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899B1 -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 Google Patents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899B1
KR101236899B1 KR1020090003318A KR20090003318A KR101236899B1 KR 101236899 B1 KR101236899 B1 KR 101236899B1 KR 1020090003318 A KR1020090003318 A KR 1020090003318A KR 20090003318 A KR20090003318 A KR 20090003318A KR 101236899 B1 KR101236899 B1 KR 101236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rod
stand
spr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963A (ko
Inventor
고상열
Original Assignee
고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상열 filed Critical 고상열
Priority to KR102009000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8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by means of grids with or without movable lock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10Feed racks
    • A01K1/105Movable feed barriers, slides or fe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상황 시 클립대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고, 차후 클립대의 조립 시에도 간편하게 조립 할 수 있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부가로대(10)(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들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봉(40), 고정봉(40)에 연결되는 회동봉(50), 상부가로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어봉(60), 상,하부가로대(10)(20)에 연결되는 클립대(7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가로대(10)(20)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볼트(B),너트(N)체결로 고정되는 한쌍의 상,하부클램프(100)(200); 상기 클립대(70)가 끼워지도록 상부클램프(100)의 하부에 부착되어 스프링(300)을 수용하는 고정관(400); 상기 클립대(70)의 상부에 장착되어 스프링(300)에 밀착되는 상부캡(500); 상기 클립대(7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핀공(610)을 구비하는 하부캡(600); 상기 하부클램프(200)의 상부에 부착되어 하부캡(600)의 핀공(610)으로 끼워지는 고정핀(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클립대, 탈착장치, 클램프, 스프링

