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737B1 -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 - Google Patents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737B1
KR102201737B1 KR1020190128833A KR20190128833A KR102201737B1 KR 102201737 B1 KR102201737 B1 KR 102201737B1 KR 1020190128833 A KR1020190128833 A KR 1020190128833A KR 20190128833 A KR20190128833 A KR 20190128833A KR 102201737 B1 KR102201737 B1 KR 10220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brush
present
detachab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진
Original Assignee
안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진 filed Critical 안성진
Priority to KR102019012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0Socket, tang, or like fixings with elastic, taper, or other self-grip socket or ta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양 및 크기가 각기 다른 수세미를 착탈식으로 결합시켜 용도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양 및 크기가 각기 다른 수세미를 용기의 크기나 용도에 맞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세미가 마모되었을 때, 마모된 수세미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 {Scrubber Detachable Handlebar}
본 발명은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양 및 크기가 각기 다른 수세미를 착탈식으로 결합시켜 용도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미란 주방에서 음식식기의 세척용으로 세제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식물성 수세미에서부터 합성섬유재 및 금속원사재 등 매우 다양한 제품들이 시중에 나와있다.
수세미의 대부분은 그 외표면이 식기와 충분한 마찰감을 유발할 수 있도록 다소 거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기의 표면에 묻어있는 각종의 찌꺼기나 녹 등이 깨끗이 세척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수세미는 반드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움켜쥐고 일정한 압력을 유지한 체 식기 등을 세척하여야 함으로, 파지하기가 불편함은 물론 사용자의 손은 항상 물에 젖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피부트러블과 주부습진 등이 일어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컵이나 병 등의 용기의 속이 깊거나 입구가 좁은 경우, 용기 내부로 손을 집어 넣지 못해 용기 내부의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모양 및 크기가 각기 다른 수세미를 착탈식으로 결합시켜 용도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를 연구·개발하게 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07652호 (2003.03.17.)
본 발명은 모양 및 크기가 각기 다른 수세미를 착탈식으로 결합시켜 용도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측에 수세미(10)가 끼워지는 U자 형태의 수세미결합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 브러쉬고정부(200)의 삽입부(210)가 삽입되는 삽입공(120)이 형성된 막대형태의 손잡이부(100)와, 일측에 상기 손잡이부(100)의 삽입공(120)에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브러쉬부(300)의 삽입돌기(310)가 삽입되는 삽입홈(220)이 형성된 막대형태의 브러쉬고정부(200)와, 일측에 브러쉬고정부(200)의 삽입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10)가 형성된 브러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세미결합부(11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되, 양측 내벽(t1)에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수세미(10)를 압착하는 톱니형상의 이탈방지돌기(111)와, 내벽인접측벽(t2,t3)에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수세미(10)를 압착하는 미끄럼방지돌기(112)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300)는 ㄱ자 형태로 브러쉬모(3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양 및 크기가 각기 다른 수세미를 용기의 크기나 용도에 맞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세미가 마모되었을 때, 마모된 수세미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수세미결합부에 수세미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수세미결합부에 수세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수세미결합부의 내벽인접측벽(t2,t3)으로 수세미에 압력을 가하면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에 다양한 형태의 수세미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브러쉬부를 이용하여 병 내부를 세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양 및 크기가 각기 다른 수세미를 착탈식으로 결합시켜 용도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수세미결합부에 수세미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수세미결합부에 수세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수세미결합부의 내벽인접측벽(t2,t3)으로 수세미에 압력을 가하면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에 다양한 형태의 수세미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브러쉬부를 이용하여 병 내부를 