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315A - 구강내 의료 장비 - Google Patents

구강내 의료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315A
KR20090040315A KR1020097002365A KR20097002365A KR20090040315A KR 20090040315 A KR20090040315 A KR 20090040315A KR 1020097002365 A KR1020097002365 A KR 1020097002365A KR 20097002365 A KR20097002365 A KR 20097002365A KR 20090040315 A KR20090040315 A KR 20090040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ction
pressing member
medical equipment
tongu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바스티드
패트릭 베이
크리스토프 푸아로
조르지오 바우
Original Assignee
크리스토프 바스티드
패트릭 베이
크리스토프 푸아로
조르지오 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토프 바스티드, 패트릭 베이, 크리스토프 푸아로, 조르지오 바우 filed Critical 크리스토프 바스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40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3Mouthpiece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tube from damage caused by the patient's teeth, e.g. bite b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5Mouthpieces with tongue depr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내 의료 장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강내 의료 장비는 환자의 구강에 접근을 도와 주는 튜브관(4) 모양으로 만들어진 입열기부재(2)와, 분리하지 않고도 탈부착이 가능한 혀누름부재(1)로 구성되며, 상기의 혀누름부재(1) 상기의 혀누름부재의 최단부 부위까지 흡입 되는 호흡 가스 주입채널(12)과, 상기의 혀누름부재의 최단부 부위까지 외과 수술 기구를 통과 시키기 위한 관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산소 호흡 가스를 연결 시켜 혀누름부재(1)가 튜브관으로 삽입되지 않을 경우, 입열기부재(2)에는 구강안으로 위에서 말한 산소를 주입시키도록 설계된 주입관(20)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주입관이 튜브관으로 삽입 되었을 경우 위에서 말한 주입채널(12)에 있는 산소를 주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강, 입열기부재, 혀누름부재, 주입 채널, 주입관

Description

구강내 의료 장비{INTRAORAL MEDICAL DEVICE}
본 발명은 구강내 의료장비에 관련 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를 마취하거나 소생술을 실시할 때 특히 기도를 통해 내시경 검사를 실시할 때 사용하는 의학적 외과 수술 기구들의 일반적인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도를 통해 내시경 검사를 할 때, 대부분 입이나 콧구멍으로 관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때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
구강내 의료 장비에는 환자의 구강내에 산소를 주입 하기에 적합하게 설계된 관이 부착된 입열기부재가 있다. 다음과 같은 문서에서도 이와 같은 장비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US 4.495.945(KENNETH), GB 2.173.105(BARNES) 혹은 WO 91/08012 (BORODY)
그러나, 이와 같은 장비들은 환자에게 흡입된 산소가 사용하기도 전에 소멸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수술실에서 수술에 이용할 때도 마찬가지이다(특히 마취 가스 주입 시).
따라서, 산소는 구강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관을 통해서 주입 되어야 한다. 혀누름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구강내 의료 장비들은 구강내 인두 교차 지점까지 통과하여 산소를 주입하는 관이 부착 되어 있다. 그 예로 이러한 장비들에 관해 다음과 같은 문서에서도 언급 하고 있다. US 2.127.215(GWATHMEY), US 2.705.959 (CAROL과 et al), US 3.756.244(KINNEAR와 et al), US 4.881.542(SCHIMIDT와 et al), GB 1.558.171(BURCHELL), DE 201.03.524.U(GREBKOWSKI),WO80/00538 (LUOMANEN), WO 02/092144 (ELISHA MED. TECH. LTD).
이러한 장비들이 의료 분야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놀라운 반면 때로는 환자들에게는 고통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환자가 마취나 의식을 잃었을 경우에 사용 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환자들은 마취를 시작하기 전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저산소혈증에 노출 되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혀누름부재를 부착 하기 위한 입열기부재가 달려 있는 구강내 의료 장비에는 구강내 인두 교차지점까지 흡입되게 해 주는 산소 주입관이 있다. 이러한 장비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 명시한 문서를 통해 알 수 있다. US 4.270.531(BLACHLY 와 et al) 혹은 US 2005/0217678 (McCORMICK 와 et al).
그렇지만 이러한 장비들은 외과 수술 기구가 구강내에 통과하기에 적합하지 않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마취가 시작하기 전에 미리 산소를 공급해 주지도 못한다.
게다가 문서US2005/0217678(McCORMICK 와 et al)에서 언급 하고 있는 것을 살펴보면, 입열기부재 안에 산소 흡입관을 분리하지 않고 혀누름부재를 삽입 할 수 없다고 공대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가장 가까운 장비에 대해서는 문서 US 4.848.331 (NORTHWAY-MEYER)에 언급 되어 있는 것을 살펴 보면 된다. 이 문서에서는 구강내 의료 장비를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고 정의한다.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기 위한 관이 부착된 입열기부재와 튜브가 환자의 구강부분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도, 튜브를 분리하지 않고도 탈부착이 가능한 혀누름부재가 있다. 또한 이 혀누름부재에는 다음과 같은 부재들이 있다.
