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96Y1 -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 Google Patents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96Y1
KR200494696Y1 KR2020210000681U KR20210000681U KR200494696Y1 KR 200494696 Y1 KR200494696 Y1 KR 200494696Y1 KR 2020210000681 U KR2020210000681 U KR 2020210000681U KR 20210000681 U KR20210000681 U KR 20210000681U KR 200494696 Y1 KR200494696 Y1 KR 200494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upper frame
couple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식
Original Assignee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0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01K1/0356Feeding or drinking devices associated with c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2Neck-bars, e.g. neck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사각형 단면의 상,하부 프레임과 가드프레임이 다수의 지점에서 복합적으로 지지되면서 결합력 및 지지력이 뛰어나, 용접 없이 볼트 체결 및 결합구조의 형상만으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견고함 및 내구성이 대폭 향상되고 시공 및 형태 변경, 유지보수가 탁월한 우사용 목걸이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부에 가로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하부에 가로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 일측에 세로로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 타측에 설치되어 가축의 머리는 통과되되 몸의 통과는 차단하는 다수의 가드프레임;을 포함하되, 가드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기둥부; 기둥부의 일측면 상측과 하측에 연결되고 지지프레임을 향해 절곡되며 상부절곡단 및 하부절곡단이 형성되는 회동지지부; 회동지지부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중심부는 회동지지부의 상부절곡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사이에서 시소 이동하는 회동부; 및 회동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상부프레임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하는 레일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Square Type Framework for Cowshed}
본 고안은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에 관한 것으로서, 우사 내측의 소와 같은 가축들이 우사 외측으로 제공되는 사료를 먹을 때 머리는 통과하되 몸의 통과는 차단하여 머리만 우사 외측으로 내밀어 편안한 상태로 사료를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사용 목걸이틀에 있어서, 우사용 목걸이틀의 펜스 기능을 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사각형 단면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몸의 통과를 차단하는 가드프레임은 상기 사각형 프레임과 다수 지점에서 결합되도록 설계되며 회동부가 사각의 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사 크기 및 현장 상황에 따라 목걸이틀의 간격 배치가 원활하게 가변 설치될 수 있고 사각 단면의 상,하부 프레임과 가드프레임이 다수의 지점에서 복합적으로 지지되면서 결합력 및 지지력이 뛰어나, 용접이 없이 볼트 체결 및 결합구조의 형상만으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견고함 및 내구성이 대폭 향상되고 시공 및 형태 변경, 유지보수가 탁월한 우사용 목걸이틀에 관한 것이다.
우사용 목걸이틀은 우사 내측에 수용된 소와 같은 가축들이 우사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면서 우사 펜스에 인접하여 우사 외측으로 설치된 여물통에 제공된 사료를 먹을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우사를 구획하는 소정 높이의 상단프레임 및 하단프레임이 가로로 설치되어 펜스를 형성하면 상,하단 프레임의 사이로 가축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차단하는 차단프레임이 설치된다.
이때 여물통은 펜스 외측으로 설치되어서 사료의 제공과 교체가 수월할 수 있는데, 소와 같은 가축은 여물통에 사료가 제공되면 사료를 먹기 위해 머리를 내밀고 사료를 취식하므로 우상용 목걸이틀은 소가 편안히 사료를 취식할 수 있도록 머리는 통과시키되 우사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몸은 차단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여물통은 바닥에 낮게 배치되고 사료 또한 바닥에 깔려 제공되므로 소와 같은 가축은 우사 밖으로 머리를 낮게 숙인 후 사료를 먹게 되는데, 짐승의 특성 상 펜스에 머리를 넣을 때는 펜스의 상부에 넣고 나서 펜스 외측으로 통과된 이후에야 고개를 숙여 하부에 위치한 사료를 취식하게 되므로, 소가 머리를 집어넣는 공간은 상부와 하부가 충분히 머리를 수용할 만큼 넓어야 하지만 그만큼 넓은 공간은 소의 다리나 몸의 일부가 외부로 나갈 수 있고 또한 송아지 등 작은 크기의 가축은 외부로 빠져나갈 구멍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현재 사용되는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단프레임 및 하단프레임 사이 공간 중 상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는 차단된 형태로 절곡되는 경사진 구조를 조합하여 제작되고, 소가 상부 공간에 머리를 넣은 후 하부로 고개를 숙이면 차단프레임이 소의 머리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회동하면서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대신 상부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하단 프레임이 원형의 봉 타입으로 제작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차단프레임이 상,하단 프레임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공장에서 제작된 후 현장에 제공되거나 일단 용접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소의 크기 및 마리수, 우사의 크기, 현장 상황 등에 따른 가변적인 설치 및 구조 변경이 어려워 효율적인 우사 관리가 제한되었으며, 또한 소의 무게에 의해 펜스가 부딪힐 때 오히려 원형 단면의 프레임에 용접된 차단프레임은 지지력이 약화된 결과를 보이곤 했다.
게다가 소의 머리가 드나들면서 회동하게 되는 차단프레임은 상,하단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펜스 기능을 하는 상,하단 프레임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게 되니 차단프레임과의 결합면 전체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지지력이 저하되어 소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곤 했으며, 소의 무게와 충격에 대비한 지지수단 및 장치가 부족하여 파손이 잦고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애로가 있었다.
특히 종전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단프레임과 차단프레임이 결합하는 상단부에 별도의 지지부가 구비되지 않아 하단부에 작용하는 소의 충격에 상단부가 제대로 지지하지 못해서 파손되는 일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지속적으로 회동하는 차단프레임은 작은 이동과 충격으로 힌지 부분이 점차 헐거워지면서 파손이 발생하여 지속적으로 용접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거나 결국에는 조기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종래 우사용 목걸이틀에서는 장성한 소를 기준으로 제작되어 신체의 크기가 작은 송아지의 머리 끼임 등 갖은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 또한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사고들은 다양한 빈틈에서 발생하고 있어 그때마다 차단용 바를 용접으로 설치하기 힘든 애로사항이 있다.
