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772Y1 -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 Google Patents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772Y1
KR200443772Y1 KR2020070013872U KR20070013872U KR200443772Y1 KR 200443772 Y1 KR200443772 Y1 KR 200443772Y1 KR 2020070013872 U KR2020070013872 U KR 2020070013872U KR 20070013872 U KR20070013872 U KR 20070013872U KR 200443772 Y1 KR200443772 Y1 KR 200443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neck
support
sides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787U (ko
Inventor
노인규
Original Assignee
노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인규 filed Critical 노인규
Priority to KR2020070013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77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7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7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7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61F2005/016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in stand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에 관한 것으로 조임끈이 특수하게 구성된 끈조절구로 연결되어지므로 사용자의 앉은키와 목현수기의 높이가 맞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의 몸상태에 따라 목현수력을 증감할 필요가 있을 때 매우 편리하게 조임끈의 전체길이를 조절하여 목현수기의 높이 및 목현수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목현수기의 뒷판이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에 의해 2중으로 견고히 체결되므로 사용중 절대로 목현수기가 벗겨지지 않게 되는 잇점이 있으며,
목현수기의 앞판 내부에 턱안착요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이의 양측으로 외향절곡편이 형성된 판형태의 턱받침구를 삽입설치한 경우에는 턱안착요홈내에 착용자의 턱이 삽입안착되어져 사용중 착용자의 턱이 턱안착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턱받침구의 양측에 형성된 외향절곡편에 의해 턱측면받침부가 각각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턱측면받침부 내면에 착용자의 양쪽 볼이 전혀 닿지 않아 양쪽볼의 압박이 전혀 없고 마찰에 의한 불쾌감과 통증발생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목현수기의 앞판 내부에 턱상부받침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외향절곡부가 형성된 강선형태의 턱받침구를 설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턱상부받침부가 착용자의 턱상부에 견고히 밀착되어져 이 또한, 사용중 착용자의 턱이 턱안착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턱상부받침부의 양측에 형성된 외향절곡부에 의 해 턱측면받침부가 각각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턱측면받침부 내면에 착용자의 양쪽 볼이 전혀 닿지 않아 양쪽 볼의 압박이 전혀 없고 마찰에 의한 불쾌감과 통증발생이 전혀 없게 된다.
따라서, 피부가 건강한 사람이나 연약한 사람, 볼에 여드름,습진 등의 피부질환이 있는 사람, 얼굴에 화장을 한 경우에도 정해진 별 무리없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편리하게 목운동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현수기의 앞판에 구비되는 턱안착부에 위생지나 위생거즈 손수건 등을 턱안착부에 감은 다음 선단을 고정식탄성밴드내에 집어넣어 고정하거나 또는 후크가 구비된 착탈식밴드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생지나 위생거즈 손수건 등의 고정설치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위생상으로 더욱 더 완벽을 기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더욱 더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Chin support tool the neck suspension implement which is had all}
본 고안은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과 허리를 수직으로 견인하여 척추의 교정이나 척추를 감싸고 있는 근육의 강화를 도와줌은 물론 뼈의 골단(관절과 직접 닿아 있는 부분)과 골간(긴뼈 중간의 치밀질)사이에 존재하는 성장판 등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신체성장에 도움을 주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는 척추 및 성장판 클리닉시스템 장치에서 주로 목을 견인하여 주는데 사용되는 목현수기의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목현수기가 사용되는 척추 및 성장판 클리닉시스템 장치에 관하여 본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7-15162호가 있다.
이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척추 및 성장판 클리닉시스템 장치(10)를 구성하는 지지대(11) 상단에 구비되는 텐션구(12)에 목현수기걸이구(13)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목현수기걸이구(13)에는 사용자의 목에 착탈가능하게 착용되는 목현수기(100)가 길이조정이 가능한 조임끈(101)을 이용하여 걸려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2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목현수기(100)에 목을 걸고 사용시에는 텐션구(12)의 텐션력에 의해 목의 상,하 유동이 원활하게 유지되며 또한, 본인의 체중에 의해 경추관절이 안정적으로 이완됨과 동시에 이와같은 상태에서 보조적인 운동을 병행할 시 텐션력에 의해 별 무리없이 경추관절을 감싸고 있는 근육의 강화로 목디스크의 치료 및 운동효과가 극대화 된다.
