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564B1 - 수문권양기 - Google Patents

수문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564B1
KR102506564B1 KR1020220037101A KR20220037101A KR102506564B1 KR 102506564 B1 KR102506564 B1 KR 102506564B1 KR 1020220037101 A KR1020220037101 A KR 1020220037101A KR 20220037101 A KR20220037101 A KR 20220037101A KR 102506564 B1 KR102506564 B1 KR 10250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pinion
manual
unit
moto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수산업
Priority to KR102022003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worm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Spr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수문권양기는 수문을 상승시켜 개방하도록 구동하는 전동구동모터와 전동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웜기어를 갖는 전동구동부, 웜기어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웜휠과 웜휠이 형성된 일측의 타측에 형성되는 전동피니언를 갖는 전동연결부, 전동피니언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동피니언과 수동피니언이 형성된 일측에 대한 타측에 형성되는 스프로켓을 갖는 수문이동부, 수동피니언과 전동피니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암랙이 형성되며, 전동연결위치와 전동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동수동전환부 및 전동수동전환부를 수동피니언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 구동시키는 수동동작모터를 갖는 전환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문권양기{water gate lifter}
본 발명은 수문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으로 수문을 상승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수문을 수동으로 전환하여 자중낙하시켜 차단 가능한 수문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권양기는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된 수문을 승강시켜 배수량 조절 및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담수율 또는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며, 홍수로 인한 설비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이다.
수문권양기는 농수로, 용수로, 상하수도처리장, 저수지 등에서 용수의 흐름을 차단 및 개방하여 적당한 용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기존의 수문권양기는 관리자가 전환 레버를 전동 측 또는 수동 측으로 선택하여 조작하는 구조이다. 수문이 차단되면 용수를 저수하게 되며 저수된 용수는 수문을 위로 상승시켜 개방함으로써 용수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수문이 무겁기도 하고 용수가 저수된 상태에서는 압력이 크므로 원기어를 사용한 전동으로 수문을 올려 개방한다. 이렇게 수문이 무거우므로 전동으로 올려 개방하고 내려서 차단하고 있으며, 긴급한 경우 수동으로 전환하여 자중 강하되도록 하여 차단하게 된다.
농수로, 용수로, 상하수도처리장, 저수지 등에서 강우로 인한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하류로 많은 량의 물이 흘러가는 경우 홍수로 이어질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수문을 닫아 하류로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는데 수문권양기가 전동으로 조작되고 있을 때 수위가 급상승하는 비상시가 되면 수문을 긴급하게 차단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기존 기술(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6470호)에 따른 수문용 권양장치는 모터 연결축에 원형다판클러치를 사용하여 모터 회전 시 동시에 회전하였다.
따라서, 종전 원형다판클러치는 전동 구동 시 회전하는 구조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드모터(1)로부터 전동제어를 통한 상승 및 하강 시 원형다판클러치(3) 및 원심브레이크와 유성치차장치(4)부터 랙기어(6)에 이르기까지 각 전분야별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므로 기계효율이 많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원형다판클러치가 수문 상승 및 하강 시 항상 회전하기 때문에 마찰 과부하도 많이 걸리고 사용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축에 직접 연결하여 용량이 큰 원형다판클러치를 사용하면 권양기가 커지고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하였다. 또한, 정전 시 또는 원격지에서 수문 자중으로 수문을 닫는 기능을 할 수 없어 긴급 재난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문권양기가 전동으로 조작하여 차단을 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자중낙하시켜 용수를 차단하여야 한다. 그러나 수위가 상상한 상태에서는 수압으로 인하여 전환 레버를 전동 측에서 수동 측으로 조작하기 어렵고, 웜기어를 이용하는 전동조작의 경우 매우 느리게 차단하게 되므로 신속한 물관리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647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게 수문을 자중낙하되도록 하여 신속한 물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홍수를 예방할 수 있는 수문권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과 수동의 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수문권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문권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간의 부자연스러운 마찰의 발생을 감소시켜 접촉되는 구성간에 자연스러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동연결위치와 전동해제위치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문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수문권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문권양기는, 수문을 상승시켜 개방하도록 구동하는 전동구동모터와 상기 전동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웜기어를 갖는 전동구동부; 상기 웜기어 회전에 따라 감속되어 회전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이 형성된 일측의 타측에 형성되는 전동피니언를 갖는 전동연결부; 상기 전동피니언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동피니언과 상기 수동피니언이 형성된 일측에 대한 타측에 형성되는 스프로켓을 갖는 수문이동부; 상기 수동피니언과 상기 전동피니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암랙이 형성되며, 전동연결위치와 전동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동수동전환부; 및 상기 전동수동전환부를 상기 수동피니언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 구동시키는 수동동작모터를 갖는 전환구동부를 포함한다. 