이에 따라 상,하단 프레임과 차단프레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이 증대되어 지속적인 소의 충돌에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우사의 상황에 따라 차단프레임의 설치 및 이동조치가 가변적으로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등 시공, 구조변경 및 유지보수가 수월하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펜스 사이 빈틈이 적어 각종 끼임 사고 등을 막을 수 있는 우사용 목걸이틀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5535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우사 내측의 소와 같은 가축들이 우사 외측으로 제공되는 사료를 먹을 때 머리는 통과하되 몸의 통과는 차단하여 머리만 우사 외측으로 내밀어 편안한 상태로 사료를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사용 목걸이틀에 있어서, 우사용 목걸이틀의 펜스 기능을 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사각형 단면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몸의 통과를 차단하는 가드프레임은 상기 사각형 프레임과 다수 지점에서 결합되도록 설계되며 회동부가 사각의 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사 크기 및 현장 상황에 따라 목걸이틀의 간격 배치가 원활하게 가변 설치될 수 있고 사각 단면의 상,하부 프레임과 가드프레임이 다수의 지점에서 복합적으로 지지되면서 결합력 및 지지력이 뛰어나, 용접이 없이 볼트 체결 및 결합구조의 형상만으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견고함 및 내구성이 대폭 향상되고 시공 및 형태 변경, 유지보수가 탁월한 우사용 목걸이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부에 가로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하부에 가로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 일측에 세로로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 타측에 설치되어 가축의 머리는 통과되되 몸의 통과는 차단하는 다수의 가드프레임;을 포함하되, 가드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기둥부; 기둥부의 일측면 상측과 하측에 연결되고 지지프레임을 향해 절곡되며 상부절곡단 및 하부절곡단이 형성되는 회동지지부; 회동지지부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중심부는 회동지지부의 상부절곡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사이에서 시소 이동하는 회동부; 및 회동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상부프레임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하는 레일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프레임은, 상부프레임 상면에 이격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바; 상부프레임 상면 다수 지점에 블록 형성되어 가이드바를 얹고 지지하는 레일블록; 및 기둥부의 연장선에서 상부프레임의 상면으로 직립 결합되는 기둥상단부;를 더 포함하고, 레일지지부는, 상단 양 내측면과 힌지 결합하며 가이드바에 걸친 형상으로 스프링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며,
레일지지부의 내측면은 레일블록의 양 측면부에 밀착되며 지지되고, 가이드바는 상부프레임에 평행하게 기둥상단부를 관통하며 지지되며, 가이드바의 상면에는 레일블록에 대응되는 지점에 차단돌기가 형성되어 걸림편이 차단돌기에 저지되어 이동이 제한되고 가이드바 일단의 손잡이를 회전하면 가이드바가 제자리 회전하면서 차단돌기가 상부 방향과 측방향으로 위치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둥상단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부프레임의 상면을 ㄷ자로 감싸며 결합되는 제1고정부; 및 기둥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프레임의 하면을 ㄷ자로 감싸며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제1고정부는 양 측면부가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제2고정부는 양 측면부가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여,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가 상호 매칭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동부는 회동지지부의 상부절곡단과 힌지 결합하는 시소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시소회전부는, ㄷ자 형상의 바디에 내측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힌지축이 구비되어, 폐쇄된 일측은 상부절곡단에 고정 결합되고 개방된 타측은 회동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동부가 바디 내측 공간에서 소정 각도 시소 회전할 수 있되, 회전 방향 양단으로는 회동부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젖힌 형상으로 절곡된 완충부가 구비되어 회동부의 회전 시 지지 및 충격 흡수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프레임은, 소정 길이의 원통형으로써 상부프레임의 하면을 ㄷ자로 감싸며 결합되고 일측에 장공이 형성되는 제1지지부; 소정 길이의 원통형으로써 하부프레임의 하면을 ㄷ자로 감싸며 결합되고 제1지지부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고 일측에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 및 제1지지부의 상단 내측과 제2지지부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펜스 기능을 하는 상,하부프레임을 사각형 타입으로 설치함으로써 소의 출입을 차단 통제하는 가드프레임의 결합 시 슬라이딩 이동은 원활하게 하면서 프레임의 외주면과 가드프레임의 결합면이 수평하게 밀착되면서 지지면이 증가되어 결합력과 지지력이 향상되어 소의 반복적인 충격에도 파손 우려가 적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둘째, 상부프레임과 가드프레임 회동부의 결합, 상부프레임의 상면 레일블록과 가드프레임의 레일지지부의 결합, 상,하부프레임과 가드프레임의 기둥부 결합,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결합 등 다수의 지점에서 밀착 결합되어 지지력 및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다.
셋째, 상,하부프레임이 사각형 단면의 프레임으로 설치되고 기둥부는 상기 프레임을 ㄷ자 형태로 절곡된 고정부로 감싸며 결합되어 결합력이 증대되면서 동시에 상기 고정부는 볼트 체결로 고정되는 데다가 상호 매칭되는 복수의 고정부는 각각 오목부와 볼록부가 맞춰지는 밀림 방지 구조로 결합되므로, 용접공정 없이 우사의 상황에 따라 본 고안의 목걸이틀의 배치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가변할 수 있으며 용접 시공 이상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넷째, 소의 머리 출입부 외에 별도의 틈새 공간 없이 설계되어 송아지 등 작은 가축의 머리 끼임 등의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다섯째, 회동지지부와 회동부는 시소회전부로 연결되어 회동부가 회전되되, 시소회전부에는 완충부가 구비되어 회동부의 지속적인 회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고 파손을 방지하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섯째, 회동부와 기둥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은 압축스프링이 내장된 형태로 상,하단 프레임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끼워진 후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상,하단 프레임에 밀착 고정되면서 이동 설치가 자유롭고 우사용목걸이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임의 설치할 수 있어 우사용 목걸이틀 펜스를 효율적이며 견고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동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지지부와 레일블록의 작동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회전부의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동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지지부와 레일블록의 작동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회전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회전부의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10)은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지지프레임(300) 및 가드프레임(400)을 포함한다.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10)은 가로로 이어지며 펜스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100) 및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세로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300) 및 가드프레임(400)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00) 및 하부프레임(20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직선으로 곧게 뻗은 프레임으로 상부프레임(100)으로 상부에 가로로 배치되고 하부프레임(200)은 하부에 가로로 배치된다.
