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185Y1 - 코흡입기 - Google Patents

코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185Y1
KR200441185Y1 KR2020060028312U KR20060028312U KR200441185Y1 KR 200441185 Y1 KR200441185 Y1 KR 200441185Y1 KR 2020060028312 U KR2020060028312 U KR 2020060028312U KR 20060028312 U KR20060028312 U KR 20060028312U KR 200441185 Y1 KR200441185 Y1 KR 200441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uction
coupled
nas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715U (ko
Inventor
박인화
Original Assignee
박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화 filed Critical 박인화
Priority to KR2020060028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18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7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1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43Suction control by changing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e.g. flow 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유아들이 감기에 걸리거나 기타 다른 질병으로 인해 코가 막힐 때 콧속에 들어있는 코 점액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흡입수단으로 기존의 진공청소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코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인 코흡입기는 내부 바닥면에 소정 높이의 수직격벽이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투명용기부재와; 상기 투명용기부재의 상부에 나사결합되고, 측면관통공과 수직연결관이 형성된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수직연결관에 결합하고, 유아의 콧속에 삽입하여 코 점액을 흡입할 수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흡입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측면관통공에 일단이 결합하고, 타단의 내부에 너트부가 형성된 중공의 중간연결부재와; 상기 중간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재를 통해 코 점액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진공기; 및 상기 진공기 및 중간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진공기에 의한 흡입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진공기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흡입기, 진공청소기

Description

코흡입기{Device for Removing Mucus from Infant's Nose}
도 1a는 종래 실시 예의 코흡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코흡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코흡입기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코흡입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코흡입기 110: 투명용기부재
111: 수직격벽 120: 덮개부재
121: 수직연결관 130: 흡입부재
131: 삽입부 140: 중간연결부재
150: 진공기연결부재 151: 볼트부
152: 압력조절관통공 160: 과흡입방지수단
161: 외관케이스 162: 과흡입방지대
163: 탄성부재 200: 진공기
본 고안은 코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유아들이 감기에 걸리거나 기타 다른 질병으로 인해 코가 막힐 때 콧속에 들어있는 코 점액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흡입수단으로 기존의 진공청소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코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감기에 걸렸을 경우에 코 점액으로 인해 코가 막히는 경우가 많으며, 자력으로 이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방치할 경우에는 유아의 호흡 곤란을 가져올 수 있으며, 심지어 산소 부족에 따른 치명적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유아의 코 점액을 빼내기 위한 도구로써, 코흡입기가 고안되어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도 1a는 종래 실시 예의 코흡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코흡입기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관 형태로 되며 공기배출구(1a)를 갖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의 후방에 결합하고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에어팩부(2)와, 상기 본체부(2)의 전방에 결합하는 흡입부(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코흡입기는 상기 에어팩부(2)를 손으로 눌러주면,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구(1a)로 빠져 나가면서 부피가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팩부(2)로부터 손을 서서히 떼면, 상기 공기배출구(1a)는 막히고 흡입부(3)가 열려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된다. 따라서, 유아의 코가 막혔을 때, 상기 에어팩부(2)를 누른 후 상기 흡입부(3)를 유아의 콧속에 넣어 코 점액을 빼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코흡입기는 에어팩부의 자동팽창으로 인한 공기압을 이용하여 코 점액을 흡입하는 방식인데, 상기 에어팩부의 팽창에 의해 점도가 높은 코 점액의 경우에는 쉽게 빼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에어팩부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에 의해 코흡입기로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첨부 도면 중, 도 1b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코흡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코흡입기는 도 1에 예시된 코흡입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만 본체부(1)의 후방에 에어팩부(2, 도1a 참조)가 아닌 긴 에어튜브부(4)가 결합하는 차이점이 있다. 