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374B1 - 우사용 목걸이틀 - Google Patents
우사용 목걸이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5374B1 KR102055374B1 KR1020190100145A KR20190100145A KR102055374B1 KR 102055374 B1 KR102055374 B1 KR 102055374B1 KR 1020190100145 A KR1020190100145 A KR 1020190100145A KR 20190100145 A KR20190100145 A KR 20190100145A KR 102055374 B1 KR102055374 B1 KR 1020553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astening
- passage
- frame
- cap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18 DNA micro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7212 Foot-and-Mouth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10198 Foot-and-mouth disease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20 fer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49 immu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53 immu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55 vacc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by means of grids with or without movable locking ba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10—Feed racks
- A01K1/105—Movable feed barriers, slides or fen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은, 하부가로대; 상기 하부가로대의 상부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주걸쇄가 형성되는 상부가로대; 상기 상부가로대 및 상기 하부가로대 사이에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기울어지게 설된 회동지지대; 및 상기 회동지지대에 시소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에는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주 걸쇄에 다단으로 체결되는 주 체결핀이 설치된 회동봉;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사용 목걸이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용 펜스에 장착되어 가축의 목을 자동으로 고정시키는 목걸이틀에 관한 것이다.
우사용 자동목걸이틀은 소가 사료를 먹을 때 소의 목을 좌우에서 고정시켜 행동반경을 제한시킴으로써 인접하는 다른 소의 사료를 침범하지 못하도록 강제하여 적정량의 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우사 내의 다수의 소를 균형있게 발육시키기 위한 용도 외에도, 번식수정, 각종 검사, 구제역 예방 접종시 가축을 용이하게 통제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우사용 자동목걸이틀에 관하여 공개실용신안공보 1998-0006185를 참조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게이트의 일측에 경사진 상태에서 수직으로 회전되는 회동봉을 설치하여 소가 목을 내밀게 될 경우, 이 회동봉이 소의 목에 의하여 수직으로 회전하여 고정되면서 게이트의 폭을 좁게 하도록 함으로써, 게이트의 간격이 좁아져 인접한 소끼리 먹이다툼을 하게 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축사용 목걸이틀은 회동봉이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하부가 회동지지대와 충돌하거나, 급식 종료후 작업자 조작에 의해 회동봉이 경사지게 움직이면서 회동지지대 상부와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가축이 스트레스를 받아 성장에 영향을 받고, 육질이 나빠지거나, 젖소의 경우 우유 생산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목걸이틀은 잠금장치 등을 소가 뿔로 밀어내어 임의로 회동봉이 조작됨으로써 축사용 자동목걸이틀의 효과가 반감될 뿐만 아니라, 소의 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여러 개의 회동봉을 일시에 고정시키거나 풀어주는 것은 가능하지만, 어느 특정한 소만 고정시킨 후 나머지는 풀어줄 필요가 있는 경우, 즉 예방접종이나 검진 등을 위하여 선택된 소만 잡아놓아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회동봉을 개별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소목걸이틀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하며, 특성 소목걸이틀만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소를 사육하는 작업의 효율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사용 목걸이틀을 제공한다.
