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373B1 -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 Google Patents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373B1
KR101096373B1 KR1020090039326A KR20090039326A KR101096373B1 KR 101096373 B1 KR101096373 B1 KR 101096373B1 KR 1020090039326 A KR1020090039326 A KR 1020090039326A KR 20090039326 A KR20090039326 A KR 20090039326A KR 101096373 B1 KR101096373 B1 KR 10109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ecklace frame
clamp
control ro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488A (ko
Inventor
전형철
Original Assignee
전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열 filed Critical 전형열
Priority to KR102009003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37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by means of grids with or without movable lock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10Feed racks
    • A01K1/105Movable feed barriers, slides or fe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또는 건초등과 같은 먹이를 먹을때 소 머리의 활동반경을 제한하여 다른 소의 사료통에 침범하지 못하도록 소의 목을 잡아주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가 사료통의 먹이를 먹기 위해 머리를 숙일때 세워지는 회동봉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제어봉에 설치되는 우사용 목걸이틀 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목걸이틀을 구획하는 지지대의 체결수단을 개선하여 나란하게 배하여지는 목걸이틀의 배열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가로대(10)와 하단가로대(20)의 사이에 다수개의 지지대(3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0)와 지지대(30)의 사이에 상부가 일정각도 우측으로 기울어진 지지봉(31)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31)의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편(32)의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동봉(40)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회동봉은 우사용 목걸이틀에 의해 수직 또는 기울어짐이 선택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있어서, 상기 상단가로대(10)와 하단가로대(20) 사이로 위치하는 지지대(30)의 분리조립이 가능하도록 균등하게 양분 형성된 클램프에 의해 조립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대(30)의 하단부는 T형클램프(130)에 의해 조립되어지고, 상단부는 잠금구(110)가 설치되어 있는 제어봉(5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어봉설치홀더(143)를 포함하는 T형투인클램프(140)에 의해 조립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지지대, 지지봉, T형클램프, T형투인클램프, 제어봉설치홀더, 우사용 목걸이틀, 잠금구

Description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Structure Lock device of necklace frame for cowshed}
본 발명은 사료 또는 건초등과 같은 먹이를 먹을때 소 머리의 활동반경을 제한하여 다른 소의 사료통에 침범하지 못하도록 소의 목을 잡아주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가 사료통의 먹이를 먹기 위해 머리를 숙일때 세워지는 회동봉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제어봉에 설치되는 우사용 목걸이틀 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목걸이틀을 구획하는 지지대의 체결수단을 개선하여 나란하게 배하여지는 목걸이틀의 배열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사는 금속재의 파이프로 구성된 울타리가 쳐져 있고, 소들이 기거하는 활동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공간의 일측 외부에는 소에 먹이를 먹이는 사료통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사료통의 전방에는 소가 사료통의 먹이를 먹는 동안에 서로 다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모든 소에게 안정적이면서 고른 먹이 급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상단가로대와 하단가로대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세워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 지지대와 지지대의 사이에 결합되고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기울어진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힌지축이 구비된 결합편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직 또는 기울어지게 회동하며 상부에 규제부재가 구비된 회동봉과, 상기 상단가로대의 상측에 설치고정구를 매개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봉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규제부재를 제어하는 잠금구가 설치되어 있는 제어봉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회동봉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되고, 소의 머리가 1자형 사이에 걸려 머리를 빼지 못하게 되므로서, 소들이 사료를 먹는 도중 다른 소의 사료통을 침범하지 못하게 되고, 일정한 위치에서 자기의 먹이만을 먹게 되는 것이다.
