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624B1 -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 Google Patents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624B1
KR101021624B1 KR1020090015754A KR20090015754A KR101021624B1 KR 101021624 B1 KR101021624 B1 KR 101021624B1 KR 1020090015754 A KR1020090015754 A KR 1020090015754A KR 20090015754 A KR20090015754 A KR 20090015754A KR 101021624 B1 KR101021624 B1 KR 10102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fixed
pivot
flow groove
contro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724A (ko
Inventor
최대식
Original Assignee
최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식 filed Critical 최대식
Priority to KR1020090015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6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by means of grids with or without movable lock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10Feed racks
    • A01K1/105Movable feed barriers, slides or fe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가로대 및 하부가로대와; 상기 상부가로대와 하부가로대 사이에 수직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기울어지게 설치된 회동지지대와; 상기 회동지지대의 중앙부분에 시소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에는 전방 및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가로대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한쌍의 고정판이 결합된 회동대와; 상기 고정판에 상기 회동대의 회동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구와; 상기 상부가로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면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제어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을 개시한다.
상부가로대, 하부가로대, 세로지지대, 회동대, 걸림구, 스토퍼

Description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THE FRAMEWORK FOR CONTROLING THE COW IN THE COWSHED}
본 발명은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가 스스로 회동대의 잠금을 해제시켜 회동대를 회동시키거나 충격에 의해 회동대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목걸이틀을 작동시킬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목걸이틀에 특정한 소만을 고정시키 위해 해당되는 회동대만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할 때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를 사육하는 우사에는 둘레를 따라 울타리가 쳐져 소들이 휴식할 수 있는 운동장이 마련되고, 이 운동장의 일측 외부에는 사료통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사료통이 설치되는 울타리에는 소가 사료를 먹는 동안 소의 목을 고정하여 소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일정한 위치에서 자기의 먹이만을 먹게 할 수 있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이 설치된다.
이러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일례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15896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상부가로대 및 하부가로대에 세로지지대를 볼트넛트를 통해 조립하며, 상부가로대 및 하부가로대의 사이에 "〈"자형 고정봉과 1자형 고정봉으로 구성된 우사용 목걸이 틀에 있어서, 상부가로대의 상부에는 축지지쇠와 걸고리쇠가 형성된 지지구를 조립하여 일정간격으로 계지홈이 형성된 제어봉을 삽입하고, 세로지지대는 상하결합판의 사이에 결합된 "〈" 자형 고정봉의 양측에 고정된 가로대에 회동대를 축설하여, 상단에는 이동틀을 부착하여 제어간이 회동되게 축설하고, 중앙에는 회동봉을 장공에 의해 축설하되 하부가로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탈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1자형 고정봉에 대해 회동대가 기울어지게 벌어진 상태에서 1자형 고정봉과 회동대 사이로 소가 머리를 넣은 후 사료를 먹기위해 머리를 내리게 되면, 회동대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회동대의 상단에 설치된 제어간이 제어봉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어봉의 계지홈에 계지된다. 이때 회동대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되고, 소의 머리가 1자형 고정봉과 회동대 사이에 걸려 머리를 빼지 못하게 되므로 소들이 사료를 먹는 도중 다른 소의 사료칸을 침범하지 못하게되고, 일정한 위치에서 자기의 먹이만을 먹게된다.
