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557B1 - 우사용 목걸이틀 - Google Patents

우사용 목걸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557B1
KR102462557B1 KR1020200171110A KR20200171110A KR102462557B1 KR 102462557 B1 KR102462557 B1 KR 102462557B1 KR 1020200171110 A KR1020200171110 A KR 1020200171110A KR 20200171110 A KR20200171110 A KR 20200171110A KR 102462557 B1 KR102462557 B1 KR 102462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fixed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1533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102020017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5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by means of grids with or without movable lock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2Neck-bars, e.g. neck coll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부 상부에 구비되는 완충파이프와 수평바에 구비되는 한 쌍의 홀딩블록을 통해 소의 먹이활동을 방해하는 소음이 억제되는 우사용 목걸이틀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평행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양단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프레임 및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되는 회전지지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회전지지대에 구비되는 힌지편, 상기 힌지편에 고정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상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상기 회동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절곡바를 포함하는 회동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직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바와, 상기 힌지편 직상부에 위치하되 수평바 지점에 구비되는 한 쌍의 홀딩블록을 포함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사용 목걸이틀{Stanchion for Cowshed}
본 발명은 우사용 목걸이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동부 상부에 구비되는 완충파이프와 수평바에 구비되는 한 쌍의 홀딩블록을 통해 소의 먹이활동을 방해하는 소음이 억제되는 우사용 목걸이틀에 관한 것이다.
여물통에 투입된 사료를 소들이 자유롭게 먹도록 방치하면, 소들간에 먹이 경쟁이 발생하여 경쟁에 밀린 소의 발육이 불량해질 수 있다.
이에 우사 외곽과 여물통의 경계면에는 소 한마리만이 여물통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단위 목걸이틀이 복수로 병설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목걸이틀의 기본 구성을 아래의 특허문헌 1에 소개된 종래기술을 통해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프레임(110, 120, 130)으로 구획되는 단위 목걸이틀이 병설되고, 각 단위 목걸이틀 내부에는 회동지지대(140)와 회동대(150)가 배치된다.
회동대(150)는 지지판(210)을 통해 회동지지대(14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데, 회동대(150)의 초기 상태는 자중에 의해 기울어져(도 1a) 소의 머리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상부통공(S)이 개구되어 있다.
목걸이틀 전방에 마련된 여물통에 사료가 투입되면 소가 상부통공(S)에 머리를 넣고 사료를 먹고자 고개를 숙이게 되며, 고개를 숙이는 과정에서 회동대(150)를 압박하여 회전시키면 하부통공(S')이 넓어져(도 1b) 사료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이하 회동대의 회전으로 상하 통공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통공조절’이라 하고, 회동대가 수직으로 선 상태를 ‘기립’이라 하며, 기립을 넘어 과회전되는 것을 ‘전도’라 한다)
따라서, 단위 목걸이틀마다 소가 한마리씩 접근하여 사료를 먹게되므로 먹이 경쟁이 방지되어 소들의 고른 발육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소가 먹이활동을 마치고 머리를 빼면 회동대(150)는 자중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초기 기울어진 상태로 복귀하는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잦은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즉, 먹이활동 중에 소는 머리를 수시로 움직이며, 이러한 움직임 과정에서 회동대(150)를 불특정하게 압박, 기립상태에서 압박에 의한 정회전(T)과 압박 해제시 복원력에 의한 역회전(T')이 반복되며(이하 ‘불특정 회동’이라 한다), 이러한 불특정 회동으로 회동지지대(140)와 회동대(150)간 충돌 소음이 수시로 발생하여 소의 먹이활동을 방해한다.