하부프레임(200)은 낮은 위치에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콘크리트 구조물이 벽체와 같이 형성되며 해당 구조물 위에 얹힌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100)은 하부프레임(200)의 상부로 이격되어 하부프레임(20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의 공간 일측에는 지지프레임(300)이 세로로 끼움 결합되고 타측에는 가드프레임(400)이 세로로 결합되면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 체결된다.
지지프레임(300)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 일측에 기둥과 같은 일직선의 형태로 고정되고 가드프레임(400)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 타측에 기둥과 가지가 결합되어 넓게 퍼진 형태로 형성되되 가드프레임(400)과 지지프레임(300) 사이로 소의 머리가 통과되고 소의 머리가 승강됨에 따라 공간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소정 범위에서 회동하는 회동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결국 가드프레임(400)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서 소의 출입을 차단하는 펜스의 기능을 하되, 소의 머리가 삽입되고 승강됨에 따라 공간을 열고 닫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가드프레임(400)은 기둥부(410), 회동지지부(420), 회동부(430) 및 레일지지부(4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부프레임(100)에는 가이드바(110)와 레일블록(120)이 포함될 수 있다.
기둥부(410)는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을 세로로 연결한다.
기둥부(410)는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서 상부프레임(100) 및 하부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414)가 구비되고, 상부프레임(100)에는 상기 제2고정부(414)에 대응되는 제1고정부(412)가 매칭되며 결합되고 제1고정부(412) 상부로는 기둥상단부(411)가 기둥부(410)의 연장선상에서 직립 설치되며, 하부프레임(200)에는 상기 제2고정부(414)에 대응되는 제1고정부(412)가 매칭되며 결합된다.
우선 상단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2고정부(414)는 기둥부(41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기둥부(410) 상단부보다 넓게 펼쳐진 형상의 판상으로써 상부프레임(100)의 하면을 ㄷ자로 감싸면서 결합되며, 제1고정부(412)는 제2고정부(414)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부프레임(100)의 상면을 ㄷ자로 감싸며 상부프레임(100)에 결합되며 상호 매칭을 이루어 상부프레임(100)을 둘러싸는 사각형상을 형성하게 되면서 기둥부(410)와 기둥상단부(411)는 마치 기둥부(410)가 상부프레임(100)을 관통하는 듯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고정부(412)의 외표면으로부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면서 제1고정부(412), 상부프레임(100) 및 제2고정부(414)를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관통하면서 체결부재의 선단이 제2고정부(414)의 표면 외측까지 노출이 되면 너트로 체결되면서 체결부재 결합이 완료된다.
결국 기둥부(410)는 상부프레임(100)에 제2고정부(414)를 통해 결합되어지고, 기둥상단부(411)는 제1고정부(412)를 통해 상부프레임(100)에 결합되어지며, 제1고정부(412)와 제2고정부(414)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며 상부프레임(100)에 고정 체결되면서 기둥부(410)와 기둥상단부(411)는 상부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결합이 이뤄지면서 상하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기둥부(410)의 하단부에도 제2고정부(414)가 구비되는데 하부프레임(200)에는 기둥상단부(411)와 같은 돌출 부위가 없으므로, 하부프레임(200)에는 제1고정부(412)가 상기 기둥부(410) 하단부의 제2고정부(414)에 매칭되어 설치되면서, 기둥부(410) 하단부를 하부프레임(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프레임(100) 및 하부프레임(200)의 상면 혹은 하면과 접하는 제1고정부(412)와 제2고정부(414)는 상술한 대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이 이뤄지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측면에서도 제1고정부(412) 및 제2고정부(414)가 고정 결합되는 체결 시공이 이뤄질 수 있다.
즉 제1고정부(412) 및 제2고정부(414)는 각각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상면 및 하면에서부터 ㄷ자로 감싸면서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측면까지 덮게 되는데 제1고정부(412)와 제2고정부(414)가 덮는 양 측면 부위에 볼트,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가 삽입 관통되면서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412)의 양 측면부는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오목부(413)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2고정부(414)의 양 측면부에는 상기 오목부(413)에 대응되면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415)가 구비되면서, 제1고정부(412)와 제2고정부(414)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오목부(413)와 볼록부(415)가 상호 꼭 끼워 맞춰지게 되어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이 번갈아 접하면서 다면 접합이 이뤄지게 된다.
기둥부(410)는 가드프레임(400)을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에 결합시키는 유일한 접합부로서 기둥 역할을 하게 되는데 가드프레임(400)에는 소 등 가축이 사료를 먹기 위해 드나들면서 빈번하게 충격이 가해질 수밖에 없어서, 기둥부(410)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우사용 목걸이틀의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기둥부(410)와 기둥상단부(411)는 제2고정부(414)와 제1고정부(412)가 ㄷ자로 감싸면서 상면, 하면, 측면부 등 4군데에서 체결부재로 결합이 이뤄지게 하여 가드프레임(400)에 가해지는 전방, 후방, 측방향의 힘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되 동시에 제1고정부(412)와 제2고정부(414)가 오목부(413)와 볼록부(415)가 반구형 끼움 결합하게 되므로 가드프레임(400)에 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1고정부(412)와 제2고정부(414)는 오목부(413)와 볼록부(415)의 다수 접합면 매칭 결합구조로 인해 더욱 강하게 지지되며 충격에 대응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420)는 기둥부(410)의 일측면 상측과 하측에 연결되고 지지프레임(300)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기둥부(410)와 회동지지부(420)의 결합상태는 사각형상을 가지게 된다.