그리고, 사료를 다 먹은 소를 자동 목걸이틀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어봉을 회동시켜 상기 제어봉의 계지홈에서 제어간이 분리되도록 하면, 소의 진입시와 마찬가지로 회동대의 상부가 다시 기울어지면서 벌어지게 되어, 그 벌어진 공간으로 소의 머리가 빠져 운동장으로 이동한 후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동 목걸이틀에 고정된 소들중 치료, 수정등을 위해 출입을 제한하고자 하는 특정한 소가 있을 경우, 그 특정 소가 진입해 있는 회동대의 상부에 축설된 제어간을 반대측으로 회동시켜 지지구의 걸고리쇠에 걸어놓게 되면, 제어간이 걸고리쇠에 의해 계지되어 상기 제어봉이 회동되어 다른 제어간이 계지가 풀리더라도 특정한 소가 고정된 회동대만은 계지가 풀리지 않아 특정 소만은 계속적으로 규제가 가능해 진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소의 머리가 고정봉과 회동대 사이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소가 혀를 이용하여 제어봉의 계지홈에 계지된 제어간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제어간이 계지홈에서 분리되거나 목걸이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제어간이 회동되어 계어간이 계지홈에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회동대가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기 때무에 소 스스로 목걸이틀에서 빠져 나올수 있게 되어, 목걸이틀에 소를 제어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소의 사료 먹는량을 조절할 수 없어 소의 성장이나 건강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상기 제어봉과 이 제어봉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는 제어간이 모두 금속 재질로 구성됨으로, 제어간이 제어봉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될 때, 금속과 금속이 부딪힐 때 발생되는 금속성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가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소의 성장이 느릴 뿐만 아니라, 젖소의 경우 우유 생산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치료, 수정등을 위해 특정한 소만을 자동 목걸이틀에 고정시키기 위해 회동대의 상부에 축설된 제어간을 반대측으로 회동시켜 지지구의 걸고리쇠에 걸어 회동대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목걸이틀에 고정된 소가 움직이면 회동대를 유동시키게 되고 회동대의 상부에 축설된 제어간도 유동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가 스스로 회동대의 잠금을 해제시켜 회동대를 회동시키거나 충격에 의해 회동대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그 목적은 목걸이틀을 작동시킬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목걸이틀에 특정한 소만을 고정시키 위해 해당되는 회동대만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할 때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소음방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는 상하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가로대 및 하부가로대와; 상기 상부가로대와 하부가로대 사이에 수직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기울어지게 설치된 회동지지대와; 상기 회동지지대의 중앙부분에 시소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에는 전방 및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가로대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한쌍의 고정판이 결합된 회동대와; 상기 고정판에 상기 회동대의 회동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구와; 상기 상부가로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면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제어봉으로 구성되어, 소가 먹이를 먹을 때에는 회동대가 수직으로 작동되는 것과 아울러 상기 걸림구가 고정판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토퍼에 걸려 회동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소가 다 먹은 후에는 스토퍼가 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제어봉이 회전하면서 걸림구의 걸림을 해제시켜 회동대가 경사진 위치로 작동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소가 스스로 회동대의 잠금을 해제시켜 회동대를 회동시키거나 충격에 의해 회동대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고, 목걸이틀을 작동시킬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목걸이틀에 특정한 소만을 고정시키 위해 해당되는 회동대만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할 때 안전성이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된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내지 도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작동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상하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가로대(110) 및 하부가로대(120)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가로대(110)와 하부가로대(120) 사이에는 세로지지대(130)가 수직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지지대(130) 사이에는 회동지지대(140)가 배치되고, 이 회동지지대(140)의 중앙부분에는 회동대(150)가 시소방식으로 수직 또는 기울어질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동지지대(140)는 상기 세로지지대(13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중앙 부분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기울어지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대(150)는 상기 회동지지대(140)의 중앙부분에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되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지지대(140)에서 수직 기울어질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동지지대(140)의 절곡부분에는 회동지지대(140)의 하단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보조지지대(14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로대, 하부가로대, 세로지지대 등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대(150)의 상단에는 전방 및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가로대(110)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한쌍의 고정판(151,152)이 결합된다. 즉, 상기 회동대(150)가 수직 또는 기울어지게 회동될 때, 상기 한쌍의 고정판(151,152)은 상기 상부가로대(150)에 끼워져 가이드되면서 상부가로대를 따라 선측 또는 후 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대의 고정판(151,152)에는 상기 회동대(150)의 회동에 의해 연동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구(160)가 결합된다. 즉, 상기 걸림구(160)는 상기 회동대(150)의 회동에 의해 고정판(151,152)상에서 상하 슬라이딩 되면서 후술할 제어봉(170)의 스토퍼에 걸림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구(160)는 일정한 강도와 경도를 갖는다면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지만,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제조하여 상기 고정판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될 때, 금속과 금속이 부딪힐 때 발생되는 금속성의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로대(110)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안내구(171)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봉(1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제어봉(170)의 외면에는 스토퍼(180)가 일정간격 마련되어 상기 걸림구(160)를 걸림시키거나 걸림 해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봉(170)의 단부에는 작업자가 제어봉(17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72)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구(160)와 스토퍼(180)의 작동은 소가 먹이를 