소가 먹이를 먹을 때 소의 목부분을 자동으로 고정시켜 다른 소의 사료통에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여 모든 소가 고른 먹이 급식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고른 발육을 도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소들 중 활동을 제한시켜야 하는 대상의 소에 대한 활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도 이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소의 머리가 걸려 빠지지 않도록 역활을 하는 회동봉은 지지대에 대하여 수직으로 나란하게 세워져 상기 회동봉의 상부에 형성된 규재부재의 스토퍼가 제어봉의 잠금구에 잠겨 수직하는 상태로 유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회동봉이 회전하면서 상부 의 규제부재에 설치된 스토퍼가 제어봉의 잠금구에 잠길때 부드럽게 진행하면서 잠겨지는 구조가 아니라 덜커덩하면서 체결되어지는 것이어서 소음이 발생하고, 소가 먹이를 먹으면서 목걸이틀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잠금구로부터 회동봉의 규제부재를 구성하는 스토퍼가 쉽게 이탈되어지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회동봉의 고정이 쉽게 해정되어 짐으로써, 해정된 회동봉의 하단부가 소의 목을 누르는 결과를 초래하여 소가 먹이를 먹을 때 불편함을 격을 수 밖에 없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종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상,하 가로대 사이로 설치되는 지지대가 용접에 의해 설치되어지는 것이어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용접부위에서 파손이 쉽게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유지보수를 자주 수행해야 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또 다른 단점으로는 용접을 통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이 형성되어 짐으로써, 목걸이틀의 자유로운 간격 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접에 의해 목걸이틀이 형성되어 짐으로써, 축사 이전시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고철로 폐기처분해야 하는 자원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어봉에 설치되어진 잠금구의 고정홈에 회동봉 상부로 형성된 규제부재의 스토퍼가 진입될 때 유동 없이 부드럽게 진입되어져 회동봉 잠금시 발생하는 작동 소음을 해소 함과 더불어 자동 목걸이틀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어봉의 잠금구로부터 회동봉의 규제부재를 형성하는 스토퍼가 쉽게 벗어나지 아니하고 안정되게 잠김 유지되어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편하여 생산에 따른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사용 목걸이틀 조립 작업이 간편하여 설치에 따른 노동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잠금구에 회동봉의 스토퍼가 고정되어지는 정지환홈을 더 형성하여 소의 활동을 일정기간 자제시켜야 할 대상의 소 머리가 빠지지 않도록 하여 활동자제 대상의 소의 관리를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을 형성하는 상,하가로대의 사이로 설치되는 지지대 및 회동봉이 힌지 설치되어지는 지지봉을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 형성함으로써,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함께 시공에 따른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목걸이틀의 간격 조절이 자유로워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사 이전시에는 손상 없이 분리해 내어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가로대(10)와 하단가로대(20)의 사이에 다수개의 지지대(3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0)와 지지대(30)의 사이에 상부가 일정각도 우측으로 기울어진 지지봉(31)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31)의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편(32)의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동봉(40)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회동봉은 우사용 목걸이틀에 의해 수직 또는 기울어짐이 선택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있어서,
상기 상단가로대(10)와 하단가로대(20) 사이로 위치하는 지지대(30)가 균등하게 양분 형성되어 양쪽에서 합체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클램프에 의해 조립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대(30)의 하단부는 걸쇠편(133a)이 걸쇠홈(133b)에 걸림 체결되어 걸림체결되어진 부위를 기점으로 경첩식 회전되어지는 T형클램프(130)에 의해 조립되어지고, 상단부는 잠금구(110)가 설치되어 있는 제어봉(5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어봉설치홀더(143)를 포함하는 T형투인클램프(140)에 의해 조립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는
첫째, 제어봉(50)에 설치되어진 잠금구(110)의 고정홈(112)에 회동봉(40) 상부로 형성된 규제부재(122)의 스토퍼(123)가 진입될 때 유동 없이 부드럽게 진입되어져 회동봉(40) 잠금시 발생하는 작동 소음을 해소 함과 더불어 자동 목걸이틀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어봉(50)의 잠금구(110)로부터 회동봉(40)의 규제부재(122)를 형성하는 스토퍼(120)가 쉽게 벗어나지 아니하고 안정되게 잠김 유지되어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편하여 생산에 따른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사용 목걸이틀 조립 작업이 간편하여 설치에 따른 노동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둘째, 잠금구(110)에 회동봉(40)의 스토퍼(120)가 고정되어지는 정지환 홈(115)을 더 형성하여 소의 활동을 일정기간 자제시켜야 할 대상의 소 머리가 빠지지 않도록 하여 활동자제 대상의 소의 관리를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셋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100)을 형성하는 상,하가로대(10),(20)의 사이로 설치되는 지지대(30) 및 회동봉(40)이 힌지 설치되어지는 지지봉(31)을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 형성함으로써,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100)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함께 시공에 따른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목걸이틀의 간격 조절이 자유로워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사 이전시에는 손상 없이 분리해 내어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넷째, 잠금구(110)에 회동봉(40)의 스토퍼(120)가 고정되어지는 정지환홈(115)을 더 형성하여 소의 활동을 일정기간 자제시켜야 할 대상의 소 머리가 빠지지 않도록 하여 활동자제 대상의 소의 관리를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는 상단가로대(10)와 하단가로대(20)의 사이에 다수개의 지지대(30)가 등간격을 이루며 클램프에 의해 설치되어지되, 상기 지지대(30)의 상,하단은 T형클램프(130)와 T형튜인클램프(140)를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0)와 지지대(30) 의 사이에 상부가 일정각도 우측으로 기울어진 지지봉(31)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31)의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편(32)의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동봉(40)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회동봉(40)은 T형튜인클램프(140)의 제어봉설치홀더(143)를 매개로 설치되는 제어봉(50)에 설치된 우사용 목걸이틀(100)에 의해 수직 또는 기울어 짐이 선택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가로대(10)와 하단가로대(20)의 사이의 지지대(30)는 클램프를 매개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클램프는 T형클램프(130)와 T형투인클램프(140)로 대분된다.
