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275U -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275U
KR19990038275U KR2019980004273U KR19980004273U KR19990038275U KR 19990038275 U KR19990038275 U KR 19990038275U KR 2019980004273 U KR2019980004273 U KR 2019980004273U KR 19980004273 U KR19980004273 U KR 19980004273U KR 19990038275 U KR19990038275 U KR 199900382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ic substrate
bobbin
rectifying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월승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80004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275U/ko
Publication of KR19990038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275U/ko

Links

Landscapes

  • Dc Machiner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자코일이 별도의 보빈에 감긴 다음 정류자기판에 끼워맞춤 식으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수지물이 사출될때의 사출압력 및 온도등에 의해 전기자코일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수지물이 정류자기판에 사출되면 정류자기판의 표면과 외주면에 접촉되어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수지물의 이탈이 억제되도록한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축의 외주연에 편심된 상태로 정류자기판이 형성되고 상기 정류자기판의 상부에 전기자코일과 상기 전기자코일을 감싸는 수지물이 사출된 진동자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자코일과 대응되는 마그네트의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진동자를 덮는 커버가 구비된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전기자코일이 감기는 보빈이 구비되고 상기 보빈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을 받쳐줌과 동시에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끼워지는 코일구멍이 형성된 받침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빈의 하단에는 상기 정류자기판의 구멍에 끼워져 상기 전기자코일을 상기 정류자기판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돌기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진동모터
본 고안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자를 구성하는 정류자기판에 전기자코일을 사출성형에 의해 수지물로 감싸는 과정에서 코일의 단선 및 수지물의 이탈이 감소되도록한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모터는 개인이동통신 장비인 핸드폰 등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핸드폰 자체를 진동시켜 전화가 왔음을 사용자가 알수있도록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진동모터는 대부분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진동자를 구성하는 정류자기판에 전기자코일을 결합할 때 작업자는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코일을 기판에 납땜하게된다.
이처럼 소형으로 제작되는 진동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의 상면에 N,S극이 번갈아 착자된 원통형의 마그네트(2)가 결합되어 있으며 베이스(1)의 상부에 마그네트(2)를 감싼 상태로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커버(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4) 및 베이스(1)의 중앙에 형성된 베어링(4a)(1a)에 상,하단이 결합되어 회전지지되는 회전축(5a)이 구비된다. 회전축(5a)은 진동자(5)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진동자(5)는 회전축(5a)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정류자기판(6)과 정류자기판(6)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결합된 전기자코일(7)로 구성된다.
진동자(5)는 전기자코일(7)을 정류자기판(6)에 결합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의 수지물(5b)을 사출성형하여 전기자코일(7)과 정류자기판(6)을 서로 결합시켰으며 이때의 수지물(5b)은 진동자(5)의 웨이트 역할을 하는 기능도 있다. 또한 베이스(1)의 상면에 브러시기판(3a)과 브러시(3)가 구비되고 정류자기판(6)의 저면에는 브러시(3)와 대응되는 정류자(6a)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진동모터는 축방향으로 높이가 낮고 반경방향으로 큰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브러시(3)를 통하여 정류자(6a) 쪽으로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자코일(7)과 마그네트(2)와의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진동자(5)는 회전축(5a)을 중심으로 고속으로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진동자(5)는 회전축(5a)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있으므로 진동이 발생된다.
그러나 정류자기판(6)에 전기자코일(7)이 접착제(7a) 등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고온고압의 수지물(5b)이 전기자코일(7) 쪽으로 사출성형되기 때문에 전기자코일(7)의 위치가 틀어질 우려가 있고 단선의 가능성이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지물(5b)이 사출되는 과정에서 정류자기판(6)의 상면으로 사출되어 이들이 표면접촉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자(5)가 진동하는 과정에서 수지물(5b)이 이탈되어 가능성이 있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자코일이 별도의 보빈에 감긴 다음 정류자기판에 끼워맞춤 식으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수지물이 사출될때의 사출압력 및 온도등에 의해 전기자코일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수지물이 정류자기판에 사출되면 정류자기판의 표면과 외주면에 접촉되어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수지물의 이탈이 억제되도록한 진동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진동모터의 정류자기판과 전기자코일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2 : 마그네트
4 : 커버 10 : 진동자
11 : 회전축 12 : 정류자기판
13 : 구멍 14 : 전기자코일
15 : 보빈 15a : 돌기
16 : 받침부 16a : 코일구멍
17 : 수지물 18 : 수지물연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회전축의 외주연에 편심된 상태로 정류자기판이 형성되고 상기 정류자기판의 상부에 전기자코일과 상기 전기자코일을 감싸는 수지물이 사출된 진동자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자코일과 대응되는 마그네트의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진동자를 덮는 커버가 구비된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전기자코일이 감기는 보빈이 구비되고 상기 보빈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을 받쳐줌과 동시에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끼워지는 코일구멍이 형성된 받침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빈의 하단에는 상기 정류자기판의 구멍에 끼워져 상기 전기자코일을 상기 정류자기판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돌기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진동모터의 정류자기판과 전기자코일의 분리사시도 로서, 도 1과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진동자(10)를 구성하는 정류자기판(12)은 중앙 저면에 정류자(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되어 반원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정류자기판(12)에는 전기자코일(14)이 놓이는 위치마다 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자코일(14)은 삼각형 형태의 보빈(15)에 감긴 상태로 구비된다. 보빈(15)에는 하단 외주면에 코일(14)을 받쳐주는 받침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정류자기판(12)의 구멍(13)에 끼워지는 돌기(15a)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16)에는 전기자코일(14)의 리드선(14a)이 끼워지는 코일구멍(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자코일(14)이 보빈(15)에 감긴 다음 보빈(15)의 돌기(15a)가 구멍(13)에 억지끼움 식으로 조립된다. 이때 코일(14)의 리드선(14a)이 코일구멍(16a)에 끼워진 다음 정류자기판(12)의 납땜부위에 납땜된다. 또한 전기자코일(14)이 정류자기판(12)에 조립된 다음 수지물(17)이 사출된다. 사출되는 과정에서 코일(14)의 외주면과 정류자기판(12)의 표면으로 사출되며 특히 정류자기판(12)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사출되어 수지물연장부(18)가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보빈(15)에 전기자코일(14)이 다수회 감긴 다음 이들의 리드선(14a)이 받침부(16)에 형성된 코일구멍(16a)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코일이 감긴 보빈(15)의 돌기(15a)가 구멍(13)에 억지 끼움식으로 조립되면 전기자코일(14)이 정류자기판(12)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처럼 정류자기판(12)에 전기자코일(14)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지물(17)이 사출성형되면 수지물이 정류자기판(12)의 표면과 코일(14)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며 특히 수지물의 하단이 정류자기판(12)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수지물연장부(18)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진동부(10)는 위의 과정으로 제작되며 특히 제작된 상태에서 수지물연장부(18)가 정류자기판(12)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되기 때문에 수지물(17)이 정류자기판(12)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기자코일(14)이 보빈(15)에 감긴 상태에서 보빈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15a)가 정류자기판의 구멍(13)에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수지물(17)이 사출되는 과정에서 사출압력 또는 고온에 의해 전기자코일(14)의 위치가 흔들리지 않으므로 리드선(14a)의 단선 우려가 감소된다.
이같은 본 고안의 진동자(10)는 회전축(11)이 베이스(1)와 커버(4)에 형성된 베어링(1a)(4a)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브러시(3)가 정류자기판(12)의 저면에 형성된 정류자(12a)와 접촉되어 전압이 전기자코일(14) 쪽으로 인가되면 전기자코일과 마그네트(2)와의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진동자(10)가 고속으로 회전되며 특히 회전되는 과정에서 진동자(10)가 편심되어 있으므로 진동이 발생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자코일이 보빈에 감긴 다음 보빈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가 정류자기판의 구멍에 끼워져 조립된다. 그리고 수지물이 정류자기판의 상면과 전기자코일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사출되며 사출과정에서 정류자기판의 외주면을 감싸는 수지물연장부에 의해 수지물이 정류자기판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전기자코일이 보빈에 감긴 상태로 정류자기판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지물이 사출되는 과정에서 사출압력 또는 고온에 의해 전기자코일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으므로 코일의 단선우려가 감소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회전축의 외주연에 편심된 상태로 정류자기판이 형성되고 상기 정류자기판의 상부에 전기자코일과 상기 전기자코일을 감싸는 수지물이 사출된 진동자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자코일과 대응되는 마그네트의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진동자를 덮는 커버가 구비된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전기자코일이 감기는 보빈이 구비되고 상기 보빈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을 받쳐줌과 동시에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끼워지는 코일구멍이 형성된 받침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빈의 하단에는 상기 정류자기판의 구멍에 끼워져 상기 전기자코일을 상기 정류자기판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정류자기판의 상부에 형성된 전기자코일의 외주연이 감싸지도록 수지물이 사출되고 사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정류자기판의 외주면을 감싸는 수지물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지물이 상기 정류자기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2019980004273U 1998-03-23 1998-03-23 진동모터 KR199900382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273U KR19990038275U (ko) 1998-03-23 1998-03-23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273U KR19990038275U (ko) 1998-03-23 1998-03-23 진동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275U true KR19990038275U (ko) 1999-10-25