먹을 때에는 회동대(150)가 수직으로 작동되는 것과 아울러 상기 걸림구(160)가 고정판(151,152)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토퍼(180)에 걸려 회동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소가 다 먹은 후에는 스토퍼(180)가 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제어봉(170)이 회전하면서 걸림구(160)의 걸림을 해제시켜 회동대(150)가 경사진 위치로 작동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이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구(160)는 상기 전방 및 후방 고정판(151,152)의 외면에서 각각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슬라이딩고정판(161)과, 상기 슬라이딩고정판(161)의 선측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부(1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80)는 상기 제어봉(170)에 고정되고 일부분 내측으로 유동홈(181a)이 형성되는 스토퍼몸체(181)와, 상기 제어봉(170)에 끼워지고 내측으로 상하방향 가이드공(182a)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몸체의 유동홈(181a)을 따라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동홈(181a) 내부로 수납되거나 유동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18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180)가 하방향으로 위치해 있을 때, 스토퍼의 고정구(182)는 자중에 의해 스토퍼몸체의 유동홈(181a)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동대(150)가 수직으로 작동될 때, 스토퍼의 고정구(182)는 걸림구의 걸림부(161)의 진행에 의해 밀려 유동홈(181a) 내부로 수납된 후 재배출되어, 걸림구의 걸림부(161)가 스토퍼의 고정구(182)에 걸림되면서 회동대(150)가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의 고정구(182)는 하단 선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대(150)가 수직으로 고정될 때 걸림구의 걸림부(161)의 진행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봉(170)에는 스토퍼(180)의 후측으로 결합되고 전후방향으로 고정핀이 끼워지져 고정되는 고정관(192)이 형성된 독립스토퍼(19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독립스토퍼(190)는 상기 제어봉(170)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관(191)과 상기 끼움관(191)의 상측으로 마련되는 고정관(19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동대(150)가 수직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핀(P)을 상기 고정관(192)에 삽입시켜 회동대(150)가 경사진 위치로 작동되지 못하도록 걸림되게 하여, 회동대(150)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자동 목걸이틀에 소의 목을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대(150)가 회동지지대(140)에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동대(150)의 상측으로 소가 머리를 넣은 후 사료를 먹기위해 머리를 내리게 되면, 소 목부분이 회동대(150)의 하단부을 누르게 되어 상기 회동지지대(140)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회 동대(150)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고정판(151,152)에 결합된 걸림구(160)는 고정판에서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후측으로 진행하게 되고, 동시에 스토퍼의 고정구(182)는 걸림구의 걸림부(161)의 진행에 의해 밀려 스토퍼몸체의 유동홈(181a) 내부로 수납된 후 재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의 걸림부(161)는 스토퍼의 고정구(182)에 걸림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대(150)가 수직으로 고정된다. 그러면 소머리가 회동대(150)와 세로지지대(130)의 사이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므로 소들이 사료를 먹는 도중 다른 소의 사료칸을 침범하지 못하게 되고 일정한 위치에서 자기의 먹이만을 먹게 된다.
그리고, 자동 목걸이틀에서 소를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봉(160)의 손잡이(163)를 통해 회전시키면 제어봉(170)에 결합된 스토퍼(180)가 상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의 고정구(182)에 걸림된 걸림부(162)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이동될 수 있게 되고 회동대(150)의 상단을 좌측으로 회동시켜 기울어진 상태로 작동시키면, 도 3과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대(150)가 열려진 상태가 된다. 이때, 소는 머리를 회동대(150)와 세로지지대(130)의 사이에서 빼내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소만을 계속적으로 규제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대(150)가 수직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핀(P)을 독립스토퍼의 고정관(192)에 삽입시켜 회동대(150)가 경사진 위치로 작동되지 못하도록 걸림되게 한 다. 그러면, 소들을 목걸이틀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제어봉(170)을 회전시켜 다른 회동대가 열려진 상태가 되더라도 독립스토퍼를 통해 고정된 회동대(150)만은 고정핀(P)에 의해 고정되어 계속적으로 수직상태를 유하게 되므로 치료, 수정등을 위해 출입을 제한하고자 하는 특정 소만은 계속적으로 규제가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소들이 스토퍼에 걸림구가 걸림된 것을 해제시킬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외부에 충격에 의해서도 스토퍼에서 걸림구가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소들이 소목걸이틀에 소를 용이하게 규제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일정한 위치에서 자기의 먹이만을 먹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의 사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구가 이동되면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소가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지 아니하여 성장이 촉진되고, 젖소의 경우에는 우유가 많이 생산되며, 암소의 경우 출산이 원활하고, 상질의 고기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 수정등을 위해 특정한 소만을 자동 목걸이틀에 고정시킬 때, 회동대가 수직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핀을 독립스토퍼의 고정관에 삽입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소가 움직여도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위험성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작동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상기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 걸림구의 구성만이 상이할 뿐 목적, 효과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서로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상하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가로대(110) 및 하부가로대(120)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가로대(110)와 하부가로대(120) 사이에는 세로지지대(130)가 수직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지지대(130) 사이에는 회동지지대(140)가 배치되고, 이 회동지지대(140)의 중앙부분에는 회동대(150)가 시소방식으로 수직 또는 기울어질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대(150)의 상단에는 전방 및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가 로대(110)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한쌍의 고정판(151,152)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대의 고정판(151,152)에는 상기 회동대(150)의 회동에 의해 연동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구(160-1)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가로대(110)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안내구(171)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봉(170)이 설치된다.