회동지지부(420)의 절곡부위는 상부에 위치한 상부절곡단(421)과 하부에 위치한 하부절곡단(42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회동지지부(420)의 상부에서 상부절곡단(421)까지는 하향 경사 형성되고, 상부절곡단(421)에서 하부절곡단(422)까지는 직선으로 기둥부(410)와 평행하게 이어지다가, 하부절곡단(422)에서 기둥부(410) 방향으로는 하부프레임(200)에 평행하게 직선으로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동지지부(420)와 기둥부(4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다수의 봉과 판이 회동지지부(420) 또는 기둥부(410)에 평행하게 부착되면서 틈새공간을 축소시켜 소의 머리나 몸체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회동지지부(420)와 지지프레임(300) 사이 공간에는 회동부(430)가 설치된다.
회동부(430)는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을 잇는 직선형의 봉 형상으로써, 상단부는 상부프레임(100)에 레일지지부(432)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고, 하단부는 하부프레임(200)에 인접하되 결합되지는 않고 분리된 상태이며, 중심부는 회동지지부(420)의 상부절곡단(421)과 시소회전부(431)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회동부(430)는 시소회전부(431)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에서 왕복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는데, 평상시에는 시소회전부(431)에 결합된 상태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면서 시소회전부(431) 결합부위 상부는 회동지지부(420)의 경사 형성부와 나란히 밀접하게 배치되고 시소회전부(431)와 결합된 부위 하부는 지지프레임(300)을 향하면서 상부절곡단(421)과 하부절곡단(422) 사이 구간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회동부(430)의 일측은 회동부(430), 상부프레임(100), 지지프레임(300)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상의 공간으로써 소의 머리가 삽입되는 투입부(A)를 형성하게 되며, 소가 사료를 먹기 위해 고개를 숙이면 회동부(430)의 하부를 밀게 되는데 회동부(430)는 시소회전부(431)에 의해 쉽게 밀리면서 회동부(430)의 하부는 상부절곡단(421)과 하부절곡단(422)에 밀착되며 평행하도록 움직이고 이에 따라 회동부(430) 전체가 직립된 형태로 상,하부프레임(200)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가 이뤄진다.
소의 머리와 목에 접촉된 상태로 측방향으로 밀려 회전된 회동부(430)가 상,하부프레임(200)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부(430)의 하부와 지지프레임(300), 하부프레임(200) 사이에는 사각의 공간인 취식부(B)가 형성되고, 소가 사료를 다 먹은 후 고개를 들면 회동부(430) 하부에 작용하는 힘이 해제되므로 시소회전부(431)에 의해 힌지 회전하면서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회동부(430) 하단은 지지프레임(300)을 향하게 되고 회동부(430) 상부는 회동지지부(420) 상부에 평행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430)는 회동지지부(420)의 상부절곡단(421)에 결합된 상태로 경사진 형태와 직립인 형태를 오가면서 회동이 이뤄질 수 있게 되고, 상기 회전이동은 회동부(430)와 상부절곡단(421)을 연결하는 시소회전부(431)에 의해 이뤄지게 된다.
시소회전부(431)는 ㄷ자 형상의 바디(431a)에 힌지축(431b)과 완충부(431c)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431a)의 ㄷ자 형상으로 폐쇄된 일측은 상부절곡단(421)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개방된 타측은 회동부(430)에 힌지축(431b)으로 결합될 수 있다.
힌지축(431b)은 바디(431a)의 양측부를 가로질러 구비되고 회동부(430)의 중심부에는 힌지축(431b)의 외경에 대응되는 통공을 가진 힌지고리부(미도시)가 돌출 구비되어 힌지축(431b)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힌지축(431b)의 회전에 따라 회동부(430)가 바디(431a) 내측에서 시소와 같이 소정 범위의 회전이동을 할 수 있다.
회동부(430)는 바디(431a)의 내측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시소회전을 하는데 상기 시소회전 방향 양단, 즉 바디(431a)의 상부와 하부로는 완충부(431c)가 구비되어 회동부(430)가 회동될 때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완충부(431c)는 바디(431a)의 폐쇄된 일측에서 연장되어 양측부를 가로막는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데, 상부와 하부에 연장된 선단은 회동부(430)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완만하게 뒤로 젖힌 형상으로 절곡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평상 시 회동부(430)가 회동지지부(420) 상부에 평행하게 경사 배치되면 회동부(430)는 바디(431a) 상부에서 완충부(431c) 상단 오목한 젖힘 부위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되고, 소가 사료를 먹을 때에는 바디(431a) 하부에서 완충부(431c) 하단 젖힘 부위에 회동부(430) 하부가 안착된 상태가 된다.
회동부(43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에로 원형의 단면을 지니는 봉 형상일 수 있으며, 완충부(431c)는 회동부(430)의 표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지니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어서, 회동부(430)가 완충부(431c)에 접촉하게 되면 감싸는 형태로 부드럽게 밀착될 수 있으므로 회동부(430)의 잦은 이동에도 충격 흡수가 원활하여 가드프레임(400)은 물론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10) 전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현저히 감소하여 내구성이 증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또한 소음 발생이 없어 조용한 환경을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회동부(430)의 상단은 상부프레임(100)의 끼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회동부(430)가 지속적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회동부(430)가 상부프레임(100) 및 하부프레임(200)과 평행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를 유지하고, 소가 사료를 먹는 과정에서 우사용 목걸이틀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하게 되는 상황으로부터 내구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프레임(100)은 가이드바(110), 차단돌기(111), 손잡이(112) 및 레일블록(120)을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회동부(430)는 레일지지부(432)와 걸림편(432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바(110)는 상부프레임(100)의 상면에서 이격되어 상부프레임(100)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바(110)는 상부프레임(100)의 상면으로 솟은 기둥상단부(411)의 측면을 관통하며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기둥상단부(411)에는 수평 방향으로 통공이 구비되고 가이드바(110)는 기둥상단부(411)의 상기 통공에 끼워지며 장착되어 기둥상단부(411)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지 않고 회전이 이뤄질 수 있다.
