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022Y1 - 수문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수문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022Y1
KR200440022Y1 KR2020070007888U KR20070007888U KR200440022Y1 KR 200440022 Y1 KR200440022 Y1 KR 200440022Y1 KR 2020070007888 U KR2020070007888 U KR 2020070007888U KR 20070007888 U KR20070007888 U KR 20070007888U KR 200440022 Y1 KR200440022 Y1 KR 200440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witching
clutch
coupled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이상근
박세진
김종호
신동주
Original Assignee
(유)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일 filed Critical (유)신일
Priority to KR2020070007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0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전동식으로 수문을 인양하는 수문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에서는 수동/전동식 전환구조가 간단하면서 전환조작이 간편하여 전환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받고, 아울러 자중 강하용 클러치 수단과 수동/전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이 종래에 비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유지 보수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가 보다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수문의 강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수동식으로 사용시 역회전방지 기능이 발휘되어 수문의 하강으로 인한 파손이나 핸들의 갑작스런 고속회전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수문의 자중이 현저히 무거운 경우, 브레이크부재의 장,탈착이 가능하여 수문의 강하 속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감속시킴으로써, 수문의 급강하로 인한 파손 방지는 물론, 회전부하로 인한 인양장치의 파손이나 기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수동 및 전동식으로 수문을 인양하기 위하여 수문과 연결되는 체인이 연결되는 수문 인양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동기어를 가진 구동수단;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수동 및 전동식 전환에 따라 서로 물려진 전환기어와 클러치 기어가 분리되어 클러치 기능이 발휘되도록 구비되는 전환용 클러치 수단; 상기 전환용 클러치 수단의 상부에 구비되며 수동으로 전환될 때, 전환용 클러치 수단의 전환기어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자중 강하용 클러치 수단; 상기 전환용 클러치 수단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전환기어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며 전환기어의 회전력이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려져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달기어; 상기 하우징의 결합공을 통해 해당하는 전달기어와 연동하도록 결합 되며, 상기 수문과 연결된 체인이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구비된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문 인양장치가 제공된다.
수문, 인양, 감속, 수동, 전동, 클러치,감속기

Description

수문 인양장치{Apparatus for Pulling a Floodga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문 인양장치와 수문이 체인을 통해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수문 인양장치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2a는 외관 사시도 이고, 도 2b는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전환용 클러치 수단에 대하여 전동 및 수동으로 전환시, 클러치 기어와 전환기어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도 3a는 전동식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수동식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c는 클러치 기어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4a 및 도 4b는 수문의 자중 강하를 위하여 자중 강화용 클러치 수단의 동작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4a는 정지시에 모습이고, 도 4b는 자중 강하시에 모습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5a는 역회전이 방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b는 역회전이 가능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드럼 타입 와이어 로프 인양식에 본 고안의 수문 인양장치 가 적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문 인양장치 11 : 하우징
12 : 구동수단 14 : 구동축
16 : 구동기어 18 : 전환용 클러치 수단
20 : 자중 강하용 클러치 수단 22 : 클러치 기어
24 : 전환기어 26 : 걸림수단
28,46,80,82,84,96 : 회전축
30 : 탄성 스프링 32 : 가이드바
38 : 지지대 34 : 걸림홈
36 : 걸림부재 40 : 기어부
42 : 단턱 44 : 경사면
48 : 회전기어 50 : 가이드부재
52 : 마찰패드 54 : 제동부재
56 : 조정부재 58 : 압축 스프링
60 : 핸들 62 : 역회전방지수단
64 : 스프로켓 66 : 키
68 : 키홈 70 : 힌지축
72 : 걸림부재 74 : 누름돌기
76 : 걸림돌기 78 : 체결부재
86,88,90,92 : 전달기어 94,95 : 감속기
98 : 결합공 100 : 수문
102 : 체인 103,104 : 브레이크 부재
본 고안은 수문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전동식 전환구조가 간단하면서 전환조작이 간편하여 전환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고, 아울러 자중 강하용 클러치 수단과 수동/전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이 종래에 비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유지 보수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가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수문의 강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수동식으로 사용시 역회전방지 기능이 발휘되어 수문의 급하강으로 인한 파손이나 핸들의 갑작스런 고속회전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수문의 자중이 현저히 무거운 경우, 수문의 강하 속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한 수문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량(流量) 조절이나 수심(水深) 유지를 위하여 수로(水路)에 설치되는 수문을 용이하게 개폐하고, 개폐에 따른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동/전동식으로 구동하는 수문 인양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수동/전동식 수문 인양장치는 수동 및 전동식 구동에 따른 회전력 전달구성과 연결관계가 매우 복잡하여 파손에 대한 수리나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교체 및 수리 작업에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됨을 물론, 유지 보수에 대한 관리상에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수동/전동식 수문 인양장치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부위에서의 마찰 효율이 커서 기동력이 많이 필요하여 인양장치의 제작과 설계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이 된다.
