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375Y1 - 문양 직조테이프 - Google Patents

문양 직조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375Y1
KR200440375Y1 KR2020080004790U KR20080004790U KR200440375Y1 KR 200440375 Y1 KR200440375 Y1 KR 200440375Y1 KR 2020080004790 U KR2020080004790 U KR 2020080004790U KR 20080004790 U KR20080004790 U KR 20080004790U KR 200440375 Y1 KR200440375 Y1 KR 200440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ven tape
tape
jacquard
jacquard wove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진
Original Assignee
김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진 filed Critical 김덕진
Priority to KR2020080004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3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3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나 가방 또는 모자 등에 식별성을 향상시키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 직조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자카드 직조테이프 등에 다양한 문양이나 문자 등을 선명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제품의 형태 변형 예방 및 복원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개성 연출이 자유롭고 흡한속건의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며 심미감을 느끼게 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자카드(jacquard) 직조테이프, 바이어스 테이프, 흡한속건

Description

문양 직조테이프{Both weaving tape which it bites}
본 고안은 의류나 가방 또는 모자 등에 식별성을 향상시키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jacquard) 직조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모자의 착용 부는 각 판넬들을 연결 봉침 후 랍바를 이용하여 바이어스 테이프(bias tape)를 부착하여 구성되며 통상적으로 모자에 사용되는 바이어스 테이프는 신축성을 포함하며 일반적인 제작 방법은 직물을 약 45도의 사선방향으로 재단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형태이며 대부분 평직으로 된 직물을 사용하여 특별한 패션성이 부족하다.
본 고안은 의류나 가방 또는 모자 등에 식별성을 향상시키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jacquard) 직조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품의 형태 변형 예방 및 복원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직조테이프 등에 다양한 문양이나 문자 등을 자수 및 고주파 열 융착 등으로 선명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심미감을 느끼게 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대한민국 선행 등록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020010037259호, 제2019990009618 호, 제2020010037725호, 제2020050002558호, 제1020050024257호, 제1020050046048호 등의 다양성을 갖는 모자를 제공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일상생활중에 자신을 표현하는 패션의 일부로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자카드(jacquard) 직조테이프를 사용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며 개성 연출 및 패션성 등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상적인 직조테이프를 구성하는 원사는 면이나 합성섬유 등을 사용하여 위 사와 복수 개의 경 사로 다양한 방법으로 꼬아 만든 것으로 내구성 및 인장력을 감안하여 의류 및 가방 등에 사용되며, 상기 직조테이프는 단 겹 혹은 두 겹 이상으로 적층 시켜 사용되며 대부분 위아래 길이방향(경사)으로 촘촘하게 짜여 신축성이 부족하고 대부분 직선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제품의 특성상 곡면에 사용할 경우 상기 직조테이프는 주름이 발생하여 미감에 적지않은 영향을 주며, 이와 달리 탄성을 갖는 직조테이프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여 두께가 얇은 직조테이프로 제작이 어렵고 또한 재질의 특성상 내구성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다.
모자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바이어스 테이프의 역할은 상기 착용 부에서 각각의 판넬들을 더욱 단단하게 결합하여 외관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바이어스 테이프의 표면에 인쇄 등으로 문양 등을 표시하여 식별성을 가지도록 했으나, 상기 인쇄는 직간접으로 인체에 영향을 줌으로 여러 유형의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제품에 있어서 얇은 직물을 사용한 바이어스 테이프로 구성된 모자는 장기간 사용함으로 인하여 형태가 힘없이 쉽게 눌리거나 노후화되는 경향이 있었 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합성섬유 등을 사용하여 직조되며 원사 가공 처리과정을 거쳐 친수성과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 직조테이프는 머리를 감싸는 착용 부의 판넬들을 연결하여 결합하며 또한 착용 부를 지지하여 외장형태가 쉽게 눌리어 찌그러지는 형태의 변화를 억제하여 미감을 향상시키고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다양한 문양이나 문자 등을 선명하게 형성시킴으로 독특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직선이 아닌 구부러지는 특정 부위에 신축성 자카드 직조테이프를 부착하여 주름 등의 예방을 가져 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를 감싸는 복수 개의 판넬을 결합하여 제작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전면 하단부에 돌출되어 부착되는 챙부를 구비한 모자에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의 내측 하단의 둘레 부에 형성되고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부를 포함하는 문양 직조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문양 직조테이프는 자수 또는 고주파 열융착에 의해 문양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jacquard) 직조테이프로 제품의 외장 형태 변화를 