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195A -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195A
KR20070034195A KR1020050088590A KR20050088590A KR20070034195A KR 20070034195 A KR20070034195 A KR 20070034195A KR 1020050088590 A KR1020050088590 A KR 1020050088590A KR 20050088590 A KR20050088590 A KR 20050088590A KR 20070034195 A KR20070034195 A KR 20070034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hopper
pipe
fe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05008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4195A/ko
Publication of KR2007003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에게 자동으로 사료와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구비된 급수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는, 사료 주입구가 상부에 형성된 원추형 호퍼와, 이 호퍼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과, 호퍼의 하부 외주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라인이 연결되며 다수의 급수노즐을 갖는 원형 급수관과, 사료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 및, 먹이통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로 이루어진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칸막이대의 상단에는 호퍼 받침대가 고정되고, 호퍼 받침대에는 일측면에 다수의 홈을 갖는 제1 내지 제3 철편이 수평 고정되며, 원형 급수관에는 제1 철편의 홈에 삽입되는 이동봉과 제2 및 제3 철편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어, 이동봉의 동작 후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 위치 이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를 호퍼의 하부에서 자유롭고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습식 급이기, 급수관, 높이 조절 장치, 급수노즐, 호퍼, 이동봉, 고정봉

Description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Water Supply Pipe for Feeder Suppling Feed and Water for Pig Keeping}
도 1은 종래의 습식 급이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호퍼 지지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호퍼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급수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높이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호퍼 지지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호퍼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급수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급수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추형 호퍼 12 : 사료 주입구
14 : 사료 배출관 15 : 지지대
20 : 원형 급수관 20a : 이동봉
20b, 20c : 고정봉 20d, 20e, 20f : 수평돌기
20g : 고정돌기 22 : 급수노즐
31 : 칸막이대 40 : 급수라인
70 : 손잡이 72 : 돌출편
80 : 가이드 82 : 안내공
90 : 스프링 92 : 멈춤링
100 : 호퍼 받침대 112 : 연결봉
120 : 제1 철편 130 : 제2 철편
140 : 제3 철편 120a, 130a, 140a : 홈
본 발명은 돼지에게 자동으로 사료와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구비된 급수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여 돼지의 성장에 따라 상기 급수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급수관의 높낮이 조정으로 인한 작업비용 또는 그 높이에 맞는 급수관이 설치된 습식 급이기의 교체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한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는 그 성장에 따른 체중이 커질수록 사료를 많이 먹게 되므로 사료를 공급하는 양돈용 급이기(Feeder)에는 공급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또한 사료는 분말로 되어 있으므로 사료를 섭취하는 중간 중간에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돼지의 식욕을 증진시킴으로써 발육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급수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양돈용 급이기는 사료만을 공급하는 건식 급이기와, 사료와 물을 동시에 공급하는 습식 급이기로 나눌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후자의 습식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급이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습식 급이기는, 사료가 투입되는 주입구 (12)가 상부에 형성된 원추형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14)과, 상기 호퍼(10)의 하부 외주에 고정 설치되는 원형 급수관(20)과, 상기 원형 급수관(20)에 설치되는 다수의 급수노즐(22) 및, 상기 사료 배출관(14)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 급수관(20)에는 외부의 급수라인(40)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먹이통(30)의 외주에는 다수개의 칸막이대(31)가 절곡되어 급수노즐(22) 사이의 급수관(20)에 고정되어 있어 가축(돼지) 한 마리씩 상기 칸막이대(31) 사이에 주둥이를 넣고 물과 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급수노즐(22)은 실용신안공개 제1999-008033호(출원번호 : 제1998-022227호, 고안의 명칭 : 양돈용 급수기의 노즐)에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사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호퍼(10)의 내주면에는 지지대(5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51)는 호퍼(10) 외주의 조절핸들(52)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51) 중간의 브라켓(53)에는 상기 지지대(51)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지지대(51)의 회전량에 의하여 승하강량이 조절되는 회전축(5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50)의 하단은 회전 디스크(미도시)의 중앙에 고정되고, 회전 디스크에는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다수개의 회전바(미도시)가 결합되어 돼지가 주둥이로 회전바를 회전시키면 회전축(50)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조절핸들(5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회전축 (50)의 승하강량이 조절됨에 따라 회전축과 연결된 회전 디스크와 배출관(14)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먹이통(30)으로 배출되는 사료의 양이 조절되며, 먹이통(30)의 칸막이대(31) 사이로 주둥이를 넣은 돼지가 회전바를 회전시킴으로써 사료가 배출됨에 따라 돼지가 이를 섭취하게 된다.
