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510Y1 - 박스형 콘덴서 - Google Patents

박스형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510Y1
KR200441510Y1 KR2020080002524U KR20080002524U KR200441510Y1 KR 200441510 Y1 KR200441510 Y1 KR 200441510Y1 KR 2020080002524 U KR2020080002524 U KR 2020080002524U KR 20080002524 U KR20080002524 U KR 20080002524U KR 200441510 Y1 KR200441510 Y1 KR 200441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osition fixing
capacitor
fitting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근
Original Assignee
대동콘덴서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콘덴서공업(주) filed Critical 대동콘덴서공업(주)
Priority to KR2020080002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5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0Housing; Encapsulation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형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서, 전하가 축전되는 콘덴서소자(10)와, 콘덴서소자(10)가 수납되는 박스(20)와,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콘덴서소자(10)를 박스(20)에 위치 고정함과 동시에 전원이 인가되는 위치고정단자부(30)(130)를 포함하는 박스형 콘덴서에 있어서, 박스(20)의 양측단(21)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을 향하는 길이홈(22)이 형성되고; 위치고정단자부(30)(130)에는, 길이홈(22)에 끼어지는 끼움부(32)(132)(2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스형 콘덴서{A box type condenser}
본 고안은 박스형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성이 향상된 박스형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콘덴서, 예를 들면 필름 콘덴서는 콘덴서 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박스에 수납된 후 개구된 부분이 에폭시로 채워짐으로써 구현된다.
도 1은 종래의 박스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박스형 콘덴서에 있어서, 위치고정날개가 박스에 끼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박스형 콘덴서는, 전하가 축전되는 콘덴서소자(1)와, 콘덴서소자(1)가 수납되는 박스(2)와, 콘덴서소자(1)의 양측단에 용접(w)으로 것으로서 콘덴서소자(1)를 박스(2)에 위치고정함과 동시에 전원이 인가되는 위치고정단자부(3)를 포함한다. 박스형 콘덴서는, 위치고정단자부(3)가 용접된 콘덴서소자(1)를 박스(2)에 수납시킨 후, 액상의 수지를 박스(2)에 충진시킨 후 굳힘으로써 완성된다.
이때 위치고정단자부(3)는, 콘덴서소자(1)의 양측 단자에 용접됨과 동시에 박스(2)의 바닥까지 연장되는 기다란 용접바아(3a)와, 용접바아(3a)와 연결되어 박 스(2)의 측벽 내측에 끼어지는 위치고정날개(3b)와, 위치고정날개(3b)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콘덴서소자(1)의 상부면으로 연장되는 절곡단(3c)과, 절곡단(3c)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단자(3d)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용접바아(3a)가 박스(2)의 바닥에 지지되고, 위치고정날개(3b)가 박스(2)의 측벽 내측에 지지됨으로써, 콘덴서소자(1)는 그 크기에 관계없이 박스(2) 내부에서 위치가 유지된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한쌍의 위치고정날개(3b)가 콘덴서소자(1)의 양측단 각각에 정확히 용접되지 않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위치고정날개(2b)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고, 이에 따라 콘덴서소자(1)를 박스(2)에 수납할 때 위치고정날개(3b)가 박스(2) 내측면에 빡빡하게 끼어지게 되어 조립성이 떨어진다.
또한 불량이 발생하여 박스(2)로부터 콘덴서소자(1)를 분리할 경우에, 위치고정날개(3b)가 박스(2)에 빡빡하게 끼어져 있기 때문에 콘덴서소자(1)를 박스(2)로부터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고, 이 역시 전체적인 조립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콘덴서소자를 박스에 조립할 때 조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대량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조립원가를 떨어뜨릴 수 있는 박스형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콘덴서소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단자의 전체 면적을 줄임으로써, 원가를 낮출 수 있는 박스형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의 일 실시예는,
전하가 축전되는 콘덴서소자(10)와, 상기 콘덴서소자(10)가 수납되는 박스(20)와, 상기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덴서소자(10)를 상기 박스(20)에 위치 고정함과 동시에 전원이 인가되는 위치고정단자부(30)를 포함하는 박스형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박스(20)의 양측단(21)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브라켓(23)에는 수직 방향을 향하는 길이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단자부(30)는, 상기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w)되는 용접바아(31)와, 상기 용접바아(3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길이홈(22)에 끼어지는 끼움부(32)와, 상기 끼움부(32)의 상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콘덴서소자(10)의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절곡단(33)과, 상기 절곡단(33)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단자(34)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부(32)는 상기 길이홈(22)에 끼어질 수 있도록 상기 용접바아(31)의 상부 측부에서 일부 절곡된 날개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의 다른 실시예는, .
