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101Y1 -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101Y1
KR200443101Y1 KR2020070007145U KR20070007145U KR200443101Y1 KR 200443101 Y1 KR200443101 Y1 KR 200443101Y1 KR 2020070007145 U KR2020070007145 U KR 2020070007145U KR 20070007145 U KR20070007145 U KR 20070007145U KR 200443101 Y1 KR200443101 Y1 KR 200443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pper
closing tube
fee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147U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현 filed Critical 이창현
Priority to KR2020070007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10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1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1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1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16Automatic devices for the distribution of liquid fod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퍼 아래의 커버 내측과 받침대의 중앙부분에서 사료가 굳어지고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며, 호퍼하부의 크기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개폐튜브가 신축되면서 원활한 동작 되며, 급수관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급수니플이 스스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받침대 위에 슬리브의 외측 방사상으로 부착되며 커버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수직대(66)가 하나 이상 부착되어 있는 스크레이퍼(60)가 설치되고, 개폐튜브는 원통형으로써 일측이 절개되어 있고 양측 절개부(17)에는 장방형의 구멍(16,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급수관의 상부에는 요철부(44)가 형성되고, 받침대(30)는 테두리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있다.
돼지사료, 급여장치, 스크레이퍼, 개폐튜브, 받침대

Description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device of supply pig fe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개폐튜브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일부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서 스톱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호퍼 12: 수직봉체
14: 개폐튜브 16,16a: 장방형 구멍
20: 회전판 24: 레버
30,30a: 받침대 36: 요입부
40: 급수관 44: 요철부
50: 스톱퍼 60: 스크레이퍼
본 고안은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호퍼 아래에 설치된 커버의 내부에서 사료가 굳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호퍼 아래로 조립되는 개폐튜브의 조립상태를 개선하여 작동을 원활하게 한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돼지사료 급여장치는 하부에 사료 배출수단을 가지는 호퍼와 그 아래의 용기 즉 받침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물을 먹을 수 있도록 일측에 급수장치를 가지게 됨에 따라 이는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로 구분된다.
본 고안에서 개시되는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호퍼(10)의 중앙으로 수직봉체(12)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체의 아래에 개폐튜브(14)가 부착되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배출되는 사료의 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튜브에 근접된 회전판(20)과 함께 레버(24)가 회전축에 의해 받침대(30)에 설치되어 돼지가 레버를 건드리게 되면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개폐튜브 아래로 사료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개폐튜브 및 회전판의 외측으로는 배출되는 사료를 사료용기로 안내하며 개폐튜브 등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원통형 커버(28)가 있다. 그런데 상기 커버 내부로 습기가 형성될 때 사료가 부착되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더운 여름철에 돼지가 급수니플을 통해 물장난을 하거나 물이 묻은 입으로 커버 하부를 건드리게 되면 개폐튜브 내부에는 점차 습기가 형성되고 배출되는 사료가 부착되어 굳어버린다. 또한 받침대의 중앙 부분과 커버 사이에는 공간이 협소하여 돼지의 입이 미치지 못하고 사료가 누적되어 점차 커지게 되며, 결국 출구를 막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료는 오랜 시간 머무르게 되면서 변질되고 배출되는 사료까지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그리고 호퍼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개폐튜브(14)는 금속소재에 의해 원통형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호퍼는 수지로서 대량생산되어서 상기 개폐튜브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호퍼의 하단부 직경은 정밀하지 못하고 미세하게라도 직경이 서로 다르게 생산된다.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생산된 호퍼와 개폐튜브의 치수가 정확하지 않아 호퍼의 외경이 클 경우 개폐튜브가 억지 끼워짐으로서 개폐튜브의 동작 즉, 사료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해 수직봉체를 통해 위로 혹은 아래로 움직이는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호퍼의 외경이 개폐튜브에 비해 너무 적을 경우 개폐튜브가 기울어져 일측으로만 사료가 많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수지로 된 호퍼 하단부가 이완 또는 수축이 되어 작동이 안되거나 유격이 커서 배출에 필요한 작동을 방해한다.