Description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Clip bar apparatu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f the framework for controling the cow in the cowshed}
본 발명은 사료 급식 시 소의 목부분이 자동적으로 잠구어 지도록 하여 다른 소의 사료칸에 침범하지 못하게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긴급 상황 시 클립대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고, 차후 클립대의 조립 시에도 간편하게 조립 할 수 있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를 사육하는 우사는 금속재의 파이프로 구성된 울타리가 쳐져있고, 소들이 기거하는 활동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공간의 일측 외부에는 소에 먹이를 먹이는 사료통이 설치되어 있고 소가 사료통의 먹이를 먹는 동안에 서로 다투는 것을 방지하고, 모든 소에게 안정적인 급식을 하기 위하여 사료를 먹는 동안에 소를 서로 분리시켜 정위치에 있도록 하여 자기의 먹이만을 먹게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이 설치되어 있다.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로대(1a)와 하부가로대(1b)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세워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2)와, 상기 각 지지 대(2)와 지지대(2)의 사이에 결합되고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기울어진 고정봉(3)과, 상기 고정봉(3)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힌지축(4a)이 구비된 결합편(4)과, 상기 힌지축(4a)을 중심으로 수직 또는 기울어지게 회동하며 그 상부에 설치부재(5a)가 구비된 회동봉(5)과, 상기 설치부재(5a)의 상부에 결합된 힌지축(6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걸림쇠(6)와, 상기 상부가로대(1a)의 상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안내구(7)와, 상기 안내구(7)를 관통하며 일측 끝단에 작업자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손잡이(8a)가 구비된 제어봉(8)과, 상기 제어봉(8)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동봉(5)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걸림쇠(6)의 끝단을 지지하여 걸림쇠(6)가 역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소가 사료를 먹을 때 소의 목부분을 자동으로 고정시켜 다른 소의 사료통에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여 모든 소를 균형 있게 발육시킬 수 있고, 또한 소의 이동을 규제시킬 때에 쉽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2)의 일측에는 소의 목 굵기에 따라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클립대(C)가 설치되고, 이러한 클립대(C)는 간극조절의 용도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 시 소를 우사 밖으로 빼내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즉, 긴급 상황 시에는 클립대(C)를 분리하고 회동봉(5)을 세운 상태에서 지지대(2)와 회동봉(5) 사이 틈새를 통해 소를 우사 밖으로 빼낸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부가로대(1a)와 하부가로대(1b)에 다수의 볼트공을 형성하고,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한쌍의 T자형 상,하부 클램프(K) 사이에 클립대(C)를 끼우고, 또한 한쌍의 상,하부 클램프(K)를 상부가로대(1a)와 하부가로대(1b)에 각각 끼운 상태에서 클립대(C)와 회동봉(5) 사이 간극을 조절한 후,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클립대(C)를 고정하였기 때문에, 긴급 상황 시 클립대(C)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된 볼트와 너트를 일일이 풀고 상,하부 클램프(K)와 클립대(C)를 전부 분해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긴급 상황 시 소를 우사 밖으로 신속하게 빼낼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차후 클립대(C)의 조립 시에도 다시 상,하부 클램프(K)와 클립대(C)를 처음과 같이 조립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긴급 상황 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클립대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긴급 상황 시 소를 우사 밖으로 한층 더 신속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차후 클립대의 조립 시에도 한층 더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부가로대의 상하부에 한쌍의 클램프를 각각 장착하여 볼트,너트체결로 고정하고, 클립대가 끼워지도록 상부클램프의 하부에 고정관을 부착하되, 상기 고정관에 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스프링에 밀착되는 상부캡을 클립대의 상부에 장착하고, 상기 클립대의 하부에 핀공이 구비된 하부캡을 장착하고, 상기 하부클램프의 상부에 고정핀을 부착하되, 상기 고정핀이 하부캡의 핀공에 탈차가능하게 으로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에 따르면 긴급 상황 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클립대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긴급 상황 시 소를 우사 밖으로 한층 더 신속하게 빼낼 수 있으며, 그리고 차후 클립대의 조립 시에도 한층 더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크립대 탈착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부가로대(10)(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들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봉(40), 고정봉(40)에 연결되는 회동봉(50), 상부가로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어봉(60), 상,하부가로대(10)(20)에 연결되는 클립대(7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가로대(10)(20)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볼트(B),너트(N)체결로 고정되는 한쌍의 상,하부클램프(100)(200); 상기 클립대(70)가 끼워지도록 상부클램프(100)의 하부에 부착되어 스프링(300)을 수용하는 고정관(400); 상기 클립대(70)의 상부에 장착되어 스프링(300)에 밀착되는 상부캡(500); 상기 클립대(7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핀공(610)을 구비하는 하부캡(600); 상기 하부클램프(200)의 상부에 부착되어 하부캡(600)의 핀공(610)으로 끼워지는 고정핀(7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는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대(30)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된다.
상기 지지대(30)는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30)들의 일측에는 클립대(7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봉(40)은 지지대(30)들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봉(40)의 상부는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봉(50)은 고정봉(40)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동봉(50)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직 또는 기울어지게 회동한다.
상기 제어봉(60)은 상부가로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봉(60)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봉(60)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상기 클립대(70)는 상,하부가로대(10)(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클립대(7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소의 목 굵기에 따라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 시 소를 우사 밖으로 빼내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상기 한쌍의 상부클램프(100)는 상부가로대(10)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볼트(B),너트(N)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쌍의 상부클램프(100)는 도 4에서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외측에는 플랜지(110)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0)에는 볼트(B)가 끼워지는 다수의 볼트공(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상부클램프(100)의 하부에는 고정관(400)이 부착된다.
상기 한쌍의 하부클램프(200)는 하부가로대(20)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볼트(B),너트(N)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쌍의 하부클램프(200)는 도 4에서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외측에는 플랜지(210)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10)에는 볼트(B)가 끼워지는 다수의 볼트공(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하부클램프(200)의 상부에는 고정핀(700)이 부착된다.
상기 스프링(300)은 고정관(400)에 빠지지 않도록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30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로 형성되고, 스프링(300)의 하단부에서는 직경이 다시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 도 4에서와 같이 스프링(300)은 형성한 이유는 압축 시 높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관(400)은 상부클램프(100)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관(400)에는 스프링(300)이 빠지지 않도록 내장되고, 스프링(300)이 내장된 고정관(40)에는 클립대(70)의 상부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상부캡(500)은 클립대(7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캡(500)은 클립대(70)의 조립 시 스프링(300)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상부캡(500)은 클립대(70)의 탈착 시 소음방지를 위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캡(600)은 클립대(70)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캡(600)의 중앙부에는 클립대(70)의 조립 시 고정핀(700)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핀공(6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캡(600)은 클립대(70)의 탈착 시 소음방지를 위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700)은 하부클램프(200)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핀(700)에는 클립대(70)의 조립 시 하부캡(600)의 핀공(610)이 탈착가능하게 끼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의 상하부에 한쌍의 상,하부클램 프(100)(200)를 각각 끼운 상태에서, 상,하부클램프(100)(200)의 플랜지(110)(210)에 형성된 볼트공(120)(220)으로 볼트(B)를 각각 끼우고, 상,하부클램프(100)(200)의 볼트공(120)(220)에 끼워진 볼트(B)에 너트(N)를 각각 체결하면, 한쌍의 상,하부클램프(100)(200)는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하부클램프(100)(200)의 고정 시 소의 목 굵기에 따라 미리 간극을 적절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한다.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에 상,하부클램프(100)(200)를 각각 고정한 후, 상부클램프(100)의 하부에 부착된 고정관(400)의 내측으로 클립대(70)의 상부를 끼운 상태에서, 도 5a에서와 같이 클립대(70)를 상부로 밀어 올리면 상부캡(500)이 스프링(300)을 압축시키면서 고정관(400)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고, 이 상태에서 하부캡(600)의 핀공(610)을 고정핀(70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클립대(70)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압력을 제거하면 도 5b에서와 같이 스프링(300)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캡(600)의 핀공(61)은 고정핀(700)으로 끼워지면서 쉽게 고정된다. 이때, 도 5b에서와 같이 클립대(70)의 상부는 고정관(400)에 끼워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클립대(70)의 하부는 하부캡(600)을 통해 고정핀(700)에 끼워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클립대(7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의 역순으로 클립대(70)를 다시 도 5a에서와 같이 상부로 밀어 올리면 상부캡(500)이 스프링(300)을 압축시키면서 고정관(400)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고, 이에 의해 하부캡(600)의 핀공(610)은 도 5a에서와 같이 고정핀(700)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기 때문에, 이 상 태에서 클립대(70)의 하부를 약간 옆으로 밀면서 밑으로 당기면 고정관(400)에서 클립대(70)가 쉽게 빠져나오면서 분해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긴급 상황 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고정관(400)과 고정핀(700)에 고정된 클립대(70)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립대(70)를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구조적으로 긴급 상황 시에는 클립대(70)를 분해하고 회동봉(50)을 세운 상태에서 지지대(30)와 회동봉(50) 사이 틈새를 통해 소를 우사 밖으로 한층 더 신속하게 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차후 클립대(70)를 다시 조립 할 경우에도 고정관(400)과 고정핀(700)에 클립대(70)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한층 더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클립대의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긴급 상황 시 클립대를 분해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상부가로대 20 : 하부가로대
30 : 지지대 40 : 고정봉
50 : 회동봉 60 : 제어봉
70 : 클립대 100 : 상부클램프
200 : 하부클램프 300 : 스프링
400 : 고정관 500 : 상부캡
600 : 하부캡 610 : 핀공
700 : 고정핀