억제하여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문양이나 문자 등을 형성시킴으로 개성 연출 및 미감 효과를 유지토록 하였으며, 흡한속건의 소재를 사용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며 또한 반원형 및 만곡된 부분에 주름 등의 예방을 가져 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의류나 가방 또는 모자 등에 친수성과 탁월한 건조기능 및 신축성을 포함하는 원사를 사용하여 식별성을 향상시키며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jacquard) 직조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품의 형태 변형의 예방 및 복원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직조테이프 등에 다양한 문양이나 문자 등을 자수 및 고주파 열 융착 등으로 선명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심미감을 느끼게 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이 가능하며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모자에 사용되는 바이어스 테이프의 역할은 상기 착용 부에서 각각의 판넬들을 더욱 단단하게 결합하여 외관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면이 있으나 개성적 표현에 미흡한 점이 있으며, 또 다른 표현은 인쇄 등의 방법으로 문양이나 상표 등을 표시하여 식별성을 가지도록 하였으나, 상기 인쇄는 직간접으로 인체에 영향을 줌으로 여러 유형의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제품에 있어서 얇은 직물을 사용한 바이어스 테이프로 구성된 모자는 장기간 사용함으로 인하여 형태가 힘없이 쉽게 눌리거나 노후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고안의 일 예로 일반적인 가방에 있어서 곡선 형상이 필요한 부분에 신축성이 부족한 직선형태의 직조테이프를 부착하면 주름이 쉽게 발생하여 미감에 영향 을 주며 제품의 품질향상에 효과를 갖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그에 반하여 탄력적인 신축이 가능한 본 고안의 자카드 직조테이프는 곡선의 형태에 맞춰 부착이 자연스러워 미감을 증대시켜 주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다른 예로 일반적인 모자를 보면 머리를 감싸는 착용 부(11)와 햇볕을 막아주는 챙 부(10)로 구성되며, 상기 착용 부(11)는 복수 개의 판넬로 구성되고 각각의 판넬들은 봉제에 의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어 결합 되며 각각의 판넬들의 연결부를 얇은 직물을 재단하여 이루어진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도록 제작되는 것이며, 이때 바이어스 테이프는 각각의 판넬들을 더욱 단단하게 결합하여 외관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소재로는 면 또는 합성직물을 사용하며 문양 등을 표현하기 위해서 인쇄하는 방법이 있다. 본 고안의 직조테이프는 자수 및 고주파 열 융착이나 쟈카드로 직조하여 문양이나 상표 등을 표시하여 독특한 식별성을 가지며 또한 직선이 아닌 굴곡진 특정 부위에는 탄력적인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 직조테이프를 부착하여 주름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친수성을 포함하는 원사를 사용하여 천연소재로 된 면보다 땀을 더 빨리 흡수하고 탁월한 건조 기능을 갖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모자의 내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모자의 착용 부(11)는 각 판넬들을 봉침하여 연결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 직조테이프(22)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넬의 단면 형상이 일반적인 직물의 사선 방향일 경우 신축력을 가지므로 자카드 직조테이프(22)도 신축이 되어 주름 등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착용 부 후면의 하단 C부분의 자카드(jacquard) 직조테이프(22)는 신축성을 가지며 자수 및 고주파 열 융착이나 쟈카드로 직조하여 문양 등을 표시하여 독특한 식별성을 가지며, 또한 착용 부의 후면 하단에 머리둘레에 맞춰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반원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반원형을 이루는 단 부를 부챗살 형상으로 신축성을 가진 자카드 직조테이프를 착용 부 후면 하단의 반원형을 이루는 단 부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감싸 부착되어 만곡 되는 부분에 주름 등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도 1의 타원형상을 이루는 모자의 착용 부(11) 내측 하단의 둘레 부에 위치하여 자연스럽게 착용 부(11)와 밀착이 되도록 한 자카드 직조테이프(21)의 문양 및 상표 등이 휘어짐이 없도록 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종래의 자카드 직조테이프는 문양이나 상표 등을 나타낸 것으로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부착되는 구조를 살펴 보면, 착용 부(11)의 하단에 부착 후 도 8의 봉침선(34)을 따라 신축이 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문양 및 상표 등은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상단과 하단의 길이를 같거나 달리하여 직조해도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일면 위에 문양 등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문양의 형태가 휘어짐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본 고안의 제시하는 자카드 직조테이프(21)는 문양의 형태가 휨이 없도록 하여 미관상 변화를 최소화하며 흡한속건의 소재를 사용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기능이 첨부되었다.
도 2는 모자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자카드 직조테이프를 사용하여 착 용 부(11)의 외 측 A에서 A'로 곡면 형태로 형성된 부위가 쉽게 뒤틀림과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자연스러운 형태를 갖게 한 것이다. 모자의 자카드 직조테이프는 미관상 균형을 유지하고 착용 부(11)가 장기간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대의 역할도 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을 가진 자카드 직조테이프를 착용 부(11)의 외 측에 위치하여 더욱 독특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가방(본 고안의 관련된 특정 부분만을 도시함)의 정면을 나타낸 것으로 곡선의 형태를 신축성이 뛰어난 신축사를 가공하여 직조 되는 신축성을 가진 자카드 직조테이프(22)를 부착하여 자연스럽게 구부러져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고 미감에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면 직물(12)이 힘없이 눌리어 쉽게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가방의 장기간 사용에도 형태 유지 기간이 길어져 경제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지며 패션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일부를 도시하였으며, 능직으로 직조 된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바닥면에서 접철이 용이하도록 소폭으로 형성되는 표시(33,36)선을 두어 일정한 폭으로 접철이 되어 뛰어난 미감을 보여 주며, 도면은 착용 부(11)의 판넬들에 부착하기 위해 펼친 형태이다. 