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450Y1 - 콧물흡입기구 - Google Patents
콧물흡입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9450Y1 KR200199450Y1 KR2019980006357U KR19980006357U KR200199450Y1 KR 200199450 Y1 KR200199450 Y1 KR 200199450Y1 KR 2019980006357 U KR2019980006357 U KR 2019980006357U KR 19980006357 U KR19980006357 U KR 19980006357U KR 200199450 Y1 KR200199450 Y1 KR 2001994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p
- tube
- transparent tube
- protruding
- mouthpie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콧물흡입기구에 관한 것으로 강한 흡인력과 사용하기에 편리한 특징이 있다. 이는 끝 부분이 부드럽게 라운딩 되고 직경이 작은 콧구멍삽입부 12와 바깥으로 단 13이 형성된 채 직경이 큰 관부 11로 형성된 팁 10과, 상기의 팁의 단 13이 삽입되는 직경을 가지면서 반대쪽의 단 21에는 돌기 22가 형성된 제 1투명관 20과, 상기의 제 1투명관 20의 단 21과 돌기 22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과 홈 32가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돌출관 31이 형성된 제 2투명관 30과, 내부는 공간부 52이며 일측에 돌출관 51이 형성된 마우스피스 50과, 상기 제 2투명관과 마우스피스의 돌출관들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호스 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콧물흡입기구에 관한 것으로 주로 유아와 어린이들이 감기에 걸렸다거나 비염 등을 앓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진한 콧물이나 고름을 간단히 콧구멍으로부터 빼 낼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안출된 종래의 기구를 살펴보면, 제1도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고무튜브 100의 일측으로는 체크밸브가 내장된 콧구멍삽입물 101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캡 102이 조립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고뮤튜브 100을 손으로 쥐었다가 힘을 제거시키면 콧구멍삽입물 101로 공기가 흡입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코 60속의 콧물이나 고름 등을 빼내는 것인데, 고무튜브 100을 강하게 움켜잡아서 고무튜브 100 속의 공기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그 상태에서 콧구멍삽입물 101의 끝 부분을 유아나 어린이의 콧구멍속으로 삽입시킨 후 고무튜브 100에 가했던 힘을 제거시키면 고무튜브 100이 복원되면서 코 속의 콧물이나 고름 등을 빨아 들이도록 한다.
그러나 고무튜브의 복원력이 미약하기 때문에 흡인력이 약하여 콧털이나 코속의 점막에 끈끈하게 엉기어 있던 진한 콧물이나 고름 등을 쉽게 빠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는데, 고무튜브의 복원력을 강하게 조절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수차례에 걸쳐 동일한 작업을 가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주의력이 비교적 산만하고 인내성이 약할 수밖에 없는 유아나 어린이들은 반복되는 작업에 신경이 예민해지고 귀찮아져서 의사나 보호자의 작업에 협조를 하지 않고, 크기가 비교적 큰 고무튜브가 자신의 안면에 접근된 채 콧구멍속으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공포감이 유발되어 거부반응을 보이게되므로 작업이 쉽지가 않다. 또한 이 과정에서 콧구멍삽입물이 콧구멍으로부터 쉽게 빠지게 되어 상방간에 더욱 불편함은 물론 자칫 소홀히하면 콧구멍삽입물로 인해 코 속의 점막을 강하게 자극하게 되어 다치는 경우가 있는 등 다수의 애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고무튜브는 내부를 청소하기가 불편하고 전체의 구성품을 분해하여 소독하였다가 다시 간단히 조립시켜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와 세균 등의 감염문제가 예상된다. 한편, 과거로부터 보호자의 입을 유아나 어린이의 콧구멍에 대고 직접 콧물이나 고름 등을 빨아내는 민간요법적인 방법이 전래되어 오고 있으나 이는 상방간에 비위생적임은 물론 외견상으로도 좋다고 할 수는 없어 크게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안출목적은 흡인력으로 1회의 작업을 통해 유아나 어린이의 코 속의 콧물이나 고름 등을 빼낼 수 있는 콧물흡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안출목적은 상황에 따라 흡인력이 조절될 수 있고 유아들이나 어린이들이 공포감이나 거부반응을 느낄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콧물흡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끝 부분이 부드럽게 라운딩되고 직경이 작은 콧구멍삽입부 12와 바깥으로 단 13이 형성된 채 직경이 큰 관부 11로 형성된 팁 10과, 상기의 팁의 단 13이 삽입되는 직경을 가지면서 반대쪽의 단 21에는 돌기 22가 형성된 제 1투명관 20과, 상기의 제 1투명관 20의 단 21과 돌기 22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과 홈 32가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돌출관 31이 형성된 제 2투명관 30과, 내부는 공간부 52이며 일측에 돌출관 51이 형성된 마우스피스 50과, 상기 제 2투명관과 마우스피스의 돌출관들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호스 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콧물흡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팁(Tip) 11 : 관부
