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169B1 -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169B1
KR101914169B1 KR1020180077609A KR20180077609A KR101914169B1 KR 101914169 B1 KR101914169 B1 KR 101914169B1 KR 1020180077609 A KR1020180077609 A KR 1020180077609A KR 20180077609 A KR20180077609 A KR 20180077609A KR 101914169 B1 KR101914169 B1 KR 10191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bar
rod
rot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식
Original Assignee
최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식 filed Critical 최대식
Priority to KR102018007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10Feed racks
    • A01K1/105Movable feed barriers, slides or fe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울타리가 손상되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지정된 시간 이외에 소들의 접근을 제한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축회전 될 수 있도록 일단이 제1 종축 지지봉에 결합되며 타단이 제2 종축 지지봉에 결합되는 주 회전봉과,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모터에 결합되는 감속기와, 일단이 상기 감속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주 회전봉에 결합되어 감속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주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벨트,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주 회전봉에 결합되고, 주 회전봉과 함께 폐곡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주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주 회전봉을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가축의 울타리 접근을 제한하는 보호구를 포함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소들의 울타리 접근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소들의 장난에 의해 울타리가 파손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며, 먹이 공급시간 이외에는 사료통이 설치된 울타리를 향한 분뇨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 제어장치{FENCE ACCESS AUTO-CONTROL APPARATUS FOR HEALTH CONTROL OF COWHOUSE}
본 발명은 소들이 먹이를 먹는 시간 이외에는 울타리로 다가오지 못하도록 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울타리가 손상되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지정된 시간 이외에 소들의 접근을 제한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를 사육하는 우사에는 둘레를 따라 울타리가 쳐져 소들이 휴식할 수 있는 운동장이 마련되고, 이 운동장의 일측 외부에는 사료통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사료통이 설치되는 울타리에는 소가 사료를 먹는 동안 소의 목을 고정하여 소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일정한 위치에서 자기의 먹이만을 먹게 할 수 있는 우사용 목걸이틀이 설치된다.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3565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우사용 목걸이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가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부가로대(10)와 하부가로대(20)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세로지지대(30)가 설치되며, 세로지지대(30)의 사이에는 회동대(50)가 회동지지대(40)에 힌지 결합되어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회동대(50)는 경사지게 작동되었을 때는 소의 목이 소목걸이틀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고, 회동대(50)가 수직으로 작동되었을 때는 소의 목이 소목걸이틀에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다.
또한,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에는 회동대(50)와 세로지지대(3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단은 상부가로대(1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회동대(100)와, 상기 안전회동대(100)의 하단을 걸림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키는 걸림수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회동대(100)의 하단은 소가 쓰러질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걸림수단에서 자동으로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전회동대(100)가 회동된 후 소의 목을 회동대(50)와 안전회동대(100) 사이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걸림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회동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0)와, 상기 하부가로대(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10)과, 일단은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회동가능 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 상단부에는 상기 걸림돌기(110)가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공(221)이 형성되며, 스프링(230)에 의해 일정구간 상하방향으로 탄성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안전작동판(22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우사용 목걸이틀이 설치된 울타리는 소가 사료통에 담겨진 먹이를 먹지 않을 때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호기심이 많은 소가 몸통으로 부딪치면 쉽게 목걸이틀 등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우사용 목걸이틀이 설치된 울타리는 소의 접근에 제한이 없으므로, 소가 접근하여 분뇨를 배출하는 경우 분뇨를 닦아내어 제거하기가 번거롭기 때문에 울타리의 위생관리에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2563호(2016.12.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483호(2013.03.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3565호(2009.08.26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지정된 시간에만 사료통이 설치되는 울타리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울타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사료통이 설치된 울타리 주변의 위생관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우사에 설치된 울타리를 지지하는 제1 종축 지지봉과 제2 종축 지지봉 사이에 배치되고, 그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축회전 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종축 지지봉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종축 지지봉에 결합되는 주 회전봉과, 상기 제1 종축 지지봉 또는 제2 종축 지지봉의 인근에 설치되며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모터에 결합되는 감속기와, 일단이 상기 감속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주 회전봉에 결합되어 감속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주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벨트,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주 