상기 T형클램프(130)는 지지대(30)의 하단부를 조립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T형클램프(130)는 걸쇠편(133a)이 걸쇠홈(133b)에 걸림되어 체결되어서 하단가로대(20)를 파지는 하단가로대파지관부(131)와, 상기 하단가로대파지관부(131)로부터 직각되는 방향으로 수직 형성되어서 지지대(30)의 하단부를 파지하는 지지대하단파지관부(132)가 볼트설치구멍(132a)을 갖고 있다.
상기 T형투인클램프(140)는 상단가로대(10)를 파지하는 상단가로대파지관부(141)와, 상기 상단가로대파지관부(141)로부터 직각되는 방향으로 수직 형성되어서 지지대(30)의 상단부를 파지하는 지지대상단파지관부(142)가 볼트설치구멍(142a)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상단파지관부(142) 반대편에 볼트설치구멍(144a)을 포함하는 연장편(144)을 매개로 제어봉설치홀더(143)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T형클램프(130)와, T형투인클램프(140)에 의해 상,하단이 하단가로 대(20)와 상단가로대(10)에 고정되어진 지지대(30)의 사이에는 회동봉(40)이 힌지 설치되는 지지봉(31)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지지봉(31)은 지지대(30)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상단이 용접 설치되어지고, 하단은 T형클램프(130)에 의해 고정되어진다.
상기 회동봉(40)은, 상단에 제어봉(50)의 잠금구(110)에 규제되어지는 스토퍼(120)를 구비하는 규제부재(1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 설치되어진 회동봉(40)은 T형투인클램프(140)를 매개로 설치되어진 제어봉(50)의 잠금구(110)에 의해 수직 또는 기울어짐이 선택되어 진다.
상기 잠금구(110)는 제어봉(50)에 관통 설치가 가능하도록 설치공(118)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외주면의 형상이 1/2에 해당하는 부위만큼만 경사면(111)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경사면(111)이 끝나는 지점에 회동봉(40)의 규제부재(122)의 스토퍼(120)가 위치하여지는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112)의 일측 격벽을 이루는 환형판벽(113)에 대하여 또 다른 환형판벽(114)이 이웃하게 형성되어 소들 중 활동을 일정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제한해야 하는 대상의 소 머리가 빠지지 않도록 회동봉(40)의 스토퍼(120) 해정을 차단하여 회동봉(40)이 수직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하는 정지환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지환홈(115)에 이웃하는 타단에는 제어봉(50)에 대하여 고정 설치가 가능하도록 고정볼트설치공(1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잠금구(110)의 고정홈(112)과 정지환홈(115)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지 는 스토퍼(120)는, 잠금구(110)의 고정홈(112)과 정지환홈(115)에 삽입 고정이 가능한 폭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규제부재(122)에 형성된 슬롯홀(123)을 따라 안내되어지는 양단과 이웃하는 지점에 이탈방지돌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잠금구(110)의 고정홈(112)은 그 바닥이 커팅되어 스토퍼안착면(117)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원 발명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기존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되, 상,하단가로대(10)(20)에 대하여 상,하단이 고정설치되어지는 지지대(30)가 T형클램프(130)와 T형투인클램프(140)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진다.