가이드바(110)의 일단에는 손잡이(112)가 구비되어 손잡이(112)를 일방향 혹은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가이드바(110)가 기둥상단부(411)에 끼워진 상태로 제자리 회전을 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00)의 상면 다수 지점에는 육면체 형상으로 블록 형성된 레일블록(120)이 구비될 수 있는데, 가이드바(110)는 레일블록(120)에 얹힌 형상을 하게 되고, 가이드바(110)가 레일블록(120)에 얹힌 부위 상면에는 차단돌기(111)가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112)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가이드바(1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차단돌기(111)가 레일블록(120)의 상면 측방향으로 부딪히며 저지되어 가이드바(110)의 회전이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결국 가이드바(110)는 기둥상단부(411)를 관통하면서 동시에 레일블록(120)에 얹힌 상태로 상부프레임(100)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로 이격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손잡이(112)를 돌려 가이드바(110)를 회전시킬 수 있되 차단돌기(111)가 레일블록(120)에 부딪히면서 소정 범위 이상의 회전은 차단되어 일정 각도 내에서 제자리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레일지지부(432)는 회동부(430)의 상단에서 ㄷ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양 측부의 내측 공간에 상부프레임(100)이 끼워지는 형태가 되고 회동부(430)가 시소회전부(431)의 힌지 회전에 따라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하면 레일지지부(432)는 상부프레임(100)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상부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딩 직선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
레일지지부(432)의 폭은 상부프레임(100)에 대응되는 폭으로 결정되되 슬라이딩이 가능한 수준에서 밀착되며, 레일지지부(432)의 하단, 즉 회동부(430)의 상단은 회동부(430)가 직립했을 때 상부프레임(100)의 하면에 밀접되는 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지지부(432)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이 상부프레임(100)을 밀착하며 단단히 감싸는 형태가 되어 본 고안의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10)에 가해지는 소의 무게와 충격에 대해 지지하는 다수 지점 중 하나의 지지점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레일지지부(432)는 회동부(430) 상단에서 상부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평상 시 회동부(430)가 회동지지부(420)와 평행하게 경사 배치된 상태에서 레일지지부(432)가 기둥부(410)의 상단부에 부딪힐 수 있으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회동부(430)를 회동지지부(420)로부터 이격시켜야 하므로 빈틈이 많이 생성되어 가축의 끼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회동부(430)의 선단은 경사형성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300) 방향으로 상향 경사 절곡되고 레일지지부(432)는 상기 경사 절곡된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평상 시 회동부(430)가 경사 배치되었을 때 회동부(430) 상단과 레일지지부(432)는 직립상태가 되어 상부프레임(100)에 직교하며 결합이 이뤄지고, 가축이 사료를 먹을 때에는 회동부(430)가 직립됨에 따라 회동부(430) 상단과 레일지지부(432)는 지지프레임(3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배치가 이뤄지게 된다.
상기 어느 순간에나 레일지지부(432)는 ㄷ자 프레임의 3개면이 경사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레일지지부(432)에는 상단 양 내측면과 힌지 결합하며 가이드바(110)에 걸친 형상으로 스프링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의 걸림편(432a)이 구비될 수 있다.
레일지지부(432)는 상부프레임(100)에 결합되되 평상시에는 직교 결합되고 가축이 사료를 먹을 때에는 경사 결합된 형태를 지니게 되면서 상부프레임(100)의 소정 구간을 왕복하게 되는데, 걸림편(432a)은 레일지지부(432) 선단과 가이드바(110)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가이드바(110)에 얹힌 형상이므로 평상시에는 레일지지부(432)에 큰 각도로 벌어지면서 가이드바(110)에 얹히게 되고 가축이 사료를 먹을 때에는 레일지지부(432)와 각도 차이가 적어지면서 비스듬히 얹힌 상태가 된다.
가축이 사료를 먹는 순간 레일지지부(432)가 상부프레임(100)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경사 결합된 상태에서 레일지지부(432)가 위치하는 지점의 상부프레임(100) 상면에는 레일블록(120)이 위치할 수 있다.
소 등 가축이 사료를 먹는 순간 취식 행위로 몸이 움직이면서 우사용 목걸이틀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해당 순간에 레일지지부(432)가 위치하는 지점에 레일블록(12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레일지지부(432)는 상부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은 물론 레일블록(120)에까지 지지되면서 지지력이 대폭 향상될 수 있어 내진동성을 확보하여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위치의 가이드바(110)에는 차단돌기(111)가 있는데 걸림편(432a)은 레일블록(120) 방향으로 진행할 때 레일지지부(432)의 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레일지지부(432)의 이동 시 걸림편(432a)이 차단돌기(111)를 그대로 타고 넘어 진행이 저지되지 않으며, 일단 차단돌기(111)를 타고 넘은 후에는 걸림편(432a)이 차단돌기(111)에 걸리게 되어 레일지지부(432)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위치 고정이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소가 취식을 마치고 우사 안으로 들어가면 사용자가 손잡이(112)를 돌려 차단돌기(111)를 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움직여 걸림편(432a)을 걸림을 해소함으로써 회동부(430)를 원위치 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는 차단돌기(111)가 항상 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시켜 놓을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소가 우사용 목걸이틀에 머리를 통과시키고 빠져나오는 행위를 할 때마다 회동부(430)와 레일지지부(432)는 아무 제지 없이 왕복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소가 사료를 먹을 때 편안한 상태를 조성하고자 한다면 일단 레일지지부(432)가 타측단으로 이동된 후에 손잡이(112)를 돌려 차단돌기(111)를 상부 방향을 향하게 하여 걸림편(432a)에 걸리도록 하면서 회동부(4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300)은 기둥부(410)와 달리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에 결합될 때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지 않고 스프링이 내장된 형태로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300)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 빈 공간의 다수 위치에서 장착될 수 있고, 쉽게 위치 이동할 수 있어서 다수 기둥부(410)와 지지프레임(300)을 전부 등간격으로 할 필요 없이 설치 현장의 상황에 맞춰 다양한 간격과 방식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300)은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으로써 제1지지부(310)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2지지부(320)는 하부에 위치하며 상호 소정 길이 범위에서 제1지지부(310)의 하부 내주면과 제2지지부(320)의 상부 외주면이 상호 겹쳐진 형태를 이루면서 하나의 직선형 원통 형상으로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직립하여 장착된다.