전동수동전환부가 전동피니언을 수용하고 있는 전동연결위치에서 전환구동부가 전동수동전환부를 이동시켜 전동피니언을 수용하지 않는 전동해제위치가 되도록 하여 수문이 자중낙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문 차단의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수문을 자중낙하되도록 하여 신속한 물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홍수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동피니언에 대한 상기 암랙의 수용영역의 랙은 상기 전동연결부의 축선을 따른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암랙에 대한 상기 전동피니언의 수용영역의 피니언은 상기 전동연결부의 축선을 따른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형성되면 전환구동부가 전동수동전환부를 이동시켜 암랙이 전동피니언과 수용 결합시키는 경우 상호 맞부딪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원활하게 암랙이 전동피니언과 수용 결합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환구동부는, 축선을 따라 신장 및 축소 가능하게 상기 수동동작모터에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의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링크를 상대 회전되도록 하는 링크절이 형성되면 링크절에 의해 회전링크를 이동시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환구동부의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동수동전환부는, 상기 암랙을 지지하는 전환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링크의 말단영역이 수용되며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용홈이 형성되면 전동연결위치에서 회전링크가 전환본체를 밀면서 접촉하게 되는데 전환본체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링크와 부자연스러운 마찰이 발생하는데 회전링크가 회전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면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동수동전환부가 축선을 따른 상기 전동피니언의 영역을 벗어나는 지를 감지하는 해제감지센서; 및 상기 해제감지센서에서 상기 전동수동전환부가 축선을 따른 상기 전동피니언의 영역을 벗어나는 상기 전동해제위치가 되는 것을 감지할 때까지 상기 수동동작모터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동수동전환부가 상기 전동해제위치에서 상기 전동피니언을 수용하는 상기 전동연결위치가 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전동구동모터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면 전동수동전환부가 전동연결위치와 전동해제위치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동구동부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수동전환부가 전동피니언을 수용하고 있는 전동연결위치에서 전환구동부가 전동수동전환부를 이동시켜 전동피니언을 수용하지 않는 전동해제위치가 되도록 하여 수문이 자중낙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문 차단의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속하게 수문을 자중낙하되도록 하여 신속한 물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홍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환구동부가 전동수동전환부를 이동시켜 암랙이 전동피니언과 수용 결합시키는 경우 상호 맞부딪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원활하게 암랙이 전동피니언과 수용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크절에 의해 회전링크를 이동시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환구동부의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연결위치에서 회전링크가 전환본체를 밀면서 접촉하게 되는데 전환본체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링크와 부자연스러운 마찰이 발생하는데 회전링크가 회전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면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수동전환부가 전동연결위치와 전동해제위치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동구동부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작도이다.
도 2는 전동수동전환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암랙과 전동피니언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변형 가능한 전환구동부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5는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문권양기(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권양기(1)의 동작도이고, 도 5는 제어블록도이다.
도1과 도5를 참조하여 수문권양기(1)의 구성을 설명한다.
수문권양기(1)는 전동구동부(10), 전동연결부(20), 수문이동부(30), 전동수동전환부(40), 전환구동부(50), 해제감지센서(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전동구동부(10)는 수문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한다. 전동구동부(10)는 전동구동모터(11)와 웜기어(12)를 포함한다.
전동구동모터(11)는 수문을 상승시켜 개방하도록 구동하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한다.
웜기어(12)는 전동구동모터(11)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전동연결부(20)는 전동구동부(10)에 의해 회전되어 수문을 상승 및 하강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전동연결부(20)는 전동연결본체(21), 웜힐(22) 및 전동피니언(23)을 포함한다.