Claims (3)

  1. 상,하부가로대(10)(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들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봉(40), 고정봉(40)에 연결되는 회동봉(50), 상부가로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어봉(60), 상,하부가로대(10)(20)에 연결되는 클립대(7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가로대(10)(20)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볼트(B),너트(N)체결로 고정되는 한쌍의 상,하부클램프(100)(200); 상기 클립대(70)가 끼워지도록 상부클램프(100)의 하부에 부착되어 스프링(300)을 수용하는 고정관(400); 상기 클립대(70)의 상부에 장착되어 스프링(300)에 밀착되는 상부캡(500); 상기 클립대(7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핀공(610)을 구비하는 하부캡(600); 상기 하부클램프(200)의 상부에 부착되어 하부캡(600)의 핀공(610)으로 끼워지는 고정핀(700)을 포함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00)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로 형성되고, 스프링(300)의 하단부에서는 직경이 다시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캡(500)(6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KR1020090003318A 2009-01-15 2009-01-15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KR101236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318A KR101236899B1 (ko) 2009-01-15 2009-01-15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318A KR101236899B1 (ko) 2009-01-15 2009-01-15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963A KR20100083963A (ko) 2010-07-23
KR101236899B1 true KR101236899B1 (ko) 2013-02-25

Family

ID=4264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318A KR101236899B1 (ko) 2009-01-15 2009-01-15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8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563B1 (ko) * 2016-01-14 2016-12-06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40B1 (ko) * 2019-12-13 2020-06-01 신상식 축사용 스탄존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566A (en) 1976-05-24 1977-07-26 Teunis Albers Cattle locking apparatus
KR200351895Y1 (ko) 2004-02-28 2004-06-04 김석태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390064Y1 (ko) 2005-04-29 2005-07-18 고상열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42028Y1 (ko) 2007-04-13 2008-09-30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566A (en) 1976-05-24 1977-07-26 Teunis Albers Cattle locking apparatus
KR200351895Y1 (ko) 2004-02-28 2004-06-04 김석태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390064Y1 (ko) 2005-04-29 2005-07-18 고상열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42028Y1 (ko) 2007-04-13 2008-09-30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563B1 (ko) * 2016-01-14 2016-12-06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963A (ko) 201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899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US8302563B2 (en) Sow feeder
CN107361875B (zh) 修剪羊蹄一体机
CN103918564A (zh) 羊颈枷
KR200415368Y1 (ko) 소음방지구가 부착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100091423A (ko) 축사용 목걸림틀의 자동 개폐장치
KR200390064Y1 (ko)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42028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CN210900866U (zh) 家畜饲养装置以及猪圈
CN216961099U (zh) 一种可同步调节的牛颈枷
KR200441221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1096373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KR200418931Y1 (ko) 소음방지가 용이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 틀
KR200436214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1682563B1 (ko)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65535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0913565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자동안전장치
KR100913563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KR20130063389A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CN107581081B (zh) 一种联动式羊栏颈枷
KR100789928B1 (ko) 축사용 울타리
US5988107A (en) Waterer
CN220799520U (zh) 一种快速装卸式牛颈枷
US20130164079A1 (en) Latching assembly for livestock stanchion and methods of use
CN107466883B (zh) 一种连锁反应式羊栏颈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