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582Y1 - 가로수 보호대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582Y1
KR200441582Y1 KR2020070003470U KR20070003470U KR200441582Y1 KR 200441582 Y1 KR200441582 Y1 KR 200441582Y1 KR 2020070003470 U KR2020070003470 U KR 2020070003470U KR 20070003470 U KR20070003470 U KR 20070003470U KR 200441582 Y1 KR200441582 Y1 KR 200441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ssembly
fixed
plate
rim portion
road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진원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원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원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3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5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고정테두리부에 보호판 결합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보호판 결합체를 고정테두리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어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가로수 보호대는 사각링 형상으로 내측 하단에 요입부가 형성되도록 내측 상단에 상단돌턱이 형성되어 인도변에 매립되는 고정테두리부와; 중앙에는 가로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원호형상으로 함입되며 상하방향으로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테두리부의 세개면의 내측 하단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세개면의 외측 하단에는 하단돌턱이 형성되는 보호판 결합체와; 상기 고정테두리부의 나머지 하나의 내측 하단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일측 하단에는 하단돌턱이 형성되어 보호판 결합체와 고정테두리부 사이에 삽입고정하는 삽입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테두리부, 보포한, 가로수, 투수공, 돌턱

Description

가로수 보호대{STREET TREES PROTECTOR}
도1은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의 단면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4는 도3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5는 도3의 B-B선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고정테두리부 111: 상단돌턱
120: 보호판 결합체 123: 투수공
124: 결합단턱 125, 131: 하단돌턱
130: 삽입판
본 고안은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테두리부에 보호판 결합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보호판 결합체를 고정테두리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어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가로수 보호대란 도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인도변에 식재되어 있는 가로수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가로수 보호대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는 인도변에 매립되는 고정테두리부(10)와 상기 고정테두리부(10)에 안착되며 상하방향으로는 다수의 투수공(21)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보호판 결합체(20)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는 단순히 보호판 결합체(20)가 고정테두리부(10)에 안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보호판 결합체(20)가 고정테두리부(10)에서 들뜨는 등 견고한 고정이 어려워 장시간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며, 보호판 결합체를 자주 도난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테두리부에 보호판 결합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보호판 결합체를 고정테두리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어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사각링 형상으로 내측 하단에 요입부가 형성되도록 내측 상단에 상단돌턱이 형성되어 인도변에 매립되는 고정테두리부와; 중앙에는 가로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원호형상으로 함입되며 상하방향으로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테두리부의 세개면의 내측 하단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세개면의 외측 하단에는 하단돌턱이 형성되는 보호판 결합체와; 상기 고정테두리부의 나머지 하나의 내측 하단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일측 하단에는 하단돌턱이 형성되어 보호판 결합체와 고정테두리부 사이에 삽입고정하는 삽입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판이 보호판 결합체와 고정테두리부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판과 보호판 결합체의 접촉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판과 보호판 결합체는 투수공의 내측면에서 보호판 결합체과 삽입판을 볼트결합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4는 도3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5는 도3의 B-B선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는 고정테두리부(110), 