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092Y1 -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092Y1
KR200440092Y1 KR2020070011603U KR20070011603U KR200440092Y1 KR 200440092 Y1 KR200440092 Y1 KR 200440092Y1 KR 2020070011603 U KR2020070011603 U KR 2020070011603U KR 20070011603 U KR20070011603 U KR 20070011603U KR 200440092 Y1 KR200440092 Y1 KR 200440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piece
velcro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구
Original Assignee
이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구 filed Critical 이현구
Priority to KR2020070011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092Y1/ko
Priority to CNU2008201196264U priority patent/CN201230865Y/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봉체(10)가 결합된 결합구(20)를 상면에 구비한 플레이트(100)를 형성하고, 플레이트(100)의 저면에 접착제(51)로 접착 고정되어 루프 벨크로(40)를 형성한 걸레 패드(30)가 부착되는 후크 벨크로(50)를 고정한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0)를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면서 저면에 상호 대향되면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후크 벨크로(50)가 삽입되는 삽입홈(112)을 구비한 가이드편(111)을 복수 형성하되, 가이드편(111)의 하부에 내측 중앙 상부로 절곡되어 삽입홈(112)으로 삽입된 후크 벨크로(50)를 가압 고정하는 절곡가압편(113)을 형성한 패드 고정부(11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에 결합구(20)가 결합되도록 결합홈(122)을 구비한 상부가이드편(121)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상부가이드편(121)의 상부에 내측 중앙으로 절곡되어 결합구(20)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는 절곡고정편(123)을 형성한 결합구 고정부(120)로 포함하여 구성한다.
Figure R2020070011603
플레이트, 후크,로프 벨크로, 가이드편, 절곡가압편, 상부가이드편, 절곡고정편

