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064Y1 -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핸들커버 - Google Patents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핸들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064Y1
KR200441064Y1 KR2020070019045U KR20070019045U KR200441064Y1 KR 200441064 Y1 KR200441064 Y1 KR 200441064Y1 KR 2020070019045 U KR2020070019045 U KR 2020070019045U KR 20070019045 U KR20070019045 U KR 20070019045U KR 200441064 Y1 KR200441064 Y1 KR 200441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handle
coupled
auxiliary hand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목
Original Assignee
이재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목 filed Critical 이재목
Priority to KR2020070019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0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 핸들커버에 관한 것으로, 손 바닥면과 밀착되어 회전되는 손바닥밀착부와; 상기 손바닥밀착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베어링부재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손바닥밀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봉이 형성되며, 스티어링휠에 결합되는 호형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스티어링휠에 결속시키는 결속수단으로 구성된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핸들이 일체화된 핸들커버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돌출 높이를 최소한으로 하여 운전자의 팔동작을 걸림이 없이 원활하게 하고, 급제동 등의 급박한 상황에 있어서도 운전자에게 위해요소가 되지 않게 하며, 스포크와 림이 T자형으로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고, 걸리적거림을 최소화하고 고정을 쉽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이 있는 호형결합부재가 핸들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서 보조핸들이 림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폐단을 방지함으로써 최소한의 고정력으로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스티어링휠, 핸들, 회전, 결합

Description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 핸들커버{STEERING WHEEL'S ASSISTANCE HANDLE AND THEREBY COVER }
본 고안은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 핸들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도 스티어링휠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 핸들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휠(100)은 자동차의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림(110)과, 상기 림(110) 내부에 배치되며 조향축과 연결된 허브(120)와, 상기 허브(120)와 림(110)을 연결하는 스포크(130)로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보조핸들은 자동차 운행시 핸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 특히 주차를 하는 경우나 차량 방향의 급전환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 수회에 걸친 핸들의 회전이 요구되며 이때 손으로 직 접 핸들을 조작하여야 한다면 두 손을 모두 사용하게 되어 측면이나 후방에 대한 운전시야의 확보가 어려우며 한 손으로만 핸들을 조작하는 경우에도 손이 미끌어지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지만 보조핸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 쉽게 핸들을 조정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불편이 많이 해소되었다.
한편, 위와 같은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조핸들이 그동안 고안되어 왔다. 즉,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21784호에서는 차량의 조향핸들에 체결가능하도록 일단에 링부와 타단에 관통홀이 구비된 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몸체부 일측에 탄성스프링이 내재된 누름스위치에 의해 걸림턱이 형성된 손잡이용 샤프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조핸들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손잡이용 샤프트가 수납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수납부재가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며, 그 수납부재의 내부 하단에는 탄성스프링이 내재되어 상기 누름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용 샤프트에 일정 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핸들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고안에서는 차량용 보조핸들의 손잡이 부분이 다단으로 높이 조절되는 한편, 보조핸들이 불필요한 경우 손잡이 부분이 조향핸들의 수평면 아랫방향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보조핸들의 손잡이만을 소정 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90°회동시키거나 손잡이 부분만을 조향핸들에 체결된 결합브라켓과 분리시키도록 하는 것에 비하여 손쉽게 보조핸들의 손잡이 부분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319호에서는 스티어링휠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하부 고정몸체를 구비하고, 상·하부 고정몸체의 일측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하는 레버축을 장착하며, 레버축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레버몸체를 장착하고, 레버몸체의 내부에는 록킹핀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편과 압축스프링과 버튼을 구비하며, 록킹핀의 하단 단부는 