또한, 목걸이틀의 개폐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사용 목걸이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은, 하부가로대; 상기 하부가로대의 상부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주걸쇄가 형성되는 상부가로대; 상기 상부가로대 및 상기 하부가로대 사이에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기울어지게 설된 회동지지대; 및 상기 회동지지대에 시소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에는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주 걸쇄에 다단으로 체결되는 주 체결핀이 설치된 회동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주 걸쇄를 관통하여 회동되는 가로유동축에 형성되되, 상기 주 걸쇄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보조 걸쇄; 및 상기 주 걸쇄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걸쇄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주 체결핀이 분리됨을 방지하는 보조 체결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유동축의 단부에는 "ㄴ"자 형상의 걸림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손잡이부의 상측에는 실린더하우징과 단부에 걸림후크가 형성된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지는 공압실린더가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하우징은 일단이 상기 세로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걸림후크에는 상기 걸림손잡이부가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걸림되거나, 공압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면서 상기 걸림손잡이부를 하방향으로 밀어 걸림후크에서 상기 걸림손잡이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회동봉 및 상기 회동봉과 마주보는 세로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회동봉에 설치된 상기 주 체결핀의 회동과, 상기 공압 실린더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동봉 및 상기 세로지지대 사이에 소가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감지된 위치에 대응되는 주 체결핀만을 독립적으로 구동시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을 출입하는 소의 평균 목둘레 길이를 추정하고, 추정된 평균 목둘레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회동봉 및 상기 세로지지대 사이로 소가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주 체결핀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 마다 설치된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조명 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회동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봉의 회동 각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회동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손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이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삽입 깊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의 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상부 본체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체결 돌기; 및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안착홈을 따라 하강하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외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설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체결 돌기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벽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 통로;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통로는, 상기 제1 수평 통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던 상기 체결 돌기가 하강된 후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강 통로; 상기 하강 통로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하강 통로로 노출된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홈에 삽입된 후단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 상기 탄성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하강 통로의 하측 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경사면이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다시 노출되어 전단 하측면으로 상기 체결 돌기의 상측을 체결하는 체결구; 및 상기 하강 통로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하강 통로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체결 돌기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파손 방지부는, 상기 회동지지대에 설치되는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회동봉을 지지하는 상부캡; 및 상기 하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캡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캡 본체, 및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캡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캡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4 개의 기둥모듈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태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하부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기둥모듈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의 일측 평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의 다른 일측 평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슬라이딩 돌기; 상기 모듈 본체의 다른 일측 평면에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의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홈; 상기 모듈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안착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 및 상기 모듈 본체의 상측에 안착된 상기 상부캡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돌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은, 상기 하부 안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탄성체가 하측면에 설치되는 지지 원판; 및 상기 하부 안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된 상기 기둥모듈을 상기 하부 안착홈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측면의 각 사방에 바퀴가 설치되는 회전 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회동지지대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봉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특정 회동봉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개별 가축의 구속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의 크기에 따라 회동봉별로 회동 각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가축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회동봉의 회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의 개략적인 구성이외장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우사용 목걸이틀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 및 그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부 및 파손방지부가 우사용 목걸이틀에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높이 조절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6의 파손방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우사용 목걸이틀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 및 그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부 및 파손방지부가 우사용 목걸이틀에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높이 조절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6의 파손방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의 개략적인 구성이외장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1)은, 일정 간격마다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12)와, 세로지지대(12)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가로대(14) 및 하부가로대(16)로 구성되는 축사울타리가 구비되고, 소정 거리 이격된 세로지지대(12) 사이로 일정 각도 절곡된 회동지지대(30)와, 회동지지대(30)와 힌지 결합하여 시소 운동하도록 구비된 회동봉(2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동봉(20)이 수직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고정해주는 주 걸쇄(41) 및 주 체결핀(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봉(20)은 상단과 하단의 일정부분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하측꺽임부는 가축이 머리를 들이밀었을 때 다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회동봉(20)이 수직상태에 있거나 경사상태에 있을 때 회동지지대(30)와의 빈 공간으로 다른 가축이 머리를 들이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상부보조막이(24)와 하부보조막이(2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봉(20) 상단은 상부가로대(14)와 주 걸쇄를 관통하여 회동되는 가로유동축(18)을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회동봉(20)에는 회동중심구(22)가 뚫려있고 힌지부(H) 외측에서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시소운동이 가능하다. 