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825B1 -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825B1
KR101718825B1 KR1020150047159A KR20150047159A KR101718825B1 KR 101718825 B1 KR101718825 B1 KR 101718825B1 KR 1020150047159 A KR1020150047159 A KR 1020150047159A KR 20150047159 A KR20150047159 A KR 20150047159A KR 101718825 B1 KR101718825 B1 KR 10171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pipe
supply pipe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681A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5004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82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은, 여름철에는 급수관, 급수 분배관, 배출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미지근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시원하고 신선한 물을 가축들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축들에게 많은 양의 음수를 유도함으로써 사료 섭취량도 많아지게 하여 가축들의 빠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 겨울철에는 급수관, 급수 분배관, 배출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얼어서 각 배관이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가축들이 필요할 때에 물을 공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으며, 돼지 등의 가축들에게 항상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Water supply system of fodder}
본 발명은 신선하고 효과적인 음수가 가능한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급수니플이 부착된 급수 분배관에 급수관과 배출관을 각각 설치하고, 특히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서 물이 한쪽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급수관과 배출관 사이에 차단판을 설치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돼지 등과 같은 가축들에게 항상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겨울철에 물이 정체되어 급수 분배관이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돼지, 소, 닭, 염소 등의 가축을 기르는 축산농가에서는 여러 마리의 가축에게 먹이와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이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 돼지를 사육하는 축사에서는 돼지에게 적정량의 먹이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한데, 돼지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양돈용 급이기로서 크게 건식 급이기와 습식 급이기가 있다.
건식 급이기는 사료와 물을 별도로 공급하는 장치이고, 습식 급이기는 사료와 물을 함께 공급하는 장치로서, 통상 사료는 사료 공급기의 조절기를 통하여 시간당 공급량 조절이 가능하지만 물은 그 공급량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상기와 같은 가축 급이기 중에서 습식 급이기는 하기의 특허문헌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 설치된 통상의 수도(또는 급수용 관체)와 연결되는 급수관이 호퍼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급수관의 끝부분은 복수의 급수니플이 부착된 급수 분배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호퍼에는 통상의 사료가 충진되고, 상기 급수 분배관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이 흐르게 되고, 급수 분배관에 부착되 복수의 급수니플을 통해 돼지 등의 가축들은 물을 먹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습식 급이기는 돼지 등의 가축들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분배관(즉, 복수의 급수니플이 부착된 급수 분배관)에 급수관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은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 고이게 되고, 급수니플을 통해서 돼지 등의 가축들이 물을 먹을 때만 급수 분배관에 물이 보충된다.
이와 같이 가축들이 급수니플을 통해서 물을 먹을 때만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 물이 보충되기 때문에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서 물이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여름철에는 돼지 등의 가축들이 미지근하고 오염된 물을 먹게 되어 수인성 전염병이나 음수량이 감소하여 사료 섭취량이 줄어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서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돼지 등의 가축들에게 신선한 물을 공급할 수 없고 또한 겨울철에는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얼어서 동파되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9-0002618호(고안의 명칭: 급여기의 급수조절장치. 공개일자: 2009년 03월 17일) [문헌 2]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8-0005147호(고안의 명칭: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공개일자: 2008년 11월 05일) [문헌 3]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130158호(발명의 명칭: 습식 자동사료급여기. 공개일자: 2013년 12월 02일) [문헌 4]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16348호(발명의 명칭: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공개일자: 2010년 11월 01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서 물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항상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돼지 등의 가축들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서 물이 계속해서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겨울철에 물이 동결되지 않도록 하여 급수 분배관이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료가 충진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고 통상의 수도와 연결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끝부분에 연결되고 급수니플이 설치된 급수 분배관과, 상기 급수 분배관에 설치되고 급수 분배관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으로 구성된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는 차단판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은 급수관과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 분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을 한쪽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급수 분배관에 설치된 급수관과 배출관을 인접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급수니플이 부착된 급수 분배관에 급수관과 배출관을 각각 설치하고 또한 상기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서 물이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차단판을 설치함으로써 물의 신속한 흐름과 돼지 등의 가축들에게 