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180Y1 -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180Y1
KR200337180Y1 KR20-2003-0027622U KR20030027622U KR200337180Y1 KR 200337180 Y1 KR200337180 Y1 KR 200337180Y1 KR 20030027622 U KR20030027622 U KR 20030027622U KR 200337180 Y1 KR200337180 Y1 KR 200337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attern
guide
mold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진
Original Assignee
일도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도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일도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20-2003-0027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표리면에 다양한 문양으로 양각하는 문양거푸집에 필요시 마다 소망하는 여러 형태의 문양을 조형할 수 있도록 하여 문양거푸집의 폐기를 방지하는 한편, 상기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문양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시공에 소요되는 시공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사각박스형태의 형틀체에 소망하는 모양으로 음각을 하기 위한 수지부재를 소정 깊이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형틀체의 내부 바닥에 연결간이 삽입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된 나사부에 고정구가 체결될 수 있게 연결관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형틀체의 후방 양측에 두 형틀체를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형틀체의 양측벽에 프로그램에 입력된 문양대로 수지부재를 음각하는 문양조형장치를 구비한 이송대의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는 안내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a form mold for concrete}
본 고안은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예를 일반도로나 공원등에서 보행자를 위해 시설되는 보도 또는 옹벽, 그 이외 각종 토목공사에서 마감처리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조형미를 주기 위해서 그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리면에 다양한 무늬를 성형시키는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표리면에 다양한 문양으로 양각하는 문양거푸집에 필요시 마다 소망하는 여러 형태의 문양을 조형할 수 있도록 하여 문양거푸집의 폐기를 방지하는 한편, 상기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문양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시공에 소요되는 시공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현재, 자연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각종 토목,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벽면에는, 단순히 타일이나 석재 등을 부착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주변 경관에 따라 여러가지 입체 그림이나 또는 무늬를 주어 보다 효과적으로 자연환경을 살릴 수 있는 동시에, 아름답게 장식하려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예컨대, 각종 건축구조물의 내, 외벽이나 기둥, 또는 제방공사, 항만공사, 고속도로 및 지하차도의 방음벽, 조경 시설물, 기타 장식을 위한 콘크리트 벽면에는,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아름답고 운치가 감돌 수 있도록 다양한 음, 양각무늬로서 장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콘크리트 벽면에 각종 장식을 하기 위하여는, 해당 벽면을 이루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임의의 무늬면을 형성한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예컨대, 돌이나 블럭을 쌓아 올린 것과 같은 무늬나 모자이크무늬, 각종 그림이나 로고무늬등을 장식하게 된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조형미를 주기 위해 그 콘크리트 주조물의 표리면에 무늬를 성형하는 것을 보면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예로 주조방식(casting) 또는 스탬핑방식을 들을 수 있다.
먼저, 주조식의 경우를 보면 형틀(거푸집)을 이용하는 것으로 그 형틀을 토목구조물에 따라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형틀내에 시멘트몰탈을 충진하고 일정시간 양생후, 형틀을 구조물로 부터 이형시키어 목적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무늬성형을 이룬다. 이러한 주조방식은 형틀의 설치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그 형틀의 설치및 해체비는 물론, 그 형틀의 제작비용이 고가이고, 더욱이 무늬에 따른 각 형틀을 따로 따로 구비하여야하는등 경제적이지 못하였으며, 작업성 또한 저조한 것이었다.