보다 원활한 회전 및 소음방지를 위해서 베어링 등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봉(20)이 수직상태에 있고, 회동봉(20) 상부에 형성된 주 체결핀(42)에 형성된 체결홈이 상부가로대(14)에 형성된 주 걸쇄(41)에 끼워져 있으면 개별적으로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즉, 회동봉(20)이 회동지지대(30)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에서 소 등의 가축이 회동봉(20)과 인접한 세로지지대(12) 사이를 머리로 들이밀 수 있으며, 이후 회동봉(20)을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위치시키면 가축의 목 부분이 채워지고, 주 걸쇄(41)에 주 체결핀(42)을 체결하면 잠금 상태가 유지되어 소의 목을 좌우에서 고정시켜 행동반경을 제한시킴으로써 인접하는 다른 소의 사료를 침범하지 못하도록 강제하여 적정량의 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사용 목걸이틀의 기본적인 구조 및 동작 원리는 다수의 선행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설명되지 않은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에 구비된 주 체결핀(42)에는 다수의 체결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결홈의 체결 위치에 따라 회동봉(20)이 고정되는 각도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른 기능 및 효과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에 보조 걸쇄(51) 및 보조 체결핀(5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조 걸쇄(51)는 주 걸쇄(41)를 관통하여 회동되는 가로유동축(18)에 형성되되, 상기 주 걸쇄(4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체결핀(52)은 상기 주 걸쇄(41)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주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홈을 통해 보조 걸쇄(5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주 체결핀(42)이 소의 움직임에 의해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은 회동봉(20)의 수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2중 잠금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조 체결핀(52)에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 체결핀(42)과 같이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5387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유동축의 단부에는 "ㄴ"자 형상의 걸림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손잡이부의 상측에는 실린더하우징과 단부에 걸림후크가 형성된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지는 공압실린더가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하우징은 일단이 상기 세로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걸림후크에는 상기 걸림손잡이부가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걸림되거나, 공압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면서 상기 걸림손잡이부를 하방향으로 밀어 걸림후크에서 상기 걸림손잡이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 및 그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에 복수의 감지 센서(S1~S6)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S1~S6)는 회동봉(20) 및 상기 회동봉(20)과 마주보는 세로지지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감지 센서는 마주는 감지 센서와 그루핑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그룹은 제1 감지 센서(S1)와 제1 감지 센서(S1)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감지 센서(S2)로 구성되고, 제2 그룹은 제3 감지 센서(S3)와 제3 감지 센서(S3)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4 감지 센서(S4)로 구성되며, 제3 그룹은 제5 감지 센서(S5)와 제5 감지 센서(S5)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6 감지 센서(S6)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그룹에 포함된 한 쌍의 감지 센서들은 설치된 높이에서 물체가 통과하는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물체와의 이격 거리에 대한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회동봉(20)에 설치된 상기 주 체결핀(42)의 회동과, 가로유동축(18)을 축 회전시키는 공압 실린더를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공압 실린더에 공압이 가해지도록 제어하여 가로유동축(18)을 회전시킴으로써 모든 우사용 목걸이틀의 회동봉(20)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주 체결핀(42)에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경우, 주 체결핀(42)이 주 걸쇄(41) 쪽으로 회전하여 체결핀에 형성된 체결홈이 끼워짐에 따라 특정 회동봉(20)만을 개폐시켜 가축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부는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동봉 및 상기 세로지지대 사이에 소가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감지된 위치에 대응되는 주 체결핀(42)만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을 출입하는 소의 평균 목둘레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추정된 평균 목둘레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회동봉(20) 및 상기 세로지지대(12) 사이로 소가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가로유동축(18)을 회전시켜 회동봉(20)이 기울어지는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측정된 목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는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의 크기별로 각각의 목걸이틀의 개방 너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는, 회동봉(20)마다 구비되는 RFID 통신 모듈이 소의 내부에 삽입된 바이오칩의 접근을 감지하면 바이오칩으로부터 수시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생체 정보(소의 연령, 무게, 크기, 성별 등)에 기초하여 잠금 상태에서의 회동봉(20)과 세로지지대(12) 간의 이격 너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소의 무게와 목둘레에 대한 상관표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신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목둘레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추정된 목둘레 길이에 기초하여 잠금 상태에서의 회동봉(20)과 세로지지대(12) 간의 이격 너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에 따라 각각의 회동봉(20)의 회동 각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가축 맞춤형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주 체결핀(42)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주 체결핀(42)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 마다 설치된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조명 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체결홈 중 어느 체결홈에 걸쇄가 체결되었는지를 어두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회동봉(20)의 자동 제어 과정에서 회동봉(20)이 특정 각도로 형성되었을 때 주 체결핀(42)의 체결홈과 주 걸쇄(41)의 위치가 상이하여 체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회동 지지대(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봉(20)의 회동 각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500) 및 상기 회동지지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손방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500)는, 회동 지지대(30)에 설치되어 회동봉(20)을 지지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봉(2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단으로 조절된다.
즉, 높이 조절부(500)는, 후술하는 하부 프레임(520)에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510)의 깊이를 조절함에 따라 지지높이를 t1, t2 또는 t3(t1 > t2 > t3)로 조절함으로써 회동봉(20)의 회동 각도를 다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500)는, 상부 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2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5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프레임(520)의 안착홈(530)에 다단으로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510)은, 상부 본체(511), 체결 돌기(512) 및 걸림턱(513)을 포함한다.