보호판 결합체(120) 및 삽입판(1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테두리부(110)는 사각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도변에 매립되며, 시멘트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시멘트로 제조되는 경우 부서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합성수지나 폐비닐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테두리부(110)의 내측 하단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도록 내측 상단에 상단돌턱(111)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판 결합체(120)는 각각 대칭되게 형성된 좌측 보호판(121)과 우측보호판(122) 한쌍이 서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호판 결합체(120)는 중앙에 가로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부분이 원호형상으로 함입되며 상하방향으로는 다수의 투수공(1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보호 판(121)의 우측 중앙과 우측보호판(122)의 좌측중앙이 각각 반호형으로 함입되어 있어서 서로 결합되면 중앙이 원형으로 관통되는 것이며, 상하방향으로는 물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투수공(1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판 결합체(120)는 상호 접촉면에 서로 대응되어 치합되는 결합단턱(124)을 형성하여 결합하고, 상면에서 볼트(B)결합하여 서로 결합된다. 즉,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보호판(121)의 우측 상하측면에 결합단턱(124)을 형성하고 우측보호판(122)의 좌측 상하측에는 상기 좌측보호판의 결합단턱(124)과 치합될 수 있는 결합단턱(124)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한 다음 상면에서 서로 볼트결합하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판 결합체(120)는 상기 고정테두리부의 세개면의 내측 하단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세개면의 외측 하단에는 하단돌턱(125)이 형성된다. 즉, 좌측보호판(121)의 좌측과 하면, 그리고 우측보호판(122)의 우측과 하면에는 각각 하단돌턱(1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판 결합체(120)의 하단돌턱(125)이 고정테두리부(110)의 하단요입부에 삽입되면, 고정테두리부의 상단돌턱(111)이 보호판 결합체의 하단돌턱(125)을 누르고 있는 형상이므로 보호판 결합체(120)가 고정테두리부(110)에서 들뜰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보호판 결합체(120)의 상하 길이는 고정테두리부(110)의 상하 길 이 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데, 이는 상기 보호판 결합체(120)가 고정테두리부(100)에 삽입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보호판 결합체(120)와 고정테두리부(110)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 데, 이 빈 공간에는 삽입판(130)이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판(130)은 상기 고정테두리부(110)의 나머지 일면 내측 하단의 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일측 하단에는 하단돌턱(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판의 하단돌턱(131)이 고정테두리부(110)의 하단 요입부에 삽입되면 고정테두리부(110)의 상단돌턱이 삽입판의 하단돌턱을 누르고 있는 형상이므로 삽입판이 고정테두리부에서 들뜰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판(130)은 보호판 결합체(120)와 고정테두리부(110) 사이의 빈 공간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삽입된다. 즉, 삽입판(130)의 하단돌턱(131) 부분을 먼저 빈 공간에 삽입한 다음 고정테두리부(110)의 하단 요입부 방향으로 삽입하고 나서 삽입판(130)의 상면을 타격하면 삽입판(130)은 보호판 결합체(120)와 고정테두리부(110)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이 완성되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판(130)이 보호판 결합체(120)와 고정테두리부(11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판과 보호판 결합체의 접촉부분은,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삽입판(130)은 보호판 결합체(120)의 경사진 접촉면에서 슬립되면서 보호판 결합체(120)와 고정테두리부(110)의 빈 공간에 삽입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삽입판(130)이 보호판 결합체(120)와 고정테두리부(110) 사이에 삽입되면, 인접하는 투수공(123)의 내측면에서 보호판 결합체(120)과 삽입판(130)을 볼트결합함으로써 삽입판(130)이 보호판 결합체(120)에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설치방법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내측하단에 요입부가 형성되도록 내측 상단에 상단돌턱(111)이 형성된 고정테두리부(110)를 가로수가 식수된 인도변에 매립한다. 이 후, 보호판 결합체(120)의 좌측보호판(121)과 우측보호판(122)을 각각 고정테투리부(110)에 결합한다. 