그러나 이러한 탁월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본인의 선출원 발명인 척추 및 성장판 클리닉시스템 장치(10)는 물론이고 기타 여타한 장치들에 사용되는 목현수기(100)는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여 사용시 양측 턱측면받침부(112) 내면이 사용자의 양쪽볼에 너무 강하게 밀착되어지는 관계로 압박과 마찰에 의한 불쾌감과 통증이 발생하여 주어진 시간내에 목운동을 제대로 할 수가 없었음은 물론, 피부가 연약한 사람이나 볼에 여드름,습진 등의 피부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피부가 거칠어 지거나 피부질환이 더욱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여성이고 얼굴에 화장을 한 경우에는 화장이 지워지게 되므로 미용과 외모를 중요시 하는 여성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는 한편, 여러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턱은 물론 얼굴 볼까지 감싸는 것은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하였으며 실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턱파지 부에 본인의 수건이나 화장지(티슈)를 깔고 사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척추 및 성장판 클리닉시스템 장치에서 주로 목을 견인하여 주는데 사용되는 목현수기의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턱받이 양측면이 사용자의 볼을 감싸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압박과 마찰에 의한 불쾌감과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줌은 물론,
피부가 연약한 사람이나 볼에 여드름,습진 등의 피부질환이 있는 사람들 그리고 얼굴에 화장을 한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여러사람이 사용하여도 위생상으로도 매우 깨끗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줌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턱안착부가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는 턱측면받침부가 구비되는 앞판과,
상기 앞면판의 양측으로 일체로 연결되어지고 끝단이 체결부로 체결되어져 뒷목을 받쳐주는 뒷판 및,
상기 앞판의 턱측면받침부 상측단과 뒷판의 상측단을 연결하는 한쌍의 조임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앞판 내부에 턱 안착요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이의 양측으로 외향절곡편이 형성된 판형태의 턱받침구를 설치하여서 목에 착용시 턱측면받침부의 내면이 착용자의 볼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어지거나,
또는 상기 앞판 내부에 턱상부받침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외향절곡부가 형성된 강선형태의 턱받침구를 설치하여서 목에 착용시 턱측면받침부의 내면이 착용자의 볼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는 특수하게 구성된 끈조절구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의 앉은키와 목현수기의 높이가 맞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의 몸상태에 따라 목현수력을 증감할 필요가 있을 때 매우 편리하게 조임끈의 전체길이를 조절하여 목현수기의 높이 및 목현수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뒷판이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에 의해 2중으로 견고히 체결되므로 사용중 절대로 목현수기가 벗겨지지 않게 되는 잇점이 있으며,
목현수기의 앞판 내부에 턱안착요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이의 양측으로 외향절곡편이 형성된 판형태의 턱받침구를 삽입설치한 경우에는 턱안착요홈내에 착용자의 턱이 삽입안착되어져 사용중 착용자의 턱이 턱안착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턱받침구의 양측에 형성된 외향절곡편에 의해 턱측면받침부가 각각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턱측면받침부 내면에 착용자의 양쪽 볼이 전혀 닿지 않아 양쪽볼의 압박이 전혀 없고 마찰에 의한 불쾌감과 통증발생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목현수기의 앞판 내부에 턱상부받침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외향절곡부가 형성된 강선형태의 턱받침구를 설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턱상부받침부가 착용자의 턱상부에 견고히 밀착되어져 이 또한, 사용중 착용자의 턱이 턱안착부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턱상부받침부의 양측에 형성된 외향절곡부에 의해 턱측면받침부가 각각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턱측면받침부 내면에 착용자의 양쪽 볼이 전혀 닿지 않아 양쪽볼의 압박이 전혀 없고 마찰에 의한 불쾌감과 통증발생이 전혀 없게 된다.