스탬핑방식의 경우는 소정크기, 즉 작업자가 손으로 들었다 놓았다 하면서 성형작업을 이룰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단위무늬가 양,음각으로 형성된 판체형상의 몰드를 이용해 작업자가 다지기식으로 콘크리트의 표리면에 부착시키고 있는 것으로, 그 성형된 무늬모양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달리 성형되는 등 그 무늬모양이 균일하지 못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기간이 매우 길어지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콘크리트의 표리면에 다양한 문양으로 음각하는 문양거푸집에 필요시 마다 문양조형장치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여러 형태의 문양을 조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일정량의 문양거푸집을 반복 사용할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문양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시공에 소요되는 시공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양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양거푸집의 시공상태를 보인 개요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양거푸집의 다른 시공공정을 도시한 개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형틀체 110:공간부
120:연결간 130:나사부
140:고정구 150:연결관
160:보강판 170:결합부
180:안내로 200:수지부재
300:문양조형장치 310:이송대
311:가이드 312:롤러부재
313:이송모터부재 320:조형기
321:이송모터 322:모터
323:조각공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박스형태의 형틀체에 소망하는 모양으로 음각을 하기 위한 수지부재를 소정 깊이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형틀체의 내부 바닥에 연결간이 삽입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된 나사부에 고정구가 체결될 수 있게 연결관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형틀체의 후방 양측에 두 형틀체를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형틀체의 양측벽에 프로그램에 입력된 문양대로 수지부재를 음각하는 문양조형장치를 구비한 이송대의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는 안내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문양조형장치는 사진 등의 선정된 그림이 스캐닝된 자료가 입력된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되는 것으로서 문양거푸집의 형틀체의양측으로 구비되어진 안내로와 대응되는 가이드가 양측으로 형성된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가이드 양측에 안내로와 대응되는 롤러부재를 구동하는 이송모터부재와; 상기 이송대에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이송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모터와 별도로 또 하나의 모터를 설치한 다음, 이의 선단에 해머링 작동을 하는 헤머펀치부를 설치하며, 이 헤머펀치부의 직하방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조각공구을 설치하여 된 조형기;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양거푸집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양거푸집의 시공상태를 보인 개요도이다.
먼저, 문양거푸집의 구조를 설명하면, 금속재질 또는 강도가 큰 수지재질의 사각박스형태의 형틀체(100)에 소망하는 모양으로 음각을 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수지부재(200)를 소정 깊이 담을 수 있는 공간부(1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지부재(200)는 액상에서 쉽게 고형화 될 수 있는 재질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특히, 수지부재(200)의 음각된 부분에만 액상의 수지부재(200)를 채워 고형화 하였을 때, 이미 고형화 된 수지부재(200)와 결합이 잘 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형틀체(100)의 내부 바닥에 연결간(120)이 삽입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된 나사부(130)에 고정구(140)가 체결될 수 있게 연결관(150)이 다수형성되는데, 상기 연결관(150)은 공간부(110)에 충진되는 수지부재(200)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형틀체(100)의 배면으로 돌출된 연결간(120)에 보강판(160)을 끼운 다음, 이에 고정구(140)를 체결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구(140)에는 그 양측으로 손잡이를 형성하여 다른 체결도구 없이 고정구(140)를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연결간(120)은 도 4와 같이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콘크리트벽체와 접한 흙속의 물을 배출시키는 역활을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형틀체(100)의 후방 양측에 또 다른 형틀체(100)를 볼트로서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170)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형틀체(100)의 양측벽에 프로그램에 입력된 문양대로 수지부재(200)를 음각하는 문양조형장치(300)를 구비한 이송대(310)의 가이드(311)가 장착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는 안내로(180)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문양조형장치(300)는 도 2와 같이 사진 등의 선정된 그림이 스캐닝된 자료가 입력된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되는 것으로서 문양거푸집의 형틀체(100)와 대응되는 이송대(31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대(310)의 양측에는 형틀체(100)의 안내로(180)와 대응되는 가이드(31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송대(310)의 가이드(311)에는 안내로(180)를 따라 이송되는 롤러부재(312)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312)는 이송모터부재(313)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이송대(310)에 설치되는 조형기(320)는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송대(31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이송모터(321)가 구비되고, 상기이송모터(321)와 별도로 또 하나의 모터(322)를 설치한 다음, 이의 선단에 해머링 작동을 하는 헤머펀치부(미도시)를 설치하며, 이 헤머펀치부의 직하방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조각공구(323)을 설치하여 된 것이다. 즉, 상기 이송모터(321)가 동작하게 되면 조형기(320)가 이송대(310)를 따라 일정속도로 이동되며, 이때 또 다른 모터(322)는 조각공구(323)을 작동시켜 형틀체(100) 내부의 수지부재(200)를 컴퓨터에 입력된 자료로 음각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표리면을 조형하고자 하면, 먼저 형틀체(100) 내부의 공간부(110)에 수지부재(200)를 투입한 다음, 이를 경화시키는 수지주입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수지부재(200)로는 융점이 낮은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지부재(200)는 형틀체(1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낮은 위치까지 주입된 후 그 표면을 평활하게 한 다음, 냉각팬을 이용하여 고형화시킨다.