그러면 좌측보호판(121)과 우측보호판(122)의 하단돌턱(125)은 고정테두리부(110)의 하단요입부에 삽입되며, 좌측보호판(121)과 우측보호판(122)도 결합단턱(124)을 통해 서로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상태는 보호판 결합체(120)와 고정테두리부(110)가 서로 삼면에서 결합된 상태이며 상측 부분에서는 보호판 결합체(120)와 고정테두리부(11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 빈 공간상으로는 삽입판(130)을 억지방식으로 삽입 설치하는 데, 바람직하게는 삽입판(130)과 보호판 결합체(120)의 접촉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판(130)은 보호판 결합체(120)와 슬립을 일으키면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판(130)이 보호판 결합체(120)와 고정테두리부(110) 사이에 빈 공간상에 삽입이 완료된 상태는 삽입판의 하단돌턱(131)이 고정테두리부의 요입부에 삽입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 후에는 투수공(123)의 내측면 방향에서 보호판 결합체(120)과 삽입판(130)을 볼트결합하면 삽입판(130)과 보호판 결합체(120)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보호판 결합체(120)간에는 상면에서 볼트(B)결합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는 보호판 결합체의 하단돌턱(125)과 삽입판의 하단돌턱(131)이 고정테두리부의 요입부에 삽입되어, 고정테두리부의 상단돌턱(111)이 보호판 결합체와 삽입판의 하단돌턱(125, 131)을 각각 누르고 있는 형상이므로 보호판 결합체(120)와 삽입판(130)이 고정테두리부(110)에서 들뜨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어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나아가, 삽입판(130)과 보호판 결합체(120)를 서로 고정하는 볼트(B)는 투수공(123)의 내측면 방향에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되지 않아 도난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는 고정테두리부에 보호판 결합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보호판 결합체를 고정테두리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어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사각링 형상으로 내측 하단에 요입부가 형성되도록 내측 상단에 상단돌턱이 형성되어 인도변에 매립되는 고정테두리부와;
    우측 중앙이 반호형으로 함입되는 좌측보호판과, 좌측 중앙이 반호형으로 함입되는 우측보호판이 서로 결합되어, 중앙이 원호형상으로 함입되며 상하방향으로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테두리부의 세개면의 내측 하단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세개면의 외측 하단에는 하단돌턱이 형성되는 보호판 결합체와;
    상기 고정테두리부의 나머지 하나의 내측 하단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일측 하단에는 하단돌턱이 형성되어 보호판 결합체와 고정테두리부 사이에 삽입고정하는 삽입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이 보호판 결합체와 고정테두리부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판과 보호판 결합체의 접촉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삽입판과 보호판 결합체는 투수공의 내측면 방향에서 보호판 결합체과 삽입 판을 볼트결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결합체는 그 접촉면에 서로 대응되어 치합되는 결합단턱을 형성하여 결합하고, 상면에서 볼트결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KR2020070003470U 2007-03-02 2007-03-02 가로수 보호대 KR200441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470U KR200441582Y1 (ko) 2007-03-02 2007-03-02 가로수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470U KR200441582Y1 (ko) 2007-03-02 2007-03-02 가로수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582Y1 true KR200441582Y1 (ko) 2008-08-26

Family

ID=4164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470U KR200441582Y1 (ko) 2007-03-02 2007-03-02 가로수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5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766B1 (ko) 2009-12-15 2012-04-06 (주)마이즈텍 뿌리 성장 유도 수목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766B1 (ko) 2009-12-15 2012-04-06 (주)마이즈텍 뿌리 성장 유도 수목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581A (en) Road surface aperture frames and covers
KR101223676B1 (ko) 개량 공법을 위한 맨홀 뚜껑의 잠금장치 및 그러한 잠금 장치를 가진 맨홀 뚜껑
US20120177440A1 (en) Manhole safety gratings
KR200441582Y1 (ko) 가로수 보호대
KR101081380B1 (ko) 가로등 기초 구조물
KR100889599B1 (ko)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KR20090033984A (ko) 지지대가 구비된 가로수 보호 덮개
KR102116866B1 (ko) 배수구 설치용 그레이팅
JP2020045647A (ja) 多目的用途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23176246A (ja) 排水路ユニット
KR101634001B1 (ko) 맨홀의 상부 틀 보호용 프레임 조립체
KR200306747Y1 (ko) 수목 보호판의 이탈방지구조
KR200272128Y1 (ko) 높이조절용 맨홀
KR101114612B1 (ko)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가로수 보호판
KR100961987B1 (ko) 지주커버
KR100746633B1 (ko) 맨홀
JP2008248481A (ja) 地下構造物用鉄蓋
KR101008194B1 (ko) 가로수 보호대
KR200285781Y1 (ko) 가로수 보호대
KR101420062B1 (ko) 볼라드
KR20080000754U (ko) 가로수보호판
KR20190081266A (ko) 내식성 가로수 보호대
KR200463274Y1 (ko) 작업성을 증진시킨 지주용 하부커버
KR200186040Y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KR200357116Y1 (ko) 보·차도 경계용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