따라서, 피부가 건강한 사람이나 연약한 사람, 볼에 여드름,습진 등의 피부질환이 있는 사람, 얼굴에 화장을 한 경우에도 정해진 별 무리없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편리하게 목운동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현수기의 앞판에 구비되는 턱안착부에 위생지나 위생거즈 손수건 등을 턱안착부에 감은 다음 선단을 고정식탄성밴드내에 집어넣어 고정하거나 또는 후크가 구비된 착탈식밴드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생지나 위생거즈 손수건 등의 고정설치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위생상으로 더욱 더 완벽을 기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더욱 더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또한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본적으로 척추 및 성장판 클리닉시스템 장치의 상측 지지대(11)에 구비되는 텐션구(12)에 결합된 목현수기걸이구(13)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밖에도 상측에 지지대(11)가 형성되는 여타한 장치 및 기구(미도시)에도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3a 내지 도3c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에 턱안착부(111)가 구비되고 그 양측 후방으로는 턱측면받침부(112)가 구비되는 앞판(110)과,
상기 앞판(110)의 양측으로 일체로 연결되어지고 끝단이 체결부(130)로 체결되어져 뒷목을 받쳐주는 뒷판(120) 및,
상기 앞판(110)의 턱측면받침부(112) 상측단과 뒷판(120)의 상측단을 연결하는 한쌍의 조임끈(10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앞판(110) 내부에 턱안착요홈(211)이 중앙에 형성되고 이의 양측으로 외향절곡편(212)이 형성된 판형태의 턱받침구(200)를 설치하여서 목에 착용시 턱측면받침부(112)의 내면이 사용자의 양쪽 볼에 닿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판형태의 턱받침구(200)는 합성수지나 나무 고무 또는 여러겹의 가죽이나 목재판을 적층시켜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목현수기는 첨부도면 도4a 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목현수기를 구성하는 앞판(110) 내부에 턱상부받침부(211')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외향절곡부(212')가 형성된 강선형태의 턱받침구(200')를 설치하여서 목에 착용시 턱측면받침부(112)의 내면이 착용자의 볼에 닿지 않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앞판(110) 내부에 판형태의 턱받침구(200)를 삽입설치하거나 또는 강선형태의 턱받침구(200')를 설치하여서된 목현수기들은 모두 상기 뒷판(120)의 끝단에 형성되는 체결부(1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측 뒷판(120)의 끝단 배면에 덮개체(123)를 더 형성한 다음,
상기 일측 뒷판(120)의 끝단 배면에는 제1암벨크로테이프(매직테이프 또는 찍찍이로도 호칭되기도 함)(131a)를 형성하고 타측 뒷판(120)의 배면에는 제1암벨크로테이프(131a)에 부착되는 제1수벨크로테이프(131b)를 형성하여서된 제1체결부(131)와,
상기 일측 뒷판(120)의 끝단 전방면에는 제2암벨크로테이프(132a)를 형성하고 타측 뒷판(120)의 덮개체(123) 내면에는 제2암벨크로테이프(132a)에 부착되는 제2수벨크로테이프(132b)를 형성하여서된 제2체결부(132)로 구성되어져, 목에 착용시 2중으로 체결되어짐과 동시에 덮개체(123)에 의해 제1,2체결부(131)(132)가 외부로 돌출되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의 목현수기들은 첨부도면 도5a에 도시한 바와같이 앞판(110)의 전방면에 횡으로 양측단이 고정설치된 고정식탄성밴드(310)를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도면 도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측단은 고정설치되고 타측단 내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20a)가 구비되어 앞판(110)에 형성된 암벨크로테이프(320b)에 착탈가능하도록 한 착탈식밴드(320)를 구성하여서, 사용자가 턱안착부(111)외면에 위생거즈(300)나 손수건 등을 감은 다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현수기에 사용되는 한쌍의 조임끈(101)은 다야한 형태로 구성되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도6a 내지 도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앞판(110)의 턱측면받침부(112) 상단에 후단이 고정설치되는 조정끈(101')과,
앞판(110)의 양측 후방으로 일체로 연결되어지는 뒷판(120)의 상단에 후단이 고정설치되는 고정끈(101")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조정끈(101')은 끈조절구(400) 하부에 구비되는 끈걸이구(410)에 건 상태에서 끈걸이구(410)와 그 하측에 형성된 해지편(420) 선단의 걸림턱(421)사이로 삽입한 다음 하측외부로 늘어뜨리고,
