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35Y1 -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 Google Patents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35Y1
KR200465535Y1 KR2020090000580U KR20090000580U KR200465535Y1 KR 200465535 Y1 KR200465535 Y1 KR 200465535Y1 KR 2020090000580 U KR2020090000580 U KR 2020090000580U KR 20090000580 U KR20090000580 U KR 20090000580U KR 200465535 Y1 KR200465535 Y1 KR 200465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xed
elastic body
pair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552U (ko
Inventor
고상열
Original Assignee
고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상열 filed Critical 고상열
Priority to KR2020090000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3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2Neck-bars, e.g. neck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동봉의 작동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소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발육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품질의 소를 사육할 수 있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부가로대(10)(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들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봉(40), 고정봉(40)에 힌지축(H1)으로 연결되는 회동봉(50), 상부가로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어봉(60)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동봉(50)의 상부에 부착되어 그 사이로 상부가로대(10)가 끼워지는 한쌍의 작동편(100); 상기 작동편(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핀(200); 상기 고정핀(200)의 외면에 장착되는 소음방지용 탄성체(300); 상기 제어봉(60)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볼트(B),너트(N)체결로 고정되는 한쌍의 클램프(400); 상기 클램프(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채널형 고정구(500); 상기 고정구(5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힌지축(H2)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탄성체(300)의 이동을 단속하는 삼각걸림쇠(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회동봉, 탄성체, 삼각걸림쇠