상기 종래기술의 지지판(210)에는 상하고정부(221, 222)가 구비되어 소음발생을 저지하고 있으나, 소음 발원지인 상하고정부(221, 222)가 먹이활동 중인 소와 근거리에 위치하므로 소음을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지지판(210)의 회전축(P)에 인접하여 상하고정부(221, 222)가 배치된 상태에서 초기 기립이나 복귀를 위한 회전(이하 ‘기초 회동’이라 한다) 및 불특정 회동이 반복되면, 지렛대 원리로 인해 상하고정부(221, 222)에 큰 부하가 걸려 쉽게 파손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지지대(140)는 경사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져 있는바, 회동대(150)가 회전할 때 회동대(150)는 회동지지대(140)의 수직부에 걸려 회동대의 전도가 어려운바, 소가 도면상 좌측 방향의 사료를 먹기 어려워지므로 농민은 소가 먹기 힘든 위치에 놓여 있는 사료를 먹을 수 있는 위치로 다시 옮겨줘야 하는 불편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94488호 (2010. 11. 15.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음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소음방지에 관여하는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소의 먹이활동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우사용 목걸이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호 평행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양단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프레임 및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되는 회전지지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회전지지대에 구비되는 힌지편, 상기 힌지편에 고정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상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상기 회동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절곡바를 포함하는 회동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직상부에 구비되되 회동 가능한 수평바와, 상기 힌지편 직상부에 위치하되 수평바 지점에 구비되는 한 쌍의 홀딩블록을 포함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회전지지대가 절곡 구조를 이루며 그 하부측 단부가 수직지지대에 고정되어 회전지지대 하부측과 수직지지대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수직프레임과 회전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되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지지대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슬라이더가 대략 U자 형상으로 제작되되 측면에 제1통공, 제2통공 및 제3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 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 내부에 구비되되 제1통공의 위치에 구비되는 완충파이프 및 제2통공의 위치에 구비되는 구속파이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힌지편의 직상부에 위치하되 상부프레임 지점에 결속관이 구비되고, 회동바의 기립시 상기 결속관과 제3통공이 대응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홀딩블록은 한 쌍의 블록본판, 각 블록본판 상측단에 삽입 배치되는 제동판, 각 블록본판 하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완충판, 및 블록본판 상에 구비되되 수평바를 관통하는 힌지볼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양 홀딩블록은 각각의 완충판이 상호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수평바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볼트는 수평바가 제동판과 완충판 사이를 통과한 상태에서 수평바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에 의하면, 소음 발원지인 완충파이프와 홀딩블록이 소로부터 먼거리에 위치하여 소음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완충파이프와 홀딩블록에 가해지는 부하 또한 경감되므로 우사용 목걸이틀의 작동 신뢰도와 관리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사용 목걸이틀에 의하면, 소가 먹이활동을 할 때 사료를 먹을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짐으로써 농민이 사료를 다시 옮겨줘야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노동 시간이 감축되고 이에 따라 인력 운영의 효율성도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에서 회동대의 초기상태(a)와 기립상태(b)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의 후방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에서 회동바의 초기상태(a), 기립상태(b) 및 전도상태(c)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의 후방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에서 회동바의 초기상태(a), 기립상태(b) 및 전도상태(c)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우사와 여물통 경계면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0), 상기 프레임부(10) 내부에 구비되는 회동부(20), 프레임부(10)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상호 평행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1')과, 양단이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1')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2), 수직지지대(13) 및 보조지지대(14)와, V자 형태의 절곡 구조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수직지지대(13)에 고정되는 회전지지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프레임(12)은 상하부프레임(11, 11') 사이에 복수개가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구비되며, 상하부프레임(11, 11')과 이웃하는 수직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내부공간에 상기 지지대(13, 14, 15) 및 회동부(20)가 구비되어 단위 목걸이틀을 형성한다.
또한, 상하부프레임(11, 1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이웃하는 상하부프레임(11, 11')이나 우사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16)가 구비되며, 상부프레임(11)의 상면에는 후술할 수평바(31)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직편(17) 복수개가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배치된다.