상기 고정끈(101)은 끈조절구(400)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구(430)에 고정설치되어진 채로 고정구(430) 상측에 형성된 지지구(440)에 지지되도록 하여,
목현수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측외부로 늘어뜨려진 조정끈(101')의 선단(101'a)을 하측으로 잡아 당기면 조임끈(101)의 전체길이가 짧아지면서 목현수기가 상승하고,
끈조절구(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해지편(420)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걸림턱(421)에 의한 조정끈(101'a)의 고정이 해지되면서 조임끈(101)의 전체길이가 길어지면서 목현수기가 하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척추 및 성장판 클리닉시스템 장치의 상측 수평지지대(11)에 구비되는 텐션구(12)에 결합된 목현수기걸이구(13)에 목현수기(100)가 걸어진 상태에서 목현수기(100)를 목에 착용시에는 먼저 앞판(110)의 내면 중앙에 형성된 턱안착부(111)에 턱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뒷판(120)을 목뒤로 감은 다음 제1암벨크로테이프(131a)를 제1수벨크로테이프(131b)에 부착하여 체결한 후 덮개체(123) 내면에 구비된 제2수벨크로테이프(132b)를 제2암벨크로테이프(132a)에 부착하여 체결함으로 서 뒷판(120)을 2중으로 견고히 체결한다.
이와같이 하면 사용자의 목에 목현수기(100)가 체결되는데 이때, 뒷판(120)이 제1체결부(131)와 제2체결부(132)에 의해 2중으로 견고히 체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중 절대로 목현수기(100)가 벗겨지지 않게 된다.
그러는 한편, 상기 본 발명 목현수기(100)의 앞판(110) 내부에 판형태의 턱받침구(200)가 삽입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턱안착요홈(211)내에 착용자의 턱이 삽입안착되어져 사용중 착용자의 턱이 턱안착부(11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아 편리하며,
또한, 상기 목현수기(100)의 앞판(110) 내부에 강선형태의 턱받침구(200')가 삽입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턱상부받침부(211')가 착용자의 턱상부에 견고히 밀착되어져 이 또한, 사용중 착용자의 턱이 턱안착부(11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턱받침구(200)(200')의 양측에 형성된 외향절곡편(212) 또는 외향절곡부(212')에 의해 턱측면받침부(112)가 각각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착용자의 양쪽 볼에 턱측면받침부(112) 내면이 전혀 닿지 않아 양쪽볼의 압박이 전혀 없고 마찰에 의한 불쾌감과 통증발생이 전혀 없다.
따라서, 피부가 건강한 사람이나 연약한 사람, 볼에 여드름,습진 등의 피부질환이 있는 사람, 얼굴에 화장을 한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5a와 같이 앞판(110)의 전방면에 횡으로 양측단이 고정설치된 고정식탄성밴드(310)를 구성하거나,
또는, 도5b와 같이 일측단은 고정설치되고 타측단 내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20a)가 구비되어 앞판(110)에 형성된 암벨크로테이프(320b)에 착탈가능하도록 한 착탈식밴드(320)를 구성한 경우에는 시설에 구비되는 위생지나 위생거즈(300), 위생포 또는 사용자 본인이 휴대하는 휴지 나 손수건등을 턱 안착부에 감은 다음 고정식탄성밴드(310)내에 집어넣어 고정하거나 또는 수벨크로테이프(320a)가 구비된 착탈식밴드(320)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생상으로 더욱 더 완벽을 기할 수 있어 사용자가 더욱 더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는 한편, 본 고안의 목현수기 착용시 사용자의 앉은키와 목현수기의 높이가 맞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의 몸상태에 따라 목현수력을 증감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조임끈의 전체길이를 조절하여 목현수기의 높이 및 목현수력을 조절하면 된다.
즉, 목현수기의 높이를 높게 조절하거나 또는 목현수력을 강하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측외부로 늘어뜨려진 조정끈(101')의 선단(101'a)을 하측으로 잡아 당겨 조임끈(101)의 전체길이를 짧게 만들어 목현수기를 상승시키면 되고,
이와는 반대로 목현수기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거나 또는 목현수력을 약하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끈조절구(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해지편(420)을 상측으로 들어 올려 걸림턱(421)에 의한 조정끈(101')의 고정이 해지되도록 함으로써 조임끈(101)의 전체길이를 길어지게 만들어 목현수기를 하강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현수기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을 불문하고 별 무리없이 매우 편리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인의 선출원 발명인 척추 및 성장판클리닉시스템장치에 설치된 목현수기의 사용상태도.