혀누름부재의 최단부 부위까지 흡입 되는 산소 호흡 가스 주입관과,
혀누름부재의 최단부 부위까지 외과 수술 기구를 통과 시키기 위한 관과,
상기와 같은 장비는 수술 시작 전 환자에게 미리 산소 공급을 시켜 주며, 이후 구강내 인두 교차지점까지 산소를 주입 시키기 위해 마취시 혀누름부재를 넣을 수 있게 도와 준다.
하지만, 이 장비는 백퍼센트 만족스럽지 못하다. 실제 외과 수술을 할 경우에는, 혀누름부재 상에 위치한 특정 관에 산소 호흡가스 공급관을 연결해야 한다. 그러므로 미리 산소를 공급하게 되는 시점에 호흡 마스크에 또 다른 특정 관을 어쩔 수 없이 배치해야 한다. 이러한 장비는 상대적으로 복잡하며 조작하기 힘들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상기 발명의 기술적 문제는, 마취 하기 전에 환자에게 산소를 미리 공급하면서, 추가 기구를 삽입하지 않고 구강내 인두 교차 지점까지 산소를 주입시키게 함으로써 의외로 간단하게 해결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추가 기구를 삽입하지 않고도 구강 분비물을 빨아들이기에 알맞게 만들어졌다.
본 발명의 만든 다른 목적은 US 4.848.331 (NORTHWAY-MEYER)에서 제안한 장비들을 덜 복잡하고 조작하기 훨씬 쉬운 장비로 만드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해결책은 아래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구강내 의료 장비이다.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기 위한 관이 부착된 입열기부재와 튜브가 환자의 구강부분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도, 튜브를 분리하지 않고도 탈부착이 가능한 혀누름부재가 있다. 또한 이 혀누름부재에는 다음과 같은 부재들이 구비되어 있다.
혀누름부재의 최단부 부위까지 흡입 되는 산소 호흡 가스 주입관과,
혀누름부재의 최 단부 부위까지 외과 수술 기구를 통과 시키기 위한 관과,
그리고 입열기부재에는 환자의 구강내에 산소를 주입하기 위하여 호흡 가스에 연결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주입관이 달려있다. 튜브가 삽입 될 때 앞서 이야기한 혀누름부재의 주입관안에 산소를 주입하기 위함이다. 이런 방법을 통해 구강내 인두 교차지점까지 산소를 운반할 수 있으며, 호흡가스 공급관을 혀누름부재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이때 입열기부재를 분리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 장비의 디자인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혀누름부재가 튜브관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주입구는 출구관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입구관이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호흡가스를 잘 순환 할 수 있도록 한 요인은, 들어가는 입구에 위치해있는 주입구의 내벽과 나가는 출구에 위치해 있는 주입구의 내벽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해서 설계 했기 때문이다.
사전에 산소를 공급해야 하는 시점에 호흡가스를 효과적으로 본 장비에 주입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입열기부재가 삽입되면, 주입구는 관 뒤쪽으로 가게 되어 출구 쪽에 있는 최단부 부위는 구강 끝에 위치한다.
조립이 간단하고, 환자의 구강에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만든 본 발명을 보면, 주입구에는 튜브관이 달려 있고, 이 튜브관의 하부를 따라 측면으로 부착 되어 있다.
사전에 산소를 공급해야 하는 시점에 호흡 가스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본 발명은, 그 주입구의 출구 부분에서 호흡가스가 환자의 구강 안 쪽에서 배출 되도록 만들었다. 우선적으로 출구는 주입구 위쪽에 배치 되어 있으며, 그 내벽은 앞서 기술한 출구 뒤쪽으로 경사져 있다.
이 장비가 환자의 몸에 장착되었을 때 환자가 불편함이 없도록 주입구의 최단부 부위가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계하였다.
디자인이 심플하고, 외과수술기구들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주입관은 혀누름부재 안에 부착되었고, 앞서 말한 외과 수술 기구들이 잘 통과 할 수 있도록 관의 하부를 따라 측면으로 배치 하였다.
발명의 또 다른 특성은, 입열기부재에 분비물을 빨아 들이는 관이 달려 있다는 것이다.