상기 T형클램프(130)를 이용하여 지지대(30)의 하단부를 고정 설치할 때에는 균등하게 양분 형성된 T형클램프(130)를 구성하는 하단가로대파지관부(131)의 걸이편(133a)을 걸이홈(133b)에 걸은 상태에서 지지대하단파지관부(132)를 벌려 상기 지지대하단파지관부(132)를 통해 하단가로대(10)를 상기의 하단가로대파지관부(131)에 위치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지지대하단파지관부(132)를 오므린후, 지지대(30)의 하단을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의 지지대하단파지관부(132)에 위치하는 지지대(30)의 하단에는 볼트설치구멍(132a)과 도통하는 구멍(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음)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설치구멍(132a)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134)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관통 설치된 고정볼트(134)에는 너트(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조립하므로써, T형클램프(130) 를 이용한 지지대(30)의 하단 고정이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T형클램프(130)에 의해 하단가로대(20)에 고정되어진 지지대(30)의 상단부는 T형투인클램프(140)에 의해 상단가로대(10)에 고정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지지대(30)의 상단부를 상단가로대(10)에 고정할 때에는 균등하게 양분 형성된 T형투인클램프(130)를 구성하는 상단가로대파지관부(141)를 상단가로대(10)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대상단파지부(142)는 지지대(30)의 상단에 위치하도로 하며, 상기 상부가로대파지관부(141)에 대하여 연장편(144)을 매개로 형성되어진 제어봉설치홀더(143)에는 제어봉(50)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의 지지대상단파지관부(142)의 볼트설치구멍(142a)에 고정볼트(145)를 끼우고, 연장편(144)의 볼트설치구멍(144a)에는 고정볼트(146)를 끼워 조립 고정하게 된다.
상기 T형투인클램프(140)의 제어봉설치홀더(143)에 설치되어지는 제어봉(50)에는 제어봉(50) 상에 잠금구(110)가 등간격을 이루며 설치되어 진다.
상기 잠금구(110)는 관통 형성된 설치공(118)을 이용하여 제어봉(50)에 끼운다.
상기와 같이 끼워지는 잠금구(110)는 회동봉(40)이 수직하게 세워졌을 때 상부의 규제부재(122)에 설치된 스토퍼(120)가 고정홈(112)에 위치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 시킨 다음, 고정볼트설치공(116)에 고정볼트(150)를 끼워 제어봉(50)에 고정 시킨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T형클램프(130)와, T형투인클램프(140)를 매개로 조립형성되어진 우사용 목걸이틀(100)은, 평상시에는 도1내지 도2에서와 같은 회동 봉(40)이 누워져 열려진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회동봉(40)이 누워져 있을 때의 제어봉(50)에 설치된 잠금구(110)는 경사면(111)이 윗쪽을 향하여 있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소들에게 먹이를 먹이기 위해서 사료통(도시하지않았음)에 먹이를 넣게 되면, 소들이 사료통의 먹이를 먹기위해 머리를 목걸이틀을 구성하는 지지대(30)와 지지봉(31)에서 결합편(32)이 회전되어지도록 설치되어진 회동봉(40)의 사이를 머리를 밀어 넣어 사료통의 먹이를 먹게 된다.
