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563B1 -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563B1
KR100913563B1 KR1020080109532A KR20080109532A KR100913563B1 KR 100913563 B1 KR100913563 B1 KR 100913563B1 KR 1020080109532 A KR1020080109532 A KR 1020080109532A KR 20080109532 A KR20080109532 A KR 20080109532A KR 100913563 B1 KR100913563 B1 KR 10091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safety
cow
control rod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식
임영규
Original Assignee
최대식
임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식, 임영규 filed Critical 최대식
Priority to KR102008010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by means of grids with or without movable lock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2Neck-bars, e.g. neck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10Feed racks
    • A01K1/105Movable feed barriers, slides or fe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의 목이 목걸이틀에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질병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갑자기 쓰러진 경우, 회동대와 세로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안전회동대를 회동시켜 소의 목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을 우사에서 적용하게 되면, 목걸이틀에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소가 갑자기 쓰러진 경우에도, 회동대와 세로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안전회동대를 회동시켜 회동대와 안전회동대 사이의 하측공간을 넓힌 다음, 목걸이틀에서 소의 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소가 소목걸이틀에서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봉, 스토퍼, 안전회동대, 걸림판, 손잡이

Description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OF FRAMEWORK FOR COWSHED}
본 발명은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의 목이 소목걸이틀에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질병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갑자기 쓰러진 경우, 회동대와 세로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안전회동대를 회동시켜 소의 목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를 사육하는 우사에는 둘레를 따라 울타리가 쳐져 소들이 휴식할 수 있는 운동장이 마련되고, 이 운동장의 일측 외부에는 사료통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사료통이 설치되는 울타리에는 소가 사료를 먹는 동안 소의 목을 고정하여 소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일정한 위치에서 자기의 먹이만을 먹게 할 수 있는 우사용 목걸이틀이 설치된다.
이러한 우사용 목걸이틀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4122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하부가로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지지대들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봉, 고정봉에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회동봉, 상부가로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어봉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부가로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더; 슬라이더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볼트 체결로 고정되는 한쌍의 클램프; 클램프의 하부에 부착되어 안내장공을 구비하는 한쌍의 브래킷; 회동봉의 상부에 부착되어 안내장공에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회동편; 클램프의 상부에 부착되는 걸림돌기; 제어봉에 부착되어 단속편을 구비하는 한쌍의 고정편; 고정편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걸림돌기의 이동을 단속하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가로대에는 지지대들의 일측으로 볼트를 통해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클립대가 설치되어 클립대와 회동봉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소에게 급식을 줄 때에는 회동봉이 수직으로 회동 및 고정되어 클립대와 회동봉 사이에 소의 목이 걸려 움직이지 않도록 규제하게 되고, 급식이 끝나면 회동봉이 경사진 상태로 복귀되는 구조를 가져 벌어진 클립대와 회동봉 사이 공간으로 소의 머리가 빠져 운동장으로 이동한 후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소가 사료를 먹기 위해 소의 목이 클립대 및 회동봉 사이에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질병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갑자기 쓰러진 경우, 소의 육중한 무게에 때문에 회동봉을 회동시킬 수 없어 클립대와 회동봉 사이에서 소의 목을 쉽게 분리할 수 없었다. 여기서, 상,하부가로대에서 볼트를 풀어 클립대를 분리할 수 있으나, 볼트를 풀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볼트를 풀어 클립대를 분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없어 클립대와 회동봉 사이에 소의 목이 낀 상태로 소가 질식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가 사료를 먹기 위해 소의 목이 클립대 및 회동봉 사이에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질병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갑자기 쓰러진 경우, 사육자는 클립대를 분리하여 소목의 규제를 해지하여 소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는 데, 이런 경우 때문에 사육자는 우사를 떠나지 못하고 먹이를 먹는 소를 항상 관찰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의 목이 소목걸이틀에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질병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갑자기 쓰러진 경우, 회동대와 세로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안전회동대를 회동시켜 소의 목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가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는, 상부가로대와 하부가로대가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부가로대와 하부가로대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세로지지대가 설치되며, 세로지지대의 사이에는 회동대가 회동지지대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대가 경사지게 작동되었을 때는 소의 목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고 회동대가 수직으로 작동되었을 때는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구성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로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분에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제어봉과, 상기 회동대와 세로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단은 상부가로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걸림부가 마련되는 안전회동대로 구성되어, 소가 먹이를 먹을 때에는, 회동대가 수직으로 작동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안전회동대가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안전회동대의 