항상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서 물이 정체되어서 겨울철에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급수관과 배출관을 급수 분배관에 설치할 때, 차단판에 근접하여 나란히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급수니플의 상/하 조절 기능을 부착시에 그 작동이 쉽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이 설치된 습식 급이기가 돼지 등을 사육하는 축사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급수 시스템이 설치된 습식 급이기(1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급수 분배관(54)의 내부에 차단판(62)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급수관(50)과 배출관(52) 및 차단판(62)이 설치된 급수 분배관(54)의 내부에서 물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은, 돼지 사육용 습식 급여기 및 건식 급여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 염소, 양 등과 같은 가축들을 사육하는 농가나 축사에 설치된 모든 급이기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 가축들이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급수니플이 부착된 급수 분배관을 포함하는 가축 사육용 급이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은 급수관이 부착된 급수 분배관에 별도의 배출관을 설치하고 상기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 차단판을 설치함으로써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고여있지 않고 신속하고 계속해서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돼지, 소, 염소 등과 같은 가축들에게 항상 신선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은, 1) 여름철에는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미지근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시원하고 신선한 물을 가축들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축들에게 많은 양의 음수를 유도함으로써 사료 섭취량도 많아지게 하여 가축들의 빠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 2) 겨울철에는 급수 분배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얼어서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가축들이 필요할 때에 물을 공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으며, 3) 돼지 등의 가축들에게 항상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 구체적으로는 급수관, 배출관, 급수 분배관, 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급수 시스템이 설치된 습식 급이기가 돼지 등을 사육하는 축사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급이기는 돼지 등을 사육하는 축사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연결관(56)을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나란히 설치된다. 이는 급수 분배관(54,54a,54b)의 내부에 있는 물이 고여있지 않고 한쪽 방향으로 계속해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 1과 같이 습식 급이기(10,20,3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설치하여 구성하였지만, 습식 급이기(10) 한 대를 단독으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습식 급이기(10)의 급수 분배관(54)에 급수관(50)과 배출관(52)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관(52)을 별도의 탱크(물 저장용 탱크)에 연결하여 설치하게 되면 상기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된 물은 급수 분배관(54)을 따라 흐르다가 배출관(52)을 통해 물 저장용 탱크에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급수 분배관(54)의 내부에 있는 물은 고여있지 않게 계속해서 흐르게 된다. 여기서 특징적인 사항은 상기 급수 분배관(54)의 내부에 차단판(62)을 설치하여 물이 한쪽방향으로만 계속해서 흐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급수관(50)과 배출관(52)을 인접되게 설치하고 그 사이에 차단판(62)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 및 효과를 배가(倍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식 급이기(10,20,30)는 외부에 설치된 통상의 수도와 연결되는 급수관(50)이 호퍼(60)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급수관(50)의 말단은 복수의 급수니플(58)이 설치된 급수 분배관(54)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호퍼(60)에는 통상의 사료가 충진되며, 상기 급수 분배관(54)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된 물이 흐르게 되고, 상기 급수 분배관(54)에 조립된 급수니플(58)을 통해 돼지 등의 가축들은 물을 먹게 된다.
한편, 호퍼(60)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수 분배관(54)에는 별도의 배출관(52)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52)은 급수 분배관(54)을 따라 흐르고 있는 물을 배출시키는 역할(구체적으로는, 순차적으로 설치된 습식 급이기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배출관(52)의 상단에는 연결관(56)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관(56)의 말단에는 습식 급이기(20)에 설치된 급수관(50a)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축사에 설치된 복수의 습식 급이기(10,20,30,…….)는 연결관(56,56a,56b,...)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에 설치된 통상의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급수관(50)을 통해 급수 분배관(54)으로 공급되고, 상기 급수 분배관(54)을 통해 흐르는 물은 다시 배출관(52)과 연결관(56)을 통해 다음에 설치된 습식 급이기(20), 즉 상기 습식 급이기(10) 옆에 설치된 습식 급이기(20)의 급수관(50a)으로 공급되어 다시 급수 분배관(54a)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습식 급이기(10,20,3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바람직하게는 급수관(50)과 배출관(52)을 급수 분배관(54)에 각각 부착시킨 습식 급이기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상기 급수 분배관(54)의 내부에 있는 물은 고여있지 않게 되고 계속적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에 설치된 급수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이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효과를 배가(倍加)시키기 위하여 습식 급이기(10,20,30)에 차단판(62)을 설치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급수 분배관(54)의 내부에 차단판(62)을 설치하여 급수 분배관(54)을 따라 흐르는 물이 한쪽방향으로만 계속해서 흐를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즉,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급이기(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퍼(60), 급수관(50), 배출관(52), 급수 분배관(5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52)은 도 1과 같이 연결관(56)을 통해 또 다른 습식 급이기(20)에 설치된 급수관(50a)과 연결되며, 상기 습식 급이기(20)에 설치된 배출관(52a)은 연결관(56a)을 통해 습식 급이기(30)의 급수관(50b)과 연결된다.