상기 보조지지대(14)는 사육하는 소의 크기에 따라 필요시 소의 머리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12)과 회전지지대(15) 사이에 구비되되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1')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착탈 구조를 위해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1')에 고정된 티클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20)는 회전지지대(15)의 절곡 부위에 구비되는 힌지편(21), 상기 힌지편(21)에 설치되는 회동바(22), 상기 회동바(22)의 상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더(23), 상기 회동바(2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절곡바(27), 및 상기 힌지편(21)의 직상부에 위치하되 상부프레임(11) 지점에 구비되는 결속관(2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편(21)은 절곡 구조로 이루어져 회전지지대(15)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바(22)는 보조지지대(14)와 함께 통공조절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슬라이더(23)는 대략 U자 형상의 절곡판으로 제작되되 측면에 상부로부터 제1통공(24a), 제2통공(24b) 및 제3통공(24c)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 본체(24)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24) 내부에 구비되되 제1통공(24a)의 위치에 구비되는 완충파이프(25) 및 제2통공(24b)의 위치에 구비되는 구속파이프(26)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파이프(25) 및 구속파이프(26)는 슬라이더 본체(24)의 일측 외부에서 볼트를 삽입하고 슬라이더 본체(24)의 타측 외부에서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각각 슬라이더 본체(24)에 결합된다.
상기 구속파이프(26)는 회동바(22)의 회동시 상부프레임(11)에 걸려 그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상부프레임(11)과의 충돌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파이프(25)도 후술하는 홀딩블록(32)과의 접촉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소음 발원지인 완충파이프(25), 구속파이프(26) 및 홀딩블록(32)이 먹이 활동 중인 소로부터 원거리에 있어 소에게 전달되는 충돌 소음 감소효과가 종래기술에 비해 크다.
또한, 지렛대 작용점에 해당하는 힌지편(21)으로부터 완충파이프(25), 구속파이프(26) 및 홀딩블록(32)이 원거리에 위치하므로 충격력에 의한 파손이 억제된다.
한편, 완충파이프(25) 및 구속파이프(26)와 홀딩블록(32)의 완충판(35) 표면에는 소음억제와 파손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탄성 재질의 완충패드가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본체(24)의 바닥부와 구속파이프(26) 사이의 내부 공간에 상부프레임(11)이 통과되도록 하면 회동바(22)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23)가 연동되어 슬라이더(23)는 상부프레임(11) 상을 이동한다.
상기 절곡바(27)는 자중과 기구학적 형상을 통해 회동바(2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절곡바(27)는 기구학적인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바(22)에 대해 도면상 우측방향(x)으로 돌출되는 다중 절곡 구조를 갖는다.
완충파이프(25)와 제3통공(24c) 및 결속관(28)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는 고정부(30)에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30)는 소의 먹이 활동이 완료된 후 우사용 목걸이틀의 모든 회동바(22)가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부프레임(11)의 직상부에 구비되되 회동 가능한 수평바(31)와, 힌지편(21) 직상부에 위치하되 수평바(31) 지점에 구비되는 한 쌍의 홀딩블록(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블록(32)은 슬라이더(23)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각 홀딩블록(32)은 한 쌍의 블록본판(33), 상기 블록본판(33) 중 어느 하나의 상측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동판(34), 상기 각 블록본판(33) 하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완충판(35), 및 상기 블록본판(33) 상에 구비되는 힌지볼트(3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블록본판(33), 제동판(34) 및 완충판(35)은 일체로 제작되고 완충파이프(25)와의 접촉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바(31)가 제동판(34)과 완충판(35) 사이를 통과한 상태에서 힌지볼트(36)가 수평바(31)에 고정되면, 홀딩블록(32b)은 제동판(34)과 완충판(35)이 제약하는 범위(θ)에서 힌지볼트(36)를 중심으로 자유회전하게 되며, 양 홀딩블록(32a, 32b)은 각각의 완충판(35)이 상호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수평바(31)에 고정된다.
이하, 상기 고정부(3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바(37)를 회전시켜 홀딩블록(32)의 블록본판(33)이 지면과 평행한 수평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회동부(20) 회동시 슬라이더(23)가 홀딩블록(3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이 상태를 '고정부의 해제 상태'라 한다).
