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171Y1 - 콧물흡입기구 - Google Patents

콧물흡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171Y1
KR200234171Y1 KR2019980010011U KR19980010011U KR200234171Y1 KR 200234171 Y1 KR200234171 Y1 KR 200234171Y1 KR 2019980010011 U KR2019980010011 U KR 2019980010011U KR 19980010011 U KR19980010011 U KR 19980010011U KR 200234171 Y1 KR200234171 Y1 KR 200234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y nose
tube
hose
mouthpiec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806U (ko
Inventor
이창연
Original Assignee
이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연 filed Critical 이창연
Priority to KR2019980010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171Y1/ko
Publication of KR19980055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806U/ko
Priority to JP55281799A priority patent/JP2002505615A/ja
Priority to CN99800599A priority patent/CN1266372A/zh
Priority to PCT/KR1999/000185 priority patent/WO1999053819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2Membrane pumps, e.g. bul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5Bulb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mouth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콧물 흡입기구에 관한 것으로, 콧물 흡입 및 중이내에 물이 찬 경우 중이 내를 환기시켜 치료할 수 있는 콧물 흡입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콧물 흡입기구는 끝 부분이 라운딩져 형성되고 콧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톱니(10a)들을 가지는 삽입부(12)와 바깥으로 단(16)이 형성된 채 직경이 큰 관부를 가지는 팁(10)과, 상기 팁(10)의 단(16)이 삽입되는 돌출관(18)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18)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콧물이 고이는 고임관(19)을 가지며, 콧물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톱니(20a)들이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투명관(20)과, 상기 투명관(2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관(18)과 수직을 이루면서 위로 신장된 유입관(22)을 가지는 뚜껑(60)과, 상기 유입관(22)과 호스(24)로 연결되며, 소정의 공기압으로 콧구멍 속의 콧물을 흡인하기 위한 마우스 피스(32)와, 상기 호스(24)의 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스(24)로 유입된 미량의 콧물이 고이도록 하는 고임부(26)와, 상기 호스(24)의 끝부분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콧물의 입속으로의 흡입을 방지하는 필터(28)와, 상기 마우스 피스(32) 전체를 감싸며, 상기 마우스 피스(32)쪽으로 공기를 불어넣을 때 중이 내를 환기시키기 위한 풍선(3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콧물 흡입기구
본 고안은 콧물 흡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콧물 흡입 및 중이내에 음압이 있어 물이 차거나 귀가 멍한 경우 중이내를 환기시켜 치료할 수 있는 콧물 흡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콧물 흡입기구는 유아와 어린이들이 감기에 걸렸다거나 비염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한 콧물이나 고름을 콧구멍으로부터 빼낼 수 있는 기구이며, 이는 통상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튜브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무튜브의 일측에는 체크밸브가 내장된 콧구멍삽입물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캡이 조립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콧물 흡입기구는 고무튜브의 복원력이 미약하기 때문에 흡인력이 약하여 코털이나 콧속의 점막에 끈끈하게 엉기어 있던 진한 콧물이나 고름 등을 완전히 제거할 수가 없었다. 또한 상기 고무튜브의 복원력을 강하게 조절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수차례에 걸쳐 동일한 작업을 가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동일 고안자가 출원한 출원번호 제98-6357호(명칭 : 콧물흡입기구)(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끝 부분이 부드럽게 라운딩 되고 직경이 작은 콧구멍삽입부와 바깥으로 단이 형성된 채 직경이 큰 관부로 형성된 팁과, 상기 팁의 단이 삽입되는 직경을 가지면서 반대쪽의 단에는 돌기가 형성된 제 1투명관과, 상기의 제 1투명관의 단과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과 홈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돌출관이 형성된 제 2투명관과, 내부는 공간부이며 일측에 돌출관이 형성된 마우스피스와, 상기 제 2투명관과 마우스피스의 돌출관들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호스로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두 개의 투명관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상 불편함이 예상되며, 그리고 콧물이 마우스 피스쪽으로 