또한, 대부분 수동/전동식 수문 인양장치는 수동/전동식 전환장치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제작비의 상승을 초래하여 사용자에게 구입부담을 주게 되며, 아울러 수동/전동식 전환은 통상 기구적으로 동작되는데, 이때 기구적인 동작이 부드럽지 못하여 전환 시점에서 원활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전환 동작의 구현에 많은 애로 사항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전동식 전환구조가 간단하고 전환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고, 아울러 자중 강하용 클러치 수단과 수동/전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이 종래에 비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유지 보수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가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 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수문의 하강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역회전방지 기능이 발휘되어 수문의 급강하로 인한 파손이나 핸들의 갑작스런 고속회전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목적으로, 수문의 자중이 현저히 무거운 경우, 수문의 강하 속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감속시킴으로써, 수문의 급강하로 인한 파손 방지는 물론, 회전부하로 인한 인양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수동 및 전동식으로 수문을 인양하기 위하여 수문과 연결되는 체인이 연결되는 수문 인양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동기어를 가진 구동수단;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수동 및 전동식 전환에 따라 서로 물려진 전환기어와 클러치 기어가 분리되어 클러치 기능이 발휘되도록 구비되는 전환용 클러치 수단; 상기 전환용 클러치 수단의 상부에 구비되며 수동으로 전환될 때, 전환용 클러치 수단의 전환기어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자중 강하용 클러치 수단; 상기 전환용 클러치 수단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전환기어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며 전환기어의 회전력이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려져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달기어; 상기 하우징의 결합공을 통해 해당하는 전달기어와 연동하도록 결합 되며, 상기 수문과 연결된 체인이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구비된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문 인양장치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전환용 클러치 수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으로 결합 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되는 전환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하는 클러치 기어, 상기 전환기어가 클러치 기어 방향으로 탄력 지지 될 수 있도록 회전축에 결합 되는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하우징의 내외 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일끝에 구비되어 전환기어를 일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전환기어와 결합 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수동 전환시 클러치 기어에 맞대어져 전환기어와 클러치 기어의 분리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걸림 수단이 상기 전환기어로부터 이격 된 일 옆에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에서 클러치 기어의 일 측에는 구동기어와 맞물리도록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에는 걸림수단의 지지대가 맞대어지는 형태로 지지 될 수 있도록 단턱이 테두리를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의 일정 위치에는 기어부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에서 자중 강화용 클러치 수단은, 하우징으로부터 일부 인출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 측에 결합 되어 수동 전환시 전환기어와 맞물리는 회전기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회전기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면서 연동하도록 결합 되는 제동부재, 상기 제동부재로부터 간격을 가지고 회전축에 체결되는 조정부재, 상기 조정부재와 제동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압축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상기 조정부재와 회전기어 간에 형성되는 마찰력으로 자중 강하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에서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회전축에 연동하도록 결합 되는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을 밀폐하는 구조로 하우징에 결합 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시소운동을 하면서 스프로켓과의 걸림에 따라 역회전이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어 체결 방향에 따라 승강하면서 걸림부재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역회전방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에서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회전축에는 핸들이 연동하도록 결합 된다.