이때, 핸들바(37)를 회전시킨 후 핀을 수직편(17)과 원판(38)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부의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30)의 해제 상태에서는, 소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22)는 초기상태(a), 기립상태(b) 및 전도상태(c) 중의 어느 한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도상태가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회전지지대(15) 하부측과 회동바(22) 하단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을 회피해야 하므로 상기 회전지지대(15)를 절곡 구조로 제작하고 그 하부측 단부(15a)를 수직지지대(13)에 고정시켜 회전지지대(15) 하부측과 수직지지대(13)가 소정 각도(β)를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회동바(22)의 전도상태가 가능해지므로 소가 먹이활동을 할 때 사료를 먹을 수 있는 하부통공(S')의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그 후, 소의 먹이 활동이 완료되면, 상부통공(S)을 통한 소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회동바(22)를 기립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바, 앞선 고정부(30)의 해제 상태에서 상기 핀을 분리한 뒤 핸들바(37)를 회전시켜 홀딩블록(32)의 블록본판(33)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위치하도록 한다(이 상태를 '고정부의 고정 상태'라 한다).
이때도 핸들바(37)를 회전시킨 후 핀을 수직편(17)과 원판(38)에 형성된 구멍에 다시 삽입하여 고정부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농민이 회동바(22)를 기립시키면 완충파이프(25)가 우측 홀딩블록(32b)을 힌지볼트(36)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면서 양 완충판(35) 사이의 수용공간(K)에 진입하고, 이후 양 제동판(34)의 제약에 의해 수용공간(K)에 머물며 회동바(22)가 기립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회동바(22)는 통공조절 기능 외에도 소의 혈청검사, 수정 및 예방접종(이하 ‘기타작업’이라 한다)이 요구되는 경우 고정부(30)의 고정 상태에서도 소를 개별적으로 일시 고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머리가 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속관(28)과 제3통공(24c)을 일치시키고 여기에 핀을 삽입하면 회동바(22)의 회전이 억제됨으로써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타작업 중에 소머리가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보조지지대(14)와 기립시 회동바(22)와의 거리(이하 '고정폭'이라 한다)는 소머리 크기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앞서 살핀 티클램프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티클램프에 결합된 보조지지대(14)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로부터 고정폭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부통공(S')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추가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슬라이더 본체(24)의 제2통공(24b)을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하여 구속파이프(26)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도 허용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프레임부
11: 상부프레임 12: 수직프레임
13: 수직지지대 14: 보조지지대
15: 회전지지대 16: 플랜지
17: 수직편
20: 회동부
21: 힌지편 22: 회동바
23: 슬라이더 24: 슬라이더 본체
25: 완충파이프 26: 구속파이프
27: 절곡바 28: 결속관
30: 고정부
31: 수평바 32: 홀딩블록
33: 블록본판 34: 제동판
35: 완충판 36: 힌지볼트
37: 핸들바 38: 원판

Claims (7)

  1. 상호 평행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1')과, 양단이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1')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2) 및 수직지지대(13)와, 상기 수직지지대(13)에 고정되는 회전지지대(15)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0);
    상기 회전지지대(15)에 구비되는 힌지편(21), 상기 힌지편(21)에 고정되는 회동바(22), 상기 회동바(22)의 상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더(23), 상기 회동바(2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절곡바(27)를 포함하는 회동부(20); 및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직상부에 구비되되 회동 가능한 수평바(31)와, 상기 힌지편(21) 직상부에 위치하되 수평바(31) 지점에 구비되는 한 쌍의 홀딩블록(32)을 포함하는 고정부(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지지대(15)는 절곡 구조를 이루며 그 하부측 단부(15a)가 수직지지대(13)에 고정되어 회전지지대(15) 하부측과 수직지지대(13)가 소정 각도(β)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2)과 회전지지대(15) 사이에 구비되되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1')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지지대(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23)는 U자 형상으로 제작되되 측면에 제1통공(24a), 제2통공(24b) 및 제3통공(24c)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 본체(24)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24) 내부에 구비되되 제1통공(24a)의 위치에 구비되는 완충파이프(25) 및 제2통공(24b)의 위치에 구비되는 구속파이프(26)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파이프(25) 및 구속파이프(26)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편(21)의 직상부에 위치하되 상부프레임(11) 지점에 결속관(28)이 구비되고, 회동바(22)의 기립시 상기 결속관(28)과 제3통공(24c)을 일치시켜 핀을 삽입하며,
