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049B1 - 진동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049B1
KR100772049B1 KR1020060045515A KR20060045515A KR100772049B1 KR 100772049 B1 KR100772049 B1 KR 100772049B1 KR 1020060045515 A KR1020060045515 A KR 1020060045515A KR 20060045515 A KR20060045515 A KR 20060045515A KR 100772049 B1 KR100772049 B1 KR 10077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vibrator
coupled
vibration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철
장동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비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비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비알
Priority to KR102006004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자석의 교번자기력을 구동력으로 직접 변환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에 소정 방향으로 코일이 감겨 있고, 상부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기력이 발생되는 전기자, 및 상기 전기자의 수용부 내에 위치되고, 회전축에 축 결합되며, 전기자의 자기력에 의하여 진동력이 발생되는 진동자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장치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고장 발생의 빈도를 줄여주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동, 코일, 전자석, 교번자기력, 회전축

Description

진동 장치{Vibr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진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a는 제1전기자 및 제1진동자의 작동상태이고, 도 3b는 제2전기자 및 제2진동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진동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진동 장치 20, 20a, 20b: 전기자
21a, 21b: 전자석부 22a, 22b: 철심부
23a, 23b: 수용부 24a, 24b: 코일
25, 25a, 26, 26a, 35, 35a, 36, 36a: 돌극
27, 33a, 46a: 결합공 28: 안착홈
29: 충격흡수부재 30, 30a, 30b: 진동자
31: 회전축 40: 마감부재
41, 50a: 관통공 42: 베어링고정부
44: 베어링 44a: 내륜
44b: 외륜 44c: 볼
45: 커버체 46: 결합부
50: 브라켓 60: 전원부
61: 전원스위치 62: 컨트롤패널
63: 조정스위치부 64: 드라이버
100: 진동전달부재
본 발명은 진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자석의 교번(交番, 번갈아)하는 자기력을 구동력으로 직접 변환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振動, Vibration)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들의 대부분은 모터와 같은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구동되며, 운동기구나 휴대폰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에서 진동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진동 장치들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크랭크축을 구동 시키거나 모터축에 편심 캠 등을 달아 구동시키거나 또는 모터축에 편심 추를 달아 모터 자체가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간접 진동 방식과, 직류 또는 교류 전자석과 가동철편을 조합한 직접 진동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에어 바이브레이터 또는 압전소자 등을 응용한 초음파 진동기 등이 있다.
상기 종래의 진동 장치들은 그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용도가 제한적이어서 각종 기계 및 기구를 설계하고 제조함에 있어서 적절한 부품 선택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하면서 견고한 구조를 갖는 진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계 및 장치에 적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진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 장치는,
중앙부에 소정 방향으로 코일이 감겨 있고, 상부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기력이 발생되는 전기자;
상기 전기자의 수용부 내에 위치되고, 회전축에 축 결합되며, 전기자의 자기력에 의하여 진동력이 발생되는 진동자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전기자(20)의 중앙에 권취된 코일(24a)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전기자(20) 내에 수용된 진동자(30)가 진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대향되게 위치된 전기자(20)의 돌극과 진동자(30)의 돌극의 자극변화에 의하여 진동자(30)가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좌우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진동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진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장치(10)의 실시예로서, 한 쌍의 전기자(20a, 20b)와 진동자(30a, 30b)가 전후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이다. 전기자(20a, 20b)의 중앙 부위에는 각각 전자석부(21a, 21b)가 구성되고, 전자석부(21a, 21b)는 철심부(22a, 22b)에 일정 방향으로 코일(24a, 24b)을 복수로 권취한 것이다. 