조립이 간단하고, 환자의 구강에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만든 본 발명을 보면, 분비물 흡입관에 튜브관이 부착되어 있고, 이 튜브관의 하부를 따라 측면으로 부착하였다.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만들어 진 발명의 흡입관에는 입열기부재의 바깥 면에 들어가는 구멍이 있고, 그 입열기부재 위에는 흡입장비를 연결 시키는 접속관이 부착되어 있다.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빨아들이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분비물 흡입관이 관 뒤쪽까지 가게 되고, 입열기부재를 환자의 구강 부분에 부착하면, 흡입구는 구강 맨 끝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분비물을 잘 빨아 들일 수 있도록 흡입관 단부 부분은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계 하였고, 흡입구는 앞서 설명한 단부 부위에 경사진 각도로 밑으로 향해 있다.
구강에 축적된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빨아 들이도록 하기 위해, 흡입관에는 튜브관 내벽위에 흡입구가 달려 있다. 혀누름부재를 넣었을 때 흡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구와 마주보는 지점에 덮개가 있다.
발명의 또 다른 특성은 분비물 흡입구가 있다는 것이다.
흡입장비에 연결하지 않고도 혀누름부재에 있는 분비물을 빨아 들일 수 있도록 만든 본 발명을 살펴보면, 혀누름부재가 삽입 되면, 혀누름부재 흡입관의 들어가는 입구는 입열기부재의 흡입관에 달려 있는 덮개와 마주 보게 된다.
혀누름부재의 탈부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든 본 발명을 살펴 보면, 외부 면 양쪽에 두개의 날개가 있다. 두 날개는 입열기부재 외벽 양쪽에 두개의 덮개가 붙어 있는 곳에 있다
발명의 기타 다른 장점 및 특성들은 뒤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제 제작 방법의 설명을 통해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도면은 참고용으로 제공된 것이며, 사용함에 있어 제한을 받지는 않는다.
도1a는 입열기부재 단면도이다.
도1b는 도1a의 입열기부재 상부 단면도이다.
도1c는 분비물을 빨아들이는 관의 배치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1b의 절단 도면이다.
도1d는 호흡가스를 주입하는 관의 배치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1b의 절단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a는 혀누름부재의 단면도이다.
도2b는 도2a의 혀누름부재 상부 단면도이다.
도2c는 도2b의 혀누름부재 절단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d는 호흡 가스 주입관에 대한 배치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2b의 절단도이다.
도3a는 혀누름부재가 입열기부재 안에 삽입될 때, 발명에 맞게 제작된 구강내 의료 장비 투시도이다.
도3b는 입열기부재의 주입관과 혀누름부재의 주입관의 연결 부위를 보여주는 도3a에 대한 구강내 의료장비 수직 단면도이다.
도3c는 입열기부재와 혀누름부재의 분비물 흡입관 연결을 보여주는 도3a에 대한 구강내 의료장비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장비는 내시경 검사를 위해 입열기부재(2) 위에 부착되어 혀를 밀어내는 기능을 가진 혀누름부재(1)로 구성되어 있다.
입열기부재(2)는 환자가 의식이 있을 때는 입근처에 놓았다가, 환자가 마취상태가 되어 의식이 없어지면 혀누름부재(1)를 입열기부재(2) 안으로 들여 보낸다.
입열기부재(2)는 의료장비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이는 폴리에틸렌 원료에 열을 가한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도1a, 1b, 1c와 1d를 살펴보면, 입열기부재(2)에 튜브관(4)이 달려 있어 환자가 입을 다시 다물지 못하도록 환자 치아 사이에 넣는다.
소개되지 않은 변형된 장비를 보면, 입열기부재(2)는 문서 US4.848.331 (NORTHWAY-MEYER)에서 기술 된 것과 비슷한 구성을 갖는다.
튜브관(4)은 환자의 구강에 들어 갈 수 있도록 설계 하였으며, 일반의사나 외과 수술의가 이 관을 통해 외과 수술기구들을 조작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실질적으로 튜브관(4)은 장방형으로, 입의 모양에 잘 맞게 끝부분이 약간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를 갖고 있다. 튜브관(4)의 크기는 환자의 입의 크기에 따라 조절 할 수 있으며 가장 편안한 상태를 찾아 맞추어 주면 된다.
튜브관(4)은 수술 중에 환자의 입안에 삽입한 입열기부재(2)가 빠지지 않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1b, 1c 와 1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튜브관(4)에는 한번 부착 하면 치아 뒤쪽에 놓여지게 되어 입열기부재(2)가 환자 입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돌출부분(40)이 있다.
또한 탄성이 풍부한 고무로 표면처리가 되어 환자의 치아를 꽉 끼게 고정시켜 빠지지 않도록 해주는 가느다란 홈이 있다
입열기부재(2)에 있는 바깥부분(3)은 환자의 얼굴에 꽉 달라붙게 한다.