소가 머리를 숙여 사료통의 먹이를 먹을 때 회동봉(40)의 아래쪽이 소의 목에 눌려 수직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회동봉(40)이 수직하는 상태가 될 때 상부의 규제부재(122) 슬롯홀(123)에서 양단이 슬라이드되게 설치되어진 스토퍼(120)가 잠금구(110)의 경사면(111)을 따라 올라서게 되고, 상기 경사면(111)을 완전하게 벗어나면, 자중에 의해 고정홈(112)으로 삽입 위치하여 회동봉(40)이 수직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목걸이틀이 닫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100)에 의해 회동봉(40)이 수직한 상태로 유지되어 목걸이틀이 닫혀진 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소들이 사료통의 먹이를 먹는 동안에 서로 다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소에게 안정적이면서 고른 먹이 급식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소들이 사료통의 먹이를 전부 섭취하고 난후에는 관리자가 제어봉(50)을 회전시켜 잠금구(110)의 경사면(111)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111)이 아래쪽으로 향하였을 때 회동봉(40)의 상부 규제부재(122)의 슬롯홀(123)에서 슬라이드되는 스토퍼(120)가 고정홈(112)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고정홈(112)으로부터 스토퍼(120)가 벗어난 회동봉(40)은 자중에 의해 상부가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회동봉(40)의 스토퍼(120)가 잠금구(110)의 고정홈(112)으로 벗어날 수 있는 것은 경사면(111)의 반대쪽은 단순한 봉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회동봉(40)의 스토퍼(120)가 잠금구(110)의 고정홈(112)으로부터 기울어짐으로써 지지대(30)와 회동봉(40)의 상부에 소의 머리가 빠질 수 있는 통로가 도1 내지 도2에서와 같이 확보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7은 환형판벽(113)과 환형판벽(114) 사이로 형성되어진 정지환홈(115)에 회동봉(40)의 스토퍼(120)를 위치시켜 일정기간 동안 활동을 제안해야 하는 대상의 소를 목걸이틀을 이용하여 활동을 제안하게 된다.
상기 정지환홈(115)에는 회동봉(40)의 스토퍼(120)를 관리자가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120)가 위치한 정지환홈(115)은 원호를 이루며 형성된 것이어서, 제어봉(50)을 회전시켜 고정홈(112)에 위치한 스토퍼(120)를 해정시킬 때에도 정지환홈(115)에 스토퍼(112)가 위치하여진 회동봉(40)은 기울어지지 아니하고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여 목걸이틀이 닫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용되어지는 우사용 목걸이틀(100)은 한곳의 우사에 시공 사용하다가 이전이 필요할 시에는 T형클램프(130)와 T형투인클램프(140)를 매개로 조립 형성되어진 우사용 목걸이틀(100)의 상,하단가로대(10)(20)와, 지지대(30) 및 회동봉(40), 제어봉(50)을 손상없이 분리하여 이전장소에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의 우사용 목걸이틀(100)의 부품들을 T형클램프(130)와 T형투인클램프(140)에 의해 고정 형성함으로써, 사욕되는 소의 크기에 따라 목걸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정면 구성도로써, 소가 먹이를 먹기 이전으로 회동봉이 기울여져 열려 있는 상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가 적용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부분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연결 조립하는 클램프중 T형클램프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연결 조립하는 클램프중 T형투인클램프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을 구성하는 잠금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가 적용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을 구성하는 회동봉이 스토퍼가 잠금구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수직하게 세워져 닫힌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가 적용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을 구성하는 회동봉중 어느 하나의 스토퍼가 잠금구의 정지환홈에 삽입되어 회동봉의 해정이 차단되어진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단가로대 20 : 하단가로대
30 : 지지대 31 : 지지봉
32 : 결합편 33 : 회전축
100 : 우사용 목걸이틀 110 : 잠금구
111 : 경사면 112 : 고정홈
113,114 : 환형판벽 115 : 정지환홈
116 : 고정볼트설치공 117 : 스토퍼안착면
118 : 설치공 120 스토퍼
121 : 이탈방지돌부 122 : 규제부재
123 : 슬롯홀 130 : T형클램프
131 : 하부가로대파지관부 132 : 지지대하단파지관부
140 : T형투인클램프 141 : 상부가로대파지관부
142 : 지지대상단파지관부 143 : 제어봉설치홀더
144 : 연장편

Claims (4)

  1. 상단가로대(10)와 하단가로대(20)의 사이에 다수개의 지지대(3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0)와 지지대(30)의 사이에 상부가 일정각도 우측으로 기울어진 지지봉(31)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31)의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편(32)의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동봉(40)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회동봉은 우사용 목걸이틀에 의해 수직 또는 기울어짐이 선택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있어서,