그리고, 돼지는 급수노즐(22)을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이를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습식 급이기는 사료와 물이 동시에 공급되므로 관리자의 편의를 도모하여 축사 관리의 효율성을 한층 높인 측면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습식 급이기는, 급수노즐(22)이 결합된 원형 급수관(20)이 호퍼(10)의 하부 외주에 고정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돼지의 성장에 따라 급수노즐(22)의 설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통상적으로 돼지는 무게가 대략 30㎏까지를 어린자돈이라 하고, 30~60㎏까지를 육성돈이라 하며, 60~120㎏까지를 비육돈이라 하여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축사나 농장에서는 각 돼지의 성장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부분 상기와 같이 구분된 돼지를 그룹으로 분리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어린자돈이 모인 울타리 내에는 어린자돈이 물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급수노즐이 낮은 높이에 위치한 습식 급이기가 설치되고, 육성돈인 경우에는 급수노즐이 어린자돈의 위치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한 습식 급이기가 설치되며, 비육돈인 경우에는 급수노즐이 육성돈의 위치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한 습식 급이기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습식 급이기는 돼지의 성장에 따라, 급수관을 떼어낸 후 그 높이를 맞춰 다시 고정시키거나 또는 급수관의 설치 위치가 다른 개개의 습식 급이기를 별도로 제작한 후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그로 인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린자돈에서 육성돈까지 하나의 습식 급이기를 통해 물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급수노즐이 결합된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를 호퍼의 하부에서 자유롭고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급수노즐의 설치 위치가 다른 개개의 습식 급이기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그로 인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는, 사료 주입구가 상부에 형성된 원추형 호퍼와, 이 호퍼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과, 호퍼의 하부 외주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라인이 연결되며 다수의 급수노즐을 갖는 원형 급수관과, 사료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 및, 먹이통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로 이루어진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칸막이대의 상단에는 호퍼 받침대가 고정되고, 호퍼 받침대에는 일측면에 다수의 홈을 갖는 제1 내지 제3 철편이 수평 고정되며, 원형 급수관에는 제1 철편의 홈에 삽입되는 이동봉과 제2 및 제3 철편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어, 이동봉의 동작 후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 위치 이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급수노즐이 결합된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를 호퍼의 하부에서 자유롭고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어린자돈에서 육성돈까지 하나의 습식 급이기를 통해 물을 쉽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이동봉은 손잡이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원형 급수관의 하단에 고정된 가이드의 안내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이동봉에는 스프링 및 멈춤링이 결합되어,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이동봉이 제1 철편의 홈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 위치 이동이 가능해지고,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봉이 제1 철편의 홈에 삽입되어 원형 급수관의 잠금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 철편에 형성된 홈은 반시계방향 개방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및 제3 철편에 형성된 홈들은 시계방향 개방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이동봉 및 고정봉이 해당 철편의 홈에 삽입되어 원형 급수관을 고정시킬 때 원형 급수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의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는, 사료 주입구가 상부에 형성된 원추형 호퍼와, 호퍼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과, 호퍼의 하부 외주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라인이 연결되며 다수의 급수노즐을 갖는 원형 급수관과, 사료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 및, 먹이통의 외 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로 이루어진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칸막이대의 상단에는 호퍼 받침대가 고정되고, 호퍼 받침대에는 정면에 다수의 홈을 갖는 제1 내지 제3 철편이 수직 고정되며, 원형 급수관에는 제1 내지 제3 철편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수평돌기가 고정되어, 원형 급수관의 회전으로 수평돌기를 해당 철편의 홈으로부터 삽입시키거나 또는 이탈시킴으로써,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 위치 이동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수평돌기 일측에는 고정돌기가 밀착 고정되고, 수평돌기의 타측에는 이동봉이 밀착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철편을 중앙에 두고 철편의 좌측에는 이동봉이 