전동연결본체(21)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웜힐(22)은 전동연결본체(21)의 일측 외측에 형성되며, 웜기어(12)에 맞물려 결합되어 웜기어(12)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웜힐(22)은 웜기어(12)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90도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되며 감속되어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전동피니언(23)은 웜휠(22)이 형성된 전동연결본체(21) 일측의 타측에 형성된다. 암랙(42)에 대한 전동피니언(23)의 수용영역의 피니언은 전동연결부(20)의 축선을 따른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형성된다.
수문이동부(30)는 후술할 전동수동전환부(40)가 전동연결위치에서 전동구동모터(11)의 회전력을 수문으로 전달하여 수문을 이동시킨다. 수문이동부(30)는 수문이동본체(31), 수동피니언(32) 및 스프로켓(33)를 포함한다.
수문이동본체(31)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전동연결본체(21)와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수문을 지지한다.
수동피니언(32)은 수문이동본체(31)의 일측에 형성되며 전동피니언(23)과 동일한 직경과 축선을 갖도록 형성된다. 수동피니언(32)은 전동피니언(23)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스프로켓(33)은 수동피니언(32)이 형성된 수문이동본체(31)의 일측에 대한 타측에 형성된다. 스프로켓(33)은 수문이동본체(31)에 결합되며, 수문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체인이 회전 지지되도록 걸리게 된다.
전동수동전환부(40)는 전동연결위치와 전동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다. 전동수동전환부(40)는 전환본체(41), 암랙(42), 탄성부(43), 탄성부수용부(44) 및 탄성부재(45)를 포함한다.
전환본체(41)는 수동피니언(32)과 전동피니언(23)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배럴형상을 갖는다. 전환본체(41)는 후술할 회전링크(53)의 말단영역이 수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축선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회전수용홈(411)을 갖는다. 회전수용홈(411)은 전환본체(41)의 일면에는 회전링크(53)의 말단영역이 수용되며 회전 가능하게 한다.
암랙(42)은 전환본체(41)의 중공 내측면에 형성되며, 수동피니언(32)과 전동피니언(2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된다. 전동피니언(23)에 대한 암랙(42)의 수용영역의 랙은 전동연결부(20)의 축선을 따른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탄성부(43)는 전환본체(41)의 말단 테두리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후술할 탄성부재(45)에 탄성 지지된다.
탄성부수용부(44)는 탄성부(43)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탄성부재(45)가 수용된다.
탄성부재(45)는 탄성부수용부(44)에 수용된 상태에서 탄성부(43)에 탄성을 가하여 전환본체(41)가 전동연결부(2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전환구동부(50)는 전동수동전환부(40)를 수동피니언(32)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 구동시킨다. 전환구동부(50)는 수동동작모터(51), 회전축(52), 회전링크(53), 링크절(54) 및 전동동작전자석(55)을 포함한다.
수동동작모터(51)는 전동수동전환부(40)를 수동피니언(32)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시킨다.
회전축(52)은 수동동작모터(51)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되며 외측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숫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회전에 따라 축선을 따라 길이가 신장 및 축소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52)은 축선을 따라 신장 및 축소 가능하게 수동동작모터(51)에 연결된다. 회전축(52)은 수동동작모터(51)의 회전력에 의해 축선을 따라 길이가 신장 및 축소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던 가능하다.
회전링크(53)는 회전축(52)의 말단영역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링크(53)의 말단영역에는 링크절(힌지)가 형성되어 회전축(5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절(54)은 회전링크(53)의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링크절(54)를 중심으로 회전링크(53)가 회전되도록 한다.
전동동작전자석(55)은 수동동작모터(51), 회전축(52), 회전링크(53), 링크절(54)에 의해 전동수동전환부(40)를 수동피니언(32)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 구동시키는 예와 다른 변형된 실시 예로써, 전동동작전자석(55)은 전동연결본체(21)과 전환본체(41)에 지지되어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하여 상호 인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상호 인력이 작용되면 전동으로 수문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고, 인가했던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면 탄성부재(45)에 의해 전동수동전환부(40)가 전동해제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수문이 자동으로 자중낙하하여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45)는 탄성부수용부(44)에 수용된 상태에서 탄성부(43)를 전환본체(41)가 전동연결부(20)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을 가한다.