Description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The framework for controling the cow in the cowshed}
본 고안은 사료 급식시 소의 목부분이 자동적으로 잠구어 지도록 하여 다른 소의 사료칸에 침범하지 못하게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회동봉의 작동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를 사육하는 우사는 금속재의 파이프로 구성된 울타리가 쳐져있고, 소들이 기거하는 활동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공간의 일측 외부에는 소에 먹이를 먹이는 사료통이 설치되어 있고 소가 사료통의 먹이를 먹는 동안에 서로 다투는 것을 방지하고, 모든 소에게 안정적인 급식을 하기 위하여 사료를 먹는 동안에 소를 서로 분리시켜 정위치에 있도록 하여 자기의 먹이만을 먹게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로대(1a)와 하부가로대(1b)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세워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2)와, 상기 각 지지대(2)와 지지대(2)의 사이에 결합되고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기울어진 고정 봉(3)과, 상기 고정봉(3)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힌지축(4a)이 구비된 결합편(4)과, 상기 힌지축(4a)을 중심으로 수직 또는 기울어지게 회동하며 그 상부에 설치부재(5a)가 구비된 회동봉(5)과, 상기 설치부재(5a)의 상부에 결합된 힌지축(6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걸림쇠(6)와, 상기 상부가로대(1a)의 상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안내구(7)와, 상기 안내구(7)를 관통하며 일측 끝단에 작업자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손잡이(8a)가 구비된 제어봉(8)과, 상기 제어봉(8)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동봉(5)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걸림쇠(6)의 끝단을 지지하여 걸림쇠(6)가 역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소가 사료를 먹을 때 소의 목부분을 자동으로 고정시켜 다른 소의 사료통에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여 모든 소를 균형 있게 발육시킬 수 있고, 또한 소의 이동을 규제시킬 때에 쉽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도 1에서와 같이 회동봉(5)의 작동 시 금속으로 이루어진 걸림쇠(6)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어봉(8)에 접촉된 상태에서 연동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금속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이때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하여 소가 스트레스를 받아 성장이 느리고 수명이 단축되며 소의 임신율이 저하되고 육질이 나빠지며 이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구조를 개선하여 회동봉의 작동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소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발육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품질의 소를 사육할 수 있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회동봉의 상부에 그 사이로 상부가로대가 끼워지는 한쌍의 작동편을 부착하고, 상기 작동편의 상부에 고정핀을 고정하되, 상기 고정핀의 외면에 소음방지용 탄성체를 장착하고, 제어봉의 상하부에 한쌍의 클램프를 장착하여 볼트,너트체결로 고정하고, 상기 클램프의 하부에 채널형 고정구를 부착하되, 상기 고정구에 상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걸림쇠를 설치하여 탄성체의 이동을 단속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구조적으로 회동봉의 작동 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소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발육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품질의 소를 사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도 2a 내지 도 7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부가로대(10)(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들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봉(40), 고정봉(40)에 힌지축(H1)으로 연결되는 회동봉(50), 상부가로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어봉(60)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동봉(50)의 상부에 부착되어 그 사이로 상부가로대(10)가 끼워지는 한쌍의 작동편(100); 상기 작동편(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핀(200); 상기 고정핀(200)의 외면에 장착되는 소음방지용 탄성체(300); 상기 제어봉(60)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볼트(B),너트(N)체결로 고정되는 한쌍의 클램프(400); 상기 클램프(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채널형 고정구(500); 상기 고정구(5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힌지축(H2)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탄성체(300)의 이동을 단속하는 삼각걸림쇠(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는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대(30)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된다. 이때, 상기 상부가로대(10)의 상부에는 제어봉(6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구(11)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상부가로대(10)에는 한쌍의 작동편(10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지지대(30)는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30)들의 일측에는 클립대(7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봉(40)은 지지대(30)들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봉(40)의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봉(40)의 중앙부에는 결합편(4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40)의 하부 적소에는, 즉 회동봉(50)과 부딪치는 부분에는 고무로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하는 소음방지구(80)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봉(50)은 고정봉(40)의 결합편(41)에 힌지축(H1)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동봉(50)은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수직 또는 기울어지게 회동한다. 이때, 상기 회동봉(40)의 상부에는 한쌍의 작동편(100)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봉(40)의 상부 적소에는, 즉 고정봉(40)과 부딪치는 부분에는 고무로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하는 소음방지구(8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봉(60)은 상부가로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봉(60)은 다수개의 지지구(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제어봉(60)에는 손잡이(6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봉(60)에는 한쌍의 클램프(400)가 장착된다.
상기 한쌍의 작동편(100)은 회동봉(50)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쌍의 작동편(100)은 상부가로대(10)에 좌우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진다. 이때, 상기 작동편(100)의 상부에는 고정핀(200)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핀(200)은 작동편(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핀(200)은 삼각걸림쇠(600)의 단속을 받는다. 이때, 상기 고정핀(200)은 회동봉(50)의 작동 시 작동편(100)과 일체로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200)의 외면에는, 즉 삼각걸림쇠(600)와 접촉되는 외면에는 고무로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300)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체(300)는 고정핀(200)의 외면에 장착되어 소음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탄성체(300)는 고무로 이루어져 삼각걸림쇠(600)와의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한쌍의 클램프(400)는 제어봉(60)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볼트(B),너트(N)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쌍의 클램프(400)는 도 6에서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외측에는 플랜지(410)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10)에는 볼트(B)가 끼워지는 다수의 볼트공(4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클램프(400)의 하부에는 고정구(500)가 부착된다.
상기 고정구(500)는 도 6에서와 같이 클램프(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구(500)는 한쌍의 측판과 상판이 일체로 형성된 채널형으로 형성되고, 고정구(500)의 측판 사이에는 삼각걸림쇠(6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500)의 상판은 삼각걸림쇠(60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단속한다.
상기 삼각걸림쇠(600)는 도 7a에서와 같이 고정구(500)에 끼워진 상태에서 평상 시 상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힌지축(H2)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삼각걸림쇠(600)는 탄성체(300)의 이동을 단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삼각걸림쇠(600)의 상부가 수평을 유지하려면 도 7a에서와 같이 힌지축(H2)이 삼각걸림쇠(600)의 정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 7b에서와 같이 삼각걸림쇠(600)는 정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도 7c에서와 같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삼각걸림쇠(600)의 첨단부(610)가 고정구(500)의 상판에 걸리므로 삼각걸림쇠(600)는 역방향으로는 회전이 단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 시 회동봉(50)은 힌지축(H1)을 중심으로 그 상부가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도 2a와 도 3a에서와 같이 회동봉(50)은 자중에 의해 고정봉(40)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가 먹이를 먹기 위해 회동봉(50)과 클립대(70) 사이로 머리를 넣고 아래로 숙이면 소의 목부분이 회동봉(50)의 하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회동봉(50)은 힌지축(H1)을 중심으로 도 2b와 도 3b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회전하면서 클립대(70)와 평행을 이루게 된다.
도 2b와 도 3b에서와 같이 회동봉(50)이 수직상태로 회전하면 이와 동시에 작동편(100)이 회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탄성체(300)는 작동편(100)을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대(7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평상 시 제어봉(60)에 설치된 삼각걸림쇠(600)는 도 7a에서와 같이 자중에 의해 상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b와 도 3b에서와 같이 작동편(100)이 클립대(70)측으로 이동하면 탄성체(300)가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이때 탄성체(300)가 삼각걸림쇠(600)가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도 7b에서와 같이 탄성체(300)는 삼각걸림쇠(600)를 이동방향으로 밀고, 이에 의해 삼각걸림쇠(600)는 힌지축(H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탄성체(300)를 타고 넘게 되고, 그리고 탄성체(300)와 이격되는 순간 삼각걸림쇠(600)는 자중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고 또한 삼각걸림쇠(600)의 첨단부(610)가 도 7c에서와 같이 고정구(500)의 상판에 걸려 반대방향으로는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회동봉(50)이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탄성체(300)가 삼각걸림쇠(600) 에 걸려 반대방향으로 이동이 방지된다.
도 2b와 도 3b에서와 같이 회동봉(50)이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회동봉(50)이 하부가 고정봉(40)의 하부에 설치된 소음방지구(8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되고 이 상태에서는 소의 머리가 회동봉(50)과 클립대(70)에 걸려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소가 사료를 먹을 때 소의 목부분이 고정되어 빠지지 않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자신의 먹이만 먹을 수 있고 다른 소의 사료통에 침범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든 소를 균형 있게 발육시킬 수 있다.
다음, 소가 먹이를 다 먹고 난 후 제어봉(60)에 구비된 손잡이(61)를 도 2c에서와 같이 회전시키면 삼각걸림쇠(600)가 회전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탄성체(300)가 삼각걸림쇠(600)로부터 이격되어 걸림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회동봉(50)은 자중에 의해 고정봉(40)측으로 회전하면서 도 2a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작동편(100)과 탄성체(300)도 고정봉(40)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2a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봉(50)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회동봉(50)과 클립대(70) 사이 간격이 다시 넓어져 소의 머리가 쉽게 빠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소가 용이하게 다른 것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회동봉(50)의 작동 시 탄성체(300)가 상부가로대(1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편(100)을 따라 좌우로 원활하게 이동하고, 또한 탄성체(300)가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 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회동봉(50)의 작동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소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발육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우수한 품질의 소를 사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a,2b,2c는 본 고안의 구조와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a,3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a,4b,4c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와 삼각걸림쇠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삼각걸림쇠의 분해사시도.
도 7a,7b,7c는 본 고안에 따른 삼각걸림쇠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상부가로대 20 : 하부가로대
30 : 지지대 40 : 고정봉
50 : 회동봉 60 : 제어봉
100 : 작동편 200 : 고정핀
300 : 탄성체 400 : 클램프
500 : 고정구 600 : 삼각걸림쇠
61 : 손잡이 80 : 소음방지기구