흡입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며, 또한 중이염 등으로 인해 중이(귀) 내에 물이 찬 경우 이를 해소하지 못하는 애로점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의 콧물이나 고름 등을 한번의 작업으로 완전히 빼낼 수 있는 콧물 흡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이 내를 환기시켜 치료할 수 있는 콧물 흡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콧물 흡입기구는 끝 부분이 라운딩져 형성되고 콧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톱니들을 가지는 삽입부와 바깥으로 단이 형성된 채 직경이 큰 관부를 가지는 팁과, 상기 팁의 단이 삽입되는 돌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콧물이 고이는 고임관을 가지며 콧물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톱니들이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관과 수직을 이루면서 위로 신장된 유입관을 가지는 뚜껑과, 상기 유입관과 호스로 연결되며 소정의 공기압으로 콧구멍 속의 콧물을 흡인하기 위한 마우스 피스와, 상기 호스의 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스로 흡입된 미량의 콧물이 고이도록 하는 고임부와, 상기 호스의 끝부분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콧물의 입속으로의 흡입을 방지하는 필터와, 상기 마우스 피스 전체를 감싸며 상기 마우스 피스쪽으로 공기를 불어넣을 때 중이 내를 환기시키기 위한 풍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콧물 흡입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콧물 흡입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콧물 흡입기구에서 중이염으로 인해 중이내에 물이 차거나 혹은 압력차에 의해 귀가 멍할 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콧물 흡입기구에서 콧속으로 콧물을 흡입할 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콧물 흡입기구에서 마우스 피스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팁 10a, 20a : 톱니
19 : 고임관 20 : 투명관
24 : 호스 26 : 고임부
28 : 필터 32, 50 : 마우스 피스
34 : 풍선 60 : 뚜껑
64 : 피리 팁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콧구멍 속의 콧물뿐만 아니라 중이 내에 고여있는 물을 말끔히 제거할 수 있는 콧물 흡입기구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콧물 흡입기구는 콧구멍 속으로 삽입되는 팁(10)과, 콧물 및 고름 등이 고이는 투명관(20) 및 소정의 공기압으로 콧구멍 속에 있는 콧물 및 고름 등이 고이는 투명관(20) 및 소정의 공기압으로 콧구멍 속에 있는 콧물을 빼내는 마우스 피스(32)와, 중이내를 환기시켜 중이염을 치료하기 위한 풍선(34)로 구성된다. 즉, 상기 팁(Tip)(10)의 좌측단에는 콧구멍 속에 삽입되는 삽입부(12)가 중심으로 경사지면서 라운딩지게 형성되며, 그 반대편으로는 바깥으로 단(16)을 가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관부(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16)의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는 상기 팁(10)을 후술하는 돌출관(18)에 확실히 체결 고정시키기 위해서이다. 상기 투명관(20)은 상/하 방향으로 신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측 일면에는 상기 팁의 단(16)이 체결 고정되는 돌출관(18)이 형성되고 그 반대편으로는 팁(10)을 통과한 콧물이 고이는 고임관(19)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콧물 혹은 고름 등은 고임관(19)에 일부 고이게 되고 나머지는 투명관(20)의 바닥면에 고이게 되며, 또한 상기 투명관(20)은 내부에 콧물 혹은 고름이 고여있는 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관(20)의 상단부에는 뚜껑(60)이 결합되며, 상기 뚜껑(60)의 하단 둘레면에는 나사산을 가지는 단(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60)의 상단 일측면에는 직경이 작은 유입관(22)이 위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22)의 내부에는 흡입 또는 유아가 팁(10)을 불 때 피리소리가 나도록 피리 팁(64)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피리 팁(64)은 마우스 피스(32),(50)에 형성된 연결부(30),(52)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유입관(22)에는 호스(24)가 끼워지며, 상기 호스(24)의 일부분에는 고임부(26)가 아래로 쳐져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임부(26)에는 후술하는 마우스 피스(32)를 통해 강하게 흡인할 때 상기 호스(24)를 따라 유입되는 미량의 콧물이 한번더 고이는 곳이다. 상기 호스(24)의 우측 끝부분에는 필터(28)가 안쪽으로 삽입되며, 이는 콧물의 역류(콧물이 입속으로 흡입되는 현상)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콧구멍 속에 있는 콧물 혹은 고름은 투명관(20) 및 고임관(19)에서 1차로 고이고, 한번더 상기 고임부(26)에서 2차로 고이며, 끝으로 상기 필터(28)에 의해 최종적으로 걸러지게(고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24)의 우측단(제1도에서)에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는 마우스 피스(32)가 결합된다. 