또한, 상기에서 전달기어와 연동하도록 결합 되는 회전축에는 일정 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감속기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부재가 제공 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문 인양장치와 수문이 체인을 통해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수문 인양장치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2a는 외관 사시도 이고, 도 2b는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전환용 클러치 수단에 대하여 전동 및 수동으로 전환시 클러치 기어와 전환기어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도 3a 는 전동식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수동식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c는 클러치 기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수문 인양장치(10) 하우징(11)의 상부 외측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12)이 설치되며, 구동수단(12)의 구동축(14)에 결합 되는 구동기어(16)는 하우징(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18)과 자중 강화용 클러치 수단(20)이 그 주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18)의 구성은, 상기 구동기어(16)와 맞물리게 되는 클러치 기어(22)와, 수동/전동식으로 전환에 따라 클러치 기어(22)와 분리되거나 서로 연동하도록 물리는 전환기어(24)와, 상기 클러치 기어(22)와 전환기어(24) 간에 분리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수단(26)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기어(24)와 클러치 기어(22)는 하우징(11)의 내부를 일 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며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아울러 전환기어(24)가 항상 클러치 기어(22)의 방향으로 탄력 지지 될 수 있도록 탄성 스프링(30)이 회전축(28)에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환기어(24)의 일 옆에 구비되어 구동수단(12)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의 차단을 일시적으로 유지토록 하기 위한 걸림수단(26)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우징(11)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 는 가이드바(32)와, 가이드바(32)의 일끝에 구비되어 전환기어(24)의 걸림홈(34)에 걸림 되는 걸림부재(36)와, 걸림부재(36)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수동 전환시에 클러치 기어(22)에 맞대어지는 지지대(38)로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 기어(22)는 도 3c에서 보듯이 일 측에 구동기어(16)와 맞물리도록 기어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40)와 대응하는 타 측에는 지지대(38)가 맞대어지는 형태로 지지 될 수 있도록 단턱(42)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턱(42)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며, 단턱(42)의 일정 위치에는 기어부(40)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44)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전환기어(24)와 클러치 기어(22) 간에 수동 및 전동식 전환에 대해서는 하기의 동작 설명에서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자중 강화용 클러치 수단(18)을 살펴보면, 먼저 회전축(46)이 하우징(11)으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 4a 및 도 4b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축(46)의 일 측에는 회전기어(4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48)와 마주하는 위치에는 가이드부재(50)가 회전축(46)에 결합 되는데, 이때 가이드부재(50)가 회전축(4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면서 연동할 수 있도록 결합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위하여 통상적인 결합방식인 가이드부재(50)와 회전축(46) 간에 키 및 키홈이나 스플라인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50)에는 회전기어(48)와 마주하도록 마찰패드(52)를 구비하는 제동부재(54)가 결합 되어 상기 제동부재(54)의 이동에 의하여 마찰패드(52)가 회전기어(48)에 맞닿게 되거나 떨어지게 되면서 형성되는 마찰력으로 하강속도를 감속 조정 및 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동부재(54)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조정부재(56)가 회전축(46)에 체결되어 있다. 아울러 조정부재(56)과 제동부재(54)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58)이 배치되며, 그 양단이 조정부재(56)와 제동부재(5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노출된 회전축(46)의 단 부에는 핸들(60)이 회전축(46)과 연동할 수 있도록 결합 되며, 핸들(60)의 일 옆에는 회전축(46)이 관통하는 상태로 역회전방지수단(62)이 하우징(11)에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역회전방지수단(62)을 살펴보면, 도 5a 및 도 5b에서 보듯이 먼저 케이스(63)의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46)에 스프로켓(64)이 결합 된다. 