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826Y1 - 문양이 형성된 모자 - Google Patents

문양이 형성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826Y1
KR200438826Y1 KR2020060029946U KR20060029946U KR200438826Y1 KR 200438826 Y1 KR200438826 Y1 KR 200438826Y1 KR 2020060029946 U KR2020060029946 U KR 2020060029946U KR 20060029946 U KR20060029946 U KR 20060029946U KR 200438826 Y1 KR200438826 Y1 KR 200438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pattern
auxiliary sheet
shim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119U (ko
Inventor
이정숙
Original Assignee
김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진 filed Critical 김덕진
Priority to KR2020060029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826Y1/ko
Publication of KR20060000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1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8Insignia, logos, emble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Landscapes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양이 형성되는 모자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문양절개부를 갖는 챙 심과, 문양절개부에 소정의 문양이 형성되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문양은 차양 부나 테두리 부의 어디든지 구성이 가능하며, 소정의 문양에는 자수, 인쇄, 직조라벨, 장식 등을 부착해서 로고나 광고 삽입이 용이하게 한다.
상부원단 아래에 위치한 보조시트는 상부원단과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문양을 형성하도록 박음질 되어 있고, 챙 심은 문양절개부가 상부원단과 보조시트에 박음질 되어 형성된 문양의 외 측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부 원단과 보조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형성된 모자를 제공한다.
챙 심의 일 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좌측문양절개부가 형성되고, 챙 심의 일 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우측 문양절개부가 형성되며, 절개되어 나란히 배치된 상기 챙 심은, 상기 챙 심 중앙의 상 하부를 따라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손쉽게 차양 부를 접었다 펴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좌측 챙 심과 우측 챙 심은 각각 상기 상부원단과 상기 보조시트 사이의 박음질 된 부분의 외 측 둘레에 결합되어 구성되므로 챙 심의 절개라인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으며, 모자를 접었을 때에도 챙 심에 문양이 형성되어 광고나 로고의 표현을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자, 차양 부,챙 심, 문양절개부, 문양,

Description

문양이 형성된 모자 { Pattern formed cap }
도 1은 문양이 형성된 모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문양이 형성된 모자 차양 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문양이 형성되며 챙이 접어지는 모자 차양 부의 실시 예의 부분도,
도 4는 도 3의 문양이 형성되며 접어지는 모자 차양 부의 결합도면,
도 5는 도 3의 문양이 형성되며 접어지는 모자 차양 부의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3의 문양이 형성되며 접어지는 모자 차양 부의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문양이 형성된 모자를 접었을 때 사시도 이다.
도 8은 문양이 형성된 선바이저 모자의 실시 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문양이 형성된 선바이저 모자 테두리 부의 부분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착용 부 : 10 차양 부 : 20
문양 : 30 문양절개부 : 32 챙 심 : 40 좌측 챙 심 : 42
우측 챙 심 : 44 보조시트 : 50
절개된 보조시트 : 52 상부원단 : 60 하부원단 : 62 테두리 부 : 70
속 심지 : 80
본 고안은 문양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문양절개부를 갖는 챙 심과, 문양절개부에 소정의 문양이 형성되고, 문양은 차양 부나 테두리 부의 어디든지 구성이 가능하며, 소정의 문양에는 자수, 인쇄, 직조라벨, 장식 등을 부착해서 로고나 광고 삽입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챙 심의 중앙 상 하부의 절개라인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 나란히 배치된 좌측 챙 심과 우측 챙 심은 손쉽게 접었다 펴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가졌으며 휴대와 보관을 간편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차양모자는 남녀노소 누구나 스포츠, 체육대회, 야외작업, 야유회, 경기 관람 등 야외 활동 시에 많이 이용하며 이러한 모자 등은 안면부위로 내리쬐는 햇빛을 차단하여 착용자의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거나 눈부심을 경감시키는 등 건강을 이유로 착용하기도 하고 패션을 완성하는 소품으로도 쓰여 지기도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모자는 머리를 감싸는 다수의 판넬 부로 이루어져서 머리가 삽입되는 착용 부와 얼굴부위로 내리쬐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 부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차양 모자는 상부원단에 문양이나 로고 등을 직접자수하거나 직조라벨을 부착하는 단순한 형태였으며, 챙 심 또한 단일개의 딱딱한 플라스틱 형태로 되어있고 챙 심이 접혀지지 않아 머리에 착용하기 전후에는 손으로 들고 다녀야하며 부피를 많이 차지해서 가방에 넣을 수도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 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문양절개부를 갖는 챙 심과, 문양절개부에 소정의 문양이 형성되는 모자이며, 문양은 차양 부나 테두리 부의 어디든지 구성이 가능하고, 서로 분리되어 나란히 배치된 좌측 챙 심과 우측 챙 심의 사이에 절개라인에 소정의 문양에는 자수하거나, 인쇄, 직조라벨, 장식 등을 부착해서 로고나 광고 삽입이 용이하게 한다.
