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135Y1 - 걸이부를 가진 치솔 - Google Patents

걸이부를 가진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135Y1
KR200268135Y1 KR2020010038066U KR20010038066U KR200268135Y1 KR 200268135 Y1 KR200268135 Y1 KR 200268135Y1 KR 2020010038066 U KR2020010038066 U KR 2020010038066U KR 20010038066 U KR20010038066 U KR 20010038066U KR 200268135 Y1 KR200268135 Y1 KR 200268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gripping pieces
present
cup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보
Original Assignee
황창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보 filed Critical 황창보
Priority to KR2020010038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135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솔 손잡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그 절개홈에 의해 별도의 치솔 걸이대를 이용하지 않고 치솔을 걸어둘수 있도록 한 걸이부를 가진 치솔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치솔에 있어서, 치솔 손잡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그 절개홈에 의해 제 1,2 파지편으로 분리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구성에 따라 치솔모간 서로 닿지않아 치솔의 위생이 향상되고, 제 1,2 파지편의 탄성에 의해 쿠션효과가 있으며, 또한 제 1,2파지편에 의해 형성된 절개홈에 의해 어느정도 남아있는 치약도 완벽히 짜낼 수 있고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걸이부를 가진 치솔{Self-holding toothbrush handle}
본 고안은 걸이부를 가진 치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솔 손잡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그 절개홈에 의해 별도의 치솔 걸이대를 이용하지 않고 치솔을 걸어둘수 있도록 한 걸이부를 가진 치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사를 하고나서 치아를 닦고난 후에 컵에 물을 받아 입을 헹구고, 치솔을 치솔걸이대나 컵 안에 넣어두게 된다.
보통 치솔걸이대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 치솔걸이대를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통상 컵안에 넣어두고 다음에 다시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여러 치솔을 컵안에 넣고 사용하는 경우, 치솔의 치솔모간 서로 맞닿아 위생상 좋지않고, 또한 치솔길이보다 높이가 높은 컵을 사용하는 경우, 치솔이 컵 내부에 파묻혀 치솔을 찾기가 불편함과 아울러 상기한 바대로 치솔모끼리 닿아비위생적이었고, 치솔의 손잡이부가 대체로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서 파지시 부드러운 감촉을 느낄 수 없었다.
그리고 치약을 어느 정도 쓰고 나서 남아있는 치약을 완벽히 짜내기 위해서 별도의 치약 짜는 기구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치솔 손잡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그 절개홈 속으로 컵의 테두리 또는 기타 얇은 판등에 끼워 들어가도록 치솔을 걸어둠으로써 치솔의 위생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기 절개홈을 이용하여 치약을 짤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절개홈에 의해 나뉘어진 제 1,2 파지편 파지시 쿠션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한 걸이부를 가진 치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의 치솔에 있어서, 치솔 손잡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그 절개홈에 의해 제 1,2 파지편으로 분리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솔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치솔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치솔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30 : 치솔손잡이 21,31 : 제 1파지편
22,32 : 제 2파지편 23,33 : 절개홈
24,35 : 고무 34 : 걸이공
21a,22a,31a,32a : 볼록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치솔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치솔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치솔에 있어서, 치솔 손잡이(20)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그 절개홈(23)에 의해 제 1,2 파지편(21,22)으로 분리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23)에는 고무(24)와 같은 쿠션재를 부착하여 탄성효과를 주는 것도 바람직하고, 상기 절개홈(23)의 하단부의 일부를 볼록하게 형성하여 서로 맞닿게 구성함으로써 컵(10)에 장착시 상기 볼록부(21a,22a)가 컵(10)의 내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2를 통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치솔 손잡이(20)를 치솔모(25) 방향과 90°각도, 즉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대향되는 제 1,2 파지편(21,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 파지편(21,22)은 서로 닿지않도록 이격형성되게 상기 절개에 의한 절개홈(23)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치아를 닦고 컵으로 물을 받어 양치후에 치솔 손잡이(20)의 절개홈(23)의 하단을 컵(10)의 테두리(11)에 끼우게 되면, 상기 제 1,2파지편(21,22)이 탄성에 의해 양쪽으로 벌려지면서볼록부(21a,22a)가 열려 자연스럽게 끼워 들어감과 아울러 컵(10)의 테두리(11)를 양쪽에서 압착하게되어 세워서 걸어둘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하면 치솔을 컵(10)의 테두리(11)에 가지런히 끼워 걸어둘 수 있어 치솔모(25)간 부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 한편 절개홈(23)의 하단부쪽 제 1,2파지편의 압착력에 의해 컵(10)을 꺼꾸로 들거나 기타 충격등 자연현상에 의해서도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3,4를 통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통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고안은 치솔 손잡이(30)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그 절개홈(33)에 의해 제 1,2 파지편(31,32)으로 분리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 1,2 파지편(31,32)을 180°절곡하여 그 나머지 파지편과 대향형성되면서 그 사이에 걸이공(34)이 형성되게 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180°절곡은 치솔모(36)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하는 것이 치솔을 걸때 치솔모(36)가 컵(10)의 외주면에 닿지 않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곡된 파지편 끝단의 걸이공은 좁게 형성하여 컵에 장착했을때 컵(10)의 테두리(11)를 양쪽에서 압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도 4처럼 절개홈(33)으로 컵(10)의 테두리(11)를 끼워 세워서 걸어둘 수도 있고, 또한 반대로 치솔모(36)가 아랫방향으로 향하도록 걸이공(34)에 의해 걸어둘 수도 있다.
물론 여기서도 제 1,2파지편(31,32)이 탄성에 의해 양쪽으로 벌려지면서 볼록부(31a,32a)가 열려 자연스럽게 끼워 들어감과 아울러 컵(10)의 테두리(11)를 양쪽에서 압착하게되어 세워서 걸어둘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좁게 형성된 파지편 끝단의 걸이공에 의해서도 상기처럼 마찬가지의 압착효과가 있다.
이렇게 아랫방향으로 걸어두면 세워서 걸어둘때 치솔모(36)에 있던 물방울이 치솔 손잡이(30)쪽으로 흐르지 않고 곧바로 바닥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치솔모(36)의 건조도 빨라져 위생적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치솔 손잡이의 절개홈(23,33) 또는 걸이공(34)으로 치약이 어느정도 남아있는 치약튜브를 넣어 제 1,2파지편(21,22)(31,32)을 누른채로 치약튜브를 잡아당기면 남아있는 치약이 완전히 짜내어지게 된다.
이상 기술한 본 고안에 의해 치솔모간 서로 닿지않아 치솔의 위생이 향상되고, 제 1,2 파지편의 탄성에 의해 쿠션효과가 있으며, 또한 제 1,2파지편에 의해 형성된 절개홈에 의해 어느정도 남아있는 치약도 완벽히 짜낼 수 있고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치솔에 있어서, 치솔 손잡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그 절개홈(23)에 의해 제 1,2 파지편(21,22)으로 분리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부를 가진 치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파지편을 치솔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180°절곡하여 그 나머지 파지편과 대향형성하여 그 사이에 걸이공(34)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상기 절곡된 파지편 끝단의 걸이공은 좁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부를 가진 치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에는 쿠션재를 부착하는 한편 그 하단부의 일부를 볼록하게 형성하여 서로 맞닿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부를 가진 치솔.
KR2020010038066U 2001-12-10 2001-12-10 걸이부를 가진 치솔 KR200268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066U KR200268135Y1 (ko) 2001-12-10 2001-12-10 걸이부를 가진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066U KR200268135Y1 (ko) 2001-12-10 2001-12-10 걸이부를 가진 치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135Y1 true KR200268135Y1 (ko) 2002-03-15