첨부된 도면을 잘 살펴보면, 이 바깥부분(3)은 튜브관(2)에서 아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 두개의 덮개(30,31)은 입열기부재(2)의 바깥 면 양쪽에 위치해 있다.
바깥부분(3)의 양 끝은 T자 모양으로 (도1a) 되어 있는 부분(21)에 고무띠를 맬 수 있게 만들어 입열기부재(2)가 빠지지 않도록 환자의 머리에 두르도록 한다.
도1a, 1b, 1c와 1d를 보면, 입열기부재(2)에는 호흡 가스공급관에 연결하여 환자의 구강내에 산소를 주입하기에 적합한 주입관(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입구의 등장으로 환자에게 마취가 시작되기 전에 아주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미리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도면에 소개 된 실제 제작 방법에 따라서, 주입관(20)를 튜브관(4)에 부착하였다. 구강에 쉽게 들어 갈 수 있도록 하거나 수술시 외과 기구들이 통과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아랫부분에 약간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제작하였다. 입열기부재를 만든 후에 따로 튜브를 조립하여 부착하면 이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주입관(20)에는 입열기부재 바깥면에 들어 가는 입구(21)가 있다. 그 입구 위에는 탈 부착이 가능한 접속관(26)(도3a)이 배치 되어 있다. 이 접속관은 산소 및 모든 호흡가능한 가스 공급관과 연결된다.
특히 도1b와 도1d를 살펴보면, 주입관(20)는 튜브관(4) 뒤쪽으로 가게 되어, 입열기부재(2)가 환자 입안에 놓여지게 되면, 나가는 출구(22) 쪽에 있는 최단부 부위 (23)는 구강 끝에 놓여지게 된다.
호흡 가스는 환자의 구강 입구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주입된다. 이로써 불필요한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도1d에 의하면, 주입관(20)의 최단부 부위(23)는 약간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이는 입열기부재(2)가 구강안에 삽입되었을 때 환자의 입안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가는 출구(22)부분은 최단부 부위(23) 위에 위치해 있어 호흡 가스가 구강 뒤쪽으로 잘 뿌려 지도록 만들어 졌다. 이렇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실질적으로 나가는 출구(22) 부분은 주입관(20) 상부에 위치해 있으며, 주입구 내벽은 앞서 이야기한 출구 구멍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1a, 1b, 1c 와 1d를 살펴보면, 입열기부재(2)에는 수술을 방해 할 소지가 있는 여러가지 구강 분비물을 걸려 내기 위한(침이나 피 등) 분비물 흡입관(24)이 있다.
실제 제작방법에 따르면, 흡입관(24)은 튜브관(4)를 주조할 때 같이 제작된다.
흡입관은 구강에 쉽게 들어 갈 수 있도록 하거나 수술시 외과 기구들이 통과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튜브관(4) 아랫부분을 따라서 약간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제작하였다. 입열기부재를 만든 후에 따로 튜브를 조립하여 부착하면 이와 같은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흡입관(24)에는 입열기부재(2) 바깥면에 들어 가는 입구(25)가 있다. 그 입구 위에는 탈 부착이 가능한 접속관(26)(도3a)이 배치 되어 있다.
펌프타입으로 되어 있는 흡입장비를 상기 접속관에 연결시킨다.
특히 도1b와 1c를 살펴보면, 흡입관(24)는 튜브관(4) 뒤부분까지 차지하고 있어서, 입열기부재(2)를 환자 입안에 넣으면, 흡입구(28) 쪽에 있는 최단부 부위(27)는 구강 끝에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설계는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빨아 들일 수 있도록 한다.
도1c에 따르면, 흡입관(24)의 최단부 부위(27)는 입열기부재가 환자 입으로 들어갔을 때, 환자를 불편하게 하거나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그 중 돋보이는 점은 흡입구(28)가 최단부 부위(27)의 경사면에 위치해 있다는 점으로 이 부분이 아래로 향하게 되어 있어 흡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와 주게 된다.
도1a, 1b와 1c를 살펴보면, 흡입관(24)에는 튜브관(4) 벽위에 다른 흡입구(29)가 달려 있다. 이 구멍은 구강 입구부분에 쌓여 있는 분비물들을 빨아들이는데 필요하며, 다른 흡입구(28)로 빨려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존재 한다.
입열기부재(2)는 의료장비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혀누름부재는 폴리에틸렌 원료에 열을 가한 열가소성 중합체로 주조에 의해 제작된다.
도2a, 2b, 2c 와 2d를 살펴보면, 혀누름부재(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 다.
대판(5)는 입열기부재(2)의 튜브관(4)을 탈부착 가능하게 설계.
노즐(6)은 입안의 인두 교차지점까지 통과하기에 알맞게 설계.