상부고정몸체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골목길이나 주차할 때에는 레버를 수직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보조핸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고안에 있어서는 보조핸들의 손잡이 부분이 핸들 위로 많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나 정차시에 팔의 움직임에 따라서는 자유로운 동작을 방해하는 걸림요소가 될 수 있으며 특히 급제동시나 사고시에 운전자의 전면에 충격을 주어 큰 부상을 불러 일으킬 위험이 많았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2003-90527호에서는 자동차의 코너링이나 주차 시 핸들을 움켜잡지 않고 손바닥으로 돌릴 수 있도록 보조핸들을 제공하되 보조핸들이 핸들에서 낮게 돌출되도록 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보조핸들을 만들 때 테두리 부분을 별도로 제작하여 보조핸들과 일체로 고화되도록 하여 디자인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보조핸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에 있어서도 보조핸들의 손잡이 부분이 낮게 제조되기는 하나 곡면을 가지는 핸들의 휠에 부착되기 때문에 핸들과 보조핸들의 이격을 감수할 수 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운전자의 손동작이 일정한 경우 보조핸들에 의하여 방해를 받게 되며 또한 보조핸들의 결속이 느슨해지는 경우에는 핸들의 휠을 따라 미끄 러지게 되므로 사고의 위험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돌출 높이를 최소한으로 하여 운전자의 팔동작을 걸림이 없이 원활하게 하고, 급제동 등의 급박한 상황에 있어서도 운전자에게 위해요소가 되지 않게 하며, 스포크와 림이 T자로 만나는 부분에 체결하여 걸리적거림을 최소화하고, 고정을 쉽고 확실하게 하는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 핸들커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손 바닥면과 밀착되어 회전되는 손바닥밀착부와; 상기 손바닥밀착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베어링부재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손바닥밀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봉이 형성되며, 스티어링휠에 결합되는 호형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스티어링휠에 결속시키는 결속수단으로 구성된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 바닥면과 밀착되어 회전되는 손바닥밀착부와; 상기 손바닥밀착부에 결합 되며, 내측에 베어링부재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손바닥밀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봉이 형성되며, 스티어링휠에 결합되는 호형결합부재로 구성된 보조핸들이 일체화된 핸들커버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높이를 최소화하여 운전의 방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고, 스포크와 림이 만나는 T자 부위에 설치 가능하며, 상부에 미끄럼이 방지되는 고무재질의 캡을 추가로 장착할 수 있고, 스티어링휠 커버 위에 직접 장착가능하며, 스티어링휠의 형태에 따라서 충진재를 삽입하여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A)은,
손 바닥면과 밀착되어 회전되는 손바닥밀착부(2)와, 상기 손바닥밀착부(2)에 결합되며, 내측에 베어링부재(5)가 설치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을 관통하 여 손바닥밀착부(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봉(652)이 형성되며, 스티어링휠(100)에 결합되는 호형결합부재(6)와, 상기 호형결합부재(6)를 스티어링휠(100)에 결속시키는 결속수단(8)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바닥밀착부(2)는 상면 중앙이 오목하게 요입된 원판이며, 그 하부면의 중심에 축핀(24)이 돌출 형성되고, 하부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손바닥밀착부(2)의 하부면에는 후술될 하우징(4)의 결착홈(42)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후크(26)가 형성된다.
상기 손바닥밀착부(2)에는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된 캡(3)이 더 결합된다.
상기 캡(3)은 상면에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엠보(30)가 형성되며, 볼록형 또는 오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은 상단의 직경이 상기 손바닥밀착부(2)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의 중심에는 상기 축봉(652)이 관통되는 관통공(40)이 형성되고, 상면의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끼움홈(44)이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 베어링 삽입홈(41)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손바닥밀착부(2)의 후크(26)가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결착홈(4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의 베어링 삽입홈(41)은 하부로 돌출된 환턱(43)에 외접되어 베어링부재(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부재(5)는 상기 손바닥밀착부(2) 및 하우징(4)의 결합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베어링, 스러스트 베어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상기 레이디얼 볼베어링은, 상기 베어링 삽입홈에 삽입되는 리테이너(52)와, 상기 리테이너(52)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구형볼(54)로 구성된다.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 삽입홈에 삽입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테이퍼진 볼로 구성된다.
상기 볼베어링 및 스러스트 베어링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호형결합부재(6)는, 스티어링휠(100)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스티어링휠(100)의 곡률과 동일하게 호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호형의 홈(60)을 가지고, 일측면 및 양단부가 개구된 바디(62)와,
상기 바디(62)의 일측면 개구부의 상부측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축봉(652)이 형성된 원형받침부(65)로 구성된다.
