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315B1 -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315B1
KR100568315B1 KR1020040077410A KR20040077410A KR100568315B1 KR 100568315 B1 KR100568315 B1 KR 100568315B1 KR 1020040077410 A KR1020040077410 A KR 1020040077410A KR 20040077410 A KR20040077410 A KR 20040077410A KR 100568315 B1 KR100568315 B1 KR 100568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generator
magnetic field
generating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309A (ko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315B1/ko
Priority to US11/127,180 priority patent/US7193346B2/en
Priority to JP2005148139A priority patent/JP2006088145A/ja
Priority to CN2005100721631A priority patent/CN1751809B/zh
Publication of KR20060028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방향 또는 진동주파수가 다른 2 이상의 진동발생기를 적층모듈화하여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1 코일부와,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 자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코일부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1 자계부에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 진동발생기; 및 상기 제1 진동발생기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고정 배치되고, 제2 코일부와 제2 자계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2 코일부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2 자계부에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진동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진동발생기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와는 다른 방향 또는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발생기의 장착 면적을 그대로 유지하고 공정수를 늘이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진동발생, 진동모터, 선형 진동자, 주파수, 진동방향

Description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Device for Generating Multi-Mode Vibration for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코인타입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a는 코인타입 진동모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코인타입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바타입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수평방향의 선형 진동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수직방향의 선형 진동자의 단면도이다.
도 5a,b,c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의 구조의 일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패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 진동발생기 11,21a,21b... 하우징
20,20a,20b... 제2 진동발생기 25a,25b... FPCB
40... 인쇄회로기판 40a...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40b... 인쇄회로기판의 하면 41,42a,42b... 상부패턴
45,46a,46b... 하부패턴 50... 프레임
100... 코인 타입 진동모터 200... 바 타입 진동모터
300... 수평방향 선형 진동자 400... 수직방향 선형 진동자
본 발명은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발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방향 또는 진동량, 진동주파수가 다른 2 이상의 진동발생기를 적층모듈화하여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단말기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착신기능이다. 이러한 착신기능으로 많이 사용되는 유형은 멜로디나 벨과 같은 발성 기능과 기기를 떨게 하는 진동 기능이 있다.
이 중 특히 진동기능은 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나 벨이 외부로 전달되어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자 하는 경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진동을 위해서는 소 형의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가 진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통신단말기의 다기능, 특히 멀티미디어 기능의 구현을 위해 다양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통신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는 회전형 진동모터는 모터의 형상에 따라 얇은 두께를 가진 코인 타입(coin type)과 긴 형태의 바 타입(bar type)으로 구분된다.
도 1a은 일반적인 코인 타입 진동모터의 분해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코인 타입 진동모터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1a 내지 도 1c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는 크게 고정부재인 고정자(110, stator assembly)와 회전부재인 회전자(120, rotor assembly)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자(110)는 원형의 평판인 브라켓(bracket, 111)의 상부면으로 하부기판(112)이 접합되고, 이 하부기판(112)의 외측에는 동심원을 갖는 고리형상의 마그네트(magnet, 113)가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11)의 상부는 케이스(case, 150)에 의해서 밀폐되며, 브라켓(111)과 케이스(150)는 중앙의 샤프트(shaft, 130)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샤프트(130)에는 회전 가능하게 회전자(12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자 (120)는 다시 베어링(bearing, 121), 코일어셈블리(coil assembly, 122), 중량체(counter weight, 123), 정류자(commutator, 124), 상부기판(125) 및 절연물(12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자(110)와 회전자(120)는, 하단은 하부기판(112)에 고정되고 상단은 정류자(124)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브러쉬(1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의 브라켓트(111)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기판(112)과 전원을 연결하기 위하여 도 1a에 도시된 리드선(114)을 이용하며, 상기의 리드선(114) 대신에 커넥터 또는 FPCB 연결단자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c에서 미설명부호 117은 몰드부, 118은 요크, 119는 보조편, 127은 와셔를 나타낸다.