회전봉에 결합되고, 주 회전봉과 함께 폐곡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주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주 회전봉을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가축의 울타리 접근을 제한하는 보호구를 포함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소들의 울타리 접근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소들의 장난에 의해 울타리가 파손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먹이 공급시간에만 울타리에 대한 소들의 근접 접근을 허용하므로, 이외의 시간에는 사료통 등 울타리를 향한 분뇨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울타리 주변의 위생관리를 위해 울타리 주변을 청소하는 인력을 줄여줄 수 있으므로, 소들의 사육에 필요한 인건비의 지출을 줄여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울타리에 설치된 사료통을 통해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시간을 자동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소들이 먹이를 과다하게 섭취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존 울타리를 유지한 상태로 울타리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울타리에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사용 목걸이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우사용 목걸이틀에 설치된 안전장치를 발췌해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우사용 목걸이틀에 설치된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열린 상태의 우사용 목걸이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닫힌 상태의 우사용 목걸이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이하,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4는 우사용 목걸이틀에 설치된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는 제1 종축 지지봉(80)과 제2 종축 지지봉(90) 사이에 설치되어 축 회전하는 주 회전봉(10)과,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20)와, 상기 모터(20)에 결합된 감속기(30)와, 상기 감속기(30)와 주 회전봉(10) 사이에 설치된 회전벨트(40), 및 상기 주 회전봉(10)에 결합되어 주 회전봉(1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보호구(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종축 지지봉(80)과 제2 종축 지지봉(90)은 우사에 설치된 울타리를 지지하기 위해 우사의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기존 우사에 제1 종축 지지봉(80)과 제2 종축 지지봉(90)이 미 설치되면,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는 제1 종축 지지봉(80)과 제2 종축 지지봉(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는 주 회전봉(10)을 포함한다.
상기 주 회전봉(10)은 울타리를 지지하는 제1 종축 지지봉(80)과 제2 종축 지지봉(90)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그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축회전 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종축 지지봉(80)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제2 종축 지지봉(90)에 결합된다.
이러한 주 회전봉(10)은 본 발명의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의 중심축의 역할을 수행하며, 감속기(3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0 내지 90°의 범위에서 회동한다. 이때, 주 회전봉(10)은 소의 성장 개월수 및 보호구(50)의 크기에 따라 회전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구(50)의 길이가 사육하는 소의 어깨 높이에 대응되면, 주 회전봉(10)은 90°까지 회전되어 사육하는 소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보호구(50)의 길이가 사육하는 소의 어깨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면, 주 회전봉(10)은 60°까지 회전되어 사육하는 소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주 회전봉(10)은 회전벨트(4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벨트(40)가 접촉되는 부분에 제1 플랜지(12) 및 제2 플랜지(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랜지(12)는 주 회전봉(10)의 말단에 구비되어 회전벨트(40)의 회전이동을 제외한 움직임을 차단하고, 제2 플랜지(14)는 회전벨트(40)의 너비만큼 제1 플랜지(12)로부터 이격되도록 주 회전봉(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벨트(40)의 회전이동을 제외한 움직임을 차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는 모터(2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0)는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구동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데, 모터(20)로는 서보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2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회전축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출력기어가 구비된다.
이러한 모터(20)는 상기 제1 종축 지지봉(80) 또는 제2 종축 지지봉(90)의 인근에 설치되며, 회전벨트(40)의 길이를 줄여줄 수 있도록 주 회전봉(10)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는 모터(20)가 지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모터(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받침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는 지면에 설치되어 모터(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수직받침대(62), 및 상기 수직받침대(62)의 상단에 구비되어 모터(20)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수평받침대(64)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는 감속기(30)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기(30)는 상기 모터(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모터(20)에 결합되는 것으로, 모터(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의 속도를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키고 모터(2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감속비만큼 증폭시켜 회전벨트(40)를 통해 보호구(50)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감속기(30)는 최대 30 내지 90° 정도만 축회전 되어야 하는 주 회전봉(10)이 과회전 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감속기(30)는 울타리에 근접한 초기 위치에 있는 보호구(50)가 주 회전봉(10)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경우, 먹이를 먹던 소들이 보호구(50)의 회전에 따라 뒷걸음질을 통해 울타리로부터 물러설 수 있는 속도로 주 회전봉(10)을 회전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는 회전벨트(4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벨트(40)는 일단이 상기 감속기(30)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주 회전봉(10)에 결합되는 것으로, 감속기(3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주 회전봉(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회전벨트(40)는 주 회전봉(10)에 구비된 제1 플랜지(12)와 제2 플랜지(14) 사이에 안착되도록 주 회전봉(10)에 결합된다.