Description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fixing plate for push stick mop pad}
본 고안은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주택 구조가 주로 바닥에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 구조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거실이나 방의 바닥을 청소하여야 함으로 주로 물걸레를 이용하여 쪼그려 앉은 자세로 바닥을 닦음으로써 오랜 시일이 지나면 무릎관절이 시리거나 허리가 아프거나 하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에, 최근의 서구식 생활 습관과 더불어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은 쪼그려 앉은 상태로 바닥을 닦는 것을 기피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서 서 있는 상태로 청소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청소 도구가 고안되어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청소 도구는 진공청소기로 통칭되는 흡입식 전기청소기와 플레이트 저면에 걸레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밀대 걸레 및 상기 진공청소기와 밀대 걸레를 결합시킨 걸레식 진공청소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청소도구들은 통상 사각 본체의 중앙부에 봉체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봉체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걸레가 바닥면 상에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바닥면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걸레는 걸레에 끈을 형성하여 끈을 플레이트에 묶어 사용하거나 매직테이프를 사용하여 탈착되도록 한 것이 개발되어 있는 것으로 도 1 은 종래의 걸레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걸레 고정 플레이트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봉체(10)가 결합되는 결합구(20)가 상면에 구비된 플레이트(100)를 형성하고, 플레이트(100)의 저면에 안착홈(101)을 형성하되, 안착홈(101)에 접착제(51)로 접착 고정되어 루프 벨크로(40)를 형성한 걸레 패드(30)가 부착되는 후크 벨크로(50)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크 벨크로(5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피스(52)를 이용하여 후크 벨크로(50)를 플레이트(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후크 벨크로가 접착제로 플레이트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면서 오랜 시간 사용시 걸레 패드에 있는 물기로 인하여 후크 벨크로를 플레이트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면서 걸레 패드가 부착된 후크 벨크로가 플레이트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오랜시간 사용시 고정피스의 고정력이 저하되면서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던 고정피스가 이탈되면서 후크 벨크로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후크 벨크로에 붙어 있는 걸레 패드를 제거시 제거하는 힘에 의하여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는 후크 벨크로가 플레이트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의 저면에 후크 벨크로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가이드편을 구비하면서 가이드편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홈으로 삽입된 후크 벨크로를 가압 고정하는 절곡가압편을 형성하여 후크 벨크로를 플레이트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봉체가 결합된 결합구가 플레이트에서 탈착되도록 하여 플레이트 파손시 결합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는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봉체(10)가 결합된 결합구(20)를 상면에 구비한 플레이트(100)를 형성하고, 플레이트(100)의 저면에 접착제(51)로 접착 고정되어 루프 벨크로(40)를 형성한 걸레 패드(30)가 부착되는 후크 벨크로(50)를 고정한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0)를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면서 저면에 상호 대향되면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후크 벨크로(50)가 삽입되는 삽입홈(112)을 구비한 가이드편(111)을 복수 형성하되, 가이드편(111)의 하부에 내측 중앙 상부로 절곡되어 삽입홈(112)으로 삽입된 후크 벨크로(50)를 가압 고정하는 절곡가압편(113)을 형성한 패드 고정부(11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에 결합구(20)가 결합되도록 결합 홈(122)을 구비한 상부가이드편(121)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상부가이드편(121)의 상부에 내측 중앙으로 절곡되어 결합구(20)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는 절곡고정편(123)을 형성한 결합구 고정부(120)로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패드 고정부(110)의 절곡가압편(113)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점차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하고, 후크 벨크로(50)와 밀착되는 내측면으로 후크 벨크로(50)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가압돌기(11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는 플레이트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면서 그 저면에 후크 벨크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호 대향되면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후크 벨크로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가이드편을 복수 형성하되, 가이드편의 하부에 내측 상부로 절곡되어 삽입홈으로 삽입된 후크 벨크로를 가압 고정하는 절곡가압편이 형성되면서 절곡가압편에 의하여 후크 벨크로를 견고히 고정되어 삽입홈에서 후크 벨크로가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고안의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는 플레이트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면서 저면에 형성된 절곡가압편 절곡시 절곡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후크 벨크로의 고정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고안의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는 삽입홈 내측 중앙으로 절곡되어 내측면이 후크 벨크로에 밀착되는 절곡가압편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면서 알루미늄의 연성성질에 의하여 복수회 절곡하여도 절곡가압편이 파손되지 않아 사용사의 사 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는 절곡가압편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후크 벨크로를 가압 고정하기 때문에 물기가 후크 벨크로에 있어도 절곡가압편의 고정력에 의하여 후크 벨크로가 플레이트에서 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는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에 봉체를 구비한 결합구를 슬라이드 삽입시키는 결합홈을 구비한 상부가이드편을 양측으로 형성하되, 상부가이드편의 상부측을 내측 중앙으로 절곡시켜 삽입된 결합구를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절곡고정편을 형성하므로 플레이트에서 결합구를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여 결합구 고정 및 플레이트의 교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 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밀대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는; 봉체(10)가 결합된 결합구(20)를 상면에 구비한 플레이트(100)를 형성 하고, 플레이트(100)의 저면에 접착제(51)로 접착 고정되어 루프 벨크로(40)를 형성한 걸레 패드(30)가 부착되는 후크 벨크로(50)를 고정한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에 있어서,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100)의 저면에 형성된 후크 벨크로(50)를 고정하는 패드 고정부(11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에 봉체(10)에 결합된 결합구(20)가 고정되는 결합구 고정부(120)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플레이트(100)는 일정형태로 형성하되 그 재질을 은백색의 가볍고 연한 금속 원소. 연성(延性)·전성(展性)이 풍부하며, 상온에서는 산화하지 않으며, 식기· 부엌 세간 등에, 특히 경합금의 주성분으로 널리 쓰이는 알루미늄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 고정부(11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플레이트(100)의 저면에 상호 대향되면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걸레 패드(30)의 루프 벨크로(40)가 부착되는 후크 벨크로(50)를 삽입시키는 삽입홈(112)을 구비한 가이드편(111)을 복수 형성한다.
여기서, 삽입홈(112)에 루프 벨크로(40)가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는 후크 벨크로(50)가 형성된 걸레 패드(3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편(111)의 하부에 내측 상부로 절곡되어 삽입홈(112)으로 삽입된 후크 벨크로(50)를 가압 고정하는 절곡가압편(1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곡가압편(113)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점차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그 내측면이 후크 벨크로(50)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며, 후크 벨크로(50)에 밀착되는 내측면에 후크 벨크로(50)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가압돌기(114)를 복수 형성하여 후크 벨크로(50)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결합구 고정부(120)는 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봉체(10)를 구비한 결합구(20)가 결합되도록 결합홈(122)을 구비한 상부가이드편(121)을 양측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가이드편(121)의 상부에 내측 중앙으로 절곡되어 결합구(20)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는 절곡고정편(123)을 형성하여 결합구(20)를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분리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한 삽입홈(112)으로 후크 벨크로(50)를 삽입시키며, 여기서 삽입홈(112)에 루프 벨크로(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삽입홈(112)으로 후크 벨크로(50)가 삽입되면 가이드편(111)의 하부에 형성한 절곡가압편(113)을 후크 벨크로(50)가 삽입된 삽입홈(112)의 내측 중앙 으로 절곡하여 내측면이 후크 벨크로(50)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절곡가압편(113)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어 알루미늄의 연성 성질에 의하여 복수회 절곡하여도 파손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절곡가압편(113)이 절곡되어 내측면이 후크 벨크로(50)에 밀착되면서 복수의 가압돌기(114)가 후크 벨크로(50) 표면을 가압하게 되어 삽입홈(112)으로 삽입된 후크 벨크로(5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후크 벨크로(50) 또는 루프 벨크로(40)가 플레이트(100)의 저면에 고정되면 루프 벨크로 또는 후크 벨크가 형성된 걸레 패드(30)를 플레이트(100)에 부착시킬 수 있게된다.
아울러, 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에 형성한 결합홈(122)으로 봉체(10)를 구비한 결합구(20)를 슬라이드 삽입시킨 뒤 절곡고정편(123)을 결합구(20)의 상면에 밀착 되도록 절곡하여 절곡고정편(123)이 결합구(20)를 가압하면서 고정할 수 있게된다.
또한 절곡고정편(123)이 알루미늄의 연성 성질에 의하여 복수회 절곡하여 파손되 않게된다.
따라서, 플레이트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면서 절곡가압편 절곡고정편을 복수회 절곡하여도 파손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밀대용 걸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밀대용 걸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플레이트 110: 패드 고정부
111: 가이드편 112: 삽입홈
113: 절곡가압편 114: 가압돌기
120: 결합구 고정부 121: 상부가이드편
122: 결합홈 123: 절곡고정편