상부 본체(51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홈(530)에 삽입되며,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체결 돌기(512)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부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513)이 연장 형성된다.
체결 돌기(512)는, 상부 본체(51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안착홈(530)의 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부 본체(511)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걸림턱(513)은, 상부 본체(511)가 안착홈(530)을 따라 하강하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도 10의 (c)의 경우) 상부 본체(511)의 상부 외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520)은, 수평 프레임(25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부 프레임(5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510)의 하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530)이 상부에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착홈(530)에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510)의 삽입 깊이가 다단(도 10의 (a), (b) 또는 (c)의 경우)으로 조절된다.
도 8은 도 7의 하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520)은, 수직 통로(521), 제1 수평 통로(522), 제1 체결 통로(523), 제2 수평 통로(524) 및 제2 체결 통로(525)를 포함한다.
수직 통로(521)는, 체결 돌기(512)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착홈(530)의 벽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제1 수평 통로(522)가 연장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제2 수평 통로(524)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수평 통로(522)는, 체결 돌기(512)가 수직 통로(521)를 따라 하강하다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521)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제1 체결 통로(523)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체결 통로(523)는, 체결 돌기(5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522)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 통로(523)는, 하강 통로(5231), 체결구(5232) 및 탄성 지지판(5235)을 포함한다.
하강 통로(5231)는, 제1 수평 통로(522)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던 체결 돌기(512)가 하강된 후 하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522)의 말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체결구(5232)는, 하강 통로(5231)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5233)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5231)로 노출된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설치홈(52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설치홈(5233)에 삽입된 후단이 탄성체(5234)에 의해 지지되어 체결 돌기(512)가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 탄성체(5234) 방향으로 이동된 후(도 9의 (a)의 경우) 체결 돌기(512)가 경사면을 통과하여 하강 통로(5231)의 하측 공간에 안착되면 탄성체(5234)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이 설치홈(5233)으로부터 다시 노출되어 전단 하측면으로 체결 돌기(512)의 상측을 체결(도 9의 (b)의 경우)한다.
탄성 지지판(5235)은, 하강 통로(523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5231)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탄성체(5236)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체결 돌기(51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수평 통로(524)는, 체결 돌기(51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521)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체결 통로(525)는, 체결 돌기(5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수평 통로(524)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수평 통로(524)와 제2 체결 통로(525)는, 제1 수평 통로(522)와 제1 체결 통로(52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체결 돌기(512)가 제1 체결 통로(523)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가 t1이 되고, 체결 돌기(512)가 제2 체결 통로(525)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가 t2이 됨에 따라 지지 높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도 6의 파손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파손방지부(400)는, 회동 지지대(30)에 설치되어 회동봉(20)을 지지하며, 회동봉(20)의 움직임 과정에서 회동 지지대(3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부(500)의 높이 변화 과정에서 회동봉(20)이 최초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뒤틀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캡(410), 상부캡(420) 및 지지기둥(430)을 포함한다.
하부캡(4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캡 본체(411), 및 지지기둥(43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캡 본체(41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지지기둥(430)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412)을 포함하며,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부캡(42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본체(421), 지지기둥(43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본체(421)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지지기둥(430)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422)이 형성되며, 하부캡(41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회동봉(2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기둥(4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캡(410)과 상부캡(4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캡(42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파손방지부(400)의 지지기둥(430)은, 4 개의 모듈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데, 각각의 모듈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및 상부가 하부캡(410) 또는 상부캡(42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지지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기둥(430)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4 개의 기둥모듈(431a, 431b, 431c 및 431d)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태를 형성하며, 하부가 하부 안착홈(412)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부 안착홈(422)에 삽입된다.
여기서, 각각의 기둥모듈(431a, 431b, 431c 및 431d)은, 모듈 본체(4311), 슬라이딩 돌기(4312), 슬라이딩 홈(4313), 지지 돌기(4314) 및 바퀴(4315)를 포함한다.
모듈 본체(4311)는,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돌기(4312)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홈(4313)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기(4312)는, 모듈 본체(4311)의 일측 평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4311)의 다른 일측 평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4313)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된다.