즉, 상기 마우스 피스(32)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좌측 중간부분에는 상기 호스(24)에 삽입되는 연결부(30)가 형성되며 상/하면은 중심방향으로 굴곡져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 피스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우스 피스(50)은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좌측 중심에는 연결부(5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 반대편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마우스 피스(50)을 입에 물기 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끝으로, 상기 마우스 피스(32) 또는(50)은 풍선(34)에 삽입되며, 상기 풍선(34)는 한쪽 코를 막고서 입을 다물고 다른쪽 코로 코흡입기를 향해 콧 바람을 불 경우 공기압에 의해 부풀어오르면서 중이 내를 환기시켜 중이염을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의학용어 : Valsalva 방법). 이때 상기 풍선(34)는 성인용으로는 두꺼운 것이 사용되고, 유아/어린이용으로는 중간것이나 얇은 것이 사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콧물 흡입기구의 사용상태를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첫 번째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나 어린이가 중이염에 걸렸을 때 귀가 멍한 증상을 없애고자 하거나 중이 내에 있는 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는, 우선 마우스 피스(32)를 두께가 앎은 풍선(34)에 삽입시킨 다음, 크기가 작고 이질감이 없는 팁의 삽입부(12)를 유아나 어린이의 콧구멍 속으로 가볍게 삽입시킨다. 이어서 보호자가 직접 팁(10)을 한쪽 손으로 잡든지 혹은 어린이가 직접 손으로 잡고 있도록 한 후, 다른쪽 손으로 반대편 콧구멍(팁이 없는 콧구멍)을 막은 다음 숨을 크게 내쉰다. 즉, 어린이에게 풍선(34)를 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콧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세찬 공기는 호스(24)를 통해 마우스 피스(32)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상기 풍선(34)는 부풀어오르게 된다. 이때 어린이가 내쉬는 공기에 의해 피리 팁(64)은 피리소리를 내게 되며, 이는 치료시 어린이의 공포감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중이 내는 환기됨과 동시에 음압이 없어져서 중이 내에 고여있는 물이 제거되어 중이염은 치료되며, 또한 귀가 멍한 증상도 없어진다.
두 번째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린이 또는 유아의 콧구멍 안에 있는 콧물이나 고름 등을 제거하고자 할 때는, 먼저 마우스 피스(32)를 보호자 혹은 간호사가 입에 물은 다음 크기가 작고 이질감이 없는 팁의 삽입부(12)를 유아나 어린이의 콧구멍 속으로 가볍게 삽입시킨다. 이어서 보호자가 직접 팁(10)을 손으로 잡든지 혹은 어린이가 직접 손으로 잡고 있도록 한 후, 상기 마우스 피스(32)를 통해 강하게 또는 약하게 흡인한다. 그러면 콧구멍 속의 콧물이나 고름 등은 단 한번만에 쉽게 빠져나와 고임관(19)에 대부분 고이게 되며 나머지 콧물은 투명관(20)의 바닥면에 고이게 된다. 이때 미량의 콧물이 호스(24)를 통해 마우스 피스 쪽으로 유입되어도 상기 콧물은 고임부(26)에 의해 고이게 되고, 또한 상기 고임부(26)에 고이지 않은 아주 미량의 콧물은 필터(28)에 의해 최종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콧물은 투명관(20), 고임부(26) 및 필터(28)에 의해 마우스 피스(32) 쪽으로 전혀 유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위치에서도 콧물을 흡인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 또는 간호사가 마우스 피스(32)를 통해 흡입시 발생하는 공기압에 의해 피리 팁(64)은 피리소리를 내게 되며, 이는 치료시 유아의 공포감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 이후 콧물이 고인 투명관(20)을 호스(24)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팁(10)을 빼낸 후 뚜껑(60)을 오픈시킨다. 이어서 상기 팁(10)과 투명관(20) 및 호스(24)를 물로 세척한 후 소독을 하면 위생적인 문제와 내용물의 처리는 간단히 해결되며, 이들을 다시 조립시켜 두거나 혹은 보관함에 보관시켰다가 필요시 간편하게 조립시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은 강한 흡인력으로 인해 1회의 작업으로 원하는 바를 이를 수 있음은 물론 흡인력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한 처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부품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소독하거나 청소하기에 편리하여 위생적임은 물론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고장의 우려가 거의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특히 투명관에 고여있는 콧물이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콧물 흡입기구는 어떠한 위치에서도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중이염으로 인해 중이 내에 고여있는 물을 말끔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끝 부분이 라운딩져 형성되고 콧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톱니(10a)들을 가지는 삽입부(12)와 바깥으로 단(16)이 형성된 채 직경이 큰 관부를 가지는 팁(10)과; 상기 팁(10)의 단(16)이 삽입되는 돌출관(18)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18)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콧물이 고이는 고임관(19)을 가지며, 콧물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톱니(20a)들이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투명관(20)과; 상기 투명관(2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관(18)과 수직을 이루면서 위로 신장된 유입관(22)을 가지는 뚜껑(60)과; 상기 유입관(22)과 호스(24)로 연결되며, 소정의 공기압으로 콧구멍 속의 콧물을 흡인하기 위한 마우스 피스(32)와; 상기 호스(24)의 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스(24)로 