도2는 종래 일반적인 목현수기의 사용상태도.
도3a,도3b,도3c은 본 발명 목현수기의 일 실시예도로서,
도3a는 전개된 상태 배면도.
도3b는 뒷판을 체결한 상태 사시도.
도3c는 사용상태 정면도.
도4a,도4b는 본 발명 목현수기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4a는 뒷판을 체결한 상태 사시도.
도4b는 사용상태 정면도.
도5a,도5b는 본 발명 목현수기에 위생거즈 고정용 밴드를 구성한 상태도로서,
도5a는 앞판 전방면에 고정식탄성밴드를 구성한 상태 정면도.
도5b는 앞판 전방면에 착탈식밴드를 구성한 상태 정면도.
도6a,도6b는 본 발명 목현수기에 사용되는 조임끈의 조절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척추및성장판클리닉시스템장치 11:지지대
12:텐션구 13:목현수기걸이구
20:의자 100:목현수기
101:조임끈 110:앞판
111:턱안착부 112:턱측면받침부
120:뒷판 130:체결부
131:제1체결부 131a:제1암벨크로테이프
131b:제1수벨크로테이프 132:제2체결부
132a:제2암벨크로테이프 132b:제2수벨크로테이프
200,200':턱받침구 211:턱안착요홈
211':턱상부받침부 212:외향절곡편
212':외향절곡부 300:위생거즈
310:고정식탄성밴드 320:착탈식밴드
320a:수밸크로테이프 320b:암밸크로테이프
400:끈조절구 410:끈걸이구
420:해지편 421:걸림턱
430:고정구 440:지지구

Claims (7)

  1. 중앙에 턱안착부(111)가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는 턱측면받침부(112)가 구비되는 앞판(110)과,
    상기 앞판(110)의 양측 후방으로 일체로 연결되어지고 끝단이 체결부(130)로 체결되어져 뒷목을 받쳐주는 뒷판(120) 및,
    상기 앞판(110)의 턱측면받침부(112) 상측단과 뒷판(120)의 상측단을 연결하는 한쌍의 조임끈(101)으로 이루어지는 목현수기(100)에 있어서,
    상기 앞판(110) 내부에 턱안착요홈(211)이 중앙에 형성되고 이의 양측으로 외향절곡편(212)이 형성된 턱받침구(200)를 삽입설치하여서 목에 착용시 턱측면받침부(112)의 내면이 착용자의 양측볼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2. 중앙에 턱안착부(111)가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는 턱측면받침부(112)가 구비되는 앞판(110)과,
    상기 앞판(110)의 양측 후방으로 일체로 연결되어지고 끝단이 체결부(130)로 체결되어져 뒷목을 받쳐주는 뒷판(120) 및,
    상기 앞판(110)의 턱측면받침부(112) 상측단과 뒷판(120)의 상측단을 연결하는 한쌍의 조임끈(101)으로 이루어지는 목현수기(100)에 있어서,
    상기 앞판(110) 내부에 턱상부받침부(211')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외향절 곡부(212')가 형성된 강선형태의 턱받침구(200')를 설치하여서 목에 착용시 턱측면받침부(112)의 내면이 착용자의 양측볼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받침구(200)는 합성수지나 나무, 고무소재를 이용 단일몸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가죽이나 목재합판을 여러겹으로 적층시켜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뒷판(120)의 끝단에 형성되는 체결부(130)는 상기 일측 뒷판(120)의 끝단 배면에 덮개체(123)를 더 형성하여,
    상기 일측 뒷판(120)의 끝단 배면에는 제1암벨크로테이프(매직테이프 또는 찍찍이로도 호칭되기도 함)(131a)를 형성하고 타측 뒷판(120)의 배면에는 제1암벨크로테이프(131a)에 부착되는 제1수벨크로테이프(131b)를 형성하여서된 제1체결부(131)와,
    상기 일측 뒷판(120)의 끝단 전방면에는 제2암벨크로테이프(132a)를 형성하고 타측 뒷판(120)의 덮개체(123) 내면에는 제2암벨크로테이프(132a)에 부착되는 제2수벨크로테이프(132b)를 형성하여서된 제2체결부(132)로 구성되어져, 목에 착용시 2중으로 체결되어짐과 동시에 덮개체(123)에 의해 제1,2체결부(131)(132)가 외 부로 돌출되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110)의 전방면에 횡으로 양측단이 고정설치된 고정식탄성밴드(310)를 구성하여서,
    사용자가 턱안착부(111) 외면에 감아지는 위생거즈(300)나 손수건을 고정식탄성밴드(310)로 고정토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110)의 전방면에 일측단은 고정설치되고 타측단 내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20a)가 구비되어 앞판(110)에 형성된 암벨크로테이프(320b)에 착탈가능하도록 한 착탈식밴드(320)를 구성하여서,
    사용자가 턱안착부(111) 외면에 감아지는 위생거즈(300)나 손수건을 착탈식밴드(320)로 고정토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임끈(101)은,