이때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64)에 형성되는 키(66)가 스프로켓(64)에 형성되는 키홈(68)에 결합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63)의 내부에는 힌지축(70)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걸림부재(72)가 결합 된다, 이러한 걸림부재(72)의 양편에는 누름돌기(74)와 걸림돌기(76)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돌기(74)와 수직으로 대응하는 케이스(63)에는 체결부재(78)가 체결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체결부재(78)의 체결방향에 따라 승하강을 하게 되면, 걸림부재(72)가 시소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걸림돌기(76)는 스프로켓(64)에 걸림 되거나 혹은 걸림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전환기어(24)의 하부에는 회전축(80~8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달기어(86~92)가 하나 이상 서로 맞물려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회전축(82)에는 회전속도가 일정 이상의 속도를 내지 못하도록 감속기능을 가진 브레이크부재(103)가 결합 되어 있으며, 회전력이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전달기어(92)에는 감속기(94)에 구비되는 회전축(96)이 하우징(11)의 결합공(98)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 되어 전달기어(92)와 연동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감속기(94)의 회전축(96)과 결합공(98) 간에 분리 가능한 구조이므로, 감속기능을 가지면서 결합공(98)에 결합 될 수 있다면 어떠한 감속기를 장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감속기(94)의 회전축(96)에는 브레이크부재(104)가 결합 되며, 수문(100)과 연결되는 체인(102)은 감속기(94)의 회전축(96)에 연결 된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수문(100)과 연결되는 체인(102)이 하나 이상일 경우에는 회전축(96)이 결합 되어 연동할 수 있도록 일 측에 감속기(95)를 더 배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수문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인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수문 인양장치(10)를 이용하여 수문(100)을 전동식으로 인양하고자 할 경우, 우선 도 1 내지 도 3a를 통해 보듯이 구동수단(12)을 구동시키게 되 면, 구동수단(12)의 회전력은 구동기어(16)를 통해 클러치 기어(22)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기어(22)는 전환기어(24)와 구조적인 대응 결합에 의해 물려진 상태이므로 전환기어(24)가 회전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전환기어(24)의 회전력은 각각 순차 연결되는 전달기어(86~92)가 회전을 하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체인(102)과 결합 되는 감속기(94)의 회전축(96)이 회전하게 되어 수문(100)을 전동식으로 인양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수문 인양장치(10)를 이용하여 수문(100)을 자중으로 강하시키고자 할 경우, 우선 도 1 내지 도 3a를 통해 보듯이 수동전환 레버(A)를 화살표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수동전환 레버(A)는 걸림수단(26)의 걸림부재(36)와 연동하도록 연결 되어 있기 때문에 도 3b와 같이 걸림수단(26)이 클러치 기어(2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전환기어(24)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환기어(24)가 이동을 하게 되면, 클러치 기어(22)와의 물림이 해제되고 동시에 전환기어(24)는 자중 강화용 클러치 수단(20)의 회전기어(48)와 맞물리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전환기어(24)가 회전기어(48)와 맞물리게 되면, 상기 전환기어(24)는 탄성 스프링(30)의 압축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 클러치 기어(22)와 물려지도록 탄력 지지 되는 상태지만, 걸림수단(26)의 지지대(38)가 자중으로 하강하여 클러치 기어(22)의 단턱(42)에 맞대는 상태로 지지 됨으로써, 전환기어(24)와 클러치 기어(22)의 동력 차단이 유지되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자중 강하 레버(B)를 화살표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이 와 연동하는 도 4a의 상태에서 조정부재(56)가 회전축(46)을 따라 핸들(60) 방향으로 풀리면서 이동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조정부재(56)와 제동부재(54) 간에 연결된 압축스프링(58)이 작용하여 제동부재(54)가 핸들(6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됨으로써, 고 4b와 같이 제동부재(54)의 마찰패드(52)는 회전기어(48)로부터 떨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동부재(54)의 마찰패드(52)가 회전기어(48)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회전기어(46)와 전환기어(24) 및 전달기어(86~92)가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수문(100)이 자중에 의해 강하하게 된다. 물론 회전축(82,96)과 연결되어 있는 브레이크부재(103,104)가 감속 기능을 발휘하고 있어, 수문(100) 강하시에 수문(100)의 파손이나 회전부하로 인한 인양장치(1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수문 인양장치(10)에 구비되는 핸들(60)을 이용하여 수문(100)을 승,하강시키고자 할 경우, 우선 작업자가 핸들(60)을 파지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전환 후, 도 5a 및 도 5b에서 보듯이 역회전방지수단(62)의 체결부재(78)를 회전시켜 누름돌기(74)를 누르도록 체결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78)가 누름돌기(74)를 누르게 되면, 걸림부재(72)는 힌지축(70)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걸림돌기(76)가 스프로켓(64)으로부터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60)을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60)과 연동하는 회전축(46)이 회전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회전기어(48)가 연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환기어(24)가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회전력 전달구조 에 의해 수문(100)을 인양하거나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돌기(74)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걸림돌기(76)가 스프로켓(64)에 걸림 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스프로켓(64)의 형상과 걸림돌기(76)의 걸림 구조상 수문(100)을 인양할 수 있으나 하강하는 방향 즉, 역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은 방지된다.