이러한 코인 타입 진동모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a의 리드선(114) 등을 통하여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브러쉬(140)와 상부기판(125)을 통해 편심된 회전자(120) 내에 배치된 코일 어셈블리(122)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마그네트(113)와 케이스(150)로 이루어진 계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중량체(123)에 의해 편심된 회전자(120)가 베어링(12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샤프트(130)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진동이 유발된다.
이때, 진동방향은 상기 회전자(120)가 회전하는 평면, 즉 샤프트(130)에 수직인 평면이 된다.
도 2는 종래의 바 타입 진동모터의 측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 타입의 진동모터(200)는 크게 고정자(210), 회전자(2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210)는 바디(211), 상기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캡(212) 및 마그네트(21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바디는 중공형의 원통형상이고 그 내측에는 마그네트(21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자(220)는 편심추(223), 고정체(225)의 일면에 분할되어 고정된 다수개의 정류자(224) 및 상기 고정체에 고정된 다수개의 코일어셈블리(2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캡(212)에는 한쌍의 브러쉬(240)가 고정된 하부기판(미도시)에 장착되는데, 상기 브러쉬(240)는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선(215)과 연결되고 상기 정류자(224)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한다.
이러한 바 타입 진동모터의 경우에 진동방향은 상기 회전자(220)가 회전하는 평면이 된다.
전술한 코인 타입 또는 바 타입의 진동모터들은 형태상에 다소의 차이점은 있기는 하나, 불평형 질량을 갖는 회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회전력은 대부분이 브러쉬와 정류자의 접점을 통하여 회전자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조로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편심된 회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진동을 발생하는 회전형 진동모터는 모터의 설계시에 편심량, 편심질량 및 구동 회전수 등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진동량(진동력)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가 일정하다.
즉, 다음의 식 1에서와 같이 진동량(F)은 진동체의 질량(m), 편심량(e) 및 구동 회전수의 제곱(ω2)에 비례하며, 모터의 설계시에 이들 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진동량의 진동만 발생한다.
[식 1]
F ∝ m × e × ω2
또한, 코인 타입 또는 바 타입 진동모터의 진동방향은 회전자의 회전평면으로 한정되어 있어 단일한 형태의 진동만 발생하게 되어,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발생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기능 통신단말기 등에는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진동량을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수평방향의 선형 진동을 발생시키는 선형 진동자가 도 3에서 도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통형상의 프레임(310)의 축방향 외단에 고정축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브라켓트(314,315)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전원입력단자를 갖는 원통형상의 코일(320)이 원주방향으로 고정된다.
운동부(350)는 반경방향으로 착자되는 원통형상의 마그네트(330), 상기 마그네트(330)의 축방향 양단에 설치되는 베어링(317,318) 및 상기 베어링(317,318)과 상기 브라켓(314,315)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40)로 이루어진다.
도 4는 종래의 수직 방향의 선형 진동자의 단면도로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수직 방향의 선형 진동자는 마그네트에 의한 자기력과 코일어셈블리에서 발생한 소정 주파수의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으로 운동부가 상하로 공진을 일으켜 진동시키는 것으로서, 크게 운동부(420)와 코일 어셈블리(441) 및 케이스(410)를 구비한다.
상기 운동부(420)는 마그네트(421)와 상기 마그네트(421)를 감싸는 요크(422) 및 상기 요크(422)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소정 크기의 질량을 갖는 질량체(423), 플레이트(4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 어셈블리(441)는 상기 운동부(4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소정 주파수의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탄성부재(430)는 운동부(420)와 연결되어 주파수 인가시 진동을 유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수직방향의 선형진동자(400)는 코일어셈블리(441)가 하단에 장착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코일어셈블리 하측에 입력단자와 연결되도록 연성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선형 진동자는 마그네트(330,421)에 의한 자기력과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코일어셈블리(320,441)에서 발생한 소정 주파수의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으로 운동부(350,420)가 좌우 또는 상하로 공진을 일으켜 진동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자에 있어서, 진동량(F)는 다음의 식 2에서와 같이 진동체의 질량(M)과 진동체의 변위(X)와 공진주파수의 제곱(f2)에 비례한다.