또한, 회전벨트(40)는 감속기(30)가 정회전 되면 주 회전봉(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감속기(30)가 역회전 되면 주 회전봉(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는 보호구(50)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구(50)는 우사에서 사육되는 소 등의 가축이 울타리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울타리를 향하는 가축의 이동 공간을 차단하는 것으로, 소 등의 가축이 방목된 운동장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울타리와 운동장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구(50)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주 회전봉(10)에 결합되고, 주 회전봉(10)과 함께 폐곡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도 3과 같이 주 회전봉(10)의 회전에 따라 주 회전봉(10)을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가축의 울타리 접근을 제한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50)는 "ㄱ"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주 회전봉(10)에 결합되는 제1 세로바(52)와, "ㄱ"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주 회전봉(10)에 결합되는 제2 세로바(54), 및 상기 제1 세로바(52)의 타단과 제2 세로바(54)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바(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로바(56)는 소 등의 가축에 접촉되더라도 가축의 피부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봉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세로바(52)는 제1 종축 지지봉(80)과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이 축소되게 제1 종축 지지봉(80)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며, 제2 세로바(54)도 제2 종축 지지봉(90)과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이 축소되게 제2 종축 지지봉(90)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로바와 종축 지지봉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이 넓어지면 소의 신체 일부가 끼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는 제어박스(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70)는 소들이 상기 울타리에 접근해 울타리에 설치된 사료통을 통해 먹이를 섭취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20)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 양태로서, 상기 제어박스(70)는 관리자의 수작업을 통해 보호구(5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박스(70)는 가축의 접근을 제한하는 시작 스위치와 가축의 접근을 허용하는 종료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박스(70)는 시작 스위치를 통해 외부의 신호가 입력되면 보호구(50)가 미리 지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모터(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박스(70)는 종료 스위치를 통해 외부의 신호가 입력되면 보호구(50)가 초기 위치로 회전되도록 모터(20)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필요에 따라, 제어박스(70)는 보호구(50)의 위치 조정을 위한 보호구 들림 스위치와 보호구 내림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70)는 보호구 들림 스위치를 통해 외부의 신호가 입력되면, 보호구 들림 스위치가 눌려지는 동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50)의 말단이 점차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모터(20)를 정회전시킨다. 그리고 제어박스(70)는 보호구 내림 스위치를 통해 외부의 신호가 입력되면, 보호구 내림 스위치가 눌려지는 동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50)의 말단이 점차 지면에 가까워지도록 모터(20)를 역회전시킨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상기 제어박스(70)는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자동으로 보호구(5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박스(70)는 가축의 접근을 허용하는 시간 구간을 입력하는 버튼 또는 터치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박스(70)는 가축의 접근을 허용하는 시간이 07~08시, 12~13시, 18~19시로 설정되면, 해당 시간에 가축이 울타리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보호구(50)를 지면과 가까운 초기 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박스(70)는 가축의 접근을 허용하는 시간이 종료되면 가축이 울타리로 접근할 수 없도록 도 6과 같이 보호구(50)를 미리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박스(70)는 미리 지정된 먹이 공급시간에 가축이 울타리를 통해 먹이를 섭취할 수 있도록 먹이 공급시간 동안 상기 보호구(50)가 지면에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상기 모터(20)를 정회전시키고, 상기 먹이 공급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보호구(50)가 지면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모터(20)를 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열린 상태의 우사용 목걸이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8은 닫힌 상태의 우사용 목걸이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한편, 전술한 울타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사용 목걸이틀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가로대(100) 및 하부가로대(200)와, 상기 상부가로대(100)와 하부가로대(200) 사이에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기울어지게 설치된 회동지지대(300)와, 상기 회동지지대(300)에 시소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에는 전방 및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가로대에 끼워져 가이드 되는 한 쌍의 고정판이 결합된 회동대(500), 및 상기 상부가로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간격으로 스토퍼가 구비되어 자체 회전에 따라 회동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어봉(7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로대(100), 하부가로대(200), 회동지지대(300) 등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로대(100)와 하부가로대(20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소의 힘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내구성을 갖는 금속이나 합성수재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가로대(100)와 하부가로대(200)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세로지지대(2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세로지지대(250)는 안정봉이 상부가로대(100)와 하부가로대(200)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부가로대(100)와 하부가로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부가로대(100)는 안전봉(400)과 마주보는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부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관통홀은 안전봉(4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후술하는 상부 케이스의 상부 끼움돌기가 끼움 결합된다.