전하가 축전되는 콘덴서소자(10)와, 상기 콘덴서소자(10)가 수납되는 박스(20)와, 상기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덴서소자(10)를 상기 박스(20)에 위치 고정함과 동시에 전원이 인가되는 위치고정단자부(130)를 포함하는 박스형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박스(20)의 양측단(21)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을 향하는 길이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단자부(130)는, 상기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되는 용접바아(131)와, 상기 용접바아(13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길이홈(22)에 끼어지는 상기 끼움부(132)와, 상기 끼움부(13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자(133)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132)는 상기 길이홈(22)에 끼어질 수 있도록 상기 용접바아(131)의 상부 측부에서 일부 절곡된 날개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에 따르면, 박스의 양단 내측에 수직방향을 향하는 길이홈을 형성하고, 콘덴서소자의 양측단에 용접되는 위치고정단자부에 길이홈에 끼어지는 길이날개를 형성함으로써, 콘덴서의 조립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대량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원가를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콘덴서소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단자의 전체 면적을 줄임으로써,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는 박스형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로서 위치고정단자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콘덴서소자가 위치고정단자의 끼움부에 의하여 박스 내부에 위치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는, 전하가 축전되는 콘덴서소자(10)와, 콘덴서소자(10)가 수납되는 박스(20)와,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콘덴서소자(10)를 박스(20)에 위치고정함과 동시에 전원이 인가되는 위치고정단자부(30)(130)를 포함한다. 상기한 콘덴서소자(10)는 위치고정단자부(30)(130)가 용접된 상태에서 박스(20)에 수납되고, 박수의 개구된 부분으로 충진제(미도시)가 충진된다.
콘덴서소자(10)는 예를 들면 필름 콘덴서이고, 박스(20)는 합성수지 계열이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고 일측이 개구된 육면체형상을 가진다.
박스(20)의 양측단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을 향하는 길이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홈은 박스(20)의 양측단(21)의 내측면에 길게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양측단(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브라켓을 형성한 후, 그 브라켓에 길이홈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홈(22)은, 양측단(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성형된 브라켓(23)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길이홈(22)은 박스(20)의 바닥에서 1/3 이상되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박 스(20) 높이의 1/2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길이홈(22)은 박스의 양측단(21)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브라켓(23)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길이홈(22)은 박스의 양측단(21)에 수직방향으로 홈을 내어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길이홈(22)의 폭을 후술할 끼움부(32)(132)의 폭보다 3~5 배 정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위치고정단자부는 황동에 알루미늄이 코팅된 재질로 되어 있으며, 한번의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고정단자부는 3 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고정단자부(30)의 제1실시예는,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w)되는 용접바아(31)와, 용접바아(3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길이홈(22)에 끼어지는 상기한 끼움부(32)와, 끼움부(32)의 상부에서 절곡되어 콘덴서소자(10)의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절곡단(33)과, 절곡단(33)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단자(34)를 포함한다. 이때 용접바아(31)는 종래의 박스형 콘덴서에 있어서, 용접바아(3a)가 박스의 바닥까지 연장되는 것과는 달리, 콘덴서소자(10)의 중심까지만 연장된다.
이때, 끼움부(32)는, 용접바아(31)의 상부 측부에서 일부 절곡된 날개 형상을 가지며, 콘덴서소자(10)를 박스(20)에 수납할 때 길이홈(22)에 끼어진다. 이때 끼움부(32)의 하단에는 그 끼움부(32)가 길이홈(22)에 용이하게 끼어질 수 있도록 경사면(3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위치고정단자부(30)의 용접바아(31), 끼움부(32), 절곡단(33) 및 단 자(34)는 한 몸체로 재단된 후 수회의 절곡 과정을 거쳐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도로서 위치고정단자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위치고정단자부를 화살표(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단자부(130)의 제2실시예는,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되는 용접바아(131)와, 용접바아(13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길이홈(22)에 끼어지는 끼움부(132)와, 끼움부(13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자(133)를 포함한다.
이때, 끼움부(132)는 용접바아(131)의 상부 측부에서 일부 절곡된 날개형상을 가지며, 콘덴서소자(10)를 박스(20)에 수납할 때 길이홈(22)에 끼어진다. 이때 끼움부(132)의 하단에는 그 끼움부(132)가 길이홈(22)에 용이하게 끼어질 수 있도록 경사면(13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로서 위치고정단자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위치고정단자부를 화살표(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단자부(230)의 제3실시예는,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되는 용접바아(231)와, 용접바아(23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길이홈(222)에 끼어지는 끼움부(232)와, 용접바아(23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자(233)를 포함한다.
이때, 끼움부(232)는 용접바아(231)와 상기 단자(233) 사이에서 2번 절곡됨 으로써 볼록한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콘덴서소자(10)의 양측단자에 위치고정단자부(30)(130)(230)의 용접바아(31)(131)(231)를 용접(w)한 후, 그 콘덴서소자(10)를 길이홈(22)이 형성된 박스(20)에 수납시킨다. 그러면, 끼움부(32)(132)(232)는 자연스럽게 길이홈(22)에 끼어지고, 이에 따라 콘덴서소자(10)는 박스(20)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길이홈(22)의 폭을 끼움부 폭보다 3~5 배 정도 크게 제작하여, 콘덴서소자(10)를 박스(20)에 끼어넣는 단순한 동작으로도, 끼움부(32)(132)(232)가 길이홈(22)에 쉽게 끼어진다.