종래 일반 모자에 사용된 바이어스 테이프는 직물을 일정한 각도와 폭을 유지하도록 재단하여 부착되며 상기 바이어스 테이프는 획일적이라 밋밋한 느낌이 있으며 사용자의 개성 연출 등은 고려치 않아 패션성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와 달리 본 고안이 제시하는 자카드 직조테이프는 독특한 미감을 주며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며 부착이 매우 자유로운 특징이 있으며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접철부가 되는 표시(36)는 파선 및 구멍 등의 기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폭을 조절하여 좁은 표시(33,36)선을 가짐으로 다른 부위보다 더 접철이 용이하여 착용 부의 판넬들의 결합, 부착이 더욱 쉬워 봉제 불량을 줄여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B를 확대한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접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접철이 용이하도록 직조되는 표시(33,36)의 위아래 부분(32,37)을 일정한 폭으로 접어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아래 방향으로 밀착하여 공정이 완료된다.
도 6은 도 1의 B를 확대한 자카드 직조테이프 표시(33,36)선의 위아래 부분(32,37)을 일정한 폭으로 접철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신축성을 가진 자카드 직조테이프를 착용 부(11)의 내 측 하단부에 봉침선(34,35)을 따라 부착된 부분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접철 된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위아래 실제 폭을 갖는 표시(33,36)선은 일부 내 측 방향으로 말아 들어감에 따라 외관상 보이는 표시(33,36)선의 실제 폭의 반으로 줄어 더욱 깔끔하며 고품질임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도 7은 도 1의 C부분에 부착되는 접철되는 중앙을 기준으로 위아래 양단부 방향의 부챗살 형상으로 신축되도록 구성된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펼쳐진 것을 부분 도시한 것이며, 자카드 직조테이프가 부착되는 부위의 형상(착용 부(11) 후면 반원형 단 부 등을 이름)이 반원형을 이루고 있으면 자카드 직조테이프 역시 동일한 반원형을 가질수록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며 그에 따른 곡면에 부착이 용이하고 주름 등이 예방되어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신축성을 가지며 접철부를 이루는 표시(36)선의 일정한 폭을 유지하고 위아래 단부방향의 부챗살 형상으로 신축되는 자카드 직조테이프는 모자의 내외측에 주름이 없으며 일정한 폭으로 부착되어 외관상 뛰어난 균형감을 줄 수 있다.
착용 부의 후면 하단에 머리둘레를 조정하기 위하여 반원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반원형을 이루는 단 부를 신축성을 가진 자카드 직조테이프를 단 부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감싸 부착되며, 도시한 자카드 직조테이프는 도 6의 자카드 직조테이프에서 표시선의 위아래 부분(32,37)이 생략된 것이며, 표시(36)선을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상하 중앙을 기준으로 양 끝단 방향으로 부챗살 형상을 가지며 양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하여 착용 부(11) 후면 반원형 단 부의 내외 측에 감싸 봉침선(34,35)을 따라 부착된다.
일면의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접철부가 되는 표시(36)는 파선 및 구멍 등의 기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8은 도 1의 D부분을 확대 도시한 착용 부(11)의 내 측 하단부에 위치한 신축성을 가지는 땀받이 자카드 직조테이프(21)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상기 착용 부(11)의 내측 하단의 둘레 부에 위치하여 자연스럽게 착용 부(11)의 내 측 하단에 밀착 되도록 형성되고 신축성을 가지는 자카드 직조테이프(21)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접철이 되는 표시(36)선을 기점으로 살펴보면, 윗부분은 착용 부(11)에 봉침선(34)을 따라 신축되어 부착되며, 표시(36)선의 아랫부분은 능직을 바탕으로 자카드 직조테이프(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자카드 직조테이프는 위와 아래의 구분이 없이 일체형으로 직조하여 문양이나 상표 등을 나타낸 것으로 착용 부의 내측 하단에 부착되며,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문양 및 상표 등은 입체적으로 형성되지 않음으로 형상의 휘어짐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본 고안의 자카드 직조테이프(21)는 접철부가 되는 표시(36)를 줌으로서 윗부분(착용 부의 하단과 부착되는 부분을 이름)은 신축이 되도록 하여 착용 부(11) 하단의 내측에 봉침선(34)을 따라 부착되며, 아랫부분은 표시(36)선의 영향으로 문양 등이 구부러짐이 없도록 촘촘한 밀도를 유지가 되도록 하여 표시(36)선을 기점으로 위아래를 별도로 구분되어 지도록 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보여주며, 일면의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접철부가 되는 표시(36)는 파선 및 구멍 등의 기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자수 및 고주파 열 융착된 문양 및 글씨를 표현함으로 개성 연출이 보다 다양성을 가질 수 있도록 했으며,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가공된 원사를 사용하여 야외 활동 등에서 땀을 빨리 흡수하여 빨리 배출 되도록 하는 기능을 첨부하여 구성되었다.
도 1은 모자의 내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모자의 정면도,
도 3은 가방의 사시도,
도 4는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접철되는 사시도,
도 6은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부분 투시도,
도 7은 반원형으로 부착 가능한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모자 땀받이 자카드 직조테이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챙 부 11--착용 부
21--땀받이 자카드 직조테이프 22--자카드 직조테이프
33,36--접철부(표시)