상기 축봉(652)에는 상기 손바닥밀착부(2)의 축핀(24)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 합공(653)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부에는 스냅링(654)이 결합됨으로써 하우징(4)의 관통공(40) 외주면에 상기 스냅링(654)이 지지되도록 하여 손바닥밀착부(2) 및 하우징(4)의 결합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디(62)의 외측에는 손으로 잡았을때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지용 돌부(63)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바디(62)의 개구된 양단부 외측에는 결속수단(8)이 삽입되도록 링홈(64)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수단(8)으로는 밴드 또는 전선결속용 스트랩이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의 결합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손바닥밀착부(2)를 하우징(4)의 상부에 끼워 후크(26)가 결착홈(42)에 끼워지고, 돌기(22)가 끼움홈(44)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4)의 하부 내측의 베어링 삽입홈(41)에 베어링부재(5)를 결합시킨다.
상기 호형결합부재(6)의 축봉(652)을 상기 하우징(4)의 관통공(40)에 통과시켜 끼운 후 그 상부 외주면에 웨이브와셔(656)와 와셔(655) 및 스냅링(654)을 순차로 끼움으로써 하우징(4)이 축봉(652)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하우징(4)의 상부로부터 손바닥밀착부(2)를 끼워 축핀(24)이 축봉(652)의 결합공(653)에 끼워지도록 하여, 손바닥밀착부(2)와 하우징(4)의 조립체 가 호형결합부재(6)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손바닥밀착부(2)의 상부에 캡(3)을 씌워 본 고안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렇게 결합된 본 고안의 보조핸들(A)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00)의 외주에 끼우고, 결속수단(8)을 양측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즉, 호형결합부재(6)의 홈(60)에 스티어링휠(100)의 외면이 끼워지도록 하고, 결속수단(8)인 밴드 또는 스트랩을 링홈(64)에 삽입하여 조임으로써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호형결합부재(6)는 신축에 의해 홈(60)의 간격이 더 벌어질수 있으므로, 스티어링휠(100)의 핸들커버(미도시) 위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포크(130)와 림(110)이 만나는 T자형 부위가 움푹하게 패인 경우 원형받침부(65)의 하부에 스폰지 또는 고무와 같은 충진재(7)를 삽입하여 틈새를 메꾼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이 일체화된 핸들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이 일체화된 핸들커버는,
손 바닥면과 밀착되어 회전되는 손바닥밀착부(2a)와, 상기 손바닥밀착부(2a) 에 결합되며, 내측에 베어링부재(5a)가 설치된 하우징(4a)과, 상기 하우징(4a)을 관통하여 손바닥밀착부(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봉이 형성된 호형결합부재(6a)로 구성된 보조핸들과; 상기 보조핸들의 호형결합부재(6a)가 내부에 삽입되어 일체로 부착되며, 스티어링휠(10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1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바닥밀착부(2a)와 하우징(4a)의 결합체를 덮도록 캡(3a)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실시예는 보조핸들이 별도의 결속수단이 필요없이 핸들커버(10a)의 내측에 삽입된 채 일체로 부착된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이 일체화된 핸들커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이 일체화된 핸들커버의 다른 실시예는,
손 바닥면과 밀착되어 회전되는 손바닥밀착부(2b)와, 상기 손바닥밀착부(2b)에 결합되며, 내측에 베어링부재(5b)가 설치된 하우징(4b)과, 상기 하우징(4b)을 관통하여 손바닥밀착부(2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봉이 형성된 호형결합부재(6b)로 구성된 보조핸들과; 상기 보조핸들의 호형결합부재(6b)의 양단부에 이어져 일체화되며, 스티어링휠(10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10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바닥밀착부(2b)와 하우징(4b)의 결합체를 덮도록 캡(3b)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실시예는 보조핸들의 호형결합부재(6b)의 양단부에 핸들커버(10b)가 이어져 일체로 설치된 것으로, 별도의 결속수단이 필요없고, 스티어링휠(100)과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이 일체화된 핸들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이 일체화된 핸들커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손바닥밀착부 3 : 캡
4 : 하우징 5 : 베어링부재
6 : 호형결합부재 8 : 결속수단
22 : 돌기

Claims (10)

  1. 손 바닥면과 밀착되어 회전되는 손바닥밀착부(2)와;
    상기 손바닥밀착부(2)에 결합되며, 내측에 베어링부재(5)가 설치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을 관통하여 손바닥밀착부(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봉(652)이 형성되며, 스티어링휠(100)에 결합되는 호형결합부재(6)와;