실질적으로, 대판(5)은 튜브관(4)의 추가 부품이다. 노즐(6)은 혀를 눌러 움직이지 못하게 하면서 혀 뒤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휘어진 모양으로 만들었다. 혀를 앞뒤로 움직이게 하여 위쪽 기도 부분을 열어 준다.
혀누름부재의 바깥면 양쪽에 위치한 두 날개(11)를 이용하면 혀누름부재(1)를 쉽게 꺼낼 수 있다. 혀누름부재(1)를 쉽게 뽑아내고, 두 날개(11)를 쉽게 잡기 위해서, 혀누름부재와 두 날개를 입열기부재(2) 의 외부(3)의 출구(30)과 (31) 부분에 배치하여 설계하였다.(도3a)
혀누름부재(1)의 횡단면은 구강내 인두교차지점까지 긴 통 모양으로 길게 위쪽으로 벌어진 "U"자 모양으로 되어 있어 내시경이나 기타 외과 수술 기구들이 잘 통과 하도록 도와 준다. 여기서 소개하지 않은 변형된 장비를 보면, 혀누름부재(1)의 횡단면 튜브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2a, 2b와 2d를 살펴보면, 혀누름부재(1)에는 초단말부위까지 통과해서 흡입되는 호흡가스를 운반하는 주입채널(12)이 있다.
주입채널(12)에는 구강내 인두교차지점부분에 출구 구멍(14)이 있는데, 환자의 입안에 놓이게 되면 혀누름부재(1)가 튜브관에 삽입된다.
실제 제작 방법에 따르면, 외과 수술 도구들이 통과 시키는 관을 주조할 때 주입채널(12)은 혀누름부재(1) 안에 조립한다. 환자입에 외과 수술 도구들을 건드 리지 않고 쉽게 구강에 쉽게 들어가도록 이 관의 내부면을 따라 측면으로 부착된다. 입열기부재를 만든 후에 튜브를 조립하여 제작하면 이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2d와 3b에 따르면, 주입채널(12)에는 주입관(20)에서 나가는 출구 구멍(22)와 마주보는 곳에 들어가는 입구 구멍(13)이 있다.
이런 방식으로, 주입채널(12)의 들어가는 입구 구멍(13)을 연결하기 위해 입열기부재(2)의 연결관(26)을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졌다. 튜브관(4)에 혀누름부재(1)를 삽입하는 행위는 결과적으로 호흡 가스를 주입채널(12)으로 보내도록 유도하는 것과 같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는 주입채널(12)을 공급하는 방법이 있다.
발명의 장비의 설계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나가는 출구 구멍(13)은 대판(5) 부분에 부착 되어 있다.
주입채널(12)에서 들어가는 입구 구멍 에서 산소 흐름의 방향이 갑자기 바뀌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들어가는 입구 구멍(13) 부근에 위치한 주입관 의 내벽과 나가는 출구 구멍(22) 부근에 위치한 주입관(20)의 내벽이 같은 방향으로 비스듬히 잘려 있다. (도3b)
뒤에 첨부되어 있는 도면들을 살펴보면, 주입관(20)에는 튜브관(4)의 안쪽에 돌출되어 나와 있는 부분이 있다. 혀누름부재(1)에는 앞서 이야기한 돌출 부분과 흡사한 모양으로 홈이 패이고 속이 텅빈 부분이 있다. 주입관(20)에서 나가는 출구 구멍(22)은 상기의 주입관의 돌출 부분위에 배치 되어 있고, 주입채널(12)에서 들 어가는 입구 구멍(13)은 혀누름부재(1)의 속이 텅빈 부분위에 배치 되어 있다.
볼록 돌출된 부분과 속이 텅빈 부분은 들어가는 입구 구멍(13)과 나가는 출구 구멍(22) 사이를 잘 연결하여 새지 않도록 만들어졌다. 이것은 나가는 출구 구멍(22)와 들어가는 입구 구멍(13)의 접합 부분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튜브관(4)에 위치한 돌출부위에 있는 속이 텅빈 공간은 혀누름부재가 제 자리에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도2a, 2b와 2c를 살펴보면, 혀누름부재(1)에는 튜브관(4) 내부에 배치된 흡입 구멍과 마주보는 곳에 덮개(15)가 있다(도3c). 덮개(15)는 혀누름부재(1)의 대판(5) 안에 있다.
이렇게 튜브관(1) 안에 자리한 혀누름부재(1)는 흡입구멍(29)를 메우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어쨌든, 흡입관(24)의 최단부 부위(27)의 경사면에 위치한 흡입구멍(28)이 혀누름부재(1)가 삽입될 때 자칫 구멍이 메워지는 것을 막아 준다.