구체적이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구(160-1)는 상기 전방 및 후방 고정판(151,152)의 내면에서 각각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슬라이딩고정판(161-1)과, 상기 슬라이딩고정판(161-1)의 내측 중앙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걸림봉(162-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80)는 상기 제어봉(170)에 고정되고 일부분 내측으로 유동홈(181a)이 형성되는 스토퍼몸체(181)와, 상기 제어봉(170)에 끼워지고 내측으로 상하방향 가이드공(182a)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몸체의 유동홈(181a)을 따라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동홈(181a) 내부로 수납되거나 유동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18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180)가 하방향으로 위치해 있을 때, 스토퍼의 고정구(182)는 자중에 의해 스토퍼몸체의 유동홈(181a)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동대(150)가 수직으로 작동될 때, 스토퍼의 고정구(182)는 걸림구의 걸림봉(162-1)의 진행에 의해 밀려 유동홈(181a) 내부로 수납된 후 재배출되어, 걸림구의 걸림봉(162-1)이 스토퍼의 고정구(182)에 걸림되면서 회동대(150)가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봉(162-1)의 외면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부(162a-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봉(162-1)이 고정구(182)에 걸림될 때 금속과 금속이 부딪힐 때 발생되는 금속성의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스토퍼의 고정구(182)는 하단 선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대(150)가 수직으로 고정될 때 걸림구의 걸림부(161)의 진행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은 상기 일 실시예와 마찮가지로 소가 스스로 회동대의 잠금을 해제시켜 회동대를 회동시키거나 충격에 의해 회동대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으며, 목걸이틀을 작동시킬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목걸이틀에 특정한 소만을 고정시키 위해 해당되는 회동대만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할 때 안전성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확대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내지 도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따른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작동도이다.

Claims (7)

  1. 상하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가로대 및 하부가로대와;
    상기 상부가로대와 하부가로대 사이에 수직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기울어지게 설치된 회동지지대와;
    상기 회동지지대의 중앙부분에 시소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에는 전방 및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가로대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한쌍의 고정판이 결합된 회동대와;
    상기 고정판에 상기 회동대의 회동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구와;
    상기 상부가로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면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제어봉으로 구성되어,
    소가 먹이를 먹을 때에는 회동대가 수직으로 작동되는 것과 아울러 상기 걸림구가 고정판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토퍼에 걸려 회동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소가 다 먹은 후에는 스토퍼가 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제어봉이 회전하면서 걸림구의 걸림을 해제시켜 회동대가 경사진 위치로 작동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전방 및 후방 고정판의 외면에서 각각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슬라이딩고정판과, 상기 슬라이딩고정판의 선측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어봉에 고정되고 일부분 내측으로 유동홈이 형성되는 스토퍼몸체와, 상기 제어봉에 끼워지고 내측으로 상하방향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몸체의 유동홈을 따라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동홈 내부로 수납되거나 유동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로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하방향으로 위치해 있을 때, 스토퍼의 고정구는 자중에 의해 스토퍼몸체의 유동홈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동대가 수직으로 작동될 때, 스토퍼의 고정구는 걸림구의 걸림부의 진행에 의해 밀려 유동홈 내부로 수납된 후 재배출되어, 걸림구의 걸림부가 스토퍼의 고정구에 걸림되면서 회동대가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고정구는 하단 선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대가 수직으로 고정될 때 걸림구의 걸림부의 진행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에는 스토퍼의 후측으로 결합되고 전후방향으로 고정핀이 끼워지져 고정되는 고정관이 형성된 독립스토퍼가 설치되어,