[식 2]
Figure 112004044046219-pat00001
그러나, 이러한 선형 진동자 또한 정해진 방향 이외의 진동을 발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공진주파수의 변경을 통하여 진동량의 조절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선형 진동자의 설계시에 설정된 진동량 만큼의 진동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의 다양한 형태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발생장치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요구되어 왔다.
또한, 장착면적과 조립 공정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리플로우 장착이 가능하고, 진동방향 및/또는 진동주파수, 진동량에 있어서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발생 시키기 위한 모듈화된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방향, 진동주파수 또는 진동량에 있어서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용적이 작고 조립성이 우수하도록 모듈화가 가능한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리플로우 장착을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이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장착 면적의 최소화와 모듈화가 가능한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전원인가수단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1 코일부와,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 자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코일부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1 자계부에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소정 진동량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 진동발생기;
상기 제1 진동발생기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고정 배치되고, 각각의 제2 전원인가수단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코일부와,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 자계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2 코일부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2 자계부에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소정 진동량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진동발생기; 및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 및 상기 각각의 제2 전원인가수단을 외부의 전원과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진동발생기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의 진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제1 진동발생기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코일부 및 제1 자계부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의 바닥판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 및 상기 각각의 제2 전원인가수단과 연결되는 상부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상부패턴을 외부전원과 연결시키도록 하부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패턴과 하부패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구를 통해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는 상기 제1 코일부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1 자계부에 형성된 일정 세기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운동부가 선형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선형 진동자로 이루어지거나, 편심된 회전자를 회전시 킴으로써 회전자의 회전평면상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코인 타입 진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 및 다른 제2 진동발생기와는 다른 방향 또는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는 운동부의 공진에 의한 선형진동을 발생시키는 선형 진동자로 이루어지거나, 편심된 회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자의 회전평면상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코인 타입 진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형진동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평행한 평면내의 일직선상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수직인 직선상에서 선형방향으로 진동하며, 미리 결정된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에 따라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인 타입 진동모터는 편심된 회전자의 구동회전수, 편심량 또는 편심질량에 따라 다른 주파수 또는 다른 진동량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 및 제2 진동발생기를 에워싸서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상기 제1 진동발생기 및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의 진동발생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b,c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의 구조의 일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모드 진동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패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는 제1 진동발생기(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진동발생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 및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20)는 도 1, 도3 및 도 4에서 제시된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 수평방향의 선형진동자(300) 및 수직방향의 선형진동자(400)가 사용된다.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는 제1 전원인가수단, 제1 코일부 및 제1 자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20)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배치되고, 각각의 제2 전원인가수단, 제2 코일부 및 제2 자계부를 각각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은 도 1 및 도 2의 리드선(114,215)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의 리드선(114,215) 대신에 도 5a 및 5c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연결단자(25a,25b)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코일부 및 제2 코일부는 도 1 내지 도 4의 코일어셈블리(122,222,320,441)가 이에 해당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코일부 및 제2 코일부는 각각 C1, C2로 표기하기로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마그네트(113,213,330,421) 등이 상기 제1 자계부 및 제2 자계부의 역할을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자계부 및 제2 자계부는 각각 M1, M2로 표기하기로 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는 