위치되도록 하고, 철편의 우측에는 고정돌기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원형 급수관의 이탈 및 임의 회전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이동봉은 손잡이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원형 급수관의 하단에 고정된 가이드의 안내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이동봉에는 스프링 및 멈춤링이 결합되어,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이동봉이 이동되고, 이로 인해 철편과의 간섭이 배제됨에 따라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 위치 이동이 가능해지고,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봉이 철편의 좌측면에 위치하여 걸림작용을 수행함에 따라 원형 급수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호퍼 받침대의 내측으로는, 말단이 사료 배출관의 외측면에 고정된 다수의 원추형 호퍼 지지대가 더 고정되어, 원추형 호퍼의 지지력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제1 내지 제3 철편의 하단은 각각 연결봉을 통해 원추형 호퍼 지지대에 고정시켜 철편들의 고정력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호퍼 하부의 호퍼 지지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호퍼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급수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습식 급이기에 개량 설치되는 것으로, 사료 주입구(12)가 상부에 형성된 원추형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 료 배출관(14)과, 상기 호퍼(10)의 하부 외주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라인(40)이 연결되는 원형 급수관(20)과, 상기 원형 급수관(20)에 설치되는 다수의 급수노즐(22)과, 상기 사료 배출관(14)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30) 및, 상기 먹이통(30)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31)로 이루어진 종래의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대(31)의 상단에는 원형의 호퍼 받침대(100)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호퍼 받침대(100)의 내측으로는 하부가 절곡 형성되어 사료 배출관(14)의 외측면에 용접 고정된 3개의 지지대(15)가 일정 간격을 갖고 용접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대(15)와 호퍼 받침대(100)의 결합부 사이에는 상·중·하단의 일정 간격 홈(120a, 130a, 140a)을 갖는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의 하단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연결봉(112)을 통해 상기 지지대(15)에 용접 고정시켜 고정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철편 중 제1 철편(120)에 형성된 홈(120a)은 제2 및 제3 철편(130, 140)에 형성된 홈(130a, 140a)과는 반대방향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즉, 외측에서 철편을 중앙에 두고 바라보았을 때 제2 및 제3 철편(130, 140)에 형성된 홈(130a, 140a)은 해당 철편의 좌측 방향에 위치해 있는 반면에, 제1 철편(120)에 형성된 홈(120a)은 우측 방향에 위치해 있다. 이의 이유는 원형 급수관(20)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작용효과 기재에서 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급수관(20)의 하단에는, 제1 철편(120)의 홈(120a)에 삽입되는 이동봉(20a)과 제2 및 제3 철편(130, 140)의 홈(130a, 140a)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봉(20b, 20c)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봉(20b, 20c)들은 원형 급수관(20)의 하단에서 용접 고정되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동봉(20a)은 양측에 다리 형태의 돌출편(72)이 형성된 손잡이(70)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원형 급수관(20)의 하단에 용접 고정된 "└┘"형 단면 형상을 갖는 가이드(80)의 안내공(82)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80)의 내측에서 이동봉(20a)에는 스프링(90)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80)로부터 스프링(90) 및 이동봉(20a)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링(92)이 상기 이동봉(20a)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70)를 잡아 당기면 이동봉(20a)이 가이드(80)의 안내공(82)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되고, 멈춤링(92)에 의하여 스프링(90)이 압축된다. 그리고 반대로 상기 손잡이(70)를 놓으면 상기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봉(20a)이 가이드(80)의 안내공(8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고정봉(20b, 20c)들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도 2와 도 5 및 도 6과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양돈용 습식 급이기는 종래와 동일하게 사료 배출관(14)을 통해 돼지에게 사료를 공급하고, 원형 급수관(20)의 급수노즐(22)을 통해 물을 공급하여 돼지를 사육하되, 어린자돈의 경우 크기가 작으므로 급수노즐(22)의 높이가 낮은 곳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도 2와 도 6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의 최하단에 위치한 홈에 원형 급수관(20)의 이동봉(20a)과 고정봉(20b, 20c)을 각각 삽입시켜 상기 원형 급수관(20)이 낮은 곳에 위치해 있도록 한다. 