이때, 길이홈(22)을 박스(20)의 바닥으로부터 1/2 높이까지 형성할 경우, 끼움부(32)(132)(232)를 길이홈(22)에 끼어넣을 때 끼움부(32)(132)(232)가 박스(20) 바닥으로부터 1/2 지점까지 끼어지므로, 콘덴서소자(10)의 하단이 박스(20)의 바닥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콘덴서소자(10)의 크기에 관계없이 박스(20) 내부에서 위치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후, 박스(20)의 개구된 부분으로 액상의 에폭시를 부어서 굳히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가 완성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박스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박스형 콘덴서에 있어서, 위치고정날개가 박스에 끼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로서, 위치고정단자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콘덴서소자가 위치고정단자의 끼움부에 의하여 박스 내부에 위치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도로서, 위치고정단자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위치고정단자부를 화살표(A) 방향에서 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로서, 위치고정단자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위치고정단자부를 화살표(B) 방향에서 본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덴서소자 20 ... 박스
21 ... 양측단 22 ... 길이홈
23 ... 브라켓 30 ... 위치고정단자부
31 ... 용접바아 32 ... 끼움부
33 ... 절곡단 34 ... 단자
130 ... 위치고정단자부 131 ... 용접바아
132 ... 끼움부 133 ... 단자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하가 축전되는 콘덴서소자(10)와, 상기 콘덴서소자(10)가 수납되는 박스(20)와, 상기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덴서소자(10)를 상기 박스(20)에 위치 고정함과 동시에 전원이 인가되는 위치고정단자부(30)를 포함하는 박스형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박스(20)의 양측단(21)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브라켓(23)에는 수직 방향을 향하는 길이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단자부(30)는, 상기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w)되는 용접바아(31)와, 상기 용접바아(3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길이홈(22)에 끼어지는 끼움부(32)와, 상기 끼움부(32)의 상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콘덴서소자(10)의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절곡단(33)과, 상기 절곡단(33)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단자(34)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부(32)는 상기 길이홈(22)에 끼어질 수 있도록 상기 용접바아(31)의 상부 측부에서 일부 절곡된 날개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콘덴서.
  5. 전하가 축전되는 콘덴서소자(10)와, 상기 콘덴서소자(10)가 수납되는 박스(20)와, 상기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덴서소자(10)를 상기 박스(20)에 위치 고정함과 동시에 전원이 인가되는 위치고정단자부(130)를 포함하는 박스형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박스(20)의 양측단(21)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을 향하는 길이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단자부(130)는, 상기 콘덴서소자(10)의 양측 단자에 용접되는 용접바아(131)와, 상기 용접바아(13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길이홈(22)에 끼어지는 상기 끼움부(132)와, 상기 끼움부(13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자(133)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132)는 상기 길이홈(22)에 끼어질 수 있도록 상기 용접바아(131)의 상부 측부에서 일부 절곡된 날개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콘덴서.
  6. 삭제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홈(22)은 상기 박스(20)의 바닥에서 1/3 이상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KR2020080002524U 2008-02-26 2008-02-26 박스형 콘덴서 KR200441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24U KR200441510Y1 (ko) 2008-02-26 2008-02-26 박스형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24U KR200441510Y1 (ko) 2008-02-26 2008-02-26 박스형 콘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510Y1 true KR200441510Y1 (ko) 2008-08-27

Family

ID=4164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524U KR200441510Y1 (ko) 2008-02-26 2008-02-26 박스형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5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04B1 (ko) * 2009-02-02 2009-05-07 대동콘덴서공업(주) 박스형 콘덴서
KR20160137870A (ko) * 2015-05-22 2016-12-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조립형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04B1 (ko) * 2009-02-02 2009-05-07 대동콘덴서공업(주) 박스형 콘덴서
KR20160137870A (ko) * 2015-05-22 2016-12-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조립형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KR102159099B1 (ko) * 2015-05-22 2020-09-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조립형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2262B1 (fr)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pour l&#39;insertion d&#39;une fiche male de connexion d&#39;un composant electronique tel que fusible ou relais
JP5625793B2 (ja) 防水コネクタ
KR101477939B1 (ko) 크림핑 단자
JP5397338B2 (ja) 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11129828B (zh) 基板用连接器及基板用连接器的壳体的制造方法
KR20120112737A (ko) 퓨즈 유닛
KR200441510Y1 (ko) 박스형 콘덴서
JP5574117B2 (ja) 温度センサ
JP2003242957A (ja) 角型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4940665B2 (ja)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JP6569128B2 (ja) 端子台
JP6527002B2 (ja) コンデンサ
JP5883251B2 (ja) 樹脂封止コンデンサ
KR100896004B1 (ko) 박스형 콘덴서
JP5257677B2 (ja) 樹脂封止電気部品
KR101523887B1 (ko) 유도 구성품
JP5746500B2 (ja) バスバ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5887866B2 (ja) コンデンサ装置の製造方法
WO2014030660A1 (ja) 電気接続箱
JP2007026421A (ja) 携帯型記憶装置
JP5823898B2 (ja) コンデンサ
KR100866518B1 (ko) 박스형 콘덴서
JP2009016372A (ja) セメント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5062B2 (ja)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JP6156076B2 (ja) ノイズ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