세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의 내부로 소정부분 삽입고정되는 브러쉬고정부(200)와, 상기 브러쉬고정부(200)의 내부로 소정부분 삽입고정되는 브러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부(100), 브러쉬고정부(200), 브러쉬부(300)의 결합방식으로 끼워맞춤에 따른 결합방식이 제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사결합 등 기타 여하의 결합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손잡이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손잡이부(10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막대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 수세미결합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수세미결합부(110)에 대해 설명한다. 수세미결합부(110)는 수세미(10)가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U자 형태의 가지고 있다. 수세미결합부(110)에 끼워지는 수세미(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미결합부(110)의 양측 내벽(t1)에 의해 F1 방향으로 눌러져서 고정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수세미결합부에 수세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수세미(10)는 그 형태 및 종류를 불문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미결합부(110)에 망사수세미(10a), 아크릴수세미(10b), 스펀지수세미(10c,10d)가 끼워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에 다양한 형태의 수세미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세미결합부(11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미결합부(110)를 R 방향으로 벌려서 수세미(10)가 쉽게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수세미결합부(110)에서 수세미(10)를 빼낼 때도 마찬가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수세미결합부에 수세미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세미결합부(110)의 양측 내벽(t1)에는 이탈방지돌기(111)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수세미결합부(110)의 내벽인접측벽(t2,t3)에는 미끄럼방지돌기(11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수세미결합부(110)의 끝단부에는 인입유도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돌기(111)에 대해 설명한다. 이탈방지돌기(111)는 수세미결합부(110)의 양측 내벽(t1)에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수세미결합부(110)에 수세미(10)가 끼워질 때, 이탈방지돌기(111)는 수세미(10)를 압착한다. 이에 따라, 수세미결합부(110)에 수세미(10)가 끼워진 상태로 설거지를 할 때, 수세미(10)가 수세미결합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거지를 하는 동안에 수세미(10)는 F2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지만, 이탈방지돌기(111)의 일단부(P)에 걸려서 반대방향인 F3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두 개의 힘이 상쇄되어 수세미결합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수세미결합부에 수세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
이탈방지돌기(111)는 수세미(10)가 B 방향으로 큰 힘이 받도록 하기 위하여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세미(10)를 압착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변경이 가능하다.
미끄럼방지돌기(112)에 대해 설명한다. 미끄럼방지돌기(112)는 수세미결합부(110)의 내벽인접측벽(t2,t3)에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수세미결합부(110)의 내벽인접측벽(t2,t3)으로 수세미(10)에 압력을 가하면서 설거지를 할 때, 이탈방지돌기(111)는 수세미(10)를 압착하여 수세미(10)의 미끄럼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거지를 하는 동안에 수세미(10)는 F4 방향 또는 F5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지만, 미끄럼방지돌기(112)에 의하여 수세미(10)에 반대방향인 F5 방향 또는 F4 방향으로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두 개의 힘이 상쇄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수세미결합부의 내벽인접측벽(t2,t3)으로 수세미에 압력을 가하면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서는 미끄럼방지돌기(112)가 반구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세미(10)를 압착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라면, 다면체 등 다양한 형태의 변경이 가능하다.
인입유도부(113)에 대해 설명한다. 인입유도부(113)는 수세미결합부(110)의 끝단부가 외측으로 휘어져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유도부(113)의 폭(D2)은 인입유도부(113) 이외의 수세미결합부(110)의 폭(D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세미결합부(110)에 수세미(10)의 인입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손잡이부(100)의 삽입공(120)에 브러쉬고정부(200)의 삽입부(210)를 삽입함으로써, 식기 형태에 따라 수세미(10)와 브러쉬부(300)를 번갈아가면서 설거지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브러쉬고정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브러쉬고정부(200)는 전체적으로 막대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 삽입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10)는 손잡이부(100)의 삽입공(1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삽입부(210)는 