그리고, 돼지의 성장에 따라 급수니플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급수관의 상부에 스톱퍼(5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톱퍼는 호퍼에 부착된 고정판과 핸들을 가진 밀착대의 조여지는 힘으로 급수관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급수관은 원형의 금속 파이프로서 마찰력이 적고 진동발생시 체결력이 쉽게 해체되어 급수니플(42)이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통상적인 사료 급여장치의 받침대는 대부분 상부보다 하부의 직경이 확산되어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받침대의 하단부에 돼지의 앞발이 걸리게 되면서 사료가 담긴 사료용기에 바짝 다가설 수 없게 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받침대(30a)의 하단부가 상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비슷하게 되면 돼지의 발톱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료를 먹을 때 앞발이 받침대(30a)의 하단부에 닿게 되어 불편하게 되고 사료가 담기 사료용기에 가까이 접근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돼지는 앞발을 사료용기에 집어넣고 사료섭취를 하게 되고 이는 비위생적이며, 사료의 손실을 가져온다.
이는 돼지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식욕을 높이지 못하고 성장발달에 저해요소가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분에 의해서 호퍼 아래의 커버 내측과 받침대의 중앙부분에서 사료가 굳어지고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신선한 사료가 원활하게 배출되게 한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호퍼하부의 크기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개폐튜브가 신축되면서 원활한 동작이 될 수 있게 조립될 수 있는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소재의 원형파이프로 된 급수관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급수니플이 스스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톱퍼를 가진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대의 하단부에 요입홈을 형성시켜 돼지가 사료용기에 더욱 근접할 수 있어 편안하게 사료를 먹을 수 있게 한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사료를 저장하는 호퍼 중앙으로 수직봉체(12)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봉체 하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작동하며 배출되는 사료량을 조절하는 개폐튜브(14)와, 상기 개폐튜브 아래에 돼지가 건드릴 때 회전하는 레버와 함께 호퍼 내부의 사료를 차단하고 있는 회전판(20)과, 사료용기를 구성하는 받침대(30)가 구비되고, 호퍼의 일측으로 하단부에 급수니플을 장착한 급수관(40)이 구비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있어서, 요부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중 개폐튜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중앙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 중 받침대의 하단 테두리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돼지가 사료용기에 더욱 근접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고안 중 스톱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따른 본 고안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100)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료를 저장하는 호퍼(10)는 통상적으로 하부가 점차 협소하면서 하단부에 개폐튜브(14)가 미끄럼접촉 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의 중앙으로 수직봉체(12)가 설치되어 상부가 호퍼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샤프트(18)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에는 일측 끝에 회동장치(도면에 미도시)를 가지고 있고 샤프트가 회전될 때 수직봉체는 상/하로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봉체 하부에는 양측으로 고리(13)를 가지며 전술한 개폐튜브(14)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개폐튜브(14)는 원통형으로써 일측이 절개된 상태에서 말려진 것으로 양측 절개부(17)에는 장방형의 구멍(16,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응방향에는 하나의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의 양측 구멍(16,16a)은 서로 겹쳐지도록 말려진다. 그리고 전술한 수직봉체의 고리(13)가 양 방향의 구멍 즉, 겹쳐진 장방형 구멍(16,16a)과 대응하고 있는 구멍(15)으로 각각 끼워지면서 조립된다.
따라서 개폐튜브(14)는 장방형 구멍의 길이에 따라 신축이 가능하게 되고 이는 호퍼(10) 하단부의 직경에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원활하게 밀착되면서 장착된다.
다음, 상기 개폐튜브(14) 아래에는 개폐튜브 저면을 차단하고 있는 회전 판(20)이 중앙의 회전축(22)에 의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22)은 후술하는 받침대(30)의 나사봉(26)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판(20) 아래에는 방사상으로 부착된 3~6개의 레버(24)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24)를 돼지가 입으로 건드리게 되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회전판(20)이 회전된다.