유입된 미량의 콧물이 고이도록 하는 고임부(26)와; 상기 호스(24)의 끝부분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콧물의 입속으로의 흡입을 방지하는 필터(28)와; 상기 마우스 피스(32) 전체를 감싸며, 상기 마우스 피스(32)쪽으로 공기를 불어넣을 때 중이 내를 환기시키기 위한 풍선(34)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콧물 흡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피스(32)는 상기 호스(24)의 끝단에 삽입되는 연결부(30)를 가지며, 소정의 공기압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하 면이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콧물 흡입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피스(50)는 상기 호스(24)의 끝단에 삽입되는 연결부(52)를 가지며, 소정의 공기압을 형성시키도록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콧물 흡입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22)의 내부에는 흡입시 혹은 유아가 상기 팁을 불 때 피리소리가 나도록 피리 팁(64)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콧물 흡입기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피스(32),(50)의 연결부에는 흡입시 혹은 상기 팁을 불 때 피리소리가 나도록 피리 팁(64)이 삽입됨틀 특징으로 하는 콧물 흡입기구.
KR2019980010011U 1998-04-18 1998-06-05 콧물흡입기구 KR200234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011U KR200234171Y1 (ko) 1998-06-05 1998-06-05 콧물흡입기구
JP55281799A JP2002505615A (ja) 1998-04-18 1999-04-19 鼻汁吸引装置
CN99800599A CN1266372A (zh) 1998-04-18 1999-04-19 鼻涕吸取装置
PCT/KR1999/000185 WO1999053819A2 (en) 1998-04-18 1999-04-19 Snivel suction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011U KR200234171Y1 (ko) 1998-06-05 1998-06-05 콧물흡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806U KR19980055806U (ko) 1998-10-07
KR200234171Y1 true KR200234171Y1 (ko) 2001-10-25

Family

ID=6951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011U KR200234171Y1 (ko) 1998-04-18 1998-06-05 콧물흡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1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7013B2 (en) 2008-03-04 2013-04-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formation management in automated processing of biological growth media
US9933446B2 (en) 2008-03-04 2018-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ing of biological growth media based on measure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742B1 (ko) * 2023-06-19 2023-11-14 백영진 음압을 방지하는 비강카테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7013B2 (en) 2008-03-04 2013-04-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formation management in automated processing of biological growth media
US9933446B2 (en) 2008-03-04 2018-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ing of biological growth media based on measure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806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9707B2 (ja) 鼻粘液アスピレータ用付属品、鼻粘液アスピレータ、キット
US5114415A (en) Apparatus for suctioning secretions from upper airways
US8181651B2 (en) Hand powered suction device with mucus trap and suction catheter for tracheostomy tubes
US20100331777A1 (en) Nose device
US20050092331A1 (en) Gag-less airway for snoring prevention
KR20010022787A (ko) 기관내삽관
WO2008077033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surgical airway and method of the same
CN110141748A (zh) 无创呼吸机用辅助排痰面罩
KR200234171Y1 (ko) 콧물흡입기구
US20090105674A1 (en) Snivel aspirator
JP5993645B2 (ja) 鼻汁吸引器
EP1474186B1 (en) Infant nasal aspirator
JP2002505615A (ja) 鼻汁吸引装置
KR200181500Y1 (ko) 콧물 흡입기구.
KR19980069044U (ko) 콧물 흡입기구
KR102534264B1 (ko) 콧물 흡입기구
KR200211372Y1 (ko) 코흡입기
KR200254546Y1 (ko) 콧물 흡입기구.
CN218961529U (zh) 一种可吸痰式气管切开套管
CN213347331U (zh) 一种呼吸面罩
JPH05205Y2 (ko)
US20230084589A1 (en) Suction-target guide pipe and suction-target suction system
KR200199450Y1 (ko) 콧물흡입기구
KR200205327Y1 (ko)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CN209984665U (zh) 一种儿科临床手持式喉部痰液吸取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