삽입공(120)에 끼워 맞춰지는 부분이므로, 삽입부(210)는 삽입공(12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홈(220)은 후술할 브러쉬부(300)의 삽입돌기(3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삽입돌기(310)는 삽입홈(220)에 끼워 맞춰지는 부분이므로, 삽입돌기(310)는 삽입공(12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쉬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브러쉬부(300)에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모(32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브러쉬고정부(200)의 삽입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1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8에서는 브러쉬모(320)가 ㄱ자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브러쉬부를 이용하여 병 내부를 세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ㄱ자 형태를 가지는 브러쉬모(320)를 이용하여 병 내부를 세척하는 경우, 병 내부의 바닥면 및 옆면을 쉽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손잡이부
110 : 수세미결합부
111 : 이탈방지돌기
112 : 미끄럼방지돌기
113 : 인입유도부
120 : 삽입공
200 : 브러쉬고정부
210 : 삽입부
220 : 삽입홈
300 : 브러쉬부
310 : 삽입돌기
320 : 브러쉬모
10 : 수세미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일측에 수세미(10)가 끼워지는 U자 형태의 수세미결합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 브러쉬고정부(200)의 삽입부(210)가 삽입되는 삽입공(120)이 형성된 막대형태의 손잡이부(100);
    일측에 상기 손잡이부(100)의 삽입공(120)에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브러쉬부(300)의 삽입돌기(310)가 삽입되는 삽입홈(220)이 형성된 막대형태의 브러쉬고정부(200);
    일측에 브러쉬고정부(200)의 삽입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10)가 형성된 브러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세미결합부(11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되,
    양측 내벽(t1)에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수세미(10)를 압착하는 톱니형상의 이탈방지돌기(111)와,
    내벽인접측벽(t2,t3)에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수세미(10)를 압착하는 미끄럼방지돌기(112)와,
    수세미결합부(110)의 끝단부가 외측으로 휘어져서 형성되는 인입유도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300)는
    ㄱ자 형태로 브러쉬모(3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

KR1020190128833A 2019-10-17 2019-10-17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 KR102201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833A KR102201737B1 (ko) 2019-10-17 2019-10-17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833A KR102201737B1 (ko) 2019-10-17 2019-10-17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737B1 true KR102201737B1 (ko) 2021-01-11

Family

ID=7412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833A KR102201737B1 (ko) 2019-10-17 2019-10-17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7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31U (ja) * 1993-11-15 1995-05-30 横綱工業株式会社 洗浄用具
KR200307652Y1 (ko) 2002-12-31 2003-03-17 구재열 손잡이가 구비된 다목적 세척용 수세미
JP2015112468A (ja) * 2013-12-12 2015-06-22 株式会社シーモス ラチェット機構を備えた洗浄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31U (ja) * 1993-11-15 1995-05-30 横綱工業株式会社 洗浄用具
KR200307652Y1 (ko) 2002-12-31 2003-03-17 구재열 손잡이가 구비된 다목적 세척용 수세미
JP2015112468A (ja) * 2013-12-12 2015-06-22 株式会社シーモス ラチェット機構を備えた洗浄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228B1 (ko) 세척도구
KR200469579Y1 (ko) 빗자루 타입의 밀대 걸레
KR102201737B1 (ko) 수세미 착탈식 손잡이막대
JP2020534117A (ja) 様々なサイズの容器の洗浄が可能な洗浄用刷毛
US20180132689A1 (en) Chainmail Sponge
KR200440092Y1 (ko) 밀대용 걸레 패드 고정플레이트
KR100924082B1 (ko) 바닥용 청소도구
KR200455515Y1 (ko) 브러쉬 겸용 밀대 걸레
US8336153B2 (en) Cleaning device
KR101620984B1 (ko) 다용도 목욕타올 겸용 수세미
JP5317311B1 (ja) 取っ手付き金属たわし
KR101524927B1 (ko) 청소용 솔
US6105195A (en) Coffee basket brush
KR200320961Y1 (ko) 바닥청소용구의 자루 고정구조
US2041985A (en) Mop
KR200459199Y1 (ko) 설거지 용구
KR200243257Y1 (ko) 수세미
CN202477572U (zh) 一种手持式清洁工具
RU2150229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чистки посуды
CN210809737U (zh) 一种厨房清洁用手套清洁刷
KR200405609Y1 (ko) 스팀 다리미 달린 걸레자루
US20230363614A1 (en) Pointed Prostrate Cleaning Device
KR20180002499U (ko) 밀대 청소기
KR200268135Y1 (ko) 걸이부를 가진 치솔
RU2152753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чистки посу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