즉, 제1 철편(120)의 최하단 홈에는 이동봉(20a)이 삽입되고, 제2 및 제3 철편(130, 140)의 최하단 홈에는 고정봉(20b, 20c)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원형 급수관(20)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어린자돈이 성장하여 육성돈이 되었을 경우, 급수노즐(22)의 높이가 상기 어린자돈 때 보다는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봉(20a)이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70)를 잡아 당겨 스프링(90)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이동봉(20a)을 제1 철편(120)의 최하단 홈으로부터 빼낸 후, 상기 손잡이(70)를 돌려 다리 형태의 돌출편(72)이 가이드(80)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원형 급수관(20)을 두 손으로 잡고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제2 및 제3 철편(130, 140)의 시계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최하단 홈으로부터 고정봉(20b, 20c)들을 빼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의 최하단에 위치한 홈에서 원형 급수관(20)의 이동봉(20a)과 고정봉(20b, 20c)들이 모두 빠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원형 급수관(20)을 상부 및 하부로 자유롭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에 원형 급수관(20)의 유입구(23)(도 5에 도시) 측에 체결된 급수라인(40)(도 2에 도시)은 플렉시블 호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원형 급수관(20)의 상부 및 하부 위치 이동이 자유롭게 되면 원형 급수관(20)을 위로 이동시키고, 고정봉(20b, 20c)들을 제2 및 제3 철편(130, 140)의 중앙 홈에 삽입시킨다.
이어서, 이동봉(20a)이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70)를 원위치 회전시킨 후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봉(20a)이 제1 철편(120)의 중앙 홈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원형 급수관(20)은 육성돈이 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육성돈이 성장하여 비육돈이 되었을 경우, 급수노즐(22)의 높이가 상기 육성돈 때 보다는 더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이 때에도 마찬가지로 손잡이(70)를 잡아 당겨 이동봉(20a)을 제1 철편(120)의 중앙 홈으로부터 빼내고, 제2 및 제3 철편(130, 140)의 중앙 홈으로부터 고정봉(20b, 20c)들을 빼내며, 이어 상단의 홈에 고정봉(20b, 20c) 및 이동봉(20a)을 삽입시켜 원형 급수관(20)을 비육돈이 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곳에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철편(130, 140)에 형성된 홈(130a, 140a)들은 시계방향 개방부를 가지며, 반대로 제1 철편(120)에 형성된 홈(120a)은 반시계방향 개방부를 가짐에 따라, 원형 급수관(20)의 고정 시 상기 원형 급수관(20)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즉, 원형 급수관(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 이동봉(20a)이 제1 철편(120)의 홈(120a) 폐쇄면에 맞닿아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고정봉(20b, 20c)들이 제2 및 제3 철편(130, 140)의 홈(130a, 140a) 폐쇄면에 맞닿아 그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는 돼지가 성장하여 육성돈 또는 비육돈이 되었을 경우 주둥이의 힘이 커져, 물을 섭취할 때 급수노즐(22)을 물고 움직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원형 급수관(20)의 회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원형 급수관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호퍼 하부의 호퍼 지지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호퍼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급수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는, 위 기재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제2 철편 미도시)의 고정 방향 및 원형 급수관(20)의 구성에서 약간의 차이를 갖는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칸막이대(31)의 상단에는 원형의 호퍼 받침대(100)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호퍼 받침대(100)의 내측으로는 하부가 절곡 형성되어 사료 배출관(14)의 외측면에 용접 고정된 3개의 지지대(15)가 일정 간격을 갖고 용접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대(15)와 호퍼 받침대(100)의 결합부 사이에는 상·중·하단의 일정 간격 홈(120a, 130a, 140a)을 갖는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은 일실시예와 다르게 고정된다. 즉, 일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이 각각 호퍼 받침대(100)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뉘여서 폭이 넓은 부분이 용접 고정되는 반면에, 다른 실시예에서는 호퍼 받침대(100)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폭이 좁은 부분이 용접 고정되고, 상기 홈(120a, 130a, 140a)(130a는 미도시)들은 해당 철편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 하단의 폭이 좁은 부분은 각각 연결봉(112)을 통해 상기 지지대(15)에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 원형 급수관(20)의 내측면에는,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의 홈(120a, 130a, 140a)에 각각 삽입되는 수평돌기(20d, 20e, 20f)가 일정 간격으로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어느 하나의 수평돌기(20d) 일측에는 고정돌기(20g)가 밀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돌기(20d)의 타측에는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이동봉(20a)이 밀착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20g) 및 