제1 전원인가수단(미도시)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1 코일부(C1)와,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 자계부(M1)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코일부(C1)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1 자계부(M1)에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로는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 수평방향의 선형진동자(300) 및 수직방향의 선형진동자(400)가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상기 제2 진동발생기(20a,20b)는 제2 전원인가수단(25a,25b,26a,26b)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코일부(C2)와,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 자계부(M2)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코일부(C2)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2 자계부(M2)에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진동발생기(20a,20b)로는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 수평방향의 선형진동자(300) 및 수직방향의 선형진동자(4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20a 또는 20b)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 및 다른 제2 진동발생기(20b 또는 20a)의 진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발생하거나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 및 다른 제2 진동발생기(20b 또는 20a)의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진동발생기(20a)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 상부에 본딩,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며, 다른 제2 진동발생기(20b)는 상기 제2 진동발생기(20a) 상부에 본딩,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는 상기 제1 코일부(C1)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1 자계부(M1)에형성된 일정 세기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운동부가 선형방향으로 공진을 일으키도록 하여 선형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선형 진동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형 진동자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수평방향 진동자(300) 또는 수직방향 진동자(400)가 사용되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운동부(350,420, 이하에서는'V'라 함)가 자기장과 전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공진을 일으켜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는 상기 제1 코일부(C1)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1 자계부(M1)에서 형성된 일정 세기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편심된 회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자의 회전평면상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코인 타입 진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코인 타입 진동모터는 도 1a 내지 도1c에 일 예로서 도시된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로 이루어지며, 도 1a 내지 도1c에 도시된 회전자(120, 이하에서는 'R'이라 함)가 편심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로서 선형진동자(300,400) 또는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20a,20b)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 및 다른 제2 진동발생기(20b,20a)와는 다른 방향 또는 다른 진동량의 진동을 발생시키되, 운동부(V)의 공진에 의한 선형진동을 발생시키는 선형 진동자(300,400)로 이루어지거나 편심된 회전자(R)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자(R)의 회전평면상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각각의 진동발생기(10,20)가 서로 다른 진동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진동발생기(10) 및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20a,20b)로 선형진동자(300,400)끼리의 조합, 선형진동자(300,400)와 코인타입 진동모터(100)의 조합 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선형진동자(300,4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평행한 평면내의 일직선상(수평방향 선형진동자의 경우)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수직인 직선상(수직방향 선형진동자의 경우)에서 선형방향으로 진동하므로, 원하는 방향의 진동이 발생되도록 선형진동자(300,400)를 적절히 배치하면 될 것이다. 또는,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와의 조합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40)과 수평인 평면상에서 진동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주파수가 다르게 발생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선형진동자(300,400)는 진동량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고유 진동수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전압을 인가하므로, 결과적으로 고유진동수와 같거나/유사한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며,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는 편심된 회전자(R)의 구동회전수에 따라 다른 진동량의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선형진동자(300,400)와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를 조합하여 배치함으로써 두 개 이상 의 진동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 발생기가 가능하다.
물론, 주파수가 다른 선형진동자(300,400)와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를 서로 조합하는 경우에는 주파수 뿐만 아니라 진동방향도 다른 진동발생장치(1)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진동발생기(10) 및 제2 진동발생기(20a,20b) 모두를 진동방향이 각각 X축, Y축, Z축 방향인 선형진동자(300,300,400)로 구성하되, 주파수를 같거나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때, X축과 Y축 방향의 진동은 수평방향 선형진동자(300) 2개를 직교하여 배치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를 Z축 방향(수직방향) 선형진동자(400)로 구성하고, 제2 진동발생기를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로 하여 두 개의 진동발생기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추가적으로 또 다른 제2 진동발생기로 수평방향 선형진동자(300)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조합의 진동발생장치(1)의 구성이 가능하며, 이로부터, 진동방향, 진동주파수, 진동량에 있어서 다양한 모드를 가지는 진동발생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1)는 인쇄회로기판(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미도시) 및 상기 각각의 제2 전원인가수단(25a,25b,26a,26b)을 외부의 전원과 연결한다.