    상기 상단가로대(10)와 하단가로대(20) 사이로 위치하는 지지대(30)가 균등하게 양분 형성되어 양쪽에서 합체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클램프에 의해 조립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대(30)의 하단부는 걸쇠편(133a)이 걸쇠홈(133b)에 걸림 체결되어 걸림체결되어진 부위를 기점으로 경첩식 회전되어지는 T형클램프(130)에 의해 조립되어지고, 상단부는 잠금구(110)가 설치되어 있는 제어봉(5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어봉설치홀더(143)를 포함하는 T형투인클램프(140)에 의해 조립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형클램프(130)는, 걸쇠편(133a)이 걸쇠홈(133b)에 걸림되어 체결되어서 하단가로대(20)를 잡아주는 하단가로대파지관부(131)와, 상기 하단가로대파지관부(131)로부터 직각되는 방향으로 수직 형성되어서 지지대(30)의 하단부를 파지하는 지지대하단파지관부(132)가 볼트설치구멍(132a)을 갖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형투인클램프(140)는, 상단가로대(10)를 파지하는 상단가로대파지관부(141)와, 상기 상단가로대파지관부(141)로부터 직각되는 방향으로 수직 형성되어서 지지대(30)의 상단부를 파지하는 지지대상단파지관부(142)가 볼트설치구멍(142a)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상단파지관부(142) 반대편에 볼트설치구멍(144a)을 포함하는 연장편(144)을 매개로 제어봉설치홀더(143)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110)는 제어봉(50)에 관통 설치가 가능하도록 설치공(118)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외주면의 형상이 1/2에 해당하는 부위만큼만 경사면(111)이 형성되어져 경사면(111)이 끝나는 지점에 회동봉(40)의 규제부재(122)의 스토퍼(120)가 위치하여지는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고정홈(112)의 일측 격벽을 이루는 환형판벽(113)에 대하여 이웃하는 환형판벽(114)에 의해 스토퍼(120)가 삽입 위치하는 정지환홈(115)이 형성되어 있고, 제어봉(50)에 대하여 고정 설치가 가능하도록 고정볼트설치공(116)이 타측단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KR1020090039326A 2009-05-06 2009-05-06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KR10109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26A KR101096373B1 (ko) 2009-05-06 2009-05-06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26A KR101096373B1 (ko) 2009-05-06 2009-05-06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88A KR20100120488A (ko) 2010-11-16
KR101096373B1 true KR101096373B1 (ko) 2011-12-20

Family

ID=4340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326A KR101096373B1 (ko) 2009-05-06 2009-05-06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40B1 (ko) 2019-12-13 2020-06-01 신상식 축사용 스탄존 및 그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2143A (zh) * 2017-06-21 2017-10-13 李玉峰 一种奶牛养殖场可控制食槽护栏
KR102462557B1 (ko) * 2020-12-09 2022-11-01 김영철 우사용 목걸이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95Y1 (ko) 2004-02-28 2004-06-04 김석태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415368Y1 (ko) 2006-02-23 2006-05-02 고상열 소음방지구가 부착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0714411B1 (ko) * 2006-08-26 2007-05-04 최대식 조립식 가축용 목 고정펜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95Y1 (ko) 2004-02-28 2004-06-04 김석태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415368Y1 (ko) 2006-02-23 2006-05-02 고상열 소음방지구가 부착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0714411B1 (ko) * 2006-08-26 2007-05-04 최대식 조립식 가축용 목 고정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40B1 (ko) 2019-12-13 2020-06-01 신상식 축사용 스탄존 및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88A (ko)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373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US4930449A (en) Portable hay feeder
US6691644B1 (en) Support frame and pen accessory for animal shelter
US5309867A (en) Squirrel-proof bird feeder
KR20100091423A (ko) 축사용 목걸림틀의 자동 개폐장치
KR200442028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8720373B1 (en) Bale holder
US5195461A (en) Fenced dog feeder
KR200441221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1445132B1 (ko) 볏짚의 자동 급이장치
EP2120535B1 (en) A bail element for animal bail apparatus and an animal bail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bail elements
KR200465535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0937565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잠금장치
US3906902A (en) Haystack feeder apparatus for livestock
KR200158968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 틀
KR101794704B1 (ko) 급여기 고정구
KR200491551Y1 (ko) 안전성이 향상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 틀
KR100937566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잠금장치
KR200466135Y1 (ko) 축사용 건초 급이장치
GB1602111A (en) Apparatus for use in feeding animals
US4483274A (en) Adjustable feeding unit
KR100913565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자동안전장치
US9468193B2 (en) Livestock feed retention insert and method of use
KR20130005636U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110090470A (ko) 볏짚의 자동 급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