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479Y1 - 개량밀대걸래 - Google Patents

개량밀대걸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479Y1
KR200239479Y1 KR2020010001361U KR20010001361U KR200239479Y1 KR 200239479 Y1 KR200239479 Y1 KR 200239479Y1 KR 2020010001361 U KR2020010001361 U KR 2020010001361U KR 20010001361 U KR20010001361 U KR 20010001361U KR 200239479 Y1 KR200239479 Y1 KR 200239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fixture
bar
flow port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래
Original Assignee
강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래 filed Critical 강경래
Priority to KR2020010001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479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대걸레의 구조를 개선하여 걸레에 묻어있는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밀대걸레의 사용자등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개량밀대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밀대걸레(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밀대걸레(30)는 손잡이(31)를 일체로 돌출시켜 구비되는 바(32)와;
상기 바(32)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구비되는 유동구(33);
상기 바(32)와 유동구(33)의 하단부에는 아웃고정구(35)와 인너고정구(36) 상간을 포(布;37)로 연결한 걸레(40)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걸레(40)는 바(32)와 유동구(3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나사(41,42)와 아웃 및 인너고정구(35,36)에 형성되는 나사(43,44)로 결합하고;
상기 아웃고정구(35)에는 인너고정구(36)는 아웃고정구(35)에 형성되는 수용홈(45)에 수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밀대걸래{A mop}
본 고안은 개량밀대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대걸레의 걸레에 묻어있는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개량된 밀대걸레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걸레는 직물지를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 직사각형상의 판과 같이 만들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항상 자세를 구부린 상태에서 청소를 행하여야 함으로서 청소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자세를 구부려 불편한 상태에서의 청소작업을 함으로서 발생하는 청소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되어 사용되는 것이 밀대걸레이다.
이러한 밀대걸레는 손잡이를 가지는 긴길이의 바(Bar)의 단부에 판상부재로 된 걸레판이 구비되고 상기 걸레판에는 직물지나 솔타입의 걸레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밀대걸레(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에 손잡이(2)를 가지는 일정한 길이의 바(3)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레고정구(4)에 로프타입의 걸레(5)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걸레고정구(4)는 판상타입의 바디(6) 하단부에는 요입홈을 형성하여 금속재질의 클램프(7)에 의하여 단속되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7)는 바(3)에 스프링(8)을 개재한 레버(9)에 의하여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밀대걸래는 걸레의 고정과 교환은 레버만 작동시켜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청소를 위하여 걸레를 세척할 때에는 걸레에 묻어있는 물기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함으로서 청소시 해당 바닥면이 거의 물기로 얼룩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는 걸레에 묻어있는 물기의 제거를 발로 밟아서 일부 물기를 제거하거나 밀대걸레 전체를 휘둘러서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 또는 걸레를 손으로 잡고 비틀어서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물기를 제거할 경우에는 걸레에 묻어있는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청소 대상 바닥면에 물기가 많이 묻어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걸레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할 때 동절기와 같은 시기에는 손으로 비틀어서 물기를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걸레가 오염된 상태이기 때문에 거부감이 있다.
특히, 걸레를 고정하고 있는 부위가 금속재로 되어있기 때문에 바닥과 연접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한 이음으로 작업자 또는 주위사람의 신경을 거슬리는 소음으로 작용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밀대걸레의 구조를 개선하여 걸레에 묻어있는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밀대걸레의 사용자등의 편익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밀대걸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밀대걸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밀대걸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밀대걸레의 물기(수분)를 제거하기 위한 준비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밀대걸레의 물기(수분)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밀대걸레
32; 바
33; 유동구
35; 아웃고정구
36; 인너고정구
37; 포
40; 걸레
46; 요입홈
47; 돌출부
48; 스토퍼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밀대걸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밀대걸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밀대걸레의 물기(수분)를 제거하기 위한 준비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밀대걸레의 물기(수분)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밀대걸레 세정 후 밀대걸레에 묻어있는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밀대걸레(3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밀대걸레(30)는;
상부에 손잡이(31)를 일체로 돌출시켜 형성한 긴길이의 바(32)를 구비하고, 상기 바(32)에는 바(32)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로운 유동구(33)를 삽입한다.
상기 바(32)의 단부와 유동구(33)의 하단부에는 아웃고정구(35)와 인너고정구(36) 상간을 로프타입의 포(布;37)를 심어 연결한 걸레(40)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바(32)와 유동구(33)의 하단부에는 나사(41,42)를 형성하여 걸레(40)의 아웃 및 인너고정구(35,36)에 형성되는 나사(43,44)와 결합하여 걸레(40)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아웃고정구(35)에는 인너고정구(36)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45)을 형성하여 결합시 아웃고정구(35)만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아웃고정구(35)와 인너고정구(36)의 연접면에는 요입홈(46)과 돌출부(47)로 구성되는 스토퍼(48)를 구비하여 청소시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수분 제거시에는 유동구(33)를 바(32)의 상방으로 이동시켜 걸레(40)의 포(37)가 펼쳐지도록 한 후 비틀어 줌으로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밀대걸레(30)는;
평상시나 청소를 위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32)에 삽인된 유동구(33)가 바(32)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걸레(40)를 구성하는 아웃 및 인너고정구(35,36)가 스토퍼(48)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걸레(40)의 포(37)는 하향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청소를 걸레(40)를 세척할 때에는 아웃 및 인너고정구(35,36)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정하고, 세정완료 후 걸레(40)에 묻어있는 물기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아웃 및 인너고정구(35,36)이 서로 분리되도록 한다.
즉, 바(32)에 삽입된 유동구(33)를 잡고 스토퍼(48)의 결합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당기면 유동구(33)가 바(32)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아웃고정구(35)와 인너고정구(36)는 분리되어 걸레(40)를 구성하는 포(37)의 길이만큼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31)나 유동구(33)중 하나를 비틀어 회전시켜 줌으로서 걸레(40)의 포(37)는 비틀어지면서 짜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물기를 제거한 후에는 유동구(33)를 원래의 상태로 이동시켜 아웃고정구(35)가 인너고정구(36)를 수용하도록 하고, 아웃 및 인너고정구(35,36)에 형성된 수토퍼(4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청소할 수 있게된다.
상기 걸레(40)의 수명이 다 하였을 경우에는 바(32)와 유동구(33)에 결합된 걸레(40)의 아웃고정구(35)와 인너고정구(36)를 분리시킨 후 새로운 걸레(40)로 교환장착하면 된다.
밀대걸레(30)를 이용하여 청소가 끝난 후 걸레(40)를 세정한 후 보관할 때에는 아웃고정구(35)와 인너고정구(36)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보관하여도 되나, 아웃고정구(35)와 인너고정구(36)를 분리시켜 포(37)가 펼쳐진 상태로 보관하면 보관 과정에서 포(37)에 묻어있는 물기가 제거되어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밀대걸레(30)의 바(32)와 유동구(33)의 사이에는 밀대걸레(30)를 이용하여 청소할 때 청소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포(37)로부터 제거된 물기가 바(32)에 묻어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물기가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개재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밀대걸레의 구조를 개선하여 걸레에 묻어있는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밀대걸레의 사용자등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밀대걸레(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밀대걸레(30)는 손잡이(31)를 일체로 돌출시켜 구비되는 바(32)와;
    상기 바(32)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구비되는 유동구(33);
    상기 바(32)와 유동구(33)의 하단부에는 아웃고정구(35)와 인너고정구(36) 상간을 포(布;37)로 연결한 걸레(40)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걸레(40)는 바(32)와 유동구(3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나사(41,42)와 아웃 및 인너고정구(35,36)에 형성되는 나사(43,44)로 결합하고;
    상기 인너고정구(36)는 아웃고정구(35)에 형성되는 수용홈(45)에 수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밀대걸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고정구(35)와 인너고정구(36)의 연접면에는 아웃고정구(35)와 인너고정구(36)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입홈(46)과 돌출부(47)로 구성되는 스토퍼(4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밀대걸레.
KR2020010001361U 2001-01-18 2001-01-18 개량밀대걸래 KR200239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361U KR200239479Y1 (ko) 2001-01-18 2001-01-18 개량밀대걸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361U KR200239479Y1 (ko) 2001-01-18 2001-01-18 개량밀대걸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479Y1 true KR200239479Y1 (ko) 2001-09-25