수지주입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형틀체(100)에 문양조형장치(300)를 설치하여 경화된 수지부재(200)에 컴퓨터의 신호를 받아 이에 입력된 자료를 조각공구(323)로서 음각하는 수지조형단계를 수행하는데, 먼저 형틀체(100) 양측의 두 안내로(180)에 이송대(310)의 가이드(311)를 대응시킨 다음, 문양조형장치(300)를 동작시킨다.
즉, 상기 문양조형장치(300)의 이송모터(321)가 컴퓨터의 신호를 받아 동작하게 되면 조형기(320)가 이송대(310)를 따라 형틀체(100)의 횡방향으로 일정속도로 이동됨과 동시에 또 다른 모터(322)가 조각공구(323)를 작동시켜 형틀체(100) 내부의 수지부재(200)를 컴퓨터에 입력된 자료대로 음각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대(310)의 이송모터부재(313)가 동작하여 도 2와 같이 이송대(310)를 형틀체(100)의 종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키게 된다.
다수의 문양거푸집에 음각이 완료되면, 상기 음각된 수지부재(200)의 내부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전처리단계를 거친다.
상기 박리제는 공지의 것으로서 오일성분이 함유되어 탈형단계에서 성형이 완료된 문양블럭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거푸집설치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먼저 형틀체(100)의 연결관(150)에 흙속에 매립되는 소정길이의 연결간(120)을 각각 삽입한 다음, 상기 형틀체(100)의 배면으로 돌출된 연결간(120)에 보강판(160)을 끼운 다음, 이에 고정구(140)를 돌려 체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문양거푸집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호 맞대어진 형틀체(100)의 결합부(170)를 볼트로서 단단히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문양거푸집이 설치되면, 설치된 문양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단계를 수행한다.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문양이 완성된 콘크리트로부터 형틀체(100)를 분리하는 탈형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페인트도색단계에서는 문양콘크리트를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킨 다음, 문양에 소망하는 색상을 도색하게 된다. 즉, 물기가 없을때 문양과 문양사이의 콘크리트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페인트로 스프레이함으로써 문양콘크리트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소정의 형상으로 음각된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다른 문양을 음각하고자 하면, 이미 음각된 부분에만 수지부재(200)를 투입하여 평활하게 표면처리한 다음, 문양조형장치(300)를 이용하여 음각하는 수지조형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전처리단계 - 거푸집설치단계 -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단계 - 탈형단계 - 페인트도색단계; 등을 거쳐 문양 콘크리트를 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표리면에 다양한 문양으로 양각하는 문양거푸집에 필요시 마다 소망하는 여러 형태의 문양을 조형할 수 있도록 하여 문양거푸집의 폐기를 방지하는 한편, 상기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문양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시공에 소요되는 시공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각박스형태의 형틀체에 소망하는 모양으로 음각을 하기 위한 수지부재를 소정 깊이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형틀체의 내부 바닥에 연결간이 삽입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된 나사부에 고정구가 체결될 수 있게 연결관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형틀체의 후방 양측에 두 형틀체를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형틀체의 양측벽에 프로그램에 입력된 문양대로 수지부재를 음각하는 문양조형장치를 구비한 이송대의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는 안내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조형장치는 사진 등의 선정된 그림이 스캐닝된 자료가 입력된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되는 것으로서 문양거푸집의 형틀체의 양측으로 구비되어진 안내로와 대응되는 가이드가 양측으로 형성된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가이드 양측에 안내로와 대응되는 롤러부재를 구동하는 이송모터부재와;
    상기 이송대에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이송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모터와 별도로 또 하나의 모터를 설치한 다음, 이의 선단에 해머링 작동을 하는 헤머펀치부를 설치하며, 이 헤머펀치부의 직하방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조각공구을 설치하여 된 조형기;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KR20-2003-0027622U 2003-08-28 2003-08-28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KR200337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622U KR200337180Y1 (ko) 2003-08-28 2003-08-28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622U KR200337180Y1 (ko) 2003-08-28 2003-08-28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717A Division KR100593612B1 (ko) 2003-08-28 2003-08-28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및 이 문양거푸집을 이용한 문양콘크리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180Y1 true KR200337180Y1 (ko) 2004-01-07