걸림부를 상기 제어봉의 스토퍼에 걸림시켜, 상 기 회동대와 안전회동대의 사이에서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대와 안전회동대의 사이에서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소가 갑자기 쓰러진 경우에는, 상기 제어봉을 회전시켜 스토퍼에 걸려 있는 안전회동대의 걸림부의 걸림을 해제시키면 안전회동대가 회동되어, 소의 목을 회동대와 안전회동대 사이에서 목을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를 우사에서 적용하게 되면, 목걸이틀에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소가 갑자기 쓰러진 경우에도, 회동대와 세로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안전회동대를 회동시켜 회동대와 안전회동대 사이의 하측공간을 넓힌 다음, 목걸이틀에서 소의 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소가 소목걸이틀에서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된 우사용 목걸이틀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된 우사용 목걸이틀의 정면 도로, 도 2는 안전회동대가 걸림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안전회동대가 걸림이 해제되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는 우사용 목걸이틀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소의 목이 목걸이틀에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질병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갑자기 쓰러진 경우, 소를 목걸이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가 목걸이틀에서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사용 목걸이틀의 구조를 먼저 간단히 설명하면,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가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세로지지대(30)가 설치되며, 세로지지대(30)의 사이에는 회동대(50)가 회동지지대(40)에 힌지 결합되어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회동대(50)는 경사지게 작동되었을 때는 소의 목이 소목걸이틀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고, 회동대(50)가 수직으로 작동되었을 때는 소의 목이 소목걸이틀에 걸려 움직임이 규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대(50)가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회동대(50)를 잡아주는 고정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우사용 목걸이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가로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분에는 스토퍼(110)가 설치되는 제어봉(100)과, 상 기 회동대(50)와 세로지지대(3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단은 상부가로대(1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걸림부(210)가 마련되는 안전회동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회동대(200)의 상단은 상기 상부가로대(10)에 설치된 브라켓(B)에 힌지(H)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소가 먹이를 먹을 때, 회동대(50)가 수직으로 작동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안전회동대(200)가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안전회동대의 걸림부(210)를 상기 제어봉의 스토퍼(110)에 걸림시켜, 상기 회동대(50)와 안전회동대(200)의 사이에서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봉(100)은 상기 하부가로대(20)의 전방에 다수개의 고정구(120)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110)는 상기 제어봉 상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쌍으로 돌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회동대의 걸림부(210)는 안전회동대의 하단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가로대에 의해 가이드되는 전방 및 후방 걸림판(211,21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한쌍의 스토퍼(110) 사이에 상기 전방걸림판(211)의 양측이 걸려 이동이 제한되면 안전회동대(200)가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봉(100)을 회전시켜 스토퍼(110)가 상방향으로 위치되면 안전회동대의 전방걸림판(211)의 걸림이 해제되어 안전회동대(200)가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봉(100)의 단부에는 작업자가 제어봉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절곡부(131)가 형성된 손잡이(130)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H)결합되고, 상기 하부가로대(20)에는 상기 손잡이가 설치된 측으로 고정홈(141)이 형성된 고정편(1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전회동대(200)가 수직으로 고정될 때는, 상기 고정편(140)의 고정홈(141)에 손잡이의 절곡부(131)가 수용 고정되어 안전회동대(200)가 회전되는 것이 제한하여 안전회동대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고, 상기 안전회동대(200)를 회동시킬 때는, 상기 손잡이(130)를 제어봉(100)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고정편의 고정홈(141)에서 손잡이의 절곡부(131)의 고정을 해제시킨 다음 제어봉(100)을 회전시켜 스토퍼(110)에 걸린 안전회동대(200)의 고정을 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가 먹이를 먹을 때에는, 목걸이틀로 소가 목을 넣으면 회동대(50)가 수직으로 작동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제어봉(100)에 설치된 한쌍의 스토퍼(110) 사이에 상기 안전회동대의 하단에 마련된 전방걸림판(211)의 양측이 걸리도록 고정시키면 안전회동대(200)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회동대(50)와 안전회동대(200)의 사이에서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대(50)와 안전회동대(200)의 사 이에서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소가 갑자기 쓰러진 경우에는, 상기 제어봉(100)을 회전시켜 상기 스토퍼(110)가 상방향으로 위치되면 안전회동대의 전방걸림판(211) 양단에 걸림된 스토퍼(110)의 걸림이 해제되어 안전회동대(200)가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안전회동대(200)를 회동시켜 회동대(50)와 안전회동대(200) 사이의 하측공간을 넓힌 다음 소의 목을 회동대와 안전회동대 사이에서 목을 빼내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목걸이틀에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소가 갑자기 쓰러진 경우에도, 회동대와 세로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안전회동대를 회동시켜 회동대와 안전회동대 사이의 하측공간을 넓힌 다음, 목걸이틀에서 소의 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소가 소목걸이틀에서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안전회동대의 전방걸림판 양단에 걸림된 스토퍼의 걸림을 해제시켜 안전회동대가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켜 놓으면, 상기 목걸이틀에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소가 갑자기 쓰러지더라도 쓰러진 소 스스로 안전회동대를 밀어 회동시킨 후 목걸이틀에서 목을 빼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육자가 소들이 먹이를 먹는 도중에 갑자기 쓰러지는 것을 우려하여 소가 먹이를 다 먹을 때까지 우사를 지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된 우사용 목걸이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된 우사용 목걸이틀의 정면도로, 안전회동대가 걸림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안전회동대가 걸림이 해제되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3)