한편, 상기 개폐튜브(14)와 회전판(20)의 외측에는 원통형의 커버(28)가 호퍼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는 내부장치를 보호함과 동시에 개폐튜브 아래로 배출되는 사료를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아래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 및 커버 아래로 원형의 둘레를 따라서 사료용기(34)가 형성된 받침대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30)는 소정의 경사면(32)을 두고 중앙이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전술한 회전축(22)이 소정의 나사봉(26)에 의해서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후, 받침대 위의 회전축에는 커버(28)의 내측면과 사료 받침대 중앙부분을 긁어줄 수 있는 스크레이퍼(60)가 장착된다. 상기 스크레이퍼(60)는 회전축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원통형의 슬리브(62)가 있고, 상기 슬리브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부착되는 3~6개의 수직대(6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직대(66)는 모두 커버(28)의 내측면에 근접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것으로 슬리브(62)와의 연결부분은 받침대(30)의 경사면(32)과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받침대의 경사면(32)에 잔재하는 사료를 긁어내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돼지의 입이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인 받침대의 중앙 부분까지 긁어내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호퍼(10)의 일측으로는 하단부에 급수니플(42)을 장착한 급수관(40)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은 하부의 가이드(46)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급수관(40)의 상부에는 호퍼의 상부에 설치된 스톱퍼(50)에 의해서 높이가 조절된 뒤 고정된다.
상기 스톱퍼(50)는, 호퍼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중앙에 구멍(56a)이 형성되어 급수관이 끼워지는 고정판(56)과, 상기 고정판 전방으로 나사봉(56b)이 부착되고 상기 나사봉에 끼워지는 '⊂' 형의 밀착대는 고정판의 상면과 하면을 통해 끼워지며 전방으로 노출되는 나사봉(56b)에 핸들(52)을 장착하고 있다.
상기 밀착대 역시 중앙으로 구멍(54a)을 두고 급수관이 끼워지게 되면서 핸들을 돌려 조일 때 고정판과 밀착대가 급수관에 밀착되면서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급수관(40)에는 요철부(44)가 형성되어 밀착대와 급수관이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샤프트(18)에 구비된 조절핸들(도면에 미도시)을 이용하여 수직봉체(12)와 연결된 개폐튜브(14)를 수직으로 작동시키면서 사료배출간격(개폐튜브와 회전판 사이의 간격)을 적당하게 조절한다. 이후 돼지가 입으로 레버(24)를 건드릴 때마다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내부의 사료가 개폐튜브 밖으로 배출되고 아래의 사료용기로 추락한다.
이때, 상기 수직봉체에 연결된 개폐튜브는 금속소재로써 수직봉체의 일측 고리가 장방형 구멍(16,16a)으로 끼워져 호퍼의 직경이 차이가 있더라고 장방형의 길이에 따라 개폐튜브가 신축되면서 밀착하게 되고 항상 원활하게 상/하 작동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돼지가 습성에 따라서 사료를 먹기 위해 레버(24)를 건드리게 되면 회전판이 회전하여 내부의 사료를 배출시키게 됨과 동시에 레버 사이에 위로 돌출된 수직대(66)가 레버에 의해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레버는 커버(28) 내면을 따라서 회전하게 되고 커버 내부에 부착되는 사료를 아래로 긁어내리게 된다.
따라서 커버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더라도 사료가 부착되지 않게 되면서 사료가 변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돼지의 앞발이 받침대의 요입부(36)까지 깊이 들어가게 됨에 따라 돼지는 사료용기에 발을 접어 넣지 않고도 사료용기에 근접할 수 있게 되고, 새끼돼지라도 사료용기의 내부까지 입이 닿이게 되면서 사료가 사료용기에 잔류하는 시간을 줄여 항상 신선한 사료를 먹을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는 호퍼 하단부로 개폐튜브를 장착하기가 용이하며 온도에 의해 직경이 변화하더라도 개폐튜브의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며, 개폐튜브 내측면과 입이 들어가지 않는 사각지대를 스크레이퍼가 항상 긁어주어 변질되는 사료가 없게 된다. 그리고 급수니플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장시간 진동을 받더라도 고정력이 해체되어 아래로 추락되는 일이 없고, 돼지가 사료용기에 쉽게 근접하여 위생적이고 편안하게 사료를 먹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삭제
  2. 호퍼 중앙으로 수직봉체(12)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봉체 하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작동하는 개폐튜브(14)와, 상기 개폐튜브 아래에 회전판과 레버가 부착된 회전축(22)과, 상기 회전축 하단에 설치되는 원형의 받침대(30)가 구비되며, 호퍼의 일측으로 하단부에 급수니플을 장착한 급수관(40)이 구비된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튜브(14)는 원통형으로써 일측이 절개되어 있고 양측 절개부(17)에는 장방형의 구멍(16,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응방향에는 하나의 구멍(15)이 형성되어 수직봉체(12)의 하부에 부착된 양측의 고리가 끼워져 조립되며;
    상기 받침대(30)는 외측 테두리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요입되면서 요입부(36)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위에, 회전축 외측으로 끼워지는 슬리브가 있고 상기 슬리브의 외측 방사상으로 부착되며, 받침대의 중앙 경사면과 커버(28)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수직대(66)가 하나 이상 부착되어 있는 스크레이퍼(6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40)에는 상부에 요철부(44)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에 끼워진 고정판(56)은 호퍼에 고정되며 전방으로 나사봉(56b)을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나사봉과 체결되는 핸들(5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면과 하면으로 끼워지는 밀착대가 고정판과 핸들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스톱퍼(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4. 삭제
