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327Y1 -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 Google Patents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327Y1
KR200205327Y1 KR2020000019852U KR20000019852U KR200205327Y1 KR 200205327 Y1 KR200205327 Y1 KR 200205327Y1 KR 2020000019852 U KR2020000019852 U KR 2020000019852U KR 20000019852 U KR20000019852 U KR 20000019852U KR 200205327 Y1 KR200205327 Y1 KR 200205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container
suction
rubber hose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호
Original Assignee
손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호 filed Critical 손정호
Priority to KR2020000019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61M1/002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소한 구조로서 위생적이고 사용의 편리성이 극대화된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통상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에 삽입되는 흡입용 팁(10)과 이물질수거통(20)이 고무호스(30)로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수거통(20)은 다시 흡입밸브(50)와 고무호스(40)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밸브(50)의 작동에 의한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고무호스(30)를 통해 이물질수거통(20)으로 수집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50)는 통상의 고무튜브(51)의 입구(52)에 내부공기 배출용 체크밸브(54)와 외부공기 흡입용 체크밸브(55)가 각각 결합된 연결몸체(53)의 일 측이 결합되고, 이의 타측이 상기 이물질수거통(20)과 연결된 고무호스(40)와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질수거통(20)은 상단에 다수의 통기홈(23)을 일체 형성한 격벽(22)이 일체 형성된 수거통(21)과, 이 수거통의 상부에 개폐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통기홈(23)과 대향한 다수의 통기홈(26)을 일체 형성한 격벽(25)이 상기 격벽(22)의 상단에 근접 위치되는 크기로 돌출 되며 이의 양측 각각에 연결관(27,28)이 상, 하부로 돌출 되어서 상기 고무호스(30,40)와 연결되는 뚜껑(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이 간편하면서 위생적이고, 콧속 이물질 흡입 제거작업이 연속적으로 가능하여 작업성이 뛰어남은 물론 사용의 편리성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DUST INHALER FOR NOSE}
본 고안은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소한 구조로서 위생적이고 사용의 편리성이 극대화된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아나 어린아이와 같이 자력으로 콧속의 이물질(콧물, 고름)을 닦아낼 수 없는 사람들은 그 보호자가 휴지나 수건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유아나 어린이들은 쉽게 감기에 걸리고 이러한 감기에 의한 콧물을 제거하지 않게 되면 비염으로 발전하고 있어, 반드시 콧속의 이물질을 제거해 주어야만 한다.
이렇게 콧속의 이물질을 상기와 같이 휴지나 수건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제거하게 되면 오히려 코 주위나 콧속에 상처를 발생하고, 심한 코 풀음에 의한 중이염 등과 같은 귀질환으로 번지는 등 유아나 어린이는 물론 보호자에게는 매우 불편한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 보호자에 의한 콧속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여 제거하고자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가 여러 형태로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는 통상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에 삽입되는 흡입용 팁과 이물질수거통이 고무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수거통은 다시 흡입밸브와 고무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밸브의 작동에 의한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고무호스를 통해 이물질수거통으로 수집하여 제거하도록 하는 공통적인 기술사항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는 위생상의 문제점과 구조의 복잡성으로 제조원가가 비싼 단점, 사용에 따른 불편한 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콧속의 이물질(콧물, 고름)의 제거는 흡입밸브 역할의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고 흡입하는 힘에 의해 별도의 수집통에 이물질을 수집하여 제거하도록 하고 있어 비위생적이고, 입에 의한 직접적인 흡입 시에 이물질이 보호자의 입속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구멍을 갖는 여러 형태의 걸름망의 사용으로 복잡한 구조에 의한 제조원가 상승, 사용의 불편성 및 재사용에 따른 세척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 직접적으로 입으로 흡입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상기 마우스피스 대신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고무튜브를 구성한 것도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콧속 이물질 흡입기는 사용자 상기 고무튜브를 손으로 강하게 움켜잡아서 일측 체크밸브에 의해 고무튜브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한 상태에서 흡입용 팁을 유아나 어린이의 콧구멍 속에 삽입시키었다 상기 고무튜브의 쥐었던 힘을 제거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무튜브에 복원에 의한 흡입력으로 코속의 콧물이나 고름 등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선원 기술은 반복적인 콧속의 이물질 제거가 매우 불편한 점을 갖고 있다.