제1지지부(310)의 상단은 상부프레임(100)의 하면을 ㄷ자로 감싸며 밀착 결합되며, 제1지지부(310)의 일측에는 제2지지부(320)와 겹쳐지는 구간에 장공(311)이 형성된다.
제2지지부(320)의 하단은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을 ㄷ자로 감싸며 밀착 결합되고, 제2지지부(320)의 일측에서 제1지지부(310)와 겹쳐지는 구간에는 장공(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321)가 구비되어 상기 장공(3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310)의 상단 내측과 제2지지부(320)의 상단 내측 사이에는 압축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서 제2지지부(320)의 상단으로부터 제1지지부(310)를 상부 방향으로 강하게 밀어내게 되는데,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가 겹침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돌기(321)가 장공(311) 하단에 걸리게 되어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의 결합상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의 원활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지지부(310)는 측면 다수 위치에 다수의 장공(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지지부(320)에는 상기 장공(311)에 대응되되록 다수의 고정돌기(32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300)을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장착하려고 하면 제2지지부(320)의 하단을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에 ㄷ자 끼움 결합시키면서 제1지지부(310)를 하부 방향으로 강하게 눌러 상부프레임(100)의 하면 밑으로 들어가게 한 후 제1지지부(310)의 상단을 상부프레임(100)의 하면에 맞춰 배치시킨 후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제1지지부(310)가 압축스프링에 의해 강하게 밀려 올려지면서 상부프레임(100)의 하면에 ㄷ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지지프레임(300)을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서 제거하거나 이동 배치하고자 하면 제1지지부(310)를 하부 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부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간단하고 쉬운 방법을 통해 지지프레임(300)을 이동 배치할 수 있어 필요에 의해 얼마든지 다수 장착하여 빈틈을 없애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10)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부프레임(100)와 하부프레임(200)을 우사의 폭에 맞춰 설치를 한다.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양단은 우사의 양 벽에 콘크리트 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우사를 구획하는 모서리의 기둥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상하 간격은 가드프레임(400)의 크기, 즉 기둥부(410)와 회동지지부(420) 및 회동부(430)의 크기에 맞춰 결정될 수 있으며, 혹은 상부프레임(100)의 높이를 결정한 후 가드프레임(400)을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간격에 맞춰 제작할 수도 있다.
상부프레임(100)을 설치하기 전에 우사의 크기 및 사육하는 소의 마리수 등을 고려하여 목걸이틀을 몇 개 설치할지 결정하게 된다.
펜스처럼 형성된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사이에 설치할 목걸이틀의 개수가 결정되더라도 각 목걸이틀이 반드시 등간격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현장 상황 및 사육 조건에 맞춰 가드프레임(400)과 지지프레임(300)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우선 가드프레임(400)의 기둥부(410) 하단의 제2고정부(414)를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에 ㄷ자 끼움 결합하고 측면부를 볼트로 체결한 후 제2고정부(414)의 볼록부(415)에 오목부(413)가 일치되도록 제1고정부(412)를 하부프레임(200)의 하면에 ㄷ자 끼움 결합시킨 후 측면부를 볼트로 체결하고 이후 기둥부(410) 하단의 제1고정부(412)와 제2고정부(414) 및 하부프레임(200)을 상하로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장착시켜 상호 결합을 완료한다.
이제 다수의 기둥부(410)가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기둥부(410)의 상단 제2고정부(414)의 ㄷ자 홈에 맞춰 상부프레임(100)을 끼움 장착하고, 제2고정부(414)의 볼록부(415)에 제1고정부(412)의 오목부(413)가 대향되도록 기둥상단부(411)를 상부프레임(100)의 상면에 끼움 장착한 뒤 제1고정부(412)와 제2고정부(414) 및 상부프레임(10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체결시키고, 제1고정부(412) 및 제2고정부(414)의 측면에는 나사를 삽입하여 각각 상부프레임(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어 회동부(430)의 위치와 기둥부(410)의 위치에 사이 간격에 맞춰 지지프레임(300)을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장착한다.
지지프레임(300)은 체결부재 혹은 용접 공정 없이 제1지지부(310)를 하부로 잡아당긴 후 제2지지부(320)의 하단을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에 ㄷ자 끼움 결합하고 이어 제1지지부(310)의 상부를 상부프레임(100)의 하면에 ㄷ자로 끼워지도록 배치한 후 잡아당긴 힘을 해제하면 압축스프링의 작용으로 강한 척력이 발생되고 복수의 장공(311)이 복수의 고정돌기(321)에 각각 걸리면서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는 상호 이탈되지 않은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가드프레임(400)은 기둥부(410)의 일측으로 회동지지부(420)와 회동부(430)가 설치되고, 기둥부(410)의 타측으로는 회동지지부(420)와 유사한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며 완만하게 절곡되어 기둥부(410)에 평행한 차단봉(44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300)은 상기 차단봉(440)과 회동부(43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300)의 일측으로는 차단봉(440)에 의해 틈새 공간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프레임(300)의 타측으로는 경사 배치된 회동부(430) 및 상부프레임(100) 사이에서 역삼각형의 투입부(A)를 공간 형성하게 됨으로써 소가 접근하여 목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후 소가 고개를 숙여 여물통에 담겨진 사료를 먹게 되면 회동부(430)는 소의 목에 밀려 힌지 회전되면서 투입부(A)는 회동부(430) 상부에 가려지게 되고 소의 머리가 위치하는 하부에 취식부(B)가 형성된다.