    상기 호형결합부재(6)를 스티어링휠(100)에 결속시키는 결속수단(8)으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손바닥밀착부(2)는 오목하게 요입된 원판상이며, 하부면의 중심에 축핀(24)이 돌출되고, 하부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돌기(22)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하우징(4)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추형이며 중심에 관통공(40)이 형성되고, 상면의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끼움홈(44)이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 베어링 삽입홈(4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손바닥밀착부(2)에는 고무재질의 캡(3)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3)은 상면에 다수의 엠보(30)가 형성되며 볼록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5)는 볼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결합부재(6)는, 스티어링휠(100)의 곡률과 동일하게 호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호형의 홈(60)을 가지고, 일측면 및 양단부가 개구된 바디(62)와,
    상기 바디(62)의 일측면 개구부의 상부측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축봉(652)이 형성된 원형받침부(6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62)의 외측에는 파지용 돌부(6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62)의 양단부 외측에는 결속수단(8)이 삽입되는 링홈(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8. 삭제
  9. 손 바닥면과 밀착되어 회전되는 손바닥밀착부(2b)와, 상기 손바닥밀착부(2b)에 결합되며, 내측에 베어링부재(5b)가 설치된 하우징(4b)과, 상기 하우징(4b)을 관통하여 손바닥밀착부(2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봉이 형성된 호형결합부재(6b)로 구성된 보조핸들;
    상기 보조핸들의 호형결합부재(6b)의 양단부에 이어져 일체화되며, 스티어링휠(10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이 일체화된 핸들커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밀착부(2a,2b)와 하우징(4a,4b)의 결합체를 덮도록 캡(3a,3b)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이 일체화된 핸들커버.
KR2020070019045U 2007-11-27 2007-11-27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핸들커버 KR200441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45U KR200441064Y1 (ko) 2007-11-27 2007-11-27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핸들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45U KR200441064Y1 (ko) 2007-11-27 2007-11-27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핸들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064Y1 true KR200441064Y1 (ko) 2008-07-18

Family

ID=4164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045U KR200441064Y1 (ko) 2007-11-27 2007-11-27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핸들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0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470B1 (ko) * 2010-07-02 2011-02-14 이재목 스티어링휠용 부착물의 고정장치 및 이를 장착한 보조핸들
KR200452745Y1 (ko) 2009-07-11 2011-03-17 김용호 자동차용 보조 핸들
KR101836646B1 (ko) * 2016-06-01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애인용 스티어링 휠의 보조 핸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45Y1 (ko) 2009-07-11 2011-03-17 김용호 자동차용 보조 핸들
KR101014470B1 (ko) * 2010-07-02 2011-02-14 이재목 스티어링휠용 부착물의 고정장치 및 이를 장착한 보조핸들
KR101836646B1 (ko) * 2016-06-01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애인용 스티어링 휠의 보조 핸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336A (en) Wheel retention device with externally rotatable multi-faceted retention ring
JP5770025B2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200441064Y1 (ko) 스티어링휠의 보조핸들 및 그 보조핸들이 일체로 결합된핸들커버
US4220054A (en) Crank handle assembly
AU2019213427A1 (en) Skateboard
US11938763B2 (en) Anti-skid device
JP3206534U (ja) 自動車用ハブリング
JP2000025422A5 (ko)
KR101011188B1 (ko) 자동차의 편의 향상을 위한 어시스트 핸들 장치
KR101014470B1 (ko) 스티어링휠용 부착물의 고정장치 및 이를 장착한 보조핸들
KR200372537Y1 (ko) 자동차용 보조핸들
KR100783364B1 (ko) 조향핸들 커버 일체형 선회장치
JP3110867U (ja) 自転車転倒防止装置
JPS6010881Y2 (ja) タイヤバルブ着脱用工具
KR200189208Y1 (ko) 운반기용 캐스터
JP4131565B2 (ja) 自転車用チューブレスゴムタイヤ装置およびそれを装備した自転車
KR200440408Y1 (ko) 차량용 보조 핸들
KR200464500Y1 (ko)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KR960006458Y1 (ko) 자동차용 핸들커버
JP3083527U (ja) マニュアルミッション用のシフトノブ
KR20040049664A (ko) 차량용 휠 캡
KR100423036B1 (ko) 차량용 조향 핸들휠의 보조핸들구조
KR100610978B1 (ko) 자동차용 보조핸들
WO2023219512A1 (en) Anti-skid device
KR200287826Y1 (ko) 차량용 보조핸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