챙 심의 중앙 상 하부의 절개라인을 따라 손쉽게 차양 부를 접었다 펴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가졌으며 접었을 때에도 문양 부가 형성되어 광고나 로고의 표현을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 전후 챙을 간편하게 접었다 펼 수 있으며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챙 심의 절개라인이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머리가 삽입되는 착용 부; 및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착용 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차양 부로 구성된다.
상기 차양 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문양절개부를 갖는 챙 심과 상기 챙 심의 하부에는 보조시트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챙 심을 위에서 덮는 상부원단 및 상기 챙 심과 상기 보조시트를 아래에서 감싸주는 하부원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원단과 상기 보조시트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문양을 형성하도록 박음질 되어 있고, 문양 내에는 로고나 광고 문구 등을 자수하거나 인쇄, 직조라벨, 장식류를 부착해서 문양의 심미적 기능을 표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챙 심은 상기 상부원단과 상기 보조시트가 박음질 된 부분의 외 측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보조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며, 테두리 원단을 사용해서 가장자리를 재봉한 후 착용 부에 부착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작된다
상기 챙 심은 서로 분리된 좌측 챙 심과 우측 챙 심으로 구성되며, 상기보조 시트는 상기 좌측 챙 심 또는 상기 우측 챙 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시트는 2개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시트는 상기 좌측 챙 심과 상기 우측 챙 심의 각각의 하부에 위치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챙 심에는 일 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좌측문양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챙 심에는 일 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우측문양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시트 2개와 상기 상부 원단이 박음질 되어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문양이 형성된 모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양이 형성된 모자를 도시한 것이고, 발명에 따른 소정의 문양을 소정의 두께를 가진 챙 심(40)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해 문양 절개부(32)를 형성한다. 문양(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도면에는 중앙에 문양이 도시되어 있지만, 챙 심(40)의 중앙뿐 아니라 챙 심의 좌, 우 어느 쪽에 위치해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챙 심(40)은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용 하지만 인조피혁, 종이류 등 형태유지에 도움이 되는 소재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상부원단 아래에 위치한 보조시트(50)를 상부원단과 포개어진 상태로 소정의 문양(30)을 형성하도록 박음질 된 부분을 형성하고, 상부원단(60)을 챙 심의 문양절개부(32) 아래에서 위쪽으로 관통시켜 상부원단과 보조시트 사이에 문양절개부 외 측 둘레를 따라 챙 심을 결합함으로써 문양(30)이 형성되고, 상부 원단과 같은 면적으로 재단된 하부원단은 챙 심과 보조시트의 하부를 감싸며, 테두리 천으로 챙 바깥쪽 가장자리를 마감하고 착용 부에 부착하여 제작된다.