슬라이딩 홈(4313)은, 모듈 본체(4311)의 다른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돌기(431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4311)의 슬라이딩 돌기(4312)가 삽입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지지 돌기(4314)는, 모듈 본체(431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 안착홈(421)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바퀴(4315)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바퀴(4315)는, 모듈 본체(4311)의 상측에 안착된 상부캡(4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돌기(4314)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바퀴(4315a, 4315b, 4315c 및 4315d)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안착된 상부캡(4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지지기둥(43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기둥(430)은, 상부캡(420)의 일측에만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일측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기둥모듈(431a, 431b, 431c 또는 431d)만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른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부캡(420)을 이용하여 상부캡(420)의 상측에 안착되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4는 도 11의 하부캡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하부캡(410)은, 캡 본체(411), 하부 안착홈(412), 지지 원판(413) 및 회전 원판(4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캡 본체(411) 및 하부 안착홈(412)은, 도 1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원판(413)은, 하부 안착홈(4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회전 원판(415)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탄성체(414)가 하측면에 설치된다.
회전 원판(415)은, 하부 안착홈(4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원판(413)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된 기둥모듈(431)을 하부 안착홈(412)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측면의 각 사방에 바퀴(416)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캡(41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화살표와 같이 승강 또는 하강, 회전함에 따라 회전 원판(415)의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기둥(430)이 비틀림에 따라 회전하에 되어 비틀림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기둥(430)을 지지하는 지지 원판(413)을 통해 지지기둥(4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파손 역시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 우사용 목걸이틀에 있어서,
하부가로대; 상기 하부가로대의 상부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주걸쇄가 형성되는 상부가로대; 상기 상부가로대 및 상기 하부가로대 사이에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기울어지게 설치된 회동지지대; 및 상기 회동지지대에 시소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에는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주 걸쇄에 다단으로 체결되는 주 체결핀이 설치된 회동봉;을 포함하고,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주 걸쇄를 관통하여 회동되는 가로유동축에 형성되되, 상기 주 걸쇄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보조 걸쇄; 및 상기 주 걸쇄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걸쇄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주 체결핀이 분리됨을 방지하는 보조 체결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유동축의 단부에는 "ㄴ"자 형상의 걸림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손잡이부의 상측에는 실린더하우징과 단부에 걸림후크가 형성된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지는 공압실린더가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하우징은 일단이 상기 회동봉과 마주보는 세로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걸림후크에는 상기 걸림손잡이부가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걸림되거나, 공압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면서 상기 걸림손잡이부를 하방향으로 밀어 걸림후크에서 상기 걸림손잡이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회동봉 및 상기 세로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회동봉에 설치된 상기 주 체결핀의 회동과, 상기 공압 실린더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동봉 및 상기 세로지지대 사이에 소가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감지된 위치에 대응되는 주 체결핀만을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을 출입하는 소의 평균 목둘레 길이를 추정하고, 추정된 평균 목둘레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회동봉 및 상기 세로지지대 사이로 소가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주 체결핀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 마다 설치된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조명 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우사용 목걸이틀은, 상기 회동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봉의 회동 각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회동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손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이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삽입 깊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의 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상부 본체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체결 돌기; 및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안착홈을 따라 하강하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외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설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체결 돌기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벽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 통로;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통로는, 상기 제1 수평 통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던 상기 체결 돌기가 하강된 