이때 레일지지부(432)는 상부프레임(100)을 따라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뤄지고, 만약 차단돌기(111)가 레일블록(120)의 상면에 직립 배치된 상태였다면 걸림편(432a)이 레일지지부(432)의 이동에 따라 차단돌기(111)를 넘은 후 걸림편(432a)의 기울어진 선단에 차단돌기(111)가 걸리면서 레일지지부(432)는 고정상태가 되고 따라서 회동부(430)가 고정되어 취식부(B) 공간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지지부(432)의 내측면은 레일블록(120)의 양측부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레일지지부(432)의 하단은 상부프레임(100)의 하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면서 소가 사료를 먹는 동안 가드프레임(400) 및 상,하부 프레임에 힘이 계속 가해지더라도 버틸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소가 고개를 들고 우사 안으로 퇴장하면 손잡이(112)를 돌려 가이드바(110)를 회전시켜 차단돌기(111)를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회동부(430)가 원위치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만약 차단돌기(111)가 원래 측방향으로 향해 있었다면 소가 사료를 먹는 동안 회동부(430)는 고정되지 않은 채 소의 몸에 밀려 이동된 상태였다가 소가 퇴장하고 나면 자동으로 원위치 되어 회동부(430)와 회동지지부(420)가 평행하게 경사 배치되고 다시 투입부(A)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동부(430)가 회동하면서 완충부(431c)에 접촉이 되므로 충격 및 소음 흡수까지 이뤄지게 되는 장점을 가지며, 회동부(430) 하단과 회동지지부(420)의 하부절곡단(422) 사이 공간으로는 송아지 등 어린 가축의 목이 끼이거나 신체 일부가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가림판 혹은 가림바가 추가로 설치되어 안전사고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10)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이 사각형의 단면을 지니게 됨으로써 결합 지지력을 다양한 지점에서 확보할 수 있게 되는데, 기둥부(410)와 기둥상단부(411)는 제1고정부(412) 및 제2고정부(414)가 사각의 프레임을 ㄷ자로 감싸면서 결합된 후 상면, 하면, 측면 등 복수의 위치에서 체결이 이뤄지고 동시에 오목부(413)와 고정부가 양 측부에서 맞춤 결합되면서 밀리지 않는 지지력을 확보하고, 회동부(430)는 레일지지부(432)가 상부프레임(100)에 ㄷ자 결합된 상태로 내측면 및 하단부가 밀착되어 지지가 이뤄지고,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소의 취식 동작 중에는 레일지지부(432)는 레일블록(120)에 추가로 지지되어 힘을 받게 되면서 모두 20군데 이상의 지점에서 동시에 지지가 이뤄지게 되어 내구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게다가 가드프레임(400)을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에 장착할 때는 상,하부 각각 1개 지점에서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결합이 이뤄지게 되어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반면 종래 발명 혹은 고안에서는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가드 역할을 하는 프레임 장착 시 용접을 이용하고 지지력 확보를 위해서 다수 지점에 설치하면서 다수의 용접이 이뤄지게 되어 한 번 시공이 이뤄지면 유지보수가 어렵고 일단 공장에서 제작된 후 현장에 보급되어 설치가 이뤄지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다양한 현장 상황에 따른 맞춤식 시공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본 고안의 장점은 결국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을 사각형 단면의 프레임을 사용하면서 얻게 되는 특징으로서 다양한 지지점을 확보하도록 설계되어 견고하고 내구성이 높음과 동시에 시공 설치와 구조 변경 등 유지보수가 편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100 : 상부프레임
110 : 가이드바
111 : 차단돌기
112 : 손잡이
120 : 레일블록
200 : 하부프레임
300 : 지지프레임
310 : 제1지지부
311 : 장공
320 : 제2지지부
321 : 고정돌기
400 : 가드프레임
410 : 기둥부
411 : 기둥상단부
412 : 제1고정부
413 : 오목부
414 : 제2고정부
415 : 볼록부
420 : 회동지지부
421 : 상부절곡단
422 : 하부절곡단
430 : 회동부
431 : 시소회전부
431a : 바디
431b : 힌지축
431c : 완충부
432 : 레일지지부
432a : 걸림편
440 : 차단봉
A : 투입부
B : 취식부

Claims (5)

  1.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부에 가로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하부에 가로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 일측에 세로로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 타측에 설치되어 가축의 머리는 통과되되 몸의 통과는 차단하는 다수의 가드프레임;을 포함하되,
    가드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기둥부;
    기둥부의 일측면 상측과 하측에 연결되고 지지프레임을 향해 절곡되며 상부절곡단 및 하부절곡단이 형성되는 회동지지부;
    회동지지부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중심부는 회동지지부의 상부절곡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사이에서 시소 이동하는 회동부; 및
    회동부의 상단에서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연장되며 양 측부의 내측 공간에 사각형 단면의 상부프레임이 끼움 밀착되며 감싸는 형태로 지지되면서 상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하는 레일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부프레임은,
    상부프레임 상면에 이격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바;
    상부프레임 상면 다수 지점에 블록 형성되어 가이드바를 얹고 지지하는 레일블록;
    가이드바의 레일블록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차단돌기; 및
    기둥부의 연장선에서 상부프레임의 상면으로 직립 결합되는 기둥상단부;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바는 양단이 기둥상단부를 관통하고 중앙부는 레일블록에 얹힌 상태로 다수의 지점에서 상부프레임과 결합되면서 상부프레임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레일지지부는,
    상단 양 내측면과 힌지 결합하며 레일지지부 선단과 가이드바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가이드바에 걸친 형상으로 스프링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고,
    걸림편은 레일지지부의 경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레일지지부가 일 방향으로 이동 시 걸림편이 차단돌기를 타고 넘어 진행이 저지되지 않고, 차단돌기를 넘어간 후에는 걸림편이 차단돌기에 걸려 레일지지부가 타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위치를 고정하며,
    걸림편이 차단돌기에 걸리면 레일지지부는 양 내측면이 레일블록의 양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지지되고,
    회동부는 상부절곡단과 힌지 결합하며 회동부와 상부절곡단을 연결하는 시소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시소회전부는,
    ㄷ자 형상으로 폐쇄된 일측은 상부절곡단에 결합되고 개방된 타측은 회동부에 결합되는 바디;
    바디의 내측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회동부에 끼움 결합되는 힌지축; 및
    바디의 폐쇄된 일측에서 연장되어 양 측부를 가로막는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회동부가 회동될 때 지지하는 복수의 완충부;를 더 포함하되,
    완충부는,