뒤에 첨부되어 있는 도면들을 살펴보면, 분비물 흡입관(24)에는 튜브관(4) 내부에 돌출 부분이 존재하고, 혀누름부재(1)에는 앞서 이야기한 돌출부분의 모양에 딱맞게 속이 텅빈 부위에 있다. 흡입구(29)는 흡입관(24)의 돌출 부위 위에 위치하며, 덮개(15)는 혀누름부재(1)의 텅빈부위 위에 있다.
볼록 돌출된 부분과 속이 텅빈 부분은 들어가는 흡입구멍(29)과 덮개(15) 사이를 잘 연결하여 새지 않도록 만들어졌다. 이것은 흡입구멍(29)와 덮개(15)의 접합 부분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소개하지 않은 변형된 장비를 보면, 혀누름부재(1)에는 분비물 흡입관이 내장되어 있어서, 외과 수술 도구들이 통과하는 관과 주입채널(12)이 마주보게 된다.
위에서 말한 흡입관에는 구강 속에 쌓여 있는 분비물을 빨아 들일 수 있도록 만들어진 흡입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위에서 말한 혀누름부재가 튜브관으로 삽입되게 되면, 혀누름부재(1)의 흡입관 입구에 있는 구멍은 덮개(15)와 마주보는 곳에 놓이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혀누름부재(1)의 흡입 관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연결하기 위해 입열기부재(2)의 연결관(26)을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졌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마취 하기 전에 환자에게 산소를 미리 공급하면서, 추가 기구를 삽입하지 않고 구강내 인두 교차 지점까지 산소를 주입시키게 함으로써 의외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추가 기구를 삽입하지 않고도 구강 분비물을 빨아들이기에 알맞게 만들어졌다

Claims (19)

  1. 환자의 구강에 접근을 도와 주는 튜브관(4) 모양으로 만들어진 입열기부재(2)와, 분리하지 않고도 탈부착이 가능한 혀누름부재(1)로 구성되며, 상기의 혀누름부재(1) 상기의 혀누름부재의 최단부 부위까지 흡입 되는 호흡 가스 주입채널(12)과, 상기의 혀누름부재의 최단부 부위까지 외과 수술 기구를 통과 시키기 위한 관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산소 호흡 가스를 연결 시켜 혀누름부재(1)가 튜브관으로 삽입되지 않을 경우, 입열기부재(2)에는 구강안으로 위에서 말한 산소를 주입시키도록 설계된 주입관(20)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주입관이 튜브관으로 삽입 되었을 경우 위에서 말한 주입채널(12)에 있는 산소를 주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장비의 주입채널(12)에는, 혀누름부재(1)가 튜브관(4)으로 삽입되는 경우, 주입관(20)에서 나가는 출구 구멍(22)과 마주보는 곳에 들어 가는 입구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3. 제 2항에 있어서, 장비의 주입채널(12)의 내벽은 들어가는 구멍 (13) 부근에 위치해 있고, 주입관 (20)의 내벽은 나가는 구멍(22) 부근에 위치해 있는데, 이 두 구멍은 같은 방향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잘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4.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주입관(20)에는 튜브관(4)이 부착 되어 있으며, 앞서 말한 튜브관의 하부를 따라 측면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5.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입관(20)은 튜브관(4)이 뒤쪽으로 놓여지게 되어 있어 입열기부재(2)가 환자의 입부분에 놓여 지게 되면, 나가는 출구 구멍(22)위에 부착되어 있는 최단부 부위(23)는 구강 끝 쪽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6.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열기부재(2)가 환자의 입에 부착되면, 주입관(20)에서 나가는 출구(22)는 산소가 구강쪽으로 주입 될 수 있게 구성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나가는 출구 구멍(22)은 주입관(20)의 상부에 위치해 있고, 주입관의 내벽은 앞서 이야기한 나가는 출구 구멍 부근에서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8.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주입관(20)의 최단부 부위(23)은 비스듬히 잘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9.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입채널(12)은 혀누름부재(1)에 부착되어 있고, 외과 수술 기구들이 잘 통과 할 수 있도록 관의 내면을 따라 측면으로 배치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10.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열기부재(2)에는 분비물 흡입관(24)이 부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11. 제 10항에 있어서, 흡입관(24)에는 튜브관(4)이 내장 되어 있고, 튜브관 하부를 따라 측면으로 배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흡입관(24)에는 입열기부재(2)의 외부면위에 들어가는 입구 (25)가 있으며, 그 위에는 흡입 장비에 연결시키도록 하는 접속관(26)이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비의 흡입관(24)에는 튜브관(4)이 뒤쪽으로 놓여 지게 되어 있어서 입열기부재(2)가 환자의 입부분에 놓여 지게 되면, 흡입 구멍(28)위에 부착되어 있는 최단부 부위(27)는 구강 끝 쪽에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14. 제 13항에 있어서, 장비의 흡입관(24)의 최단부 부위(27)은 비스듬히 대각선으로 절단되어 있으며, 흡입구멍(28)은 아래로 향해 있는 최단부 부위의 절단면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비의 흡입관(24)에는 튜브관 벽 위에 흡입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의 혀누름부재가 튜브관(4)으로 삽입 되면, 장비의 혀누름부재(1)에 있는 흡입구멍과 덮개(15)는 마주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17.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비의 혀누름부재(1)에는 분비물 흡입관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의 혀누름부재가 튜브관(4)으로 삽입되면, 혀누름부재(1) 흡입관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입열기부재(2)의 흡입관위에 있는 덮개(15)와 마주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19.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혀누름부재(1)에는 외부 면 양쪽에 두개의 날개(11)가 있다. 이 두 날개는 입열기부재(2)의 외부 면에 있는 두개의 덮개(30, 31)를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의료 장비.