Claims (1)

  1. 상,하부가로대(10)(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들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봉(40), 고정봉(40)에 힌지축(H1)으로 연결되는 회동봉(50), 상부가로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어봉(60)이 구비되고, 공지기술의 삼각 걸림쇠(600)을 갖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있어서, 상기 회동봉(50)의 상부에 부착되어 그 사이로 상부가로대(10)가 끼워지는 한쌍의 작동편(100); 상기 작동편(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핀(200); 상기 고정핀(200)의 외면에 장착되는 소음방지용 탄성체(300); 상기 제어봉(60)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볼트(B),너트(N)체결로 고정되는 한쌍의 클램프(400); 상기 클램프(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채널형 고정구(500); 상기 고정구(5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힌지축(H2)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탄성체(300)의 이동을 단속하고, 공지기술의 삼각걸림쇠(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20090000580U 2009-01-16 2009-01-16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65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580U KR200465535Y1 (ko) 2009-01-16 2009-01-16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580U KR200465535Y1 (ko) 2009-01-16 2009-01-16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552U KR20100007552U (ko) 2010-07-26
KR200465535Y1 true KR200465535Y1 (ko) 2013-02-25

Family

ID=4445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580U KR200465535Y1 (ko) 2009-01-16 2009-01-16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96Y1 (ko) 2021-03-04 2021-12-02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KR20220081533A (ko) * 2020-12-09 2022-06-16 김영철 우사용 목걸이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028Y1 (ko) * 2007-04-13 2008-09-30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028Y1 (ko) * 2007-04-13 2008-09-30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533A (ko) * 2020-12-09 2022-06-16 김영철 우사용 목걸이틀
KR102462557B1 (ko) 2020-12-09 2022-11-01 김영철 우사용 목걸이틀
KR200494696Y1 (ko) 2021-03-04 2021-12-02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552U (ko) 201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028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15368Y1 (ko) 소음방지구가 부착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CA2775375C (en) An improved stall divider
KR200465535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390064Y1 (ko)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8925486B2 (en) Indexed animal feeder
KR200441221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120104893A (ko) 회전제한 및 잠금 구조를 갖춘 축사용 자동목걸이틀
KR101096373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US8720373B1 (en) Bale holder
KR20130093952A (ko) 축사용 스탄치온
KR100994488B1 (ko) 소음방지 기능을 갖는 우사용 자동목걸이틀
US8430065B2 (en) Bail element for animal bail apparatus, an animal bail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bail elements,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imal bail apparatus
KR101445132B1 (ko) 볏짚의 자동 급이장치
KR200418931Y1 (ko) 소음방지가 용이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 틀
US3906902A (en) Haystack feeder apparatus for livestock
KR100789927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소음방지구
KR100913565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자동안전장치
KR20130005636U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11751536B2 (en) Adjustable animal feeder
KR200480555Y1 (ko) 축사용 문 잠금장치
KR102462557B1 (ko) 우사용 목걸이틀
KR101422795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1236899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KR100913563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