Claims (2)

  1. 머리를 감싸는 복수 개의 판넬을 결합하여 제작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전면 하단부에 돌출되어 부착되는 챙부를 구비한 모자에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의 내측 하단의 둘레 부에 형성되고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부를 포함하는 문양 직조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직조테이프는 자수 또는 고주파 열융착에 의해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 직조테이프.
KR2020080004790U 2008-04-11 2008-04-11 문양 직조테이프 KR200440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90U KR200440375Y1 (ko) 2008-04-11 2008-04-11 문양 직조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90U KR200440375Y1 (ko) 2008-04-11 2008-04-11 문양 직조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668 Division 2007-03-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375Y1 true KR200440375Y1 (ko) 2008-06-11

Family

ID=4164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790U KR200440375Y1 (ko) 2008-04-11 2008-04-11 문양 직조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3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713B2 (en) Length-ways stretchable elastic band
JP5939782B2 (ja) 凹凸模様装飾帯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PA05008985A (es) Atuendo para la cabeza.
KR101527704B1 (ko) 발가락 양말 및 그 제조방법
JP2013002028A (ja) モアレ縞模様の装飾帯体
KR200440375Y1 (ko) 문양 직조테이프
KR102320740B1 (ko) 개량형 전통 복식 조립체
KR101032226B1 (ko) 승화전사 자수물이 부착된 모자와 그 제조 방법
JP3145373U (ja) 円筒状身の回り品
KR101832674B1 (ko) 라운딩 셔츠
CN209243319U (zh) 一种具有可穿绳功能的管状开孔织物
KR20130062020A (ko) 흡한속건성과 볼륨감이 우수한 이중직 자카드 아웃웨어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90260130A1 (en) Stretchable sweatband with seaming portion and stretchable cap using the same
JP4776607B2 (ja) 衣類の袖口部の縫製方法および衣類の袖部の縫製方法
TWM273448U (en) Elastic featuring longitudinal stretching
JP2016160546A (ja) 複合繊維構造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繊維構造体を用いた繊維製品
RU26730U1 (ru) Шапка вязаная
KR200317914Y1 (ko) 상표 표시면 일체형 편직 모자
KR200297240Y1 (ko) 피어싱 모자
KR20130076659A (ko) 외형 보존력이 우수한 모자
JP6414836B1 (ja) 紙糸製の繊維性服飾品および、紙糸製の繊維性服飾品を製造する方法
KR20040081634A (ko) 상표 표시면 일체형 편직 모자
KR101003374B1 (ko) 안내부를 갖는 직조테이프 및 그 직조테이프를 사용한 모자
KR200182336Y1 (ko) 모자용 밴드
JP6231181B1 (ja) かつらベース、かつら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