철심부(22a, 22b)에 코일(24a, 2b)을 감는 방향에 따라 또는 코일(24a, 24b)에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 또는 -)에 따라 전자석부(21a, 21b)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의 극성(N극 또는 S극)이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기자(20a, 20b)의 좌측 및 우측은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전기자(20a, 20b)의 좌측 및 우측은 소정 높이까지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전기자(20a, 20b)는 내측에 수용부(23a, 23b)가 형성된 오목한 요(凹)홈 형상이다. 더욱이 오목한 요(凹)홈 형상의 전기자(20a, 20b) 내측면, 즉 위로 돌출된 부분의 내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요철의 돌기부분은 전기자(20a, 20b)의 돌극(25, 25a, 26, 26a)이 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기자(20a, 20b)의 수용부(23a, 23b)의 돌출된 내측면은 직각보다는 완만한 호(弧)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기자(20a, 20b)의 수용부(23a, 23b) 내측면, 즉 수평한 부분의 양측에 전후로 안착홈(28)이 형성되고, 안착홈(28)에는 충격흡수부재(29)가 장착된다. 충격흡수부재(29)는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상기 전기자(20)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전기자(20a, 20b)가 전후로 배열된다. 이는 전기자(20a, 20b)의 코일(24a, 24b)에 가해지는 전류를 번갈아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진동 장치(10)로서, 진동자(30, 30a, 30b)는 상기 전기자(20, 20a, 20b)의 수용부(23a, 23b)에 수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진동자(30a, 30b)는 좌측 및 우측이 대칭적인 형상이고, 중심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축(31)이 축 결합된다. 진동자(30a, 30b)의 양단에는 요철(凹凸) 형상의 복수의 돌극(35, 35a, 36, 36a)이 형성되어 있다. 진동자(30a, 30b)의 돌극(35, 35a, 36, 36a)은 상기 전기자(20a, 20b)의 돌극(25, 25a, 26, 26a)과 소정 간격, 예를 들어 0.1~1mm 이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2~0.4mm를 두고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진동자(30a, 30b)의 양단은 전기자(20a, 20b)에 형성된 돌극(25, 25a, 26, 26a)과 동일한 형상으로 완만한 호(弧)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자(30a, 30b)는 전기 자(20a, 20b)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는 전자석부(21a, 21b)의 코일(24)에 일정 주파수를 가지는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전자석부(21a, 21b)에서 발생되는 자기력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진동되도록 반응하는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부재(29)는 진동자(30a, 30b)가 회전축(31)을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진동하는 경우에 진동자(30a, 30b)의 돌극(35, 35a, 36, 36a)이 전기자(20a, 20b)의 돌극(25, 25a, 26, 26a)의 자극 변화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진동, 즉 상승 및 하강을 하게 되는데, 상기 진동자(30a, 30b)의 돌극(35, 35a, 36, 36a)이 하강하면 전기자(20a, 20b)의 내측면 양측에 위치하는 충격흡수부재(29)가 진동자(30a, 30b)의 돌극(35, 35a, 36, 36a)과 충돌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음을 흡수해주는 기능을 하게 되어, 소음방지 및 충격흡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진동 장치(10)로서 전기자(20a, 20b)의 수용부(23a, 23b) 내에 회전축(31)에 축 결합되는 진동자(30a, 30b)는 복수로 배열된다. 즉 동일한 형상의 진동자(30a, 30b)는 회전축(31)에 복수로 축 결합되고, 복수의 진동자(30a, 30b)를 수용하는 전기자(20a, 20b)도 진동자(30a, 30b)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전기자(20a, 20b)와 진동자(30a, 30b)는 상하에 한 쌍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면서 복수의 전기자(20a, 20b) 및 진동자(30a, 30b)가 전후로 배열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전기자(20a, 20b)의 전자석부(21a, 21b)로 구성된 코일(24a, 24b)에 가해지는 전류를 번갈아 단속시켜 전기자(20a, 20b)에 자기력이 번갈아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1전기자(20a)에 자기력이 발생되면 제2전기자(20b)에 는 자기력이 상실되고, 제2전기자(20b)에 자기력이 발생되면 제1전기자(20a)에는 자기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전기자(20a)와 제2전기자(20b)에 인가되는 전류의 단속으로 제1전기자(20a) 및 제2전기자(20b)에 수용된 제1진동자(30a) 및 제2진동자(30b)가 번갈아 진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진동자(30a, 30b)가 수용된 전기자(20a, 20b)를 복수로 배열하여 진동자(30a, 30b)의 코일(24a, 24b)에 가해지는 전류의 단속 주기에 따라 진동자(30a, 30b)가 진동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하나의 전기자(20a) 또는 (20b)와 진동자(30a) 또는 (30b)가 결합된 경우라면, 전기자(20a, 20b)의 코일(24a, 24b)에 가해지는 전류의 극성을 번갈아 스위칭하는 경우에도 진동자(30a, 30b)는 동일한 진동이 발생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 장치(10)로서, 진동자(30)가 수용된 전기자(20)의 전단 및 후단의 상부 중앙에 각각 베어링고정부(42)를 갖는 마감부재(40)가 구비된다. 