즉, 한번의 과정에 의하여 콧속의 이물질을 흡입한 후, 다시 사용 시에는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에서 흡입용 팁을 빼어낸 상태에서 상기 고무튜브를 압축하여 내부 공기를 배출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흡입용 팁을 콧속에 재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콧속 이물질 흡입이 연속적으로 제공되지 못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콧속 이물질 흡입이 연속적으로 가능하여 작업성이 뛰어나고, 이물질 흡입작업이 위생적이어서 제품의 신뢰도를 극대화한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소한 구조에 의한 제조원가의 절감이 제공되고, 조작의 간편성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통상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에 삽입되는 흡입용 팁과 이물질수거통이 고무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수거통은 다시 흡입밸브와 고무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밸브의 작동에 의한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고무호스를 통해 이물질수거통으로 수집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는 통상의 고무튜브의 입구에 내부공기 배출용 체크밸브와 외부공기 흡입용 체크밸브가 각각 결합된 연결몸체의 일 측이 결합되고 이의 타측이 상기 이물질수거통과 연결된 고무호스와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질수거통은 상단에 다수의 통기홈을 일체 형성한 격벽이 일체 형성된 수거통과, 이 수거통의 상부에 개폐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통기홈과 대향한 다수의 통기홈을 일체 형성한 격벽이 상기 격벽의 상단에 근접 위치되는 크기로 돌출 되며 이의 양측 각각에 연결관이 상, 하부에 돌출 되어서 상기 고무호스와 연결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튜브밸브 작동도로서,
도 4는 내부공기배출 작동도,
도 5는 외부공기흡입 작동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흡입밸브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흡입용 팁 20 ; 뚜껑
21 ; 수거통 24 ; 뚜껑
30, 40 ; 고무호스 50 ; 흡입밸브
51 ; 고무튜브 53 ; 연결몸체
54 ; 내부공기배출용 체크밸브 55 ; 외부공기흡입용 체크밸브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에 삽입되는 흡입용 팁(10)과 이물질수거통(20)이 고무호스(30)로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수거통(20)은 다시 흡입밸브(50)와 고무호스(40)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밸브(50)의 작동에 의한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고무호스(30)를 통해 이물질수거통(20)으로 수집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50)는 통상의 고무튜브(51)의 입구(52)에 내부공기 배출용 체크밸브(54)와 외부공기 흡입용 체크밸브(55)가 각각 결합된 연결몸체(53)의 일 측이 결합되고, 이의 타측이 상기 이물질수거통(20)과 연결된 고무호스(40)와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질수거통(20)은 상단에 다수의 통기홈(23)을 일체 형성한 격벽(22)이 일체 형성된 수거통(21)과, 이 수거통의 상부에 개폐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통기홈(23)과 대향한 다수의 통기홈(26)을 일체 형성한 격벽(25)이 상기 격벽(22)의 상단에 근접 위치되는 크기로 돌출 되며 이의 양측 각각에 연결관(27,28)이 상, 하부로 돌출 되어서 상기 고무호스(30,40)와 연결되는 뚜껑(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 외부공기배출용 체크밸브(54,55)는 동일 구조 및 동일 소재인 고무재로 성형된 밸브몸체(56)의 상부에 개폐디스크(57)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공기배출용 체크밸브(54)와 외부공기배출용 체크밸브(55)는 그 결합방향이 반대로 상기 연결몸체(53)에 조립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흡입용 팁(10)을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에 삽입하고 보호자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밸브(20)의 고무튜브(51)를 손으로 잡고 압축하게 된다.
이러한 고무튜브(51)의 압축에 의해 상기 고무튜브(51)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연결몸체(53)의 일 측에 조립된 내부공기배출용 체크밸브(54)의 개폐디스크(57)를 공기압에 의하여 외부로 벌리면서 배출되고, 이와 반대로 설치된 외부공기흡입용 체크밸브(55)는 밸브몸체(56)의 개폐디스크(57)가 배출하려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56)에 밀착되면서 폐쇄하게 된다.