Claims (2)

  1.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봉체(10)가 결합된 결합구(20)를 상면에 구비한 플레이트(100)를 형성하고, 플레이트(100)의 저면에 접착제(51)로 접착 고정되어 루프 벨크로(40)를 형성한 걸레 패드(30)가 부착되는 후크 벨크로(50)를 고정한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0)를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면서 저면에 상호 대향되면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후크 벨크로(50)가 삽입되는 삽입홈(112)을 구비한 가이드편(111)을 복수 형성하되, 가이드편(111)의 하부에 내측 중앙 상부로 절곡되어 삽입홈(112)으로 삽입된 후크 벨크로(50)를 가압 고정하는 절곡가압편(113)을 형성한 패드 고정부(11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에 결합구(20)가 결합되도록 결합홈(122)을 구비한 상부가이드편(121)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상부가이드편(121)의 상부에 내측 중앙으로 절곡되어 결합구(20)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는 절곡고정편(123)을 형성한 결합구 고정부(120)로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고정부(110)의 절곡가압편(113)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점차 두 께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하고, 후크 벨크로(50)와 밀착되는 내측면으로 후크 벨크로(50)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가압돌기(11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
KR2020070011603U 2007-07-13 2007-07-13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 KR200440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603U KR200440092Y1 (ko) 2007-07-13 2007-07-13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
CNU2008201196264U CN201230865Y (zh) 2007-07-13 2008-07-09 拖把用抹布垫固定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603U KR200440092Y1 (ko) 2007-07-13 2007-07-13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092Y1 true KR200440092Y1 (ko) 2008-05-23

Family

ID=4061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603U KR200440092Y1 (ko) 2007-07-13 2007-07-13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0092Y1 (ko)
CN (1) CN201230865Y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555B1 (ko) 2012-10-25 2013-07-15 (주)인터마루인더스트리 밀대청소기
KR101378947B1 (ko) * 2012-10-29 2014-03-27 유경수 청소용 밀대 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5364A (zh) * 2012-01-19 2012-07-04 昆山市优鸿电子有限公司 一种拖把的连接装置
DE102018106942B4 (de) * 2017-04-10 2020-09-10 Vorwerk & Co. Interholding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ischtu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555B1 (ko) 2012-10-25 2013-07-15 (주)인터마루인더스트리 밀대청소기
WO2014065599A1 (ko) * 2012-10-25 2014-05-01 (주)인터마루인더스트리 밀대청소기
KR101378947B1 (ko) * 2012-10-29 2014-03-27 유경수 청소용 밀대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230865Y (zh)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092Y1 (ko)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
US8771428B1 (en) Cleaning bucket system for flat mops
JP2005144199A (ja) ハンディモップ
KR101359228B1 (ko) 세척도구
KR101283555B1 (ko) 밀대청소기
KR101626753B1 (ko) 프라이팬용 착탈식 손잡이
KR200469579Y1 (ko) 빗자루 타입의 밀대 걸레
KR200433240Y1 (ko) 욕실용 슬리퍼
KR101378947B1 (ko) 청소용 밀대 플레이트
KR101455037B1 (ko) 청소용 걸레 밀대
KR100883551B1 (ko) 청소용 밀대걸레
JP2008279021A (ja) 清掃具
KR200415048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KR200461088Y1 (ko)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JP7130238B2 (ja) 清掃具
KR200430052Y1 (ko) 롤러가 결합된 밀대
CN202235263U (zh) 组合式鞋刷
KR102201737B1 (ko)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
KR200239479Y1 (ko) 개량밀대걸래
JP2005224303A (ja) 洗浄具
KR200435606Y1 (ko)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개량한 음식용구
CN217429704U (zh) 一种能拆分收纳的餐具
KR20140002987U (ko) 청소용 밀대 걸레
KR101174229B1 (ko) 걸레 패드의 세척장치
JP3135513U (ja) 調理用器具の取り付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