12 : 콧구멍삽입부 13, 21 : 단
20 : 제1투명관 22 : 돌기
30 : 제2투명관 31, 51 : 돌출관
32 : 홈 40 : 호스
50 : 마우스피스 52 : 공간부
60 : 코 100 : 고무튜브
101 : 콧구멍삽입물 102 : 캡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콧구멍속으로 끝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팁 10과, 팁 10의 단 13이 삽입되는 제 1투명관 20과, 제 1투명관의 단과 돌기 22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 및 홈 32가 형성된 제 2투명관 30과, 호스 40 및 마우스피스 50으로 대분되며 전체를 간단히 분해하여 보관하였다가 다시 간편하게 조립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또는 별도로 소독할 수 있고, 5가지의 부품중에서 어느 한 가지를 교체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본 고안을 제3도와 같이 조립시킨 후 제4도와 같이 마우스피스를 보호자 또는 의사 또는 간호원의 입에 물고 크기가 작고 이질감이 없는 팁 10의 콧구멍삽입부 12를 유아나 어린이의 콧구멍속으로 가볍게 삽입시킨 후 손으로 잡아주거나 혹은 어린이의 경우에는 어린이가 직접 손으로 잡고 있도록 하면서 마우스피스를 통해 강하게 또는 약하게 흡인하면 콧구멍속의 콧물이나 고름 등은 단 1회로도 매우 쉽게 빠져나와서 제 1투명관 20을 통과하여 제 2투명관 30의 안쪽에 고이게 된다. 이때 제 2투명관의 돌출관 31이 가능하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빨려나온 콧물이나 고름 등이 돌출관을 통해 호스속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 2투명관의 막힌 부분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유지한채 돌출관 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빨려나온 콧물 등은 돌출관 31을 통해 호스로 유입될 가능성은 적지만, 콧물 등이 호스로 유입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돌출관 31은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제 1투명관과 제 2투명관을 조립시킬 때 돌기 22가 홈 32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육안으로 그 위치가 식별되도록 함으로써 돌출관 31이 항상 쉽게 위쪽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콧물이 고인 제 1,2투명관은 호스로부터 분리시킨 후 팁 10을 빼내고 팁과 투명관들을 물로 세척한 다음 소독을 하면 위생적인 문제와 내용물의 처리는 간단히 해결되며 이들을 다시 조립시켜 두거나 혹은 보관함안에 보관시켰다가 필요시 간편하게 조립시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로써 나타낸 것인데, 도시된 상태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으며 어린이나 유아들을 눕히거나 목을 약간 뒤로 젖힌 후 제 1,2투명관들이 수평에 가깝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팁 10의 콧구멍삽입부 12의 직경은 큰 것과 중간형 또는 작은 것 등으로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가장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제1투명관 20의 단 21쪽은 도시와 같이 개방(관통)시키지 않고 단 21의 1/2정도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지는 구멍만 돌기쪽으로 형성시키고 나머지 부분은 막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에 있어서 구멍의 숫자는 2개 또는 3개로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이는 제1투명관으로 유입된 콧물이 제1투명관안에 일차로 고였다가 제2투명관으로 넘어가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국소적인 변화는 본 고안으로부터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매우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귀속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호자나 의사, 간호원이 입으로 빨아서 유아나 어린이의 콧물 또는 고름 등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강한 흡인력을 가하여 1회의 작업으로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 흡인력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한 처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부품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소독하거나 청소하기에 편리하여 위생적임은 물론 경제적인 뿐만 아니라 고장의 우려가 거의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크기가 작고 둥근 타입의 팁은 어린이들이나 유아들의 놀이감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은 형상을 띠고 있기 때문에 거부감이나 공포감이 거의 작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처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처치효과가 양호함과 아울러 상황에 따라서는 유아를 두손으로 안고 있는 상태에서 혼자서도 처치가 가능하여 사용효과가 크게 우수한 잇점이 있다.