해제감지센서(60)는 전동수동전환부(40)가 축선을 따른 전동피니언(23)의 영역을 벗어나는 지를 감지한다. 레이져광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감지막대로 마련되어 전동피니언(23)에 붙어 있다가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70)는 해제감지센서(60)에서 전동수동전환부(40)가 축선을 따른 전동피니언(23)의 영역을 벗어나는 전동해제위치가 되는 것을 감지할 때까지 수동동작모터(51)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며, 전동수동전환부(40)가 전동해제위치에서 전동피니언(23)을 수용하는 전동연결위치가 되는 것을 감지하면 전동구동모터(11)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 (a) 전환본체(41)가 전동연결본체(21)이 가까운 상태이며, 회전링크(53)가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 (b) 수동동작모터(51)가 회전축(52)을 구동하여 신장되면서 회전링크(5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전환본체(41)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암랙(42)이 전동피니언(23)을 수용한 상태인 전동연결위치에서 암랙(42)이 전동피니언(23)을 수용한 상태에 벗어난 전동해제위치가 된다. 이에 의해 수문이 자중낙하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전동수동전환부(40)의 상세도이다.
도 2 (a) 전환본체(41)의 암랙(42)에 전동피니언(23)이 수용된 상태로 전동조작이 될 수 있는 전동연결위치의 상태이다.
도 2 (b) 회전링크(53)의 말단영역이 회전수용홈(411)에 수용된상태이며 전환본체(41)의 암랙(42)이 전동피니언(23)을 수용하지 않는 상태인 전동해제위치의 상태이다.
도 3은 암랙(42)과 전동피니언(23)의 상세도이다.
도 3 (a) 암랙(42)의 말단영역은 전동연결부(20)의 축선을 따른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도 3 (b) 전동피니언(23)의 말단영역은 전동연결부(20)의 축선을 따른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암랙(42)이 전동피니언(23)과 수용 결합시키는 경우 상호 맞부딪힐 수 있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암랙(42)과 전동피니언(23)의 수용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변형 가능한 전환구동부(50)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4 (a) 탄성부재(45)에 의해 전환본체(41)의 암랙(42)이 전동피니언(42)을 수용하지 않은 전동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도 4 (b) 전동연결본체(21)과 전환본체(41)에 지지되어 배치된 전동동작전자석(55)으로 전원을 인가하면 전동연결본체(21)과 전환본체(41)에 지지되어 배치된 전동동작전자석(55)에 상호 인력이 작용하면서 전환본체(41)가 전동연결본체(21)에 이동되어 붙는다. 이에 의해 전동연결위치가 된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수문권양기(1)가 통신부를 구비하여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강수량에 대한 정보에 따라 수문이 상승 및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위를 측정하는 복수의 수위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수위측정센서로부터 수위정보를 수신하여 위험수위를 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문이 자중낙하하여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전동연결본체(21)과 전환본체(41)에 지지되어 배치된 전동동작전자석(55)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호 척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수문권양기(1)로 인하여, 전동수동전환부(40)가 전동피니언(23)을 수용하고 있는 전동연결위치에서 전환구동부(50)가 전동수동전환부(40)를 이동시켜 전동피니언(23)을 수용하지 않는 전동해제위치가 되도록 하여 수문이 자중낙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문 차단의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1: 수문권양기 10: 전동구동부
11: 전동구동모터 12: 웜기어
20: 전동연결부 21: 전동연결본체
22: 웜휠 23: 전동피니언
30: 수문이동부 31: 수문이동본체
32: 수동피니언 33: 스프로켓
40: 전동수동전환부 41: 전환본체
411: 회전수용홈 42: 암랙
43: 탄성부 44: 탄성부수용부
45: 탄성부재 50: 전환구동부
51: 수동동작모터 52: 회전축
53: 회전링크 54: 링크절
55: 전동동작전자석 60: 해제감지센서
70: 제어부

Claims (5)

  1. 수문권양기에 있어서,
    수문을 상승시켜 개방하도록 구동하는 전동구동모터와 상기 전동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웜기어를 갖는 전동구동부;
    상기 웜기어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이 형성된 일측의 타측에 형성되는 전동피니언를 갖는 전동연결부;
    상기 전동피니언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동피니언과 상기 수동피니언이 형성된 일측에 대한 타측에 형성되는 스프로켓을 갖는 수문이동부;
    상기 수동피니언과 상기 전동피니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암랙이 형성되며, 전동연결위치와 전동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동수동전환부;
    상기 전동수동전환부를 상기 수동피니언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 구동시키는 수동동작모터를 갖는 전환구동부;
    상기 전동수동전환부가 축선을 따른 상기 전동피니언의 영역을 벗어나는 지를 감지하는 해제감지센서; 및