마감부재(100)의 하부에는 결합공(46a)을 갖는 복수의 결합부(46)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부(46)는 전기자(20)를 외부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고정시키거나 바닥 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고정부(42)에는 내륜(44a)과 외륜(44b) 사이에 볼(44c)이 결합된 베어링(44)이 결합되고, 베어링(44)의 외륜(44b)이 고정되는 베어링고정부(42)에는 커버체(45)가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44)의 내륜(44a)에는 회전축(31)이 축 결합된다. 따라서 진동자(30)의 진동은 회전축(31)에 회전으로 베어링(44)의 지지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진동 장치(10)의 전후단에 결합되는 마감부재(40)와 진동자(30)가 수용된 전기자(20) 사이에 브라켓(5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브라켓(50)은 회전축(31)이 관통하는 관통공(50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진동 장치(10)는 결합을 위하여, 먼저, 브라켓(50)에 형성된 관통공(50a)을 통하여 진동자(30a)에 형성된 결합공(33a)이 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체결되어 결합되고, 그리고 마감부재(40)에 형성된 관통공(41)과 전기자(20a)에 형성된 결합공(27)이 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도 3에서 진동자(30a, 30b)와 각각 결합된 브라켓(50)의 상단에는 수평으로 진동전달부재(10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진동전달부재(100)는 그 적용분야에 따라 일정크기의 판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바(bar)형상으로 형성함도 가능하고, 여타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제1전기자(20a)의 수용부(23a)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돌극(25, 25a)과, 제2전기자(20b)의 수용부(23b)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돌극(26, 26a)의 형성 위치가 상이하다. 이에 반하여 제1전기자(20a) 및 제2전기자(20b)에 수용된 제1진동자(30a)와 제2진동자(30b)의 형상은 동일하다. 물론 제1전기자(20a)와 제2전기자(20b)의 돌극(25, 25a, 26, 26a) 형성 위치가 동일하더라도 제1전기자(20a) 및 제2전기자(20b)에 수용된 제1진동자(30a)와 제2진동자(30b)의 형성 위치가 상이해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전기자(20a)와 제2전기자(20b)에 형성된 돌극(25, 25a, 26, 26a)의 위치가 상이한 것은 제1전기자(20a)에 전류가 인가될 때에 제2전기자(20b)에는 전류가 차단상태이고, 제1전기자(20a)에 전류가 차단될 때에 제2전기자(20b)에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가 된다. 이는 제1전기자(20a)에서 자기력이 발생하면 제1진동자(30a)가 상하로 진동될 것이고, 제1진동자(30a)의 진동은 회전축(31)에 축 결합된 제2진동자(30b)도 동일한 진동이 발생된다. 그리고 제2전기자(20b)에서 자기력이 발생하면 제2진동자(30b)가 상하로 진동될 것이고, 제2진동자(30b)의 진동은 회전축(31)에 축 결합된 제1진동자(30a)도 동일한 진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1전기자(20a) 또는 제2전기자(20b)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제1진동자(30a) 또는 제2진동자(30b)가 진동됨에 따라 회전축(31)에 축 결합된 제1진동자(30a)와 제2진동자(30b)는 동일한 진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진동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를 참조하면, 제1전기자(20a) 및 제2전기자(20b)에 전류를 단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전원부(6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변환시켜 진동 장치(1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전원부(60)는 전원스위치(61)의 작동에 의하여 컨트롤패널(62)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켜 진동 장치(10)의 구동이 조작된다. 컨트롤패널(62)은 코일(24a, 24b)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으로, 마이컴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내장된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패널(62)에는 조정스위치부(63)가 구성되어 있어 진동 장치(10)의 진동주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패널(62)에는 드라이버(64)가 연결되어 있고, 드라이버(64)는 해당하는 전기자(20a, 20b)에 권취된 코일(24a, 24b)에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시킨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장치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외부로부터 전원부(60)에 인가된 전원을 컨트롤패널(62)의 전원스위치(61)를 조작하여 온시키면 진동 장치(10)가 초기화되면서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컨트롤패널(62)의 조정스위치부(63)를 조작하면, 해당 전기자(20a, 20b)에는 자기력이 발생된다. 즉 컨트롤패널(62)의 제어신호는 드라이버(64)로 인가되고, 드라이버(64)는 전기자(20a, 20b)의 전자석부(21a, 21b)에 구성된 코일(24a, 24b)에 일정한 주파수, 예를 들어, 1~50Hz의 주파수를 갖는 전기적인 신호로서 전류를 인가시킨다.