즉, 공기배출구(1a)를 갖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의 후방에 결합하는 긴 에어튜브부(4)와, 상기 본체부(2)의 전방에 결합하는 흡입부(3)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아의 코가 막혔을 때, 상기 에어튜브부(4)를 입에 대고 빨면 흡입부(3)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것으로 유아의 코 점액을 빼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흡입기는 입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코 점액을 빼내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흡입 방식은 사용자를 힘들게 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심폐 기능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입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의 코흡입기도 고안되었으나, 전동모터의 내장에 따른 코흡입기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 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에 진공기연결부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진공기를 이용하여 코 점액을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기를 분리하고 입으로도 흡입할 수 있는 코흡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본 고안인 코흡입기는 내부 바닥면에 소정 높이의 수직격벽이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투명용기부재와; 상기 투명용기부재의 상부에 나사결합되고, 측면관통공과 수직연결관이 형성된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수직연결관에 결합하고, 유아의 콧속에 삽입하여 코 점액을 흡입할 수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흡입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측면관통공에 일단이 결합하고, 타단의 내부에 너트부가 형성된 중공의 중간연결부재와; 상기 중간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재를 통해 코 점액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진공기; 및 상기 진공기 및 중간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진공기에 의한 흡입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진공기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기연결부재는 상기 중간연결부재가 결합하는 일측면에 수 개의 압력조절관통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압력조절관통공이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측 옆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기체결홈이 관통 형 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기연결부재는 상기 압력조절관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관통공조절수단이 더 결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흡입기는 상기 진공기연결부재 및 중간연결부재 사이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진공기의 흡입시 과도한 흡입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과흡입방지수단이 더 결합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흡입방지수단은 상기 중간연결부재에 결합하는 볼트부와, 상기 진공기연결부재에 결합하는 너트부, 및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중공의 외관케이스와; 상기 외관케이스의 내부 일단에 결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일단이 결합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과흡입방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흡입방지대는 상기 몸체부와 헤드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소정 크기의 유동관통홀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코흡입기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코흡입기(100)는 투명용기부재(110)와, 덮개부재(120)와, 흡입부재(130)와, 중간연결부재(140)와, 진공기연결부재(150), 과흡입방지수단(160), 및 진공기(200)로 구성된다.
-투명용기부재(110)
상기 투명용기부재(110)는 유아의 코 점액이 흡입되어 저장되는 곳으로서, 내부 바닥면에는 소정 높이의 수직격벽(111)이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격벽(111)은 상기 투명용기부재(110)가 기울어져 내부에 담기는 코 점액이 하술할 측면관통공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상기 수직격벽(111)이 소정 높이를 가지고 차단해줌으로써, 일정량의 코 점액이 쌓인 후 투명용기부재(110)가 기울어지더라도 상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명용기부재(110)의 상부 내면에는 너트부(112)가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덮개부재(120)가 나사결합된다.
-덮개부재(120)
상기 덮개부재(120)는 상기 투명용기부재(110)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덮개부재(120)의 상부면은 밀폐되이 있으며, 상부면에는 상기 투명용기부재(11)의 내부와 하술할 흡입부재(130)를 연결하는 수직연결관(121)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하술할 흡입부재(130)가 탈착되어 코 점액이 투명용기부재(1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120)의 하단부에는 나사산(1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덮개부재(120)와 나사결합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덮개부재(120)의 옆면에는 측면관통공(123)이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중간연결부재(140)가 결합하게 된다.
-흡입부재(130)
상기 흡입부재(130)는 유아의 콧속에 끝단을 삽입하여 코 점액을 흡입할 수 있는 부재로서, 이는 상기 덮개부재(120)의 수직연결관(121)에 결합한다. 상기 흡입부재(130)는 쉽게 휘어질 수 있고, 부드러운 재질의 합성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입부재(130)의 끝단인 유아의 콧속에 삽입하는 삽입부(131)는 옆면이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taper) 형상을 하고 있어 유아의 콧속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상기 삽입부(131)는 유아의 콧속에 직접 삽입되어 접촉하는 부위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간연결부재(140)
상기 중간연결부재(140)는 상기 덮개부재(120)의 측면관통공(141)에 일단이 결합하고, 타단의 내부에 너트부(141)가 형성된 중공의 부재이다. 상기 중간연결부재(140)는 상기 덮개부재(120)로부터 별도로 분리가능하며, 상기 너트부(141)에는 하술할 과흡입방지수단(160)의 볼트부(161)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진공기연결부재(150)