    상기 해제감지센서에서 상기 전동수동전환부가 축선을 따른 상기 전동피니언의 영역을 벗어나는 상기 전동해제위치가 되는 것을 감지할 때까지 상기 수동동작모터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동수동전환부가 상기 전동해제위치에서 상기 전동피니언을 수용하는 상기 전동연결위치가 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전동구동모터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구동부는, 축선을 따라 신장 및 축소 가능하게 상기 수동동작모터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의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링크를 상대 회전되도록 하는 링크절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수동전환부는 일면에 상기 회전링크의 말단영역이 수용되며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암랙을 지지하는 전환본체를 구비하고,
    수문을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동수동전환부가 전동피니언을 수용하고 있는 전동연결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전동구동부에 연결된 전동연결부가 수문이동부에 연결되어 수문을 상승시키도록 하고, 수문을 하강시킬 때에는 상기 제어부가 수동동작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전동수동전환부가 전동피니언을 수용하고 있는 전동연결위치에서 전동피니언을 수용하지 않는 전동해제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이 자중낙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권양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피니언에 대한 상기 암랙의 수용영역의 랙은 상기 전동연결부의 축선을 따른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암랙에 대한 상기 전동피니언의 수용영역의 피니언은 상기 전동연결부의 축선을 따른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권양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37101A 2022-03-25 2022-03-25 수문권양기 KR10250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101A KR102506564B1 (ko) 2022-03-25 2022-03-25 수문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101A KR102506564B1 (ko) 2022-03-25 2022-03-25 수문권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564B1 true KR102506564B1 (ko) 2023-03-06

Family

ID=8550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101A KR102506564B1 (ko) 2022-03-25 2022-03-25 수문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022Y1 (ko) * 2007-05-14 2008-05-20 (유)신일 수문 인양장치
KR100858281B1 (ko) * 2008-03-24 2008-09-11 김상국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KR20100019193A (ko) * 2008-08-08 2010-02-18 윤영직 전동형 수문개폐기의 동력제어식 클러치장치
KR100964700B1 (ko) 2005-09-21 2010-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전력 소모를줄이는 방법
KR101046715B1 (ko) * 2010-12-10 2011-07-05 김상국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00B1 (ko) 2005-09-21 2010-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전력 소모를줄이는 방법
KR200440022Y1 (ko) * 2007-05-14 2008-05-20 (유)신일 수문 인양장치
KR100858281B1 (ko) * 2008-03-24 2008-09-11 김상국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KR20100019193A (ko) * 2008-08-08 2010-02-18 윤영직 전동형 수문개폐기의 동력제어식 클러치장치
KR101046715B1 (ko) * 2010-12-10 2011-07-05 김상국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925B1 (ko)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KR100799351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2179500B1 (ko) 스핀들장치
KR102423314B1 (ko) 전동모드 및 수동모드 전환을 원격조작 가능하고 스마트 고속 차수기능을 구비한 수문권양기
KR102506564B1 (ko) 수문권양기
KR101507693B1 (ko)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KR100497044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및 그 구동방법
KR100733290B1 (ko) 수문 개폐장치
KR102013720B1 (ko) 수문 권양장치
KR101762566B1 (ko) 수문 개폐 제어장치
JP4497429B1 (ja) 水田用の自動給水装置
KR102179578B1 (ko) 클러치권양장치
KR102169199B1 (ko) 수문개폐장치
KR101332779B1 (ko) 수문 개폐장치
KR20090006443A (ko)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CN111164262B (zh) 具有用于操作水闸的电气驱动装置的水力设备
KR102326219B1 (ko) 자중강하식 긴급차단 권양기
KR100839229B1 (ko) 수문 개폐 시스템용 자동 조작장치
KR20110034962A (ko)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수문낙하 방지장치
KR101036581B1 (ko) 수문 권양기
KR102280143B1 (ko) 권양기용 자중 강하 속도 제어장치
KR101047553B1 (ko)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KR200215793Y1 (ko) 수문 개폐장치
KR200392574Y1 (ko) 가동보 구동장치
KR101646220B1 (ko) 수문 개폐용 윈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