이렇게 압축된 고무튜브(51)의 압축을 풀게되면 반대로 상기 내부공기배출용 체크밸브(54)는 외부공기의 흡입이 차단되고, 상기 외부공기흡입공 체크밸브(55)의 개폐디스크(58)가 흡입 방향을 따라 벌려지면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용 팁(10), 고무호스(30)를 통하여 이물질 수거통(20)으로 콧물, 고름을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가 상기 고무튜브(51)의 압축(누름)과 쥐었던 힘의 제거를 반복하여 유아나 어린이 콧속의 이물질을 연속적이고 간편하게 흡입하여 이물질수거통(20)의 수거통(21)에 수집하고 이 수거통(21)을 뚜껑(24)에서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여 재사용을 하게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고안과 비교하여 볼 때, 상기 흡입밸브(50)를 구성하는 고무튜브(51) 입구(52)의 대향 측에 내부공기 배출용 체크밸브(54)를 조립구성하고 상기 연결몸체(53)에는 외부공기흡입용 체크밸브(55)를 조립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이 간편하면서 위생적이고, 콧속 이물질 흡입 제거작업이 연속적으로 가능하여 작업성이 뛰어남은 물론 사용의 편리성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상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에 삽입되는 흡입용 팁(10)과 이물질수거통(20)이 고무호스(30)로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수거통(20)은 다시 흡입밸브(50)와 고무호스(40)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밸브(50)의 작동에 의한 유아나 어린이의 콧속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고무호스(30)를 통해 이물질수거통(20)으로 수집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50)는 통상의 고무튜브(51)의 입구(52)에 내부공기 배출용 체크밸브(54)와 외부공기 흡입용 체크밸브(55)가 각각 결합된 연결몸체(53)의 일 측이 결합되고, 이의 타측이 상기 이물질수거통(20)과 연결된 고무호스(40)와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질수거통(20)은 상단에 다수의 통기홈(23)을 일체 형성한 격벽(22)이 일체 형성된 수거통(21)과, 이 수거통의 상부에 개폐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통기홈(23)과 대향한 다수의 통기홈(26)을 일체 형성한 격벽(25)이 상기 격벽(22)의 상단에 근접 위치되는 크기로 돌출 되며 이의 양측 각각에 연결관(27,28)이 상, 하부로 돌출 되어서 상기 고무호스(30,40)와 연결되는 뚜껑(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외부공기배출용 체크밸브(54,55)는 동일 구조 및 동일 소재인 고무재로 성형된 밸브몸체(56)의 상부에 개폐디스크(57)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공기배출용 체크밸브(54)와 외부공기배출용 체크밸브(55)는 그 결합방향이 반대로 상기 연결몸체(53)에 조립되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50)는 고무튜브(51) 입구(52)의 대향 측에 내부공기배출용 체크밸브(54)를 조립구성하고 상기 연결몸체(53)에는 외부공기흡입용 체크밸브(55)를 조립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KR2020000019852U 2000-07-11 2000-07-11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KR200205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852U KR200205327Y1 (ko) 2000-07-11 2000-07-11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852U KR200205327Y1 (ko) 2000-07-11 2000-07-11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327Y1 true KR200205327Y1 (ko) 2000-12-01

Family

ID=1966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852U KR200205327Y1 (ko) 2000-07-11 2000-07-11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3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0886B2 (en) Aspirator assembly
JP6729707B2 (ja) 鼻粘液アスピレータ用付属品、鼻粘液アスピレータ、キット
US7878194B2 (en) Inhaler
HU215563B (hu) Eszköz testváladékok, főként orrváladék leszívására
US20090105674A1 (en) Snivel aspirator
KR200205327Y1 (ko) 콧속 이물질 흡입기구
EP1474186B1 (en) Infant nasal aspirator
KR102707389B1 (ko)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KR200234171Y1 (ko) 콧물흡입기구
KR19990011938U (ko) 콧물 흡입기구
KR200181500Y1 (ko) 콧물 흡입기구.
RU87082U1 (ru) Носовой аспиратор, присоединяемый к очистительному устройству вакуумного действия
KR200211372Y1 (ko) 코흡입기
KR200254546Y1 (ko) 콧물 흡입기구.
JP7424627B2 (ja) 鼻汁吸引器
CN218010348U (zh) 鼻腔清洁器
RU87083U1 (ru) Носовой аспиратор, присоединяемый к очистительному устройству вакуумного действия
RU178012U1 (ru) Назальный аспиратор
CN217066432U (zh) 密封式咳痰收集器
WO2005118021A1 (en) Electric nasal passage cleaning apparatus
KR200208730Y1 (ko) 콧물제거기
KR200202297Y1 (ko) 유아용 코흡입기
KR100709270B1 (ko) 휴대가 가능한 액상향료 흡입 장치
KR200188625Y1 (ko) 부항기
CN2666403Y (zh) 内振荡式呼吸道清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