상기 진공기연결부재(150)는 일단이 후술할 과흡입방지수단(160)의 너트부(162)에 결합하고, 타단에는 진공기(200)가 결합하여 상기 진공기(200)를 이용하여 유아 콧속의 코 점액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진공기연결부재(150)의 일측에는 볼트부(151)가 형성되어 하술할 과흡입방지수단(160)의 너트부(162)에 삽입되어 나사체결된다. 또한, 타측면은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된 측면의 옆면에는 두 개의 진공기체결홈(153)이 상/하 대 칭되게 관통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상기 진공기(200)가 결합한 후에 진공기(200)의 체결부(미도시)가 결합하게 되고, 상기 진공기(200)가 진공기연결부재(1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진공기(200)는 가정용 진공청소기 또는 휴대용 진공청소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진공기연결부재(150)는 상기 중간연결부재(140)가 결합하는 일측면에 수 개의 압력조절관통공(152)이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진공기(200)에 의한 흡입시에 진공기(200)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한 압력을 조절하여 흡입압력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진공기연결부재(150)에는 상기 압력조절관통공(152)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통공조절수단(154)이 더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조절수단(154)은 상기 압력조절관통공(152)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조절수단(154)을 좌/우 회전함으로써 상기 압력조절관통공(152)의 개방 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관통공조절수단(154)은 일실시 예로서, 상기 관통공조절수단(154)의 형상 및 구조는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상기 압력조절관통공(152)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상기 진공기연결부재(150)는 진공기(200)를 사용하여 흡입하지 않고 입으로 직접 흡입할 경우에는 상기 진공기연결부재(150)를 별도로 분리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140)의 개방구측에 입을 대고 흡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과흡입방지수단(160)
상기 과흡입방지수단(160)은 상기 진공기연결부재(150) 및 중간연결부재(140) 사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진공기(200)에 의한 흡입시 과도한 흡입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과흡입방지수단(160)은 중공의 외관케이스(161)와, 상기 외관케이스(161)의 내부 일단에 결합하는 탄성부재(163), 및 과흡입방지대(1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관케이스(161)는 상기 중간연결부재(140)에 결합하는 볼트부(161a)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진공기연결부재(150)의 볼트부(151)에 결합하는 너트부(161b)가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과흡입방지대(162)의 걸림작용을 위한 걸림턱(161c)이 내면에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과흡입방지대(162)는 상기 탄성부재(163)에 일단이 결합하는 몸체부(162a) 및 상기 몸체부(162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61c)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162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과흡입방지대(162)는 상기 몸체부(162a)와 헤드부(162b)의 내부를 관통하는 소정 크기의 유동관통홀(162c)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관통홀(162c)은 상기 진공기(200)에 의한 과도흡입시에 헤드부(162b)가 후퇴하여 상기 걸림턱(161c)에 걸려 흡입공기가 뒷쪽으로 유동하는 것이 차단되어 작동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동관통홀(162c)을 형성함으로써 과도흡입시에 상기 헤드부(162b)가 상기 걸림턱(161c)에 완전 밀착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상기 진공기(200) 내로 흡입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과흡입방지수단(160)은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불필요시에는 분리하고 직접 상기 진공기연결부재(150)와 중간연결부재(14)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흡입방지수단(160)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평상시에는 상기 과흡입방지대(162)의 헤드부(162b)가 상기 탄성부재(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161c)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개방된 상태로 있다가, 상기 진공기(200)에 의한 흡입시에 흡입압력에 의해 후퇴하면서 헤드부(162b)와 걸림턱(161c)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공기가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기(200)에 의한 과도흡입될 경우에는 상기 헤드부(162b)가 걸림턱(161c)에 더욱 밀착되면서 과도흡입으로 인한 유아의 콧속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구성된 본 고안인 코흡입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코흡입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진공기(200)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중간연결부재(140)에 과흡입방지수단(160)을 연결하고, 여기에 다시 진공기연결부재(150)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진공기연결부재(150)의 끝단에 진공기(200)를 결합하여 진공기체결홈(153)에 진공기(200)의 체결부(210)를 결합한 후, 유아의 콧속에 흡입부재(130)의 삽입부(131)를 삽입한 다음, 진공기(200)를 구동시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진공기(20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압력은 진공기(200)에 구비 되는 속도조절버튼(210)에 의해서도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진공기(200)를 결합하지 않고 입으로 흡입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진공기(200)와 결합한 진공기연결부재(150) 및 과흡입방지수단(160)을 상기 중간연결부재(14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중간연결부재(140)의 끝단에 입을 대고 흡입하는 방식으로 코흡입기(100)를 사용한다.