후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강 통로; 상기 하강 통로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하강 통로로 노출된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홈에 삽입된 후단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 상기 탄성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하강 통로의 하측 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경사면이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다시 노출되어 전단 하측면으로 상기 체결 돌기의 상측을 체결하는 체결구; 및 상기 하강 통로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하강 통로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체결 돌기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파손 방지부는, 상기 회동지지대에 설치되는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회동봉을 지지하는 상부캡; 및 상기 하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캡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캡 본체, 및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캡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캡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4 개의 기둥모듈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태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하부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기둥모듈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의 일측 평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의 다른 일측 평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슬라이딩 돌기; 상기 모듈 본체의 다른 일측 평면에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의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홈; 상기 모듈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안착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 및 상기 모듈 본체의 상측에 안착된 상기 상부캡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돌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은, 상기 하부 안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탄성체가 하측면에 설치되는 지지 원판; 및 상기 하부 안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된 상기 기둥모듈을 상기 하부 안착홈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측면의 각 사방에 바퀴가 설치되는 회전 원판;을 더 포함하는, 우사용 목걸이틀.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0145A KR102055374B1 (ko) | 2019-08-16 | 2019-08-16 | 우사용 목걸이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0145A KR102055374B1 (ko) | 2019-08-16 | 2019-08-16 | 우사용 목걸이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5374B1 true KR102055374B1 (ko) | 2019-12-12 |
Family
ID=6900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0145A KR102055374B1 (ko) | 2019-08-16 | 2019-08-16 | 우사용 목걸이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537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2662A (ko) * | 2020-01-15 | 2021-07-26 | 오영준 | 소 목걸이틀을 이용한 소 먹이량 관리 방법 및 관리 시스템 |
CN113170735A (zh) * | 2020-11-30 | 2021-07-27 | 河北农业大学 | 一种新型子母栏一体式羊圈 |
KR200494696Y1 (ko) * | 2021-03-04 | 2021-12-02 |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3875B1 (ko) | 2010-01-19 | 2010-04-20 | 김조환 | 소목걸이틀의 자동열림장치 |
KR20130093952A (ko) * | 2012-02-15 | 2013-08-23 | 김기보 | 축사용 스탄치온 |
-
2019
- 2019-08-16 KR KR1020190100145A patent/KR1020553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3875B1 (ko) | 2010-01-19 | 2010-04-20 | 김조환 | 소목걸이틀의 자동열림장치 |
KR20130093952A (ko) * | 2012-02-15 | 2013-08-23 | 김기보 | 축사용 스탄치온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2662A (ko) * | 2020-01-15 | 2021-07-26 | 오영준 | 소 목걸이틀을 이용한 소 먹이량 관리 방법 및 관리 시스템 |
KR102492142B1 (ko) | 2020-01-15 | 2023-01-27 | 오영준 | 소 목걸이틀을 이용한 소 먹이량 관리 방법 및 관리 시스템 |
CN113170735A (zh) * | 2020-11-30 | 2021-07-27 | 河北农业大学 | 一种新型子母栏一体式羊圈 |
CN113170735B (zh) * | 2020-11-30 | 2023-11-24 | 河北农业大学 | 一种新型子母栏一体式羊圈 |
KR200494696Y1 (ko) * | 2021-03-04 | 2021-12-02 | 대산축산솔루션 주식회사 | 사각 프레임의 우사용 목걸이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5374B1 (ko) | 우사용 목걸이틀 | |
US7201355B1 (en) | Support bracket for differently sized buckets | |
JP3120147U (ja) | 調整可能なペット用首輪 | |
US20140299061A1 (en) | Gate arrangement to a fenced area for at least one animal | |
EP1170989B1 (en) | Animal confinement device | |
KR20120104893A (ko) | 회전제한 및 잠금 구조를 갖춘 축사용 자동목걸이틀 | |
KR101682563B1 (ko) | 착탈형 안전봉이 구비된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 |
US9907289B2 (en) | Bidirectional spring-biased gate | |
EP2120535B1 (en) | A bail element for animal bail apparatus and an animal bail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bail elements | |
KR20130093952A (ko) | 축사용 스탄치온 | |
US4314528A (en) | Cattle stanchion having a simplified self-locking mechanism | |
CN108849544A (zh) | 一种翻转式隔栏门 | |
US20110108790A1 (en) | Gate | |
US20040154554A1 (en) | Double-release bar for a cow stanchion apparatus | |
JP2002272352A (ja) | 動物捕獲装置 | |
CN212545034U (zh) | 饲养场房及养殖定位栏 | |
KR100913565B1 (ko) | 우사용 목걸이틀의 자동안전장치 | |
KR200402521Y1 (ko) | 말뚝장치 | |
KR102130012B1 (ko) | 자동급여기용 게이트 프레임 | |
CN102934614B (zh) | 一种家畜个体隔离用的可自锁自由进出门 | |
KR101842060B1 (ko) | 동물포획을 위한 낙하 포획장치 | |
JP4203052B2 (ja) | 動物捕獲檻 | |
KR100913563B1 (ko) | 우사용 목걸이틀의 안전장치 | |
KR101258276B1 (ko) | 가축 머리 고정장치 | |
US2273690A (en) |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