Claims (1)
- 끝 부분이 부드럽게 라운딩 되고 직경이 작은 콧구멍삽입부 12와 바깥으로 단 13이 형성된 채 직경이 큰 관부 11로 형성된 팁 10과, 상기의 팁의 단 13이 삽입되는 직경을 가지면서 반대쪽의 단 21에는 돌기 22가 형성된 제 1투명관 20과, 상기의 제 1투명관 20의 단 21과 돌기 22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과 홈 32가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돌출관 31이 형성된 제 2투명관 30과, 내부는 공간부 52이며 일측에 돌출관 51이 형성된 마우스피스 50과, 상기 제 2투명관과 마우스피스의 돌출관들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호스 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물흡입기구.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6357U KR200199450Y1 (ko) | 1998-04-18 | 1998-04-18 | 콧물흡입기구 |
PCT/KR1999/000185 WO1999053819A2 (en) | 1998-04-18 | 1999-04-19 | Snivel suction instrument |
CN99800599A CN1266372A (zh) | 1998-04-18 | 1999-04-19 | 鼻涕吸取装置 |
JP55281799A JP2002505615A (ja) | 1998-04-18 | 1999-04-19 | 鼻汁吸引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6357U KR200199450Y1 (ko) | 1998-04-18 | 1998-04-18 | 콧물흡입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9905U KR19990039905U (ko) | 1999-11-15 |
KR200199450Y1 true KR200199450Y1 (ko) | 2000-11-01 |
Family
ID=1953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6357U KR200199450Y1 (ko) | 1998-04-18 | 1998-04-18 | 콧물흡입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9450Y1 (ko) |
-
1998
- 1998-04-18 KR KR2019980006357U patent/KR2001994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9905U (ko) | 1999-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81651B2 (en) | Hand powered suction device with mucus trap and suction catheter for tracheostomy tubes | |
US5114415A (en) | Apparatus for suctioning secretions from upper airways | |
ES2599980T3 (es) | Aspirador nasal | |
US10888673B2 (en) | Counterbalanced nasal bulb aspirator | |
US20100331777A1 (en) | Nose device | |
US8070744B1 (en) | Nasal aspiration device | |
JP5993645B2 (ja) | 鼻汁吸引器 | |
KR200199450Y1 (ko) | 콧물흡입기구 | |
WO2009060111A1 (es) | Boquilla de aspiración y aspirador de las secreciones nasales del infante con un dispositivo no inductor de contaminación y transmisión de gérmenes patógenos | |
KR200234171Y1 (ko) | 콧물흡입기구 | |
KR200181500Y1 (ko) | 콧물 흡입기구. | |
KR200481166Y1 (ko) | 콧물 흡입기 | |
TW202200083A (zh) | 口部醫療輔具 | |
KR200211372Y1 (ko) | 코흡입기 | |
JP4031098B2 (ja) | 鼻汁吸引器 | |
KR19980069044U (ko) | 콧물 흡입기구 | |
KR200163995Y1 (ko) | 콧물 흡입기구 | |
JP2002085550A (ja) | 家庭用吸引器 | |
JP4033533B2 (ja) | 医用スプレー装置 | |
KR200254546Y1 (ko) | 콧물 흡입기구. | |
KR200333659Y1 (ko) | 콧물 흡입기구 | |
RU178012U1 (ru) | Назальный аспиратор | |
KR200220982Y1 (ko) | 코 세척기 | |
KR200279591Y1 (ko) | 콧물 흡입기 | |
KR20020080596A (ko) | 콧물 흡입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