이때, 전술한 리드선, FPCB 등의 전원인가수단을 납땜 또는 커넥터 연결을 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연결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은 통신단말기 본체의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에 장착되거나 다른 전원연결수단을 통하여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 제1 코일부(C1) 및 제1 자계부(M1)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11)의 바닥판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이 본 발명인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1) 전체의 베이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상면(40a)에는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미도시) 및 상기 각각의 제2 전원인가수단(25a,25b)과 연결되는 상부패턴(41,42a,42b)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40b)에는 상기 상부패턴(41,42a,42b)을 외부전원과 연결시키도록 하부패턴(45,46a,46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패턴(41,42a,42b)과 하부패턴(45,46a,46b)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구(미도시)를 통해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진동발생기의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미도시)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부패턴(41)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패턴(41)은 연결구(미도시)를 통해 하부패턴(45)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전원인가수단(25a,25b)은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상부패턴(42a,42b)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패턴(42a,42b)은 각각 연결구(미도시)를 통해 하부패턴(46a,46b)과 연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통신단말기 본체의 메인 PCB(미도시)에 리플로우 장착이 가능하도록 도 8b 또는 도 8c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패턴(45,46a,46b)은 상기 상부패턴(41,42a,42b)에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동심원 또는 동일한 중심을 갖는 다수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패턴 및 하부패턴의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상부패턴은 전원인가수단과 한쪽 방향에서 연결되도록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패턴은 리플로우 장착이 가능하면서, 방향성을갖지 않음으로써 자동화를 용이하게 해 주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리플로우 장착 구조를 위해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이 제1 진동발생기(10)의 하우징(11) 하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전원인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는 선형진동자(300,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c에서와 같이 하우징 하부에 하부기판(112), 즉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면 코인 타입 진동모터(100) 역시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로 적용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1)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 및 제2 진동발생기(20a,20b)를 에워싸서 고정시키는 프레임(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0)은 각각의 진동발생기(10,20a,20b)와 인쇄회로기판(40)을 강건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진동이 발생함에 따라 진동발생기가 프레임(50) 밖 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으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50)에 형성된 요철부(5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요철부(47)가맞물려 고정되는 형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5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 및 제2 진동발생기(20a,20b)의 양측면과 최상측 제2 진동발생기(20b)의 상부면을 에워싸며, 상기 프레임(50)의 끝단은 인쇄회로기판(40)의 모서리부 양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프레임(50)은 상기 진동발생기(10,20a,20b)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50)은상기 진동발생기(10,20a,20b)를 고정하는 역할 외에도 제2진동발생기의 진동을 통신 단말기로 효과적으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에서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1)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 및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20a,20b)의 진동발생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를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10) 및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20a,20b) 각각을 구동시킬 수도 있지만 그중 적어도 2 이상의 진동발생기를 동시에 구동시켜 진동방향 또는 주파수가 다른 복합적인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진동발생기로 도 3 및 도 4의 선형진동자(300,400)가 사용되는 경우에 는 상기 제어부(60)는 각각의 진동발생기에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여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세기 및 그로 인한 진동량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상기 진동발생기(10,20a,20b)로 인가되는 전원의 연결시간 및 휴지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진동 유지시간의 장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제어부(60)를 도입함으로써 각각의 진동발생기(10,20a,20b)를 개별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구동하여 진동방향, 주파수, 진동량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진동량의 고저 및/또는 장단의 조절까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진동을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기능 등 멀티미디어 기능에도 유용한 다양한 형태의 진동 모드를 얻을 수 있다는 유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방향 및/또는 주파수, 진동량에 있어서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진동을 선택적으로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에 대한 응답 기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를 통해서 리플로우 장착이 가능하면서도 설치 면적이 작고, 조립성이 우수한 멀티 모드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6)