    회동부의 표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지니도록 완만하게 뒤로 젖힌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회동부의 회동 시 완충부에 접촉하게 되면 감싸는 형태로 부드럽게 밀착되어 충격이 흡수되고 소음이 감소하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바의 일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가이드바가 기둥상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되 차단돌기가 레일블록에 부딪히면서 소정 범위 이상의 회전은 차단되어 가이드바가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3. 제1항에 있어서,
    기둥상단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부프레임의 상면을 ㄷ자로 감싸며 결합되는 제1고정부; 및
    기둥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프레임의 하면을 ㄷ자로 감싸며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제1고정부는 양 측면부가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제2고정부는 양 측면부가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며,
    제2고정부의 볼록부에 제1고정부의 오목부가 대향되도록 기둥상단부를 상부프레임의 상면에 끼움 장착한 뒤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상부프레임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체결시키고,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의 측면에는 나사가 삽입되어 각각 상부프레임에 결합시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기둥부 및 기둥상단부의 사각형 단면 프레임을 ㄷ자로 감싸면서 결합된 후 상면, 하면, 측면 등 복수의 위치에서 체결이 이뤄져 다수 지점에서 동시 지지가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은,
    소정 길이의 원통형으로써 상부프레임의 하면을 ㄷ자로 감싸며 결합되고 일측에 장공이 형성되는 제1지지부;
    소정 길이의 원통형으로써 하부프레임의 하면을 ㄷ자로 감싸며 결합되고 제1지지부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고 일측에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 및
    제1지지부의 상단 내측과 제2지지부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KR2020210000681U 2021-03-04 2021-03-04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KR200494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81U KR200494696Y1 (ko) 2021-03-04 2021-03-04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81U KR200494696Y1 (ko) 2021-03-04 2021-03-04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696Y1 true KR200494696Y1 (ko) 2021-12-02

Family

ID=7889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681U KR200494696Y1 (ko) 2021-03-04 2021-03-04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96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11B1 (ko) * 2006-08-26 2007-05-04 최대식 조립식 가축용 목 고정펜스
KR20120104893A (ko) * 2011-03-14 2012-09-24 진옥섭 회전제한 및 잠금 구조를 갖춘 축사용 자동목걸이틀
KR200465535Y1 (ko) 2009-01-16 2013-02-25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1245483B1 (ko) * 2012-11-13 2013-03-20 최대식 목을 위한 카우브러쉬가 구비된 우사용 목걸이틀
KR20130093952A (ko) * 2012-02-15 2013-08-23 김기보 축사용 스탄치온
KR101682563B1 (ko) * 2016-01-14 2016-12-06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2055374B1 (ko) * 2019-08-16 2019-12-12 한금수 우사용 목걸이틀
KR20200000057U (ko) * 2018-06-29 2020-01-08 장동주 안전성이 향상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 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11B1 (ko) * 2006-08-26 2007-05-04 최대식 조립식 가축용 목 고정펜스
KR200465535Y1 (ko) 2009-01-16 2013-02-25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120104893A (ko) * 2011-03-14 2012-09-24 진옥섭 회전제한 및 잠금 구조를 갖춘 축사용 자동목걸이틀
KR20130093952A (ko) * 2012-02-15 2013-08-23 김기보 축사용 스탄치온
KR101245483B1 (ko) * 2012-11-13 2013-03-20 최대식 목을 위한 카우브러쉬가 구비된 우사용 목걸이틀
KR101682563B1 (ko) * 2016-01-14 2016-12-06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20200000057U (ko) * 2018-06-29 2020-01-08 장동주 안전성이 향상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 틀
KR102055374B1 (ko) * 2019-08-16 2019-12-12 한금수 우사용 목걸이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0832B2 (en) Tri-truss self-closing gate
US5143354A (en) Animal retentive fence attachment
KR200494696Y1 (ko)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KR101272313B1 (ko) 회전제한 및 잠금 구조를 갖춘 축사용 자동목걸이틀
US4708515A (en) Stock barrier
US5267724A (en) Fencing apparatus for containing cats
US3806095A (en) Ascension barricade for chain link fence structures
US5036799A (en) Horse feeding rack and method
CA2455423A1 (en) Cage for transporting poultry
US5419537A (en) Pop-up stock guard
KR20130093952A (ko) 축사용 스탄치온
KR200442028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EP2120535B1 (en) A bail element for animal bail apparatus and an animal bail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bail elements
US20120000433A1 (en) Insert for a gated chute for smaller livestock
US20170009525A1 (en) Wildlife access fence and gat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NZ219010A (en) Fencing system: plastics web with wire strands slidably strung between posts
KR101096373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EP0838151B1 (en) Feeding fence
KR100789927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의 소음방지구
KR200491551Y1 (ko) 안전성이 향상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 틀
KR102400443B1 (ko) 동물포획용 조립식게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랩
JP7039017B2 (ja) 柵における扉取付構造
NZ504404A (en) A half gate assembly characterised in a pivot system enabling either half a barrier to be present in the raceway or both barriers being out of the way of incoming livestock in the open position
US9113611B1 (en) Animal release chute apparatus
NZ589338A (en) Resilient animal stall partition pipe b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