    앞판의 턱측면받침부(112) 상단에 후단이 고정설치되는 조정끈(101')과,
    앞판(110)의 양측 후방으로 일체로 연결되어지는 뒷판(120)의 상단에 후단이 고정설치되는 고정끈(101")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조정끈(101')은 끈조절구(400) 하부에 구비되는 끈걸이구(410)에 건 상태에서 끈걸이구(410)와 그 하측에 형성된 해지편(420) 선단의 걸림턱(421)사이로 삽입한 다음 하측외부로 늘어뜨리고,
    상기 고정끈(101")은 끈조절구(400)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구(430)에 고정설치되어진 채로 고정구(430) 상측에 형성된 지지구(440)에 지지되도록 하여,
    목현수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측외부로 늘어뜨려진 조정끈(101')의 선단(101'a)을 하측으로 잡아 당기면 조임끈(101)의 전체길이가 짧아지면서 목현수기가 상승하고,
    끈조절구(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해지편(420)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걸림턱(421)에 의한 조정끈(101')의 고정이 해지되면서 조임끈(101)의 전체길이가 길어지면서 목현수기가 하강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KR2020070013872U 2007-08-21 2007-08-21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KR200443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872U KR200443772Y1 (ko) 2007-08-21 2007-08-21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872U KR200443772Y1 (ko) 2007-08-21 2007-08-21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787U KR20090001787U (ko) 2009-02-25
KR200443772Y1 true KR200443772Y1 (ko) 2009-03-12

Family

ID=4129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872U KR200443772Y1 (ko) 2007-08-21 2007-08-21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7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787U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670B2 (en) Adjustable extension compression posterior spinal orthosis and method
US6470886B1 (e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headgear
US10926685B2 (en) Head sling affixable to a chair
US20160023051A1 (en) Multipurpose yoga device
JP2007505651A (ja) 肩吊り包帯
JP2010188171A (ja) 腰痛治療器
US20040043879A1 (en) Rehabilitation aid
JP2008510524A (ja) 牽引装置
US20180206648A1 (en) Support Pillow for Prone Position
KR20170006367A (ko) 작업용 근력 보조기구
US20180161192A1 (en) Portable traction device with sling
US9398992B1 (en) Pressure free face rest
JP3160559U (ja) 足支え靴が備わった幼児用抱っこ紐
JP2013523288A (ja) 脊椎牽引装置
KR101097106B1 (ko)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US20190380862A1 (en) Arm tensioning device to prevent a supine sleep position
KR200443772Y1 (ko) 턱받침구가 내장된 목현수기
KR200448684Y1 (ko)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WO1999049742A1 (en) Bra
KR100953220B1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CN209048393U (zh) 一种前臂吊带
CN210277425U (zh) 一种坐姿矫正装置
JP3215104U (ja) 介護リフト用吊り具
CN213250079U (zh) 一种体表创伤保护支架
KR102169616B1 (ko) 장력을 이용한 침대 탈부착용 허리척추 이완 및 숙면 유도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