  1. 제1 전원인가수단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1 코일부와,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 자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코일부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1 자계부에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 진동발생기;
    상기 제1 진동발생기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고정 배치되고, 각각의 제2 전원인가수단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코일부와,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 자계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2 코일부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2 자계부에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진동발생기; 및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 및 상기 각각의 제2 전원인가수단을 외부의 전원과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진동발생기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의 진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제1 진동발생기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다양한 모드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코일부 및 제1 자계부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의 바닥판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 및 상기 각각의 제2 전원인가수단과 연결되는 상부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상부패턴을 외부전원과 연결시키도록 하부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패턴과 하부패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구를 통해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턴은 상기 상부패턴에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동심원 또는 동일한 중심을 갖는 다수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발생기는 상기 제1 코일부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1 자계부에 형성된 일정 세기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운동부가 선형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선형 진동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 및 다른 제2 진동발생기와는 다른 방향 또는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발생기는 상기 제1 코일부에서 형성된 전기장과 상기 제1 자계부에서 형성된 일정 세기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편심된 회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자의 회전평면상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코인 타입 진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 및 다른 제2 진동발생기와는 다른 방향 또는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는 운동부의 공진에 의한 선형진동을 발생시키는 선형 진동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는 편심된 회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자의 회전평면상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코인 타입 진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진동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평행한 평면내의 일직선상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수직인 직선상에서 선형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타입 진동모터는 편심된 회전자의 구동회전수, 편심량 또는 편심질량에 따라 다른 주파수 또는 다른 진동량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발생기 및 제2 진동발생기를 에워싸서 고정시키는 프레임;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진동발생기 및 제2 진동발생기의 양측면과 최상측 제2 진동발생기의 상부면을 에워싸며,
    상기 프레임의 끝단은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부 양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발생기 및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의 진동발생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진동발생기와 각각의 제2 진동발생기 중 적어도 2 이상의 진동발생기를 동시에 구동시켜 진동방향 또는 주파수가 다른 복합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발생기로 선형진동자가 사용되는 경우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여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세기 및 그로 인한 진동량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발생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연결시간 및 휴지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진동 유지시간의 장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KR1020040077410A 2004-09-24 2004-09-24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KR100568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410A KR100568315B1 (ko) 2004-09-24 2004-09-24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US11/127,180 US7193346B2 (en) 2004-09-24 2005-05-12 Multi-mode vibration generator for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148139A JP2006088145A (ja) 2004-09-24 2005-05-20 通信端末機用マルチモード振動発生装置
CN2005100721631A CN1751809B (zh) 2004-09-24 2005-05-25 用于通信终端的多模式振动产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410A KR100568315B1 (ko) 2004-09-24 2004-09-24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309A KR20060028309A (ko) 2006-03-29
KR100568315B1 true KR100568315B1 (ko) 2006-04-05

Family

ID=3609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410A KR100568315B1 (ko) 2004-09-24 2004-09-24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93346B2 (ko)
JP (1) JP2006088145A (ko)
KR (1) KR100568315B1 (ko)
CN (1) CN17518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72B1 (ko) * 2009-09-15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0967033B1 (ko) * 2009-09-24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 진동자
KR101071419B1 (ko) * 2009-09-29 2011-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KR101101506B1 (ko) * 2010-06-29 2012-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 진동자
KR101805473B1 (ko) * 2010-10-22 2017-12-08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단말기의 진동 모듈
