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487Y1 -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487Y1
KR200442487Y1 KR2020070006998U KR20070006998U KR200442487Y1 KR 200442487 Y1 KR200442487 Y1 KR 200442487Y1 KR 2020070006998 U KR2020070006998 U KR 2020070006998U KR 20070006998 U KR20070006998 U KR 20070006998U KR 200442487 Y1 KR200442487 Y1 KR 200442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formwork
placing
concrete
boundary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069U (ko
Inventor
이근우
이봉직
Original Assignee
㈜익성텍
이근우
이봉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익성텍, 이근우, 이봉직 filed Critical ㈜익성텍
Priority to KR2020070006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48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0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4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도로와 보도와의 사이에 적절한 경계석을 설치하고 있다. 그 설치방법은 가장 원시적 방법으로 도 1에 도시하듯이 경계석(102)를 얹혀놓을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부(101a)를 거푸집(100)을 세우기 전에 먼저 설치하여경계석이 안착되게 한 다음, 이어서 나머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준다. 나머지 부분이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100)은 차후에 제거해 주고 거푸집이 제거된 공간에는 다른 흙, 모래 등을 충진하여 보도와 차도간의 경계부분 설치가 완료된다.
이 방법은 일단 거푸집 설치, 경계석 안치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 경계석 안치, 나머지부분 타설, 양생, 거푸집제거, 주변부 정리 라는 6단계를 거치는 관계로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비경제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정에서 경계석안치, 거푸집제거, 주변부 정리라는 모든 절차를 생략한 세멘트와 유무기질섬유사 및 각종 성능개선제를 연속압출성형하여 제조한 프론트, 백, 마감판넬 그리고 거리조절구로 박스형 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이곳에 직접 경계석을 안치하고 직접 몰탈을 타설하게 되면 모든 경계석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를 개발하였다.
경계석, 조립식