Family

ID=7307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066U KR200268135Y1 (ko) 2001-12-10 2001-12-10 걸이부를 가진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1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97704B2 (en) Brush
RU2376916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ротовой полостью
US5875511A (en) Disposable head bath and back brush
CZ298597A3 (cs) Zubní kartáček
WO2012145199A2 (en) Dental cleaning device
KR100457477B1 (ko)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US5014383A (en) Offset denture brush
KR100962796B1 (ko) 유아용 젖병 세척솔
US8997299B2 (en) Tooth cleaning device
TW201703685A (zh) 新式裝置
US10244902B1 (en) Back scrubber for use with a washcloth
KR200268135Y1 (ko) 걸이부를 가진 치솔
CN212186431U (zh) 筷子刷洗器
CN205513133U (zh) 牙刷
KR200310383Y1 (ko) 파지가 용이한 칫솔
CN210809737U (zh) 一种厨房清洁用手套清洁刷
KR200298194Y1 (ko) 혀클리너를 구비한 칫솔
KR200205564Y1 (ko) 칫솔
JP3098499U (ja) 掃除用具
KR200213054Y1 (ko) 칫솔 머리
CN206473009U (zh) 一种双手柄的弹力牙缝刷
KR200191577Y1 (ko) 잇몸 손상 방지용 칫솔
KR200171063Y1 (ko) 탄성부를구비한칫솔
KR200352590Y1 (ko) 양면 칫솔
WO2003020076A1 (en) Dentition cleaning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