상기 코흡입기(100)가 작동하여 유아의 코 점액을 빨아내면, 코 점액이 투명용기부재(110) 내부에 쌓이게 되고, 이 경우 수직격벽(111)에 의해 투명용기부재(110)가 기울어져도 코 점액이 상기 투명용기부재(110)의 측면관통공(141)으로 유출되지 않게된다. 상기 코흡입기(100)의 사용이 끝나면, 덮개부재(120)를 투명용기부재(11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을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인 코흡입기에 의하면,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에 진공기연결부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하여, 진공기를 이용하여 코 점액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진공기를 분리하고 입으로도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함이 없이 진공 장치로 기존에 많이 구비하고 있는 가정용 진공청소기 또는 차량용 진공청소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부 바닥면에 소정 높이의 수직격벽이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투명용기부재와;
    상기 투명용기부재의 상부에 나사결합되고, 측면관통공과 수직연결관이 형성된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수직연결관에 결합하고, 유아의 콧속에 삽입하여 코 점액을 흡입할 수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흡입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측면관통공에 일단이 결합하고, 타단의 내부에 너트부가 형성된 중공의 중간연결부재와;
    상기 중간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재를 통해 코 점액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진공기; 및
    상기 진공기 및 중간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진공기에 의한 흡입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진공기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코흡입기는 상기 진공기연결부재 및 중간연결부재 사이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진공기의 흡입시 과도한 흡입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과흡입방지수단이 더 결합되고,
    상기 과흡입방지수단은 상기 중간연결부재에 결합하는 볼트부와, 상기 진공기연결부재에 결합하는 너트부, 및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중공의 외관케이스와; 상기 외관케이스의 내부 일단에 결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일단이 결합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과흡입방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흡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기연결부재는 상기 중간연결부재가 결합하는 일측면에 수 개의 압력조절관통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압력조절관통공이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측 옆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기체결홈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코흡입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기연결부재는 상기 압력조절관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관통공조절수단이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흡입기.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흡입방지대는 상기 몸체부와 헤드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소정 크기의 유동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흡입기.
KR2020060028312U 2006-10-24 2006-10-24 코흡입기 KR200441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312U KR200441185Y1 (ko) 2006-10-24 2006-10-24 코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312U KR200441185Y1 (ko) 2006-10-24 2006-10-24 코흡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15U KR20080000715U (ko) 2008-04-29
KR200441185Y1 true KR200441185Y1 (ko) 2008-07-29

Family

ID=4132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312U KR200441185Y1 (ko) 2006-10-24 2006-10-24 코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1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800A (ko) 2018-08-27 2020-03-06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코 흡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8861A (zh) * 2019-01-22 2019-03-22 郑利娟 一种急诊内科用快速安全吸痰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800A (ko) 2018-08-27 2020-03-06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코 흡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15U (ko) 200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9707B2 (ja) 鼻粘液アスピレータ用付属品、鼻粘液アスピレータ、キット
JP4511599B2 (ja) 鼻の分泌物吸引装置
US8100886B2 (en) Aspirator assembly
ES2638970T3 (es) Recipiente de pulverización de agua de lavado para limpiador de cavidad nasal
PT2158926E (pt) Dispositivo de aspiração
JP2005518875A (ja) 携帯可能な電池作動式吸入器
KR20090040315A (ko) 구강내 의료 장비
KR100900317B1 (ko) 콧물 흡인 장치
KR200441185Y1 (ko) 코흡입기
US20090105674A1 (en) Snivel aspirator
KR200467793Y1 (ko) 코 세척기
JP2002172075A (ja) 真空掃除機
CN208436229U (zh) 双套管可控式冲洗吸痰管
JP7424627B2 (ja) 鼻汁吸引器
KR102097167B1 (ko) 일회용 주사기에 사용하는 바늘결합체
JP4031098B2 (ja) 鼻汁吸引器
CN210159054U (zh) 一种可冲洗人工气道管
CN207940949U (zh) 一种癫痫急救用咬塞
KR200234171Y1 (ko) 콧물흡입기구
KR102534264B1 (ko) 콧물 흡입기구
TWI632935B (zh) 面罩
CN218943851U (zh) 一种基于洗鼻器的充电基座及洗鼻器
CN208372192U (zh) 一种儿科吸痰器
CN108814986A (zh) 婴儿奶瓶
CN215608094U (zh) 一种呼吸内科护理用辅助人工呼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