아울러, 하부가로대(200)는 안전봉(400)과 마주보는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하부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관통홀은 안전봉(4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후술하는 하부 케이스의 하부 끼움돌기가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 끼움돌기는 상부 끼움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회동지지대(300)는 상부가로대(100)와 하부가로대(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로지지대(25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중앙 부분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회동지지대(300)의 절곡부분에는 회동지지대(300)의 하단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보조지지대(31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대(500)는 회동지지대(3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중앙부분에 시소방식으로 수직 또는 기울어질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대(500)는 도 7과 같이 회동지지대(300)에 힌지방식으로 결합되며,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지지대(300)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동대(500)의 상단에는 전방 및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가로대(100)에 끼워져 가이드 되는 고정판이 결합된다. 즉, 회동대(500)가 수직 또는 기울어지게 회동될 때, 상기 고정판은 상부가로대(100)에 끼워져 가이드 되면서 상부가로대(100)를 따라 선측 또는 후측으로 이동된다.
필요에 따라, 회동대(500)의 상부에는 회동대(500)의 회동에 의해 연동되어 제어봉(70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걸림구(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600)는 그 내측에 상부 가로대(100) 및 제어봉(7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림구(600)는 고정판과 슬라이딩 잠금편 및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은 상부 가로대(100) 및 제어봉(700)로부터 회동대(5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한 쌍의 세로판과, 상기 한 쌍의 세로판을 연결하는 가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로판이 회동대(5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즉, 회동대(500)가 회전할 때, 고정판은 상부 가로대(100) 및 제어봉(700)에 끼워져 가이드 되면서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잠금편은 고정판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대(500)의 회전 및 이동과 연동하여 고정판 내측에서 좌우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잠금편은 회동대(500)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고, 슬라이딩 잠금편이 스토퍼(800)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구성에 의해 회동대(500)가 고정되거나 이동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잠금편은 일정한 강도와 경도를 갖는다면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지만,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멍은 고정핀이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잠금편의 일측에 천공된다. 이러한 고정핀은 고정구멍에 삽입 고정되어 회동대(5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대(500)의 잠금상태(즉, 회동대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관리자는 고정핀을 고정구멍에 삽입시켜 회동대(50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구멍 및 고정핀은 소들이 사료를 먹으면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에 가하는 충격으로부터 회동대(50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고정구멍 및 고정핀은 회동대(500)가 보다 안전하게 잠금되도록 하여 목이 빠지지 않는 상태에서 소가 사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가로대(100)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안내구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봉(70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봉(700)의 외면에는 스토퍼(800)가 일정간격 마련되어 걸림구(600)를 걸림시키거나 걸림 해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봉(700)의 단부에는 작업자가 제어봉(70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7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소가 먹이를 먹을 때에는 회동대(500)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이동한다. 이때, 걸림구(600)는 제어봉(700)을 따라 제어봉(700)의 후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스토퍼(800)에 걸려져 제어봉(700)의 선측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결과적으로 회동대(50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소가 먹이를 다 먹은 후에 스토퍼(800)가 제어봉(700)의 측 방향 또는 하 방향에 위치하도록 제어봉(700)이 회전되면, 걸림구(600)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회동대(500)에 외력이 작용하면 회동대(500)가 경사진 위치로 회동된다.
상기 안전봉(400)은 회동지지대(300)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회동지지대(300)와 함께 먹이를 먹기 위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 소의 목을 잡아주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부가로대(100)와 하부가로대(200)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안전봉(400)은 회동지지대(300)와 안전봉(400) 사이에 목이 걸려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질병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갑자기 소가 쓰러진 경우, 관리자에 의해 소의 목을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착탈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안전봉(400)은 관리자가 상부를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전체 길이가 일시적으로 줄어들어 상부가로대(100)와 하부가로대(200) 사이에서 손쉽게 분리될 수 있게 하부 케이스와, 탄성수단, 및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는 보조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모터는 제어봉(700)의 말단에 설치되어 제어박스(70)의 제어에 따라 제어봉(7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제어박스(7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모터(20)는 제어박스(7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지정된 먹이 공급시간에 상기 스토퍼(800)가 회동대(500)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제어봉(700)을 회전시키고, 상기 먹이 공급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스토퍼(800)가 회동대(500)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도록 제어봉(700)을 회전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주 회전봉 20 : 모터