한편, 상기 수동식에서 전동식으로 전환하고자 하고자 할 경우, 자중 강하 레버(B)를 처음 상태로 회동시킨 다음 구동수단(12)을 구동시키게 되면, 클러치 기어(22)가 도 3b의 상태에서 공회전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공회전을 하여 도 3a와 같이 클러치 기어(22)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걸림수단(26)의 지지대(38)는 단턱(42)의 구간을 벗어남과 동시에 경사면(44)을 타고 미끄러지게 되어 완전히 이탈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환기어(24)를 탄력 지지하고 있던 탄성 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전환기어(24)가 클러치 기어(2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서로 연동하도록 물리게 되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동식 인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수문의 개폐방식에 관계없이 본 고안의 수문 인양장치를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를 들면, 드럼타입 와이어 로프 인양방식을 도시한 도 6에서 보듯이 수문 인양장치(10)의 일 측에 드럼을 설치하여 수문과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를 드럼에 감아주는 구성으로도 변형 가능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문 인양을 위한 수동/전동식 동력전달 전환구조가 간단하면서 전환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받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강하용 클러치 및 전환용 클러치의 구조적인 구성 및 동작이 간단하여 유지보수에 대한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수문의 자중 의한 하강시 제동부재의 마찰패드와 회전기어 간에 마찰력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해서 강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문의 하강이나 급강하시, 브레이크부재의 기능에 의해 설정된 이상의 속도를 내지못함으로써 인양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역회전 방지기능에 의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9)

  1. 수동 및 전동식으로 수문을 인양하기 위하여 수문과 연결되는 체인이 연결되는 수문 인양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1)의 일 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동기어(16)를 가진 구동수단(12);
    상기 구동기어(16)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수동 및 전동식 전환에 따라 서로 물려진 전환기어(24)와 클러치 기어(22)가 분리되어 클러치 기능이 발휘되도록 구비되는 전환용 클러치 수단(18);
    상기 전환용 클러치 수단(18)의 상부에 구비되며 수동으로 전환될 때, 전환용 클러치 수단(18)의 전환기어(24)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자중 강하용 클러치 수단(20);
    상기 전환용 클러치 수단(18)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전환기어(24)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며 전환기어(24)의 회전력이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려져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달기어(86~92);
    상기 하우징(11)의 결합공(98)을 통해 해당하는 전달기어(92)와 연동하도록 결합 되며, 상기 수문(100)과 연결된 체인(102)이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축(96)이 구비된 감속기(9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인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용 클러치 수단(18)은, 하우징(11)의 내부에 수평으로 결합 되는 회전축(28), 상기 회전축(28)에 결합 되는 전환기어(24) 및 상기 구동기어(16)와 연동하는 클러치 기어(22), 상기 전환기어(24)가 클러치 기어(22) 방향으로 탄력 지지 될 수 있도록 회전축(28)에 결합 되는 탄성 스프링(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인양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의 내외 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가이드바(32), 상기 가이드바(32)의 일끝에 구비되어 전환기어(24)를 일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전환기어(24)와 결합 되는 걸림부재(36), 상기 걸림부재(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수동 전환시 클러치 기어(22)에 맞대어져 전환기어(24)와 클러치 기어(22)의 분리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지지대(38)로 구성된 걸림 수단(26)이 상기 전환기어(24)로부터 이격 된 일 옆에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인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어(22)의 일 측에는 구동기어(16)와 맞물리도록 기어부(40)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에는 걸림수단(26)의 지지대(38)가 맞대어지는 형태로 지지 될 수 있도록 단턱(42)이 테두리를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42)의 일정 위치에는 기어부(40)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인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 강화용 클러치 수단(20)은, 하우징(11)으로부터 일부 인출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6), 상기 회전축(46)의 일 측에 결합 되어 수동 전환시 전환기어(24)와 맞물리는 회전기어(4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인양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48)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축(46)을 따라 이동 가능하면서 연동하도록 결합 되는 제동부재(54), 상기 제동부재(54)로부터 간격을 가지고 회전축에 체결되는 조정부재(56), 상기 조정부재(56)와 제동부재(54)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압축스프링(58)이 더 구비되어, 상기 조정부재(56)와 회전기어(48) 간에 형성되는 마찰력으로 자중 강하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인양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인출된 회전축(46)에 연동하도록 결합 되는 스프로켓(64), 상기 스프로켓(64)을 밀폐하는 구조로 하우징(11)에 결합 되는 케이스(63), 상기 케이스(63) 내부에 시소운동을 하면서 스프로켓(64)과의 걸림에 따라 역회전이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72), 상기 케이스(63)에 체결되어 체결 방향에 따라 승강하면서 걸림부재(72)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재(78)로 구성된 역회전방수단(62)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인양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인출된 회전축(46)에는 핸들(60)이 연동하도록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인양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어(88,92)와 연동하도록 결합 되는 회전축(82,96)에는 일정 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감속기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부 재(103,104)가 더 결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인양장치.