Family

ID=7309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361U KR200239479Y1 (ko) 2001-01-18 2001-01-18 개량밀대걸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4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181A (ko) 2019-08-29 2021-03-10 노르딕 스트림 에이비 다기능 밀대걸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181A (ko) 2019-08-29 2021-03-10 노르딕 스트림 에이비 다기능 밀대걸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561A (en) Wringer mop with auxiliary cleaning elements
KR101015537B1 (ko) 착탈식 다기능 클리너
US2916759A (en) Cleaning tool with detachable cloth
US7065823B2 (en) Cylinder attachment to wring water out of mop in pail with holding tray
US6571419B1 (en) Mop with a sucking plate and a mop unit having changeable soft and coarse sponge sides
KR200239479Y1 (ko) 개량밀대걸래
US5976266A (en) Method for cleaning and wringing mop
US20090151099A1 (en) Floor washing implement
KR200486671Y1 (ko) 대걸레
KR100883551B1 (ko) 청소용 밀대걸레
KR200461088Y1 (ko)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KR101955429B1 (ko) 세척용 브러시
JPH08140915A (ja) 雑巾の交換しやすいウェットモップ掃除機
CN220512404U (zh) 清洁刷
JP7018598B2 (ja) たわしホルダー
US1814527A (en) Mop wringer
KR100231438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JP3133906U (ja) 迅速乾燥可能なモップ
CN208892431U (zh) 手柄及具有该手柄的清洁工具
KR200426234Y1 (ko) 걸레 착탈식 밀대 걸레
KR19990034746U (ko) 마포걸레용홀더
JP3123659U (ja) 水絞りモップの清掃具
KR100903653B1 (ko) 바닥용 청소도구
KR960000918Y1 (ko) 실내용 걸레
US1827523A (en) M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