특히, 상기와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분배관(54)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 해당하는 차단판(62)이 설치되는데, 상기 차단판(62)은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된 물이 급수 분배관(54)을 따라 흐를 때 한쪽방향으로만 흐르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차단판(62)은 도 4와 같이 급수 분배관(54)에 설치될 때, 급수관(50)과 배출관(52) 사이에 설치되며, 이는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된 물이 시계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최종적으로 배출관(52)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급수관(50)과 배출관(52)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급수 분배관(54)의 내부에 차단판(62)을 설치함으로써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된 물이 급수 분배관(54)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고 결국 배출관(52)을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겨울철에 급수 분배관(54) 뿐만 아니라 급수관(50) 및 배출관(52)이 얼어서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돼지 등과 같은 가축들에게 항상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상승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10, 20, 30: 습식 급이기 50: 급수관
52: 배출관 54: 급수 분배관
56: 연결관 62: 차단판

Claims (4)

  1. 사료가 충진되는 호퍼(60)와, 상기 호퍼(60)에 설치되고 통상의 수도와 연결되는 급수관(50)과, 상기 급수관(50)에 연결되고 급수니플(58)이 설치된 급수 분배관(54)으로 구성된 통상의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수 분배관(54)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 분배관(54)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52);
    상기 분배관(54)의 내부에서 급수관(50)과 배출관(52)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62);
    상기 습식 급이기(10)의 일측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습식 급이기(20)가 설치되며, 상기 습식 급이기(10)의 배출관(52)과 상기 습식 급이기(20)의 급수관(50a)은 연결관(56)으로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47159A 2015-04-03 2015-04-03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KR10171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59A KR101718825B1 (ko) 2015-04-03 2015-04-03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59A KR101718825B1 (ko) 2015-04-03 2015-04-03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81A KR20160118681A (ko) 2016-10-12
KR101718825B1 true KR101718825B1 (ko) 2017-03-22

Family

ID=5717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159A KR101718825B1 (ko) 2015-04-03 2015-04-03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8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195A (ko) * 2005-09-23 2007-03-28 김기주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KR200443101Y1 (ko) 2007-05-01 2009-01-12 이창현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0446259Y1 (ko) 2007-09-12 2009-10-12 이창현 급여기의 급수조절장치
KR101067843B1 (ko) 2009-04-22 2011-09-27 최호정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KR101151948B1 (ko) * 2010-08-16 2012-06-01 임진수 울타리 일체형 식수공급장치
KR101344971B1 (ko) 2012-02-23 2013-12-24 이창현 습식 자동사료급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81A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2472B2 (ja) 重量センサを用いる飼料量測定装置
KR20090116574A (ko) 축사용 자동냉온수 급수기
KR200448419Y1 (ko)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JPH0244490B2 (ko)
US7467599B2 (en) Trough for piglets
CN205492114U (zh) 一种养鸡场自动喂料系统
KR20140136550A (ko) 습식 및 건식 겸용 사료급이기
US20150083048A1 (en) Feeder for Animals
KR101718825B1 (ko)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CN210202852U (zh) 一种肉牛养殖用新型牛舍
KR102241636B1 (ko)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받침대 분뇨투입 방지장치
KR101955097B1 (ko) 아파트형 양계용 케이지의 사료공급 분배장치
RU174935U1 (ru)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репродукторный свинарник
CN206603015U (zh) 一种仔猪养殖用饮水装置
EP1616484B1 (en) Integrative device and relative method of installation for the distribution of foodstuff on the litter and feeder area inside the unit for batteries for breeding laying hens
KR20100052027A (ko) 송아지용 사료공급통
CN205389906U (zh) 喂食设备
CN210630391U (zh) 一种畜牧养殖用定时加水装置
CN213044747U (zh) 一种鸡用进食饮水装置
CN205431482U (zh) 一种环形猪场配套集成给料装置
KR102462622B1 (ko) 애완동물 입마개 어셈블리
KR102131547B1 (ko) 습식 급이기의 사료 허실 방지장치
CN219628607U (zh) 一种分区式养鸡笼
CN209251346U (zh) 一种牲畜养殖用饮水装置
CA2828451A1 (en) Feeder for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