30 : 감속기 40 : 회전벨트
50 : 보호구 52 : 제1 세로바
54 : 제2 세로바 56 : 가로바
62 : 수직받침대 64 : 수평받침대
70 : 제어박스 80 : 제1 종축 지지봉
90 : 제2 종축 지지봉

Claims (6)

  1. 우사에 설치된 울타리를 지지하는 제1 종축 지지봉과 제2 종축 지지봉 사이에 배치되고, 그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축회전 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종축 지지봉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종축 지지봉에 결합되는 주 회전봉;
    상기 제1 종축 지지봉 또는 제2 종축 지지봉의 인근에 설치되며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모터에 결합되는 감속기;
    일단이 상기 감속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주 회전봉에 결합되어 감속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주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벨트;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주 회전봉에 결합되고, 주 회전봉과 함께 폐곡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주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주 회전봉을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가축의 울타리 접근을 제한하는 보호구를 포함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가축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에 상기 울타리를 통해 먹이를 섭취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미리 지정된 먹이 공급시간에 가축이 울타리를 통해 먹이를 섭취할 수 있도록 상기 먹이 공급시간 동안 상기 보호구가 지면에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상기 모터를 정회전시키고,
    상기 먹이 공급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보호구가 지면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는
    상하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가로대 및 하부가로대와, 상기 상부가로대와 하부가로대 사이에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기울어지게 설치된 회동지지대와, 상기 회동지지대에 시소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에는 전방 및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가로대에 끼워져 가이드 되는 고정판이 결합된 회동대, 및 상기 상부가로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간격으로 스토퍼가 구비되어 자체 회전에 따라 회동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어봉이 포함된 우사용 목걸이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의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박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박스의 제어에 따라 미리 지정된 먹이 공급시간에 상기 스토퍼가 회동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제어봉을 회전시키고 상기 먹이 공급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스토퍼가 회동대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도록 제어봉을 회전시키는 보조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ㄱ"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주 회전봉에 결합되는 제1 세로바와,
    "ㄱ"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주 회전봉에 결합되는 제2 세로바, 및
    상기 제1 세로바의 타단과 제2 세로바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제어장치.
KR1020180077609A 2018-07-04 2018-07-04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 제어장치 KR10191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609A KR101914169B1 (ko) 2018-07-04 2018-07-04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609A KR101914169B1 (ko) 2018-07-04 2018-07-04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169B1 true KR101914169B1 (ko) 2018-11-02

Family

ID=6432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609A KR101914169B1 (ko) 2018-07-04 2018-07-04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1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0138A (zh) * 2020-07-29 2020-10-27 西南民族大学 缓减牦牛应激反应和杀灭牦牛体表寄生虫的按摩式牛栏
KR20230013861A (ko) * 2021-07-20 2023-01-27 전경수 축사용 급이장치.
KR102534621B1 (ko) * 2022-07-25 2023-05-26 합자회사 와이에치 축사용 목걸이장치 및 그의 제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12Y1 (ko) 2008-03-27 2010-11-25 최대식 우사용 목걸이틀의 자동 개폐장치
KR101201545B1 (ko) 2012-05-21 2012-11-15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12Y1 (ko) 2008-03-27 2010-11-25 최대식 우사용 목걸이틀의 자동 개폐장치
KR101201545B1 (ko) 2012-05-21 2012-11-15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0138A (zh) * 2020-07-29 2020-10-27 西南民族大学 缓减牦牛应激反应和杀灭牦牛体表寄生虫的按摩式牛栏
KR20230013861A (ko) * 2021-07-20 2023-01-27 전경수 축사용 급이장치.
KR102652043B1 (ko) * 2021-07-20 2024-03-26 전경수 축사용 급이장치.
KR102534621B1 (ko) * 2022-07-25 2023-05-26 합자회사 와이에치 축사용 목걸이장치 및 그의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169B1 (ko) 우사 위생관리용 울타리 자동 접근 제어장치
US5054431A (en) Adjustable animal feeder
US8763555B2 (en) Animal feeder
US5195455A (en) Arrangement for keeping dairy animals clean
US20080178516A1 (en) Humane trap for small animals
US4793290A (en) Pet food protecting device
CA2858568C (en) Self-closing stall for an animal
US4495897A (en) Cattle stanchion apparatus
US3415227A (en) Animal stall and gate means
KR101682563B1 (ko)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390064Y1 (ko)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0443984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4559904A (en) Feeding box
US6209489B1 (en) Swing-out feeder
KR20130093952A (ko) 축사용 스탄치온
EP0257039A1 (en) Installation for pig production
CA2744727A1 (en) An insert for a gated chute for smaller livestock
US3906902A (en) Haystack feeder apparatus for livestock
US5365885A (en) Drop stall
US4505227A (en) Feeder for small pigs
KR200441221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US2023774A (en) Stable stall
US3126866A (en) Shoshichl kubota
US2044312A (en) Combined animal restraining and feeding device
US4455967A (en) Animal fee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