    상기 홀딩블록(32)은 한 쌍의 블록본판(33), 각 블록본판(33) 상측단에 삽입 배치되는 제동판(34), 각 블록본판(33) 하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완충판(35), 및 블록본판(33) 상에 구비되되 수평바(31)를 관통하는 힌지볼트(36)로 이루어지고,
    양 홀딩블록(32)은 각각의 완충판(35)이 상호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수평바(31)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볼트(36)는 수평바(31)가 제동판(34)과 완충판(35) 사이를 통과한 상태에서 수평바(31)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목걸이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71110A 2020-12-09 2020-12-09 우사용 목걸이틀 KR10246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110A KR102462557B1 (ko) 2020-12-09 2020-12-09 우사용 목걸이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110A KR102462557B1 (ko) 2020-12-09 2020-12-09 우사용 목걸이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533A KR20220081533A (ko) 2022-06-16
KR102462557B1 true KR102462557B1 (ko) 2022-11-01

Family

ID=8221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110A KR102462557B1 (ko) 2020-12-09 2020-12-09 우사용 목걸이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5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5027A (en) 1994-12-01 1999-11-02 Dasilveira; John D. Configurable stanchion and method of configuration
KR200443984Y1 (ko) * 2008-09-24 2009-03-31 최대식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EP2218326A1 (fr) 2009-02-16 2010-08-18 Cosnet Barrière du type cornadis, avec moyens de rappel de balancier(s) de contention en position ouverte
KR200465535Y1 (ko) 2009-01-16 2013-02-25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20130164079A1 (en) * 2011-12-23 2013-06-27 Michael Edwards Latching assembly for livestock stanchion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24B1 (ko) * 2009-02-25 2011-03-17 최대식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1096373B1 (ko) * 2009-05-06 2011-12-20 전형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KR100994488B1 (ko) 2010-04-19 2010-11-15 최대식 소음방지 기능을 갖는 우사용 자동목걸이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5027A (en) 1994-12-01 1999-11-02 Dasilveira; John D. Configurable stanchion and method of configuration
KR200443984Y1 (ko) * 2008-09-24 2009-03-31 최대식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65535Y1 (ko) 2009-01-16 2013-02-25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EP2218326A1 (fr) 2009-02-16 2010-08-18 Cosnet Barrière du type cornadis, avec moyens de rappel de balancier(s) de contention en position ouverte
US20130164079A1 (en) * 2011-12-23 2013-06-27 Michael Edwards Latching assembly for livestock stanchion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533A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30753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n Animal from Kicking in a Cattle Chute
US3448725A (en) Milking stall
KR102462557B1 (ko) 우사용 목걸이틀
KR200442028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390064Y1 (ko)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EP2120535B1 (en) A bail element for animal bail apparatus and an animal bail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bail elements
US5899170A (en) Livestock feeder
US20120000433A1 (en) Insert for a gated chute for smaller livestock
KR20130093952A (ko) 축사용 스탄치온
KR101096373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US20030033987A1 (en) Horse feeder
AU3174100A (en) Animal confinement device
US5293834A (en) Hog farrowing crate and pen
US2547426A (en) Stall and manger construction
KR200441221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65535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394509Y1 (ko) 어미돼지가 위치되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돼지용 분만틀
US2587846A (en) Movable feed shield for milker stalls
ATE204703T1 (de) Stall
US3456619A (en) Equipment for facilitating the milking of cows in cowsheds
KR200475592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20130164079A1 (en) Latching assembly for livestock stanchion and methods of use
KR200449997Y1 (ko) 소목걸이틀용 회동대의 고정구조
CZ20031108A3 (cs) Kóje pro domácí zvířectvo, obzvláště prasnice
US3413959A (en) Cattle stanc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