KR1020097002365A 2006-07-12 2007-07-09 구강내 의료 장비 KR200900403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6360 2006-07-12
FR0606360A FR2903607A1 (fr) 2006-07-12 2006-07-12 Dispositif medical intra-bucc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315A true KR20090040315A (ko) 2009-04-23

Family

ID=3773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365A KR20090040315A (ko) 2006-07-12 2007-07-09 구강내 의료 장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00030027A1 (ko)
EP (1) EP2068991B1 (ko)
JP (1) JP4954286B2 (ko)
KR (1) KR20090040315A (ko)
CN (1) CN101489616B (ko)
AT (1) ATE461723T1 (ko)
AU (1) AU2007274202B2 (ko)
BR (1) BRPI0714137A2 (ko)
CA (1) CA2656143A1 (ko)
DE (1) DE602007005495D1 (ko)
ES (1) ES2343912T3 (ko)
FR (1) FR2903607A1 (ko)
RU (1) RU2009104708A (ko)
WO (1) WO20080069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3678B1 (fr) * 2009-03-25 2011-06-03 Total Raffinage Marketing Polymeres (meth)acryliques de bas poids moleculaire, exempts de composes soufres,metalliques et halogenes et de taux de monomeres residuels faible,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utilisations
WO2011103543A1 (en) 2010-02-22 2011-08-25 Merit Medical Systems, Inc. Mouthpiece and methods of use of same
US20110282248A1 (en) * 2010-03-04 2011-11-17 Martin Ruth E Portable high frequency air pulse delivery device
FR2992223B1 (fr) * 2012-06-21 2015-05-01 Deltamedics Canule oropharyngee comprenant une arrivee de dioxygene et une extraction de dioxyde de carbone
US10413689B2 (en) * 2012-07-06 2019-09-17 Peter David Eaton Endoscopic and transesophageal oropharyngeal airway
WO2014121199A1 (en) * 2013-02-01 2014-08-07 Precision Ventures, Llc Surgical airway device and method of use
FR3003176B1 (fr) * 2013-03-15 2015-03-13 Deltamedics Canule nasopharyngee pour capnographie en flux secondaire
FR3003175B1 (fr) * 2013-03-15 2015-03-13 Deltamedics Canule oro ou naso-pharyngee pour capnographie en flux principal
GB201314631D0 (en) * 2013-08-15 2013-10-02 Teleflex Life Sciences Endoscopy device
US10173023B1 (en) 2014-02-07 2019-01-08 Victor G. Ghobrial Oropharyngeal device
CN104623779B (zh) * 2015-01-29 2018-06-08 付民 一种麻醉科用多通道口咽部通气装置
US10258319B2 (en) 2015-05-18 2019-04-16 Richard L. Arden Airway assist device and method
US10010313B2 (en) 2015-05-18 2018-07-03 Richard L. Arden Mandibular subluxation device and method
US10342526B2 (en) 2015-07-01 2019-07-09 Richard L. Arden Airway assist device and method
US10814090B2 (en) * 2015-08-17 2020-10-27 Jada Medical, Llc Carbon dioxide airway adaptor
DE102015015800A1 (de) * 2015-12-02 2017-06-08 Martin Pardi Bodenerhebungsmodulsystem
CN105520710A (zh) * 2016-01-18 2016-04-27 李向东 一种口腔射液装置
CN106669000B (zh) * 2016-12-12 2023-06-23 徐州医科大学 一种用于清醒插管表面麻醉、口腔撑开装置及方法
KR101983786B1 (ko) * 2017-04-26 2019-05-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혀 이격 장치
US10835701B2 (en) * 2017-04-27 2020-11-17 Kilburn Anesthesia Products LLC Oral airway device
IT201700046337A1 (it) * 2017-04-28 2018-10-28 Francesco Antoniomaria Garbagnati Strumento per accesso in visione ad organi cavi
WO2021011559A1 (en) * 2019-07-18 2021-01-21 Cedars-Sinai Medical Center Oxygenating bite block
IT202000020131A1 (it) 2020-08-13 2022-02-13 Milano Politecnico Dispositivo orale per il contenimento di aerosol in trattamenti odontoiatrici
CA3232855A1 (en) * 2022-10-23 2024-04-23 Vahid Nilforushan Airway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8810A (en) * 1921-11-07 1924-06-24 James G Poe Throat tube