이동봉(20a)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하나의 철편(120)을 중앙에 두고, 철편의 좌측에는 이동봉(20a)이 위치되고, 철편의 우측에는 고정돌기(20g)가 위치되어 원형 급수관(20)의 회전 이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봉(20a)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것임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린자돈의 경우 급수노즐(22)의 높이가 낮은 곳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철편(120, 130, 140)의 최하단에 위치한 홈에 원형 급수관(20)의 수평돌기(20d, 20e, 20f)(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를 각각 삽입시켜 상기 원형 급수관(20)이 낮은 곳에 위치해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어린자돈이 성장하여 육성돈이 되었을 경우, 급수노즐(22)의 높이가 상기 어린자돈 때 보다는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손잡이(70)를 잡아 당기면 스프링(90)(도 7a 및 도 7b 참조)이 압축되면서 상기 이동봉(20a)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원형 급수관(2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동봉(20a)과 제1 철편(120)과의 간섭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70)를 돌려 다리 형태의 돌출편(72)이 가이드(80)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돌출되도록 한다.(도 7a 및 도 7b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원형 급수관(20)을 두 손으로 잡고 반시 계방향으로 돌려서, 최하단 홈으로부터 수평돌기(20d, 20e, 20f)(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들을 빼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원형 급수관(20)을 상부 및 하부로 자유롭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형 급수관(20)의 상부 및 하부 위치 이동이 자유롭게 되면 원형 급수관(20)을 위로 이동시킨 후 수평돌기(20d, 20e, 20f)들을 해당 철편의 중앙 홈에 삽입시킨다.
이때 수평돌기(20d)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돌기(20g)는 어느 하나의 철편(120)(도면에서는 제1 철편으로 도시) 좌측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동봉(20a)이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70)를 원위치 회전시킨 후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봉(20a)이 제1 철편(120)의 좌측에 밀착되며, 상기 제1 철편(120)의 우측에는 고정돌기(20g)가 밀착되어, 상기 원형 급수관(20)의 임의 회전이 저지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원형 급수관(20)은 육성돈이 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육성돈이 성장하여 비육돈이 되었을 경우, 급수노즐(22)의 높이가 상기 육성돈 때 보다는 더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할 경우 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그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를 통하여, 급수노즐이 결합된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를 호퍼의 하부에서 자유롭고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어린자돈에서 육성돈까지 하나의 습식 급이기를 통해 물을 쉽게 공급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급수노즐의 설치 위치가 다른 개개의 습식 급이기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그로 인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사료 주입구가 상부에 형성된 원추형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과, 상기 호퍼의 하부 외주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라인이 연결되며 다수의 급수노즐을 갖는 원형 급수관과, 상기 사료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 및, 상기 먹이통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로 이루어진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대의 상단에는 호퍼 받침대가 고정되고, 상기 호퍼 받침대에는 일측면에 다수의 홈을 갖는 제1 내지 제3 철편이 수평 고정되며, 상기 원형 급수관에는 제1 철편의 홈에 삽입되는 이동봉과 제2 및 제3 철편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봉의 동작 후 상기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 위치 이동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봉은 손잡이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원형 급수관의 하단에 고정된 가이드의 안내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이동봉에는 스프링 및 멈춤링이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이동봉이 상기 제1 철편의 홈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 위치 이동이 가능해지고, 상기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봉이 상기 제1 철편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원형 급수관의 잠금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철편에 형성된 홈은 반시계방향 개방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및 제3 철편에 형성된 홈들은 시계방향 개방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봉 및 고정봉이 해당 철편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원형 급수관을 고정시킬 때 상기 원형 급수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4. 