Family

ID=4934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622U KR200337180Y1 (ko) 2003-08-28 2003-08-28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18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235B1 (ko) 2013-06-20 2014-10-31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콘크리트 거더의 문양 형성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
KR20200049160A (ko) * 2018-10-31 2020-05-0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질 패널 생산방법
KR20200049159A (ko) * 2018-10-31 2020-05-0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질을 이용한 섬유질 패널 및 거푸집패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235B1 (ko) 2013-06-20 2014-10-31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콘크리트 거더의 문양 형성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
KR20200049160A (ko) * 2018-10-31 2020-05-0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질 패널 생산방법
KR20200049159A (ko) * 2018-10-31 2020-05-0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질을 이용한 섬유질 패널 및 거푸집패널
KR102148356B1 (ko) 2018-10-31 2020-08-2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질 패널 생산방법
KR102219612B1 (ko) 2018-10-31 2021-02-2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질 패널 생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섬유질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217B2 (en) Insert apparatus for a mold, method of manufacturing a structural unit, method of retrofitting an existing mold and a structural unit
KR200337180Y1 (ko)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KR101431652B1 (ko) 건축구조물 내ㆍ외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는 시공방법
KR100593610B1 (ko) 황토를 이용한 문양거푸집 및 이 문양거푸집을 이용한문양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0593612B1 (ko) 콘크리트용 문양거푸집 및 이 문양거푸집을 이용한 문양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200337179Y1 (ko) 황토를 이용한 문양거푸집
JP5216202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法
KR200152667Y1 (ko) 문양 거푸집의 구조
KR100716619B1 (ko) 건축구조물의 외벽문양 시공방법.
KR200442487Y1 (ko) 차보도경계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타설구조체
KR101166454B1 (ko) 다공표면을 갖는 인조석 제조용 금형
KR101255318B1 (ko) 다공표면을 갖는 인조석 제조방법
CN108842946B (zh) 一种夯土保温墙及其施工工艺
US20090255211A1 (en)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a concrete block
CN215331420U (zh) 一种土木工程施工用浇筑模板
KR20200113948A (ko) 건축구조물 내ㆍ외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는 시공방법
US20050016123A1 (en) Insert apparatus for a mol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unit, method of installing a wall and method of retrofitting an existing mold
CN1890073A (zh) 用于模具的插入设备、制造混凝土单元的方法、安装墙体和翻新现有模具的方法
KR200291521Y1 (ko) 문양원통을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
US9630340B2 (en) System of forming walls with exterior applied finish panels
JP2825709B2 (ja) 外装材先付け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製造方法
CN219311567U (zh) 预制构件用组合式模板
JP416925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H0620753B2 (ja) 道路擁壁用合成樹脂ブロツクの製造法
JP4405751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