삭제
이때, 상부원단(60)은 신축성 있는 직물류가 무난하나 일반직물류도 제작이 가능하다.또한 보조 시트(50)는 챙 심보다 얇은 재질의 합성수지나 직물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 재료 중 단단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챙 심(40)보다 작고 문양(30)보다는 넓은 면적으로 제작해야 하며 챙 심의 두께에 따라 문양이 뚜렷이 표현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문양이 형성되고 챙이 접어지는 모자 차양의 부분도 이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면으로 분리된 보조시트(52)를 절개라인이 겹치지 않게 나란히 놓고 상부원단(60) 아래에 위치하여 상부원단과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형태를 갖도록 박음질한다. 여기서, 절개라인(63)이라 함은 챙 심을 절개하여 분리된 좌측 챙 심과 우측 챙 심(42,44)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4는 문양이 형성되고 챙이 접어지는 모자 차양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좌측 챙 심(42)에는 일 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좌측문양절개부가 형성되고, 우측 챙 심(44)에는 일 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우측문양절개부가 형성된다. 2개의 면으로 절단되어 나란히 배치된 챙 심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 챙 심은 좌측상부원단과 좌측보조시트의 사이에, 우측 챙 심은 우측상부원단과 우측보조시트 사이에 박음질 된 부분의 외 측 둘레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면 박음질 된 부분을 따라 소정의 문양(30)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원단과 같은 면적으로 재단된 하부원단(62)은 챙 심(42)의 하부를 감싸며 테두리 천으로 마감하여 착용 부에 부착하여 제작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챙 심(42,44)과 보조시트(52)가 분리 후 결합 되었으므로 챙 심을 접었다 펴는 것이 가능하며, 분리되어 나란히 배치된 각각의 챙 심(42,44)이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챙 심의 절개라인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전 후에 챙 심의 절개 라인을 따라 차양을 접을 수 있으며, 접었을 때도 모자 차양에 문양 (30)이 형성되어 각종 로고나 광고 효과를 부가해준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양을 선바이저에 응용해서 모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 도이다.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착용 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차양 부(20);및 차양 부(20)와 결합 되어 모자 차양을 착용자의 머리에 안착시키기 위한 모자 테두리 부(70)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 테두리 부(7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문양절개부(32)를 갖는 속 심지(80)와 속 심지의 하부에 보조시트(50)가 위치하며, 속 심지를 외 측에서 덮는 상부원단(60) 및 속 심지와 보조시트를 내측에서 감싸는 하부 원단(62)으로 형성된다. 상부원단(60)과 보조시트(50)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문양(30)을 형성하도록 박음질 되어 있으며, 상기 문양(30)은 상부원단을 속 심지에 형성된 문양절개부(32) 내측에서 외 측으로 관통시켜 상부원단과 보조시트 사이에 속 심지(80)가 위치하며 문양절개부를 따라 문양(30)이 형성된다.
이때 속 심지는 직물류, 부직포,인조피혁,종이류, 합성수지류 등 형태를 유지해 줄 수있는 소재는 사용할 수 있고, 상부원단보다 두꺼울 때 문양이 뚜렷이 나타나며, 도 8에 도시한 문양절개부는 좌,우 어느 쪽에 위치해도 좋으며, 보조시트는 속 심지보다 얇은 소재가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양이 형성되는 모자는,
박음질 된 부분의 위치가 차양 부나 테두리 등 어느 부분에도 구성이 가능하다. 챙 심에는 챙 심의 중앙 중심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소정의 모양으로 절개되어 문양절개부가 형성되고, 서로 절개되어 나란히 배치된 좌측 챙 심과 우측 챙 심의 사이에 소정의 문양을 두었기 때문에 모자를 착용시뿐만 아니라 접었을 때에도 문양이 형성되게 되어 로고나 광고가 두드러지게 표현이 되고, 절개된 부분의 라인을 따라 챙 심을 접었다 펼 수 있으므로 휴대와 보관이 간편하다.