  1. 상부가로대와 하부가로대가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부가로대와 하부가로대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세로지지대가 설치되며, 세로지지대의 사이에는 회동대가 회동지지대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대가 경사지게 작동되었을 때는 소의 목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고 회동대가 수직으로 작동되었을 때는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구성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로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분에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제어봉과, 상기 회동대와 세로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단은 상부가로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걸림부가 마련되는 안전회동대로 구성되어,
    소가 먹이를 먹을 때에는, 회동대가 수직으로 작동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안전회동대가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안전회동대의 걸림부를 상기 제어봉의 스토퍼에 걸림시켜, 상기 회동대와 안전회동대의 사이에서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대와 안전회동대의 사이에서 소의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소가 갑자기 쓰러진 경우에는, 상기 제어봉을 회전시켜 스토퍼에 걸려 있는 안전회동대의 걸림부의 걸림을 해제시키면 안전회동대가 회동되어, 소의 목을 회동대와 안전회동대 사이에서 목을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회동대의 걸림부는 안전회동대의 하단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가로대에 의해 가이드되는 전방 및 후방 걸림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봉은 상기 하부가로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어봉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쌍으로 돌출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스토퍼 사이에 상기 전방걸림판의 양측이 걸려 이동이 제한되면 안전회동대가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봉을 회전시켜 스토퍼가 상방향으로 위치되면 안전회동대의 전방걸림판의 걸림이 해제되어 안전회동대가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의 단부에는 작업자가 제어봉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손잡이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하부가로대에는 상기 손잡이가 설치된 측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편이 설치되어,
    상기 안전회동대가 수직으로 고정될 때는, 상기 고정편의 고정홈에 손잡이의 절곡부가 수용 고정되어 안전회동대가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기 안전회동대를 회동시킬 때는, 상기 손잡이를 제어봉의 단부에서 회동시켜 상기 고정편의 고정홈에서 손잡이의 절곡부의 고정을 해제시킨 다음 제어봉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KR1020080109532A 2008-11-05 2008-11-05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KR10091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532A KR100913563B1 (ko) 2008-11-05 2008-11-05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532A KR100913563B1 (ko) 2008-11-05 2008-11-05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563B1 true KR100913563B1 (ko) 2009-08-26

Family

ID=4121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532A KR100913563B1 (ko) 2008-11-05 2008-11-05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2513A (zh) * 2012-07-17 2012-10-24 南京熊猫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喂食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798A (en) 1992-02-10 1994-03-01 Lock Stanley L Livestock handling/fee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158968Y1 (ko) 1997-01-29 1999-10-15 신일현 우사용 자동 목걸이 틀
US6082306A (en) 1998-05-04 2000-07-04 Hatfield; John Animal safety stanchion with stanchion bumper
KR200285776Y1 (ko) 2002-05-06 2002-08-14 오일환 사료급식장의 소머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798A (en) 1992-02-10 1994-03-01 Lock Stanley L Livestock handling/fee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158968Y1 (ko) 1997-01-29 1999-10-15 신일현 우사용 자동 목걸이 틀
US6082306A (en) 1998-05-04 2000-07-04 Hatfield; John Animal safety stanchion with stanchion bumper
KR200285776Y1 (ko) 2002-05-06 2002-08-14 오일환 사료급식장의 소머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2513A (zh) * 2012-07-17 2012-10-24 南京熊猫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喂食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5897A (en) Cattle stanchion apparatus
KR100953875B1 (ko) 소목걸이틀의 자동열림장치
KR200451112Y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자동 개폐장치
KR100714411B1 (ko) 조립식 가축용 목 고정펜스
NL1038063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fscheiden van ligboxen in een loopstal.
US4432305A (en) Adjustable livestock chute
KR100913563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USRE32728E (en) Cattle stanchion apparatus
KR101021624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RU63215U1 (ru) Станок для фиксации животных
US7784431B2 (en) Animal stanchion with selectively releasable feature
KR200443984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390064Y1 (ko)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36214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42028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0913565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자동안전장치
KR20130093952A (ko) 축사용 스탄치온
KR101096373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KR200441221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8430065B2 (en) Bail element for animal bail apparatus, an animal bail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bail elements,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imal bail apparatus
USRE34232E (en) Cattle stanchion
KR101682563B1 (ko)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5634438A (en) Large animal stock
US2023774A (en) Stable stall
KR101236899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클립대 탈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