Description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Combined molding for the concrete enforcement on the line between the walking road and the car driving road}
도 1 은 본 고안의 타설전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조립 완료후 콘크리트 타설직전의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조립 완료후 콘크리트 타설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조립공 1:프론트판넬 11:후방조립공 10:백판넬 12:고정구 20:거리조절구 V:공간부 30:마감판넬
본 고안은 차도와 보도의 사이에 설치되는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석재 혹은 콘크리트재로 구성한 경계블록을 설치한다. 이 경계블록을 설치하는 방식은 도 1에 도시하듯이 경계석(102)를 얹혀놓을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부(101a)를 거푸집(100)을 세우기 전에 먼저 설치하여경계석이 안착되게 한 다음, 이어서 나머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준다. 나머지 부분이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100)은 차후에 제거해 주고 거푸집이 제거된 공간에는 다른 흙, 모래 등을 충진하여 보도와 차도간의 경계부분 설치가 완료된다. 이러한 설치방식은 우선 경계석 안치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 나머지 부분 타설, 양생, 거푸집 제거, 충진 이라는 다단계를 거치면서 장시간이 소요되고, 제거된 거푸집을 다시 사용하도록 수거 보관이송하는 절차도 복잡하다. 특히 사용이 거듭될 수록 거푸집은 점점 더러워지고 이물이 끼어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폐기하고 새로운 것을 대체하여야 하는 경제적 시간적 낭비가 심하다.
이러한 단점을 없애기 위하여 실용신안 등록 291868호는 도 2에 도시하듯이 경계석을 소정높이로 지지하는 받침대(20)를 설치하여 경계석(13)을 받쳐놓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따라서 여러 차례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을 반복하는 문제를 해소한 장점이 있으나 사용된 거푸집을 다시 수거하고 충진하는 작업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거푸집의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후 경계석의 배치후에 별도의 거푸집 제거와 정리라는 작업이 불필요한 새로운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 설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특히 경계석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이 되고 나면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 후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고, 거푸집 분리된 공간에 다시 흙, 모래와 같은 것으로 충진하는 정리 작업이 불필요한 차(車)보도(步道)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를 제공하여 경계석 설치가 종래의 것에 비하여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은 거푸집의 제거가 불필요하며, 경계석의 안치를 위한 이중적인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이 불필요한 새로운 차보도경계 타설용 조립식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차보도경계부의 설치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자체를 세멘트를 주재료로 하여 다른 성능 개선제와 함께 혼합한 것을 일정한 판상형태로 압출하여 이것을 고온고압하에 양생한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하도록 하여 차보도 경계를 위한 콘크리트와 일체로 되도록 하여 추후 거푸집의 제거작업이 불필요하도록 하여 공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이미 고온고압으로 충분히 양생이 된 콘크리트 판넬이 충분한 경도를 유지하고 있어 차보도 건설시 필요한 다른 포장작업, 미장작업이 전혀 지장이 없이 진행가능한 차보도 경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타설전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 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는 본 고안의 조립 완료후 콘크리트 타설직전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고안의 조립 완료후 콘크리트 타설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상하에 거리조절구가 삽입가능한 조립공(2)들이 형성되어져 있는 세멘트압출성형 재질의 프론트판넬(1),
상기한 프론트판넬과 대칭되도록 후방조립공(11)들이 형성되어있고, 설치될 도로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거리(d)가 형성된 세멘트 압출성형재질의 백판넬(10),
상기한 프론트판넬과 백판넬의 조립공(2)과 후방조립공(11)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구(12)에 의하여 고정되므로서 양판넬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봉상구조의 거리조절구(20),
상기한 프론트판넬과 백판넬의 조립으로 형성된 공간부(V)의 좌우 및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판넬(30)로 구성되는 차보도경계블록 설치를 위한 조립식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프론트판넬(1)에 형성되는 조립공(2)은 거리조절구(20)가 겨우 통과가능한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하여 백판넬, 좌우 및 하부 판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V)에 타설되는 몰탈이 이 조립공을 통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조립공은 프론트, 백 판넬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가감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프론트 판넬, 백판넬 그리고 마감 판넬은 본 고안자가 선등록받은 특허제111770호(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혹은 특허제503742호(무석면 압출성형식 건축자재 조성물..) 그리고 기타 여러 특허에서 제공하는 세멘트를 주재로 하고 여기에 각종 무기 혹은 유기질 섬유사와 가소점질제 등의 성능개선제를 혼합하여 만든 혼련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혼련 조성물은 고온고압에서 양생이 완료되면 콘크리트와 동일한 양생구조물로 도 4와 같이 공강부(V)에 콘크리트 몰탈이 충진되어진 다음 양생이 되면 판넬자체가 세멘재질로 서로 일체화한다. 즉, 종래의 거푸집에 의한 구조물과 달리 거푸집을 다시 분리제거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고, 특히 외면이 매끈하게 마감이 되어 있어 별도의 후처리가 불필요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서 거리조절구(20)는 봉상의 형태를 대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 봉상체의 표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너트와 같은 고정구(21)에 의하여 프론트와 백판넬에 삽입된 후 일정하게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거리조절구(20)는 봉상형태가 가장 흔하고 작업성이 좋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각이나 삼각과 같은 다각형 구조도 채용가능하며, 중공 파이프도 이용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거리조절구(20)는 상기하듯이 프로트판넬과 백판넬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는 프레임기능을 발휘하는 것 이외에 경계석(A)이 안치되어 타설된 몰탈이 양생되기 전까지 일정하게 공간에 위치하도록 위치고정 역활을 한다.
본 고안의 경계석 설치는 도 4에 도시하듯이 프론트판넬과 백판넬을 일정하게 거리조절구로 조정하여 고정한 다음 화살표와 같이 경계석을 안치한다. 경계석 은 콘크리트 양생에 의한 것 혹은 화강암과 같은 석재로 구성되므로 상당한 무게를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도 1과 같이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할 때 속경성 몰탈을 이용하여 부호 101a 와 같이 일단 경계석을 일정하게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생이 되어 경계석이 고정이 되면 다음에 부호 101b와 같이 나머지 몰탈을 충진하여 마무리가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거리조절구가 경계석을 받쳐주도록 하여 종래처럼 별도의 이중적인 몰탈 타설 작업이 불필요하거 판넬조립과 동시에 경계석 안치와 타설이 동시에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거리조절구(20)의 설치위치가 프론트판넬(1)의 상단부(1a)에서 거리(d)만큼 하측에 설치되어 경계블록의 하측면이 접하도록 구성한다. 경계블록은 자체적인 무게가 상당하므로 타설된 콘크리트몰탈과 일체화되기 위하여 일정한 깊이만큼 몰탈내부에 하부의 일부가 매설되도록 하여 양생이 완료되면 일체화하여 경계석이 고정되게 한다.
본 고안에서 거리조절구를 삽입고정하기 위한 조립공들은 프론트판넬과 백판넬에 드릴과 같은 도구에 의하여 형성가능하여 거리(d)를 설치현장의 상황에 따라 임의로 설치위치와 숫자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는 기존의 경계석 타설과 달리 백판넬과 프론트 판넬이 세멘트를 주재로 구성한 콘크리트 양생물로 몰탈을 공간부에 충진후에 양생이 완료된 후 별도의 거푸집 제거라는 공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복잡한 도로 건설 작업시 경계석 작업후에 다시 양생이 된 곳에 와서 거푸집 분리와 정리라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복잡한 도심의 혼잡을 극대화하고 단시간에 모든 경계석 설치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경계석(A)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몰탈을 속결 세멘트로 혼련하여 별도로 경계석 하부에 채운 다음 이것이 완료되면 다시 완결 세멘트로 충진하는 이중적 몰탈 충진 작업이 단 1회에 완료되어 작업시간의 획기적 단축이 이루어진다.
더나아가서 경계석이 거리조절구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어져 양생이 진행되면서 경계석이 부분적으로 왜곡되는 현상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되었다.