또한, 챙 심의 절개된 라인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양이 형성되는 모자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 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머리가 삽입되는 착용 부; 및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착용 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차양 부로 구성되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차양 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문양절개부를 갖는 챙 심;
    상기 챙 심의 하부에 위치하는 보조시트;
    상기 챙 심을 위에서 덮는 상부원단; 및
    상기 챙 심과 상기 보조시트를 아래에서 감싸주는 하부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원단과 상기 보조시트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박음질 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챙 심의 문양절개부는 상기 상부원단과 상기 보조시트에 박음질 된 부분의 외 측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보조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형성된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챙 심은 서로 분리된 좌측 챙 심과 우측 챙 심으로 구성되며,
    상기보조 시트는 상기 좌측 챙 심 또는 상기 우측 챙 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형성된 모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는 서로 분리된 2개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보조시트는 상기 좌측 챙 심과 상기 우측 챙 심의 각각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형성된 모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챙 심에는 일 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좌측문양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챙 심에는 일 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우측문양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시트 2개와 상기 상부 원단이 박음질 되어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형성된 모자.
  5. 제 4항에 있어서,
    절개되어 나란히 배치된 상기 챙 심의 중앙 절개라인을 따라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고,
    좌,우 각각의 챙 심은 상기 상부원단과 상기 보조시트 사이의 박음질 된 부분의 외 측 둘레에 위치하며,
    챙 심의 절개라인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형성된 모자.
  6.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착용 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차양 부; 및
    상기 차양 부와 결합 되어 모자 차양을 착용자의 머리에 안착시키기 위한 모자 테두리 부로 구성되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 테두리 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된 문양절개부를 갖는 속 심지;
    상기 속 심지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조시트;
    상기 속 심지를 외측에서 덮는 상부원단; 및
    상기 속 심지와 상기 보조시트를 내측에서 감싸는 하부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원단과 상기 보조시트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문양을 형성하도록 박음질 되어 있고,
    상기 속 심지는 상기 문양절개부가 상기 상부원단과 상기 보조시트에 박음질 된 부분의 외 측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보조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형성된 모자.
KR2020060029946U 2006-11-18 2006-11-18 문양이 형성된 모자 KR200438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946U KR200438826Y1 (ko) 2006-11-18 2006-11-18 문양이 형성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946U KR200438826Y1 (ko) 2006-11-18 2006-11-18 문양이 형성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119U KR20060000119U (ko) 2006-12-13
KR200438826Y1 true KR200438826Y1 (ko) 2008-03-06

Family

ID=4162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946U KR200438826Y1 (ko) 2006-11-18 2006-11-18 문양이 형성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8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11Y1 (ko) * 2009-01-31 2011-02-25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파인 자수효과를 가진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119U (ko)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9779B1 (en) Apparel with interchangeable indicia
CN104427895B (zh) 具有多个可伸缩遮阳组件的遮阳帽
US6408443B1 (en) Reversible visor
US20150026867A1 (en) Interchangeable Baseball Cap and Constructed Visor in One
US20070256213A1 (en) Reversible rallytime baseball cap
US5592696A (en) Ornamental hat-brim slip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192202B2 (en) Head garment
KR100327479B1 (ko)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US20140013486A1 (en) Reversible storage visor, cap and sun hat
US6892398B2 (en) Flexible fit cap with improved sweatband
US20060174397A1 (en) Headwear visor
US6571396B1 (en) Stretch band construction for caps
US7073206B2 (en) Cap with unique rubber piping
US20140223636A1 (en) Reversible sun visor
US20060048272A1 (en) Sports hat
US2274321A (en) Article of apparel
KR200438826Y1 (ko) 문양이 형성된 모자
US2880424A (en) Turban
US20050268927A1 (en) Headwear with ponytail pull through
US8621667B2 (en) Visored cloth headgear
KR101032226B1 (ko) 승화전사 자수물이 부착된 모자와 그 제조 방법
KR101302399B1 (ko) 외형 보존력이 우수한 모자
KR200324785Y1 (ko) 착탈식 차양 모자
KR200299404Y1 (ko) 광고기능이 부여된 차양모
US6964064B1 (en) Rubber piping on cap bill e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