인 진동판을 상하 수직운동 또는 좌우로 시소진동을 시킴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자체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높은 진동수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진동, 운동기, 롤링, 전자석, 코일 스프링

Description

진동 운동기{vibration exercise equipment}
본 고안은 진동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발판인 진동판을 상하 수직운동 또는 좌우로 시소진동을 시킴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자체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높은 진동수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진동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운동기는 모터의 회전력을 진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근육을 반복적으로 수축 및 이완시켜 근육의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구이다.
이와 같은 진동 운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면, 수평면상에 안치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 상에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발판인 진동판과,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되어 발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베이스 후면에 세워진 포스트 상에 설치된 제어패널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을 보면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력이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에 의해 상기 종동 풀리로 전달되고, 종동 풀리로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발판을 통해 상하 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사용자는 수 직 왕복운동에 따른 고속의 상하 진동하는 발판에 위치하여 스트레칭이나 근력강화운동 및 신경 강화 운동을 실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 운동기는 구성이 복잡하고 다양한 부품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비용이 증대되어 상품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모터의 작동에 따른 진동수가 저하되어 운동효과가 극히 미비하고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스피커의 액츄에이터에서 발생하는 작동원리를 이용하여 즉 음파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진동 운동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석을 이용하여 발판인 진동판을 상하 수직운동 또는 좌우로 시소진동을 시킴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자체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높은 진동수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수평면상에 위치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장착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진동판 사이 에 장착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진동 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U"자형의 금속 몸체와, 이 몸체의 내측 상부 일측에서 타측 상부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측면상으로 장착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의 일측과 상기 금속 몸체의 내측 상부 사이에 형성된 작동공간에 일단부가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장착되는 강자성체인 작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진동 운동기에 있어서, 평면상에 위치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서 원형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장착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U"자형의 금속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 일측에서 타측 상부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측면상으로 장착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의 일측과 상기 금속 몸체의 내측 상부 사이에 형성된 작동공간에 일단부가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장착되는 강자성체인 작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작동부재는 각자 독립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전자석을 이용하여 발판인 진동판을 상하 수직운동 또는 좌우로 시소진동을 시킴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자체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높은 진동수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의 운동 효과(근력강화, 순발력 강화, 골밀도 증가, 관절 강화, 유산소 운동 및 다이어트 효과 등)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운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는 도 1 에 따른 진동 운동기 작동부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 과 도 4 는 도 1 에 따른 진동 운동기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 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진동 운동기는 수평면상에 위치하는 베이스(14)와, 이 베이스(14)의 상면 양측에 장착되는 작동부재(20)와,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진동판(12), 및 상기 베이스(14)와 상기 진동판(12)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1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20)는, 상기 베이스(14)의 상면에 고정되는 특정의 두께를 갖는 "U"자형의 금속 몸체(24)와, 이 금속 몸체(24)의 내측 상부 일측에서 타측 상부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측면상으로 장착되는 전자석(22), 및 상기 전자석(22)의 일측과 상기 금속 몸체(24)의 내측 상부 사이에 형성된 작동공간(26)에 일단부가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진동판(12)의 하면에 장착되는 강자성체인 작동바(18)를 포함한다.
상기 "U"자형으로 구성된 상기 몸체(24)는 전자석의 다른쪽 극성을 동작 접점까지 이동시켜 줄뿐만 아니라 자속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동작 접점에서의 자력은 최대화된다.
따라서 접점의 사이에서 운동하는 영구자석인 작동 바(18)는 전자석(22)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인력과 척력을 가지게 되는데 이때의 영구자석에 연결된 진동판은 장치가 가지고 있는 최대의 힘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20)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20)의 작동바(18)는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상기 진동판(12)은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20)를 시차를 두어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20)의 작동바(18)는 서로 다르게 작동하게 되어 상기 진동판(12)은 좌우 롤링을 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진동 운동기(10)는 좌우 운동을 하게 된다.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운동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에 따른 진동 운동기(50)는 도 1 에 따른 작동부재(20)를 그대로 사용하되,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의 중심부에서 원형을 이루도록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다른 것이며, 이에 따라 진동판(52)이 크고 코일 스프링(56)이 추가될 수 있 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작동부재(20)는 각자 독립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 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방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작동부재(20)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진동판(52)은 상하운동을 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작동부재(20)를 시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20)는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진동판(52)원형을 이루면서 진동을 하게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운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는 도 1 에 따른 진동 운동기 작동부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과 도 4 는 도 1 에 따른 진동 운동기의 사용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운동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 : 진동 운동기, 12,52 : 진동판,
14 : 베이스, 16,56 : 코일 스프링,
18 : 작동 바, 20 : 작동 부재,
22 : 전자석, 24 : 금속 몸체,
26 : 작동 공간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평면상에 위치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서 원형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장착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다수의 작동부재는 각각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U"자형의 금속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 일측에서 타측 상부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측면상으로 장착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의 일측과 상기 금속 몸체의 내측 상부 사이에 형성된 작동공간에 일단부가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장착되는 강자성체인 작동바를 포함하고, 각자 독립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운동기.
KR2020070013346U 2007-08-10 2007-08-10 진동 운동기 KR200444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346U KR200444008Y1 (ko) 2007-08-10 2007-08-10 진동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346U KR200444008Y1 (ko) 2007-08-10 2007-08-10 진동 운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495U KR20090001495U (ko) 2009-02-13
KR200444008Y1 true KR200444008Y1 (ko) 2009-04-02

Family

ID=4129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346U KR200444008Y1 (ko) 2007-08-10 2007-08-10 진동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0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495U (ko) 200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755B1 (ko) 지진체험장치
US9564793B2 (en) Electromagnetic oscillator with electrical and mechanical output
JP2009531088A (ja) 全身振動トレーニング装置
KR20190101986A (ko) 진동 액추에이터, 웨어러블 단말 및 착신 통지 기능 디바이스
US20200360123A1 (en) Swing motor and electric device
WO2017049777A1 (zh) 线性振动马达
CN105561591A (zh) 一种自动摇摆装置
CN107028529A (zh) 振动机构
KR200444008Y1 (ko) 진동 운동기
JP2022045861A (ja) 単一の平台にダブル振幅を生成させる作動が実現できるリズム運動器機
KR102004154B1 (ko) 충격식 진동 액츄에이터
US10992215B2 (en) Vibration motor
WO2017049778A1 (zh) 线性振动马达
JP3211949U (ja) 往復振動型運動装置
JP5500659B2 (ja) 振動装置、ベル鳴動装置および共振装置
CN207385886U (zh) 一种振动器
CN101590469A (zh) 一种震动筛
JPH07107778A (ja) リニア振動アクチユエータ
KR200264452Y1 (ko) 진동발생장치
JPH0740107U (ja) コンクリート製品成型装置における締固め用振動装置
KR20070050422A (ko) 진동 운동기
KR20090002994U (ko) 상하 진동 운동기
KR100772049B1 (ko) 진동 장치
CN220122769U (zh) 一种单头动力输出配重减震马达
CN1125725C (zh) 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