사료 주입구가 상부에 형성된 원추형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과, 상기 호퍼의 하부 외주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라인이 연결되며 다수의 급수노즐을 갖는 원형 급수관과, 상기 사료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 및, 상기 먹이통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로 이루어진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대의 상단에는 호퍼 받침대가 고정되고, 상기 호퍼 받침대에는 정면에 다수의 홈을 갖는 제1 내지 제3 철편이 수직 고정되며, 상기 원형 급수관에는 제1 내지 제3 철편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수평돌기가 고정되어, 상기 원형 급수관의 회전으로 상기 수평돌기를 해당 철편의 홈으로부터 삽입시키거나 또는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원형 급수관의 높낮이 위치 이동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수평돌기 일측에는 고정돌기가 밀착 고정되고, 상기 수평돌기의 타측에는 이동봉이 밀착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철편을 중앙에 두고 상기 철편의 좌측에는 이동봉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철편의 우측에는 고정돌기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형 급수관의 이탈 및 임의 회전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봉은 손잡이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원형 급수관의 하단에 고정된 가이드의 안내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이동봉에는 스프링 및 멈춤링이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이동봉이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봉이 원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받침대의 내측으로는, 말단이 상기 사료 배출관의 외측면에 고정된 다수의 원추형 호퍼 지지대가 더 고정되어, 상기 원추형 호퍼의 지지력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철편의 하단은 각각 연결봉을 통해 상기 원추형 호퍼 지지대에 고정시켜 상기 철편들의 고정력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KR1020050088590A 2005-09-23 2005-09-23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KR20070034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590A KR20070034195A (ko) 2005-09-23 2005-09-23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590A KR20070034195A (ko) 2005-09-23 2005-09-23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195A true KR20070034195A (ko) 2007-03-28

Family

ID=4929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590A KR20070034195A (ko) 2005-09-23 2005-09-23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41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19Y1 (ko) * 2007-11-01 2010-04-09 이창현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KR101285532B1 (ko) * 2013-01-14 2013-07-17 박종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양돈용 워터컵
KR20160118681A (ko) *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연합축산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19Y1 (ko) * 2007-11-01 2010-04-09 이창현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KR101285532B1 (ko) * 2013-01-14 2013-07-17 박종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양돈용 워터컵
KR20160118681A (ko) *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연합축산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44490B2 (ko)
US10334818B2 (en) Rotary livestock feeder with gravity flow feed openings
KR200448419Y1 (ko)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KR200419952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0458484Y1 (ko) 축사용 양계급이기
US4947798A (en) Feed pan for pigs and piglets
CN206481791U (zh) 一种智能食料喂料器
KR200422989Y1 (ko)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US20170258053A1 (en) Poultry feeder
KR101171242B1 (ko) 가금류 사료통의 사료공급량 조절장치
KR101567284B1 (ko) 중량센서를 이용하는 사료량 측정장치
KR20070034195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관 높이조절장치
KR101308893B1 (ko) 축사용 환풍기
KR20060084427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0484080Y1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0369245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130061328A (ko) 급이기의 호퍼구조
KR200360400Y1 (ko) 축사용 양계급이기
BR112020026210A2 (pt) dispensador de ração
CN202269272U (zh) 笼养鸽自动喂料装置
KR200441221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CN106572648A (zh) 具有重力流式饲料开口的旋转式牲畜饲喂器
KR101096373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KR200402521Y1 (ko) 말뚝장치
KR101573265B1 (ko)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