US3730179A (en) * 1970-10-30 1973-05-01 A Williams Combination resuscitating, aspirating and gastric draining apparatus
US3774616A (en) * 1972-02-01 1973-11-27 Perry Plastics Inc Endotracheal tube holder and airway
JPH0613723B2 (ja) * 1985-09-20 1994-02-23 川崎製鉄株式会社 金属粉末熱処理用ベルト炉の出側シ−ル装置
US4848331A (en) * 1986-11-14 1989-07-18 Northway Meyer Robert Apparatus and method for pulmonary ventilation of a patient concurrent with fiberoptic respiratory tract examination and tracheal intubation
US5318017A (en) * 1992-11-05 1994-06-07 Ellison Lee H Guide for transesophageal echo probe
JPH08243074A (ja) * 1995-03-10 1996-09-24 Toru Miyahara 経口医療具挿入用案内具
CN2360074Y (zh) * 1999-04-02 2000-01-26 于志超 便携式新生儿抢救仪
US20010013344A1 (en) * 1999-04-08 2001-08-16 Hsiu-Chin Chou Adjustable oropharyngeal airway apparatus
US6672305B2 (en) * 2001-02-26 2004-01-06 Parker Medical Limited Partnership Shallow throat orotracheal intubation guide
US6494209B2 (en) * 2001-04-02 2002-12-17 George Kulick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hypopnea and apnea
US6517549B1 (en) * 2001-08-24 2003-02-11 Core Dynamics, Inc. Medical mouthpiece with elliptical passageway
US7278420B2 (en) * 2002-09-24 2007-10-09 Thomas Jefferson University Oropharyngeal airway
CN2664590Y (zh) * 2003-12-18 2004-12-22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光学生理喉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61723T1 (de) 2010-04-15
ES2343912T3 (es) 2010-08-12
CA2656143A1 (fr) 2008-01-17
CN101489616B (zh) 2012-03-07
EP2068991A2 (fr) 2009-06-17
CN101489616A (zh) 2009-07-22
US20100030027A1 (en) 2010-02-04
FR2903607A1 (fr) 2008-01-18
AU2007274202B2 (en) 2013-06-06
JP4954286B2 (ja) 2012-06-13
DE602007005495D1 (de) 2010-05-06
WO2008006968A3 (fr) 2008-03-13
EP2068991B1 (fr) 2010-03-24
WO2008006968A2 (fr) 2008-01-17
RU2009104708A (ru) 2010-08-20
JP2009542392A (ja) 2009-12-03
AU2007274202A1 (en) 2008-01-17
BRPI0714137A2 (pt) 2012-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0315A (ko) 구강내 의료 장비
CN101616706B (zh) 保持手术气道的装置及其方法
RU2476247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маска и канюли для интраназального положительного непрерывного давления в воздухоносных путях
EP2968814B1 (en) Medical breathing apparatus
CN101227946B (zh) 保持外科手术气道的装置及其方法
US6776157B2 (en) Medical pacifier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8333199B2 (en) High flow therapy artificial airway interfaces and related methods
US8911232B2 (en) Intraoral dental suction and isolation system
US4821715A (en) Nasopharyngeal airway
EP2140902B1 (en) Nasal mask for treating sleep breathing disorders, such as sleep apnea
RU2556520C2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е улучшения дыхательного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US11589970B2 (en) Intraoral device with detachable mouth prop
US20060278238A1 (en) Improved oral oxygenating appliance
US20130019872A1 (en) Nasopharyngeal airway
US10219686B2 (en) Medical bite block
KR102293646B1 (ko) 기관삽관 튜브가 고정되는 기도유지기
US11896453B2 (en) Extra oral dental ventilator
KR101684247B1 (ko)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KR101646886B1 (ko) 기관튜브 홀더조립체
CN113226423A (zh) 鼻咽气道装置
US10610656B2 (en) Intermandibular/maxillary ventilation device
JP2008272344A (ja) 内視鏡用マウスピースおよび吸引ノズル
KR200251443Y1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TWM648129U (zh) 具噴藥、吸痰、給氧、工作通道之內視(窺)鏡保護套
TW201841666A (zh) 呼吸取樣介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