KR2020070007145U 2007-05-01 2007-05-01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0443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145U KR200443101Y1 (ko) 2007-05-01 2007-05-01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145U KR200443101Y1 (ko) 2007-05-01 2007-05-01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147U KR20080005147U (ko) 2008-11-05
KR200443101Y1 true KR200443101Y1 (ko) 2009-01-12

Family

ID=4150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145U KR200443101Y1 (ko) 2007-05-01 2007-05-01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101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315B1 (ko) 2013-04-23 2013-10-08 박종대 사료조절장치
KR101338672B1 (ko) * 2012-01-05 2013-12-09 이창현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KR101573265B1 (ko) 2013-11-08 2015-12-04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KR20160080882A (ko)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연합축산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160099418A (ko)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연합축산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160099421A (ko)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연합축산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호퍼뚜껑
KR20160099422A (ko)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연합축산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호퍼뚜껑
CN107912319A (zh) * 2017-12-04 2018-04-17 袁玲燕 一种饲料喂养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43B1 (ko) * 2009-04-22 2011-09-27 최호정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AR086161A1 (es) * 2012-06-19 2013-11-27 Nello Hugo Daniel Di Comedero para cerdos
CN104012422B (zh) * 2014-04-18 2016-03-16 湖南伟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饲喂器
KR101718825B1 (ko) 2015-04-03 2017-03-22 주식회사 연합축산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CN104782519B (zh) * 2015-04-29 2017-03-08 云南农业大学 一种犊牛颗粒饲料自动食槽
CN110692529B (zh) * 2019-10-23 2023-12-29 利宝维(广东)营养科技有限公司 一种仔猪精准喂奶装置及其控制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672B1 (ko) * 2012-01-05 2013-12-09 이창현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KR101316315B1 (ko) 2013-04-23 2013-10-08 박종대 사료조절장치
KR101573265B1 (ko) 2013-11-08 2015-12-04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KR20160080882A (ko)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연합축산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160099418A (ko)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연합축산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160099421A (ko)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연합축산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호퍼뚜껑
KR20160099422A (ko)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연합축산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호퍼뚜껑
CN107912319A (zh) * 2017-12-04 2018-04-17 袁玲燕 一种饲料喂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147U (ko)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101Y1 (ko)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0419952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US9139989B2 (en) Debris trap for a drain
EP2810555B1 (en) Improved tube bird feeder
EP2702870B1 (en) Bird feeder
US6655317B1 (en) Adjustable poultry feeder
US20130125823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mpeding pet access to food in a feed vessel to deter too rapid ingestion of food
RU200412269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ачи корма домашней птице, в особенности откармливаемым птицам,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 бройлерам
US20090120369A1 (en) Sure feed automatic feeder
KR101292976B1 (ko)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
US6701867B1 (en) Birdfeeder with self cleaning connection mechanism
EA037082B1 (ru) Кормушка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птиц
US8302563B2 (en) Sow feeder
KR100913645B1 (ko)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KR20150062306A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US20150296750A1 (en) Weather guard for a bird feeder
EP3397050B1 (en) Poultry feeder
KR200442135Y1 (ko)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US20150122157A1 (en) Seed tray catcher for bird feeders
KR101590448B1 (ko)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AU2017269545B2 (en) A method of filling feeding pans as well as a feeding system
US20150359195A1 (en) Pet Toy and Feeder
KR101683363B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0352967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결합구조.
JP3677230B2 (ja) 養鶏用給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