따라서 제1전기자(20a)의 전자석부(21a)에 권취된 코일(24a)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전기자(20a)는 자기력이 발생된다. 도 3a에서 만일 제1전기자(20a)에 자기력이 발생된 경우로서, 제1전기자(20a)의 좌측 돌극(25)의 자극이 N극(또는 S극)이고, 우측 돌극(25a)의 자극이 S극(또는 N극)이라면, 제1전기자(20a)의 수용부(23a)에 회전축(31)으로 축 결합된 제1진동자(30a)의 좌측 돌극(35)의 자극은 S극(또는 N극)이 되고, 우측 돌극(35a)의 자극은 N극(또는 S극)이 된다. 따라서 제1전기자(20a)의 양측 돌극(25, 25a)에 형성된 자극에 대응하여 제1진동자(30a)의 양측 돌극(35, 35a)이 서로 당기는 인력(引力)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1전기자(20a)의 돌극(25, 25a)에 제1진동자(30a)의 돌극(35, 35a)이 인력에 의하여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제1진동자(30a)의 좌측은 위로 우측은 아래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진동자(30a)와 회전축(31)에 축 결합된 제2진동자(30b)도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전기자(20b)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어떠한 자극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컨트롤패널(62)의 제어로 드라이버(64)에서 제1코일(24a)로 인가되는 전류는 차단시키고, 제2코일(24b)로 전류를 인가시키면, 도 3b와 같이, 제2전기자(20b)의 전자석부(21b)에 권취된 코일(24b)에 전류가 인가되고, 제2전기자(20b)는 자기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2전기자(20b)에 자기력이 발생되면, 제2전기자(20b)의 좌측 돌극(26)의 자극이 N극(또는 S극)이고, 우측 돌극(26a)의 자극이 S극(또는 N극)이라면, 제2전기자(20b)의 수용부(23b)에 회전축(31)으로 축 결합된 제2진동자(30b)의 좌측 돌극(36)의 자극은 S극(또는 N극)이 되고, 우측 돌극(36a)의 자극은 N극(또는 S극)이 된다. 그러므로 제2전기자(20b)의 양측 돌극(26, 26a)에 형성된 자극에 대응하여 제2진동자(30b)의 양측 돌극(36, 36a)이 서로 당기는 인력(引力)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2전기자(20b)의 돌극(26, 26a)에 제2진동자(30b)의 돌극(36, 36a)이 인력에 의하여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제2진동자(30b)의 좌측은 아래로 우측은 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진동자(30b)와 회전축(31)에 축 결합된 제1진동자(30a)도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전기자(20a)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어떠한 자극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컨트롤패널(62)의 제어로 드라이버(64)에 의한 해당하는 전기자(20a, 20b)의 전자석부(21a, 21b)로 구비된 코일(24a, 24b)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제1전기자(20a)와 제2전기자(20b)는 번갈아 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제1전기자(20a)와 제2전기자(20b)의 제1진동자(30a)와 제2진동자(30b)의 돌극(35, 35a, 36, 36a)에 형성되는 자극의 변화로 진동자(30a, 30b)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좌우로 진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브라켓(50)에 고정된 진동전달부재(100)를 통해 수평상태의 진동전달부재(100)의 좌우측을 승하강시켜 진동이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진동자(30a, 30b)의 진동에 의한 승하강은 전기자(20a, 20b)의 내측에 장착된 충격흡수부재(29)가 흡수 및 완충시켜 진동 장치(10)의 소음발생이나 충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진동 장치는 전기자(20a, 20b)에 권취되는 코일(24a, 24b)의 권취 회수나 코일의 굵기 또는 코일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력은 달라질 수 있고, 또, 제1전기자(20a)와 제2전기자(20b)에 번갈아 가해지는 전류의 주기에 따라 진동회수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원리를 가지는 진동 장치(10)는 하나의 적용례로서 운동기구 등에 적용되는 경우에 진동에 의한 근육의 이완이나 피로회복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안마기능이나 다이어트 등의 체중감량 효과를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진동 장치에 관하여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됨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장치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고장 발생의 빈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동이나 진동이 필요한 모든 기계 및 장치에 안정되고 규격화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장치를 제공하여 기계 및 장치의 제조시에 원가를 절감하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중앙부에 소정 방향으로 코일이 감겨 있고, 상부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기력이 발생되는 전기자;