US9380145B2 (en) * 2010-11-05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apping force feedback for mobile devices
JP5887830B2 (ja) * 2010-12-10 2016-03-16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及び振動方法
CN103218104B (zh) * 2012-01-19 2018-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终端及控制电子终端震动方向的方法
US20130309963A1 (en) * 2012-05-20 2013-11-21 Sigal SHASHA Vibration encoded parent-to-child remote communication system
JP6271344B2 (ja) * 2014-06-04 2018-01-31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発生器の制御方法および振動発生器
CN204906155U (zh) * 2015-07-31 2015-12-23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电机
CN204886627U (zh) * 2015-07-31 2015-12-1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电机
CN106622923A (zh) * 2017-01-04 2017-05-1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振动模组以及振动模块
CN106849587B (zh) * 2017-03-14 2022-04-05 歌尔股份有限公司 线性振动马达及电子设备
CN110495082B (zh) * 2017-03-30 2021-06-25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致动器
JP7039465B2 (ja) * 2017-03-30 2022-03-2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CN109036900A (zh) * 2018-08-08 2018-12-18 浙江摩根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开关振动调节方法
KR102138339B1 (ko) * 2018-10-24 2020-07-27 주식회사 엠플러스 사운드 진동 액츄에이터
JP7154379B2 (ja) * 2019-03-12 2022-10-17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磁駆動装置及び操作装置
JP7386062B2 (ja) * 2019-05-13 2023-11-24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WO2020258265A1 (zh) * 2019-06-28 2020-12-30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振动电机
WO2021000184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振动电机
JP2023520096A (ja) * 2019-12-11 2023-05-16 ロフェルト・ゲーエムベーハー 移動コイル及び移動磁石を有する直線振動アクチュエータ
CN111181343B (zh) * 2020-01-20 2021-07-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振动装置及电子设备
CN215772886U (zh) * 2020-07-10 2022-02-08 日本电产株式会社 振动马达及触觉器件
CN214314997U (zh) * 2020-12-25 2021-09-28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马达
US11831215B2 (en) * 2021-05-06 2023-11-28 Aac Microtech (Changzhou)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4449A (en) * 1963-08-22 1967-02-14 Pohlman Reimar Apparatus for producing sonic and ultrasonic oscillations
US4774440A (en) * 1984-11-30 1988-09-27 Combustion Engineering, Inc. Variable speed, variable motion, electrically operated vibrator for screening machinery
JPS62152580A (ja) * 1985-12-26 1987-07-07 株式会社 振研 複数方向加振機
US6504278B1 (en) * 1998-05-08 2003-01-07 Gedib Ingenieurburo Und Innovationsberatung Gmbh Regula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static moment resulting from unbalanced mass vibration generators
WO2001060530A1 (en) * 2000-02-17 2001-08-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having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m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and a part of vibration generating means
SE516270C2 (sv) * 2000-03-09 2001-12-10 Osseofon Ab Elektromagnetisk vibrator
JP3159213B1 (ja) * 2000-03-27 2001-04-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磁振動体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JP3612319B2 (ja) * 2001-03-09 2005-01-19 昭人 花田 電気音響変換器
US6573627B2 (en) * 2001-06-21 2003-06-03 Risun Expanse Corp. DC brushless voice-coil vibration motor
JP2003117489A (ja) 2001-10-10 2003-04-22 Citizen Electronics Co Ltd 軸方向駆動の振動体
CN1420599A (zh) * 2001-11-15 2003-05-28 韩国磁化电子株式会社 小外径扁平型无铁芯震动电机
JP2003285009A (ja) * 2002-03-25 2003-10-07 Samsung Electro Mech Co Ltd コインタイプ振動モーター
US20040104631A1 (en) * 2002-12-03 2004-06-03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Brushless vibration motor
KR200316436Y1 (ko) 2003-03-25 2003-06-18 김정남 진동 액츄에이터
KR20060046263A (ko) * 2004-08-04 2006-05-17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편평형 진동모터를 내장시킨 전자음향변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1809B (zh) 2012-03-21
US7193346B2 (en) 2007-03-20
CN1751809A (zh) 2006-03-29
JP2006088145A (ja) 2006-04-06
KR20060028309A (ko) 2006-03-29
US20060066164A1 (en)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315B1 (ko) 통신단말기용 멀티 모드 진동발생장치
KR101255914B1 (ko) 선형 진동모터
CN101902115B (zh) 线性振动器
KR100541113B1 (ko) 패턴코일형 수직진동자
US20090096299A1 (en) Electromagnetic exci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2315747A (zh) 水平线性振动器
KR20090103391A (ko) 진동자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휴대형단말기
CN207706021U (zh) 一种线性振动马达
CN103098357A (zh) 振动发生器及其制造方法
KR101525654B1 (ko) 선형 진동자
CN103683791A (zh) 线性振动器
CN207021883U (zh) 振动电机
US6486579B1 (en) Electromagnetic vibrator and portable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0511362B1 (ko) 진동 모터의 지지구조 및 고정방법
KR101151396B1 (ko) 통신단말기용 수평형 리니어 진동모터
JP2004202424A (ja) バイブレータとこのバイブレータを搭載する携帯端末機器
KR101184408B1 (ko) 수직 선형 진동기
KR20160028134A (ko) 컨틸레버형 진동발생기
CN102035338B (zh) 水平线性振动器
KR20180043773A (ko) 선형 진동 발생 장치
CN100477456C (zh) 扁平型振动马达
JP2013010074A (ja) 振動発生器
JPH099596A (ja) 2相コアレス偏平振動モータ
JPH09327150A (ja) 偏平形コアレス振動モータ
KR100439002B1 (ko) 편평형 코아리스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