Claims (3)

  1. 프론트판넬, 백판넬 그리고 프론트 판넬과 백판넬간에 일정하게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거리조절구로 구성된 차보도 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 타설 구조체에 있어서,
    세멘트를 주재로 하고 여기에 각종 무기 혹은 유기질 섬유사와 가소점질제 등의 성능개선제를 혼합하여 만든 혼련 조성물을 압출하여 만든 다음 고온고압에서 양생시킨 압출성형재질의 프론트판넬(1)과 백판넬(10)에 서로 대칭되도록 조립공(2)와 후방조립공(11)들을 형성하되, 조립공(2)과 후방조립공(11)의 사이에 봉상구조이면서 표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거리조절구(20)를 너트(21)에 의하여 양판넬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가능하도록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거리조절구(20)이 프론트판넬(1)의 상단부(10a)에서 거리(d)만큼 하측에 설치되어 경계블록의 하측면이 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
  3. 삭제
KR2020070006998U 2007-04-27 2007-04-27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 KR200442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98U KR200442487Y1 (ko) 2007-04-27 2007-04-27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98U KR200442487Y1 (ko) 2007-04-27 2007-04-27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69U KR20080005069U (ko) 2008-10-30
KR200442487Y1 true KR200442487Y1 (ko) 2008-11-13

Family

ID=4150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998U KR200442487Y1 (ko) 2007-04-27 2007-04-27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4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22B1 (ko) 2009-02-21 2009-07-02 (주) 부경종합기술단 식재형 경계블록의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0140A (zh) * 2017-12-26 2018-06-15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调试和检验摊铺机直线行走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22B1 (ko) 2009-02-21 2009-07-02 (주) 부경종합기술단 식재형 경계블록의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69U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821B1 (ko) 조립식 거푸집 구조 및 배수로 시공방법
CN108505645B (zh) Cl复合混凝土剪力墙现场浇筑施工方法
KR101096620B1 (ko) 콘크리트도로의 긴급균열보수공법
KR200442487Y1 (ko)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
JP2007169955A (ja) 側溝の改修用補強具,改修用補助具,改修用グレーチング,改修構造,改修方法
KR101071691B1 (ko) 밀착식 거푸집 및 그 밀착식 거푸집을 이용한 토목, 도로용 측구 경계석의 시공방법
CN110778139A (zh) 一种无粘结预应力筋混凝土板局部开洞施工方法
CN106049665A (zh) 轻质砌块墙现浇芯体及施工方法
KR101646527B1 (ko) 석재가 일체로 형성된 건축 및 토목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CN113123215B (zh) 一种站台墙的施工方法及站台墙
KR100593610B1 (ko) 황토를 이용한 문양거푸집 및 이 문양거푸집을 이용한문양콘크리트의 시공방법
CN110748034A (zh) 一种镂空墙施工工艺
KR101137449B1 (ko) 도로 경계용 측구 시공방법
JP2020041286A (ja) 円形水路の改修工法
KR100561748B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CN217106439U (zh) 一种清水红砖葫芦瓶栏杆的结构
KR200337180Y1 (ko)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DE10200602457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aus Kunst- oder Natursteinen bestehenden Platten
KR100403397B1 (ko)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0593612B1 (ko)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및 이 문양거푸집을 이용한 문양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9980020872A (ko) 맨홀의 인상 및 보수용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CN103883023B (zh) 建筑垃圾制作砌块并建造免粘结砂浆的配筋砌体的方法
KR101071692B1 (ko) 자연 친화적인 토목, 조경, 공원, 하천용 보도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0716619B1 (ko) 건축구조물의 외벽문양 시공방법.
JPH118120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