    상기 전기자의 수용부 내에 위치되고, 회전축에 축 결합되며, 전기자의 자기력에 의하여 진동력이 발생되는 진동자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의 전단 및 후단에는 베어링의 외륜이 고정되는 베어링고정부가 형성된 마감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는 상기 전기자의 회전축이 각각 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의 수용부 내측 양면에 각각 복수의 전기자 돌극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자의 수용부 내측에 수용된 진동자의 양단에 전기자의 돌극에 대향되게 진동자 돌극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가 전기자의 자기력에 의하여 진동할 때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전기자의 수용부 내측 하부에 복수의 충격흡수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합성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와 마감부재 사이에 브라켓이 구비되고, 브라켓은 진동자와 일체로 구성되며, 브라켓의 상단에 진동전달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회전축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KR1020060045515A 2006-05-22 2006-05-22 진동 장치 KR100772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515A KR100772049B1 (ko) 2006-05-22 2006-05-22 진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515A KR100772049B1 (ko) 2006-05-22 2006-05-22 진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049B1 true KR100772049B1 (ko) 2007-10-31

Family

ID=3881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515A KR100772049B1 (ko) 2006-05-22 2006-05-22 진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4925A (zh) * 2015-09-14 2016-01-06 泰州市华诚钨钼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振动器的振动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275U (ko) * 1998-03-23 1999-10-25 이형도 진동모터
KR20050036009A (ko) * 2003-10-14 2005-04-20 이호재 편평형 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275U (ko) * 1998-03-23 1999-10-25 이형도 진동모터
KR20050036009A (ko) * 2003-10-14 2005-04-20 이호재 편평형 진동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4925A (zh) * 2015-09-14 2016-01-06 泰州市华诚钨钼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振动器的振动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007B1 (ko) 자계 폐회로 형성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0568315B1 (ko)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US8093767B2 (en) Linear-resonant vibration module
CN102055297A (zh) 线性振动器
KR101055463B1 (ko) 선형진동자
KR20110048311A (ko) 리니어 진동모터의 스프링부재
CA2633370A1 (en) Dual-motor whole body vibration machine with tilt mode
US11646650B2 (en) Swing motor with two movable members having elastic support members and torsion elastic members
KR100772049B1 (ko) 진동 장치
KR101198978B1 (ko) 통신단말기용 수평형 리니어 진동모터
KR101793072B1 (ko) 수평 진동 디바이스
US10992215B2 (en) Vibration motor
KR102042633B1 (ko) 자기력이 집중되는 수평 진동 디바이스
JP4773856B2 (ja) 振動発生装置
KR100686516B1 (ko) 콘크리트 블록성형기의 진동발생장치
KR102344222B1 (ko) 다중 접촉 방식의 어깨 마사지 장치
KR20170061650A (ko) 진동수단이 구비된 침대용 매트리스
KR20170008454A (ko) 인체용 복합 진동장치
KR20180059973A (ko) 선형진동자
KR200421947Y1 (ko) 안마기용 진동발생장치
CN107919781B (zh) 线性振动马达
KR20120050362A (ko) 수직 선형 진동기
KR102530626B1 (ko) 성능이 향상된 음파진동자
KR200264452Y1 (ko) 진동발생장치
KR100721004B1 (ko) 상하 진동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