KR2020070007888U 2007-05-14 2007-05-14 수문 인양장치 KR200440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888U KR200440022Y1 (ko) 2007-05-14 2007-05-14 수문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888U KR200440022Y1 (ko) 2007-05-14 2007-05-14 수문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022Y1 true KR200440022Y1 (ko) 2008-05-20

Family

ID=4163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888U KR200440022Y1 (ko) 2007-05-14 2007-05-14 수문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022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676B1 (ko) 2011-11-15 2012-05-22 (유)신일 수문인양장치
KR101253736B1 (ko) * 2012-10-31 2013-04-11 (유)신일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KR101428579B1 (ko) * 2012-11-14 2014-09-25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용 권양장치
KR101524021B1 (ko) * 2014-11-27 2015-06-01 (유)신일 비상강하장치가 구비된 전동수동겸용 수문인양장치
KR20170110489A (ko) * 2016-08-09 2017-10-11 우일산업 주식회사 감속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문 권양기
KR102020925B1 (ko) * 2018-11-28 2019-09-16 (유)신일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KR102170268B1 (ko) * 2019-07-12 2020-10-28 박동규 구조용 인양기
KR102506564B1 (ko) * 2022-03-25 2023-03-06 주식회사 문수산업 수문권양기
KR102662114B1 (ko) 2023-09-08 2024-05-02 (유)신일 배터리 기반 하이브리드 권양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676B1 (ko) 2011-11-15 2012-05-22 (유)신일 수문인양장치
KR101253736B1 (ko) * 2012-10-31 2013-04-11 (유)신일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KR101428579B1 (ko) * 2012-11-14 2014-09-25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용 권양장치
KR101524021B1 (ko) * 2014-11-27 2015-06-01 (유)신일 비상강하장치가 구비된 전동수동겸용 수문인양장치
KR20170110489A (ko) * 2016-08-09 2017-10-11 우일산업 주식회사 감속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문 권양기
KR101908189B1 (ko) * 2016-08-09 2018-10-16 우일산업 주식회사 감속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문 권양기
KR102020925B1 (ko) * 2018-11-28 2019-09-16 (유)신일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KR102170268B1 (ko) * 2019-07-12 2020-10-28 박동규 구조용 인양기
KR102506564B1 (ko) * 2022-03-25 2023-03-06 주식회사 문수산업 수문권양기
KR102662114B1 (ko) 2023-09-08 2024-05-02 (유)신일 배터리 기반 하이브리드 권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022Y1 (ko) 수문 인양장치
KR102020925B1 (ko)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US7556126B2 (en) Elevator escape arrangement
KR100964740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0851284B1 (ko) 다기능 다목적 기능을 구비하는 방범창문의 개폐 장치
KR100799351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1253736B1 (ko)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KR102002795B1 (ko) 수문 권양장치
KR100975954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20110097538A (ko) 미닫이식 개폐수문
EP3112569B1 (en) Operating device for operating a wall part
KR101046715B1 (ko)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KR101005862B1 (ko) 전동형 수문개폐기의 동력제어식 클러치장치
ITTO20090157U1 (it) Meccanismo ad innesto rapido per porta industriale
JP2011094465A (ja) 手動ハンドル装置
KR100823211B1 (ko) 수문 권양기
JP5826867B2 (ja) 水門設備の作動連動装置
KR101179213B1 (ko) 수문용 권양장치
CN109642450B (zh) 遮阳帘悬架装置
JP3165760U (ja) 水門開閉装置
KR100586435B1 (ko) 와이어로프식 다단전도수문용 권양기의 수동핸들역회전방지장치
KR200310496Y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0303267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0967638B1 (ko) 수문 권양기 조작장치
KR200425947Y1 (ko) 유압 핀잭형 수문 권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