    상기 회동대가 수직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핀을 상기 고정관에 삽입시켜 회동대가 경사진 위치로 작동되지 못하도록 걸림되게 하여, 회동대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전방 및 후방 고정판의 내면에서 각각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슬라이딩고정판과, 상기 슬라이딩고정판의 내측 중앙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걸림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어봉에 고정되고 일부분 내측으로 유동홈이 형성되는 스토퍼몸체와, 상기 제어봉에 끼워지고 내측으로 상하방향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몸체의 유동홈을 따라 상하방향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유동홈 내부로 수납되거나 유동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로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하방향으로 위치해 있을 때, 스토퍼의 고정구는 자중에 의해 스토퍼몸체의 유동홈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동대가 수직으로 작동될 때, 스토퍼의 고정구는 걸림구의 걸림봉의 진행에 의해 밀려 유동홈 내부로 수납된 후 재배출되어, 걸림구의 걸림봉이 스토퍼의 고정구에 걸림되면서 회동대가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봉의 외면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고정구는 하단 선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대가 수직으로 고정될 때 걸림구의 걸림봉의 진행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20090015754A 2009-02-25 2009-02-25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102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54A KR101021624B1 (ko) 2009-02-25 2009-02-25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54A KR101021624B1 (ko) 2009-02-25 2009-02-25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724A KR20100096724A (ko) 2010-09-02
KR101021624B1 true KR101021624B1 (ko) 2011-03-17

Family

ID=4300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754A KR101021624B1 (ko) 2009-02-25 2009-02-25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6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823Y1 (ko) * 2014-06-20 2016-03-10 주식회사 정한스틸 내면에 격자무늬 홈을 갖는 우사용 목걸이 틀
KR101682563B1 (ko) 2016-01-14 2016-12-06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210092662A (ko) 2020-01-15 2021-07-26 오영준 소 목걸이틀을 이용한 소 먹이량 관리 방법 및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2143A (zh) * 2017-06-21 2017-10-13 李玉峰 一种奶牛养殖场可控制食槽护栏
KR102462557B1 (ko) * 2020-12-09 2022-11-01 김영철 우사용 목걸이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11B1 (ko) 2006-08-26 2007-05-04 최대식 조립식 가축용 목 고정펜스
KR200441221Y1 (ko) 2007-03-20 2008-07-31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42028Y1 (ko) 2007-04-13 2008-09-30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11B1 (ko) 2006-08-26 2007-05-04 최대식 조립식 가축용 목 고정펜스
KR200441221Y1 (ko) 2007-03-20 2008-07-31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42028Y1 (ko) 2007-04-13 2008-09-30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823Y1 (ko) * 2014-06-20 2016-03-10 주식회사 정한스틸 내면에 격자무늬 홈을 갖는 우사용 목걸이 틀
KR101682563B1 (ko) 2016-01-14 2016-12-06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210092662A (ko) 2020-01-15 2021-07-26 오영준 소 목걸이틀을 이용한 소 먹이량 관리 방법 및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724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624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7584720B1 (en) Canine habitat
KR100770600B1 (ko) 원숭이용 케이지
US20080035655A1 (en) Bucket
KR100714411B1 (ko) 조립식 가축용 목 고정펜스
KR101038200B1 (ko) 실험용 개의 대사 케이지
KR200436214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43984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9468192B2 (en) Animal enclosure
US7784431B2 (en) Animal stanchion with selectively releasable feature
KR101914169B1 (ko)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 제어장치
US6776124B1 (en) Double-release bar for a cow stanchion apparatus
WO2010112031A1 (en) Retention box for domestic animals
US4314528A (en) Cattle stanchion having a simplified self-locking mechanism
EP1346632B1 (en) Rear gate for domestic animal pen
KR20130093952A (ko) 축사용 스탄치온
KR200441221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7246572B1 (en) Livestock management system
KR101682563B1 (ko)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06289Y1 (ko) 도그용 케이지
KR200158968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 틀
KR101051456B1 (ko) 원숭이 사육용 케이지
KR100913563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US2023774A (en) Stable stall
KR100913565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자동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