Family

ID=6971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273U KR19990038275U (ko) 1998-03-23 1998-03-23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27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475A (ko) * 2000-07-14 2002-01-29 구자홍 모터 보빈 구조
KR100772049B1 (ko) * 2006-05-22 2007-10-31 주식회사 티비알 진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475A (ko) * 2000-07-14 2002-01-29 구자홍 모터 보빈 구조
KR100772049B1 (ko) * 2006-05-22 2007-10-31 주식회사 티비알 진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8705B1 (en) Vibration motor
JP4778186B2 (ja) ステータ
JP2005192391A (ja) 扁平型振動モータの製造方法
EP1492215B1 (en) DC brushless vibration motor
JP3322954B2 (ja) 小型モータの組立式整流子
KR19990038275U (ko) 진동모터
US4349761A (en) Flat type coreless rotary electric machine
US20010040412A1 (en) Radial gap, rotary yoke type brushless vibration motor
JP3796238B2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2003189522A (ja) 小型扁平モータ、小型扁平ファンモータ並びに同モータを備える空気強制供給型空気電池、小型扁平振動モータ並びに同モータを備える携帯用情報機器
KR100649630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893036B1 (ko) 진동자
KR0152563B1 (ko) 무선수신기용 편평형 모터
JP2005020835A (ja) 偏心ロータとこの偏心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振動モータ
KR200368794Y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16622B1 (ko) 편평형 구동모터
KR200280833Y1 (ko) 편평형 진동모터
CN209462149U (zh) 马达
KR100431055B1 (ko) 진동모터의 코일 연결장치
KR100307739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9990050518A (ko) 평편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JP2006341207A (ja) 振動モータ
JP3357333B2 (ja) 偏心ロータと同偏心ロータを用いた小型振動モータ
KR200368795Y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220648B1 (ko) 이동 통신용 초소형 진동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