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693B1 -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693B1
KR101507693B1 KR20140161305A KR20140161305A KR101507693B1 KR 101507693 B1 KR101507693 B1 KR 101507693B1 KR 20140161305 A KR20140161305 A KR 20140161305A KR 20140161305 A KR20140161305 A KR 20140161305A KR 101507693 B1 KR101507693 B1 KR 10150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tchet
water
gate
ratche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철
Original Assignee
박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철 filed Critical 박기철
Priority to KR2014016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 B66D5/34Detent devices having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 측판(11)(11')과 하판(12) 그리고 양 측판(11)(11')을 연결하는 설치프레임(13)과, 일측 측판(11)과 설치프레임(13)사이에 설치되는 설치판(14)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와;, 하판(12) 상부에서 전도되도록 힌지(15)로 설치되는 전도수문(16)과;, 일단이 전도수문(16)과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드럼(17)에 권취되는 와이어(18)와;, 상기 권취드럼(17)의 드럼회전축(19)과 연결되어 회전변속을 담당하는 회전변속기어부(2)와;, 회전변속기어부(2)와 연결되어 있는 래칫기어(21)의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로드(22)와;, 상기 래칫로드(22)의 일단을 가압하여 래칫기어(21)와의 걸림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23)와;, 수위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래칫기어(21)와 래칫로드(22)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부(a)로;, 구성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작동부(a)는 유속감지부(a2)와;, 단속해제부(a1)와;, 수직받침부(a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기나 폭우로 인해 수로내에 많은 량의 우수가 급작스럽게 유입될 경우 수위 상승 및 그 유입 유속에 의해 전도수문이 자동 전도되어 우수의 방류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Agricultural hydrology open device}
본 발명은 관개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관개용수의 담수를 실시하는 농업용 수문에 있어서, 우기나 폭우로 수로의 급작스러운 수위 상승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수문을 전도시켜 방류토록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에는 농지 관리를 위한 관개용수의 담수(湛水) 목적으로 수문이 설치되어 있고, 또 이러한 수문은 우기나 폭우시 수로의 수위가 일정 이상 상승하였을 때 개방되어 농지의 침수 피해를 예방하게 된다.
상기 수문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종래에 관개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된 수문은 통상적으로 수로를 개폐하는 수문과;, 상기 수문양측에 설치되어 수문의 승,하강 안내 및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설치대;와 상기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권양기구;로 구성되어 건기에 담수를 통한 관개용수를 확보하고 우기에는 수로를 개방하여 역류로 인한 농지의 침수 피해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수문은 우기 또는 기상이변에 따른 폭우발생시, 역류 방지를 위한 수문의 개방이 매우 난이하였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즉 종래 수문의 경우 권양기구의 작동손잡이를 특정 관리인이 보관 관리감독하고 있어, 우기시 특정 관리인이 해당 수로를 상시 감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수문을 수동으로 개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급작스러운 기상이변에 의한 폭우 발생시 수로의 빠른 개방이 불가능하여 농지로 우수가 역류해 침수피해를 야기하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수로의 일정수위 도달시 자동으로 전도되는 자동전도수문이 안출된 바 있는데, 이는 수로 바닥에 전도되도록 힌지로 설치된 전도수문과;, 일단이 전도수문과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드럼에 권취된 와이어와;,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변속을 담당하는 회전변속기어부와;, 회전변속기어부와 연결되면서 래칫로드에 의해 회전이 단속되는 래칫기어와;, 수로의 수위에 따라 승강작용하면서 상기 래칫로드와 래칫기어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부유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수로로 관개용수가 일정수위에 도달하였을 때, 부유부재가 부상하여 래칫로드에 의해 회전단속된 래칫기어와 회전변속기어부 그리고 권취드럼을 자유회전상태로 만들어 일정 수위에 의한 수압으로 전도수문이 자동으로 전도(개방)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전도수문은 권취드럼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권취드럼이 위 이유에 의하여 자유회전상태가 되면 담수된 관개용수의 수압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전도되면서 관개용수를 방류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자동전도수문은 일정수위에서 전도수문이 자동으로 전도되는 편리함은 가지고 있으나, 그 전도수문의 전도장치가 매우 복잡하면서 비대하여 제작과 설치 및 비용적인 부분에서 부담과 불편함이 매우 컸고, 특히 복잡하고 까다로운 구성에 비해 작동 신뢰성이 현저히 떨어져 오작동 및 고장이 잦았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또 다른 문제점으로 전도수문이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전도될 수 있도록 권취드럼과 회전변속기어부를 자유회전상태로 만들어 주는 부유부재가 담수의 수위에 따라 부상되는 원리를 가지는 것으로, 소량 또는 적정 수위에도 전도수문을 개방시키는 폐단이 있어, 관개용수의 담수가 용이하지 못하였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상세하게는 위 전도수문의 부유부재는 수로의 담수 수위에 따라 작동되게 한 것으로, 우기나 갑작스러운 폭우로 수위가 급격히 증가할 경우, 그 수위 증가에 따른 급부상으로 전도수문을 전도(개방)하여 우수를 방류케 하므로 농지로 우수가 역류하여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올바른 효과를 제공한다.
하지만, 위 예시한 경우(급작스러운 수위상승)가 아닌 상태에서 수로 전체에 적절한 관개용수가 위험부담 없이 서서히 담수될 경우, 이 또한 위와 동일한 조건으로 부유부재가 부상되면서 전도수문을 전도시키게 되어 농지에 활용되어야 하는 관개용수를 방류해버리는 폐단을 가졌다.
다시 말해, 우기 또는 갑작스러운 폭우로 인해 많은 량의 우수가 유입되어 급작스러운 수위증가(이하 "위험한 수위상승"라 함)가 있을 경우, 수문의 개방이 없으면 계속적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역류하여 농지의 침수를 일으키게 된다, 하지만 우기 또는 갑작스러운 폭우가 발생하지 않는 기상조건에서 관개수로에 우수 및 여타 물이 서서히 담수되어 수로 최상단까지 그 수위(이하 "안전한 수위상승"라 칭함)가 도달하면 이는 대부분 관개수로 최상단 보다 낮은 위치에 시공되는 수문 상부를 통해 일부 방출되면서 항상 일정한 담수량이 유지되고, 이러한 조건은 오히려 농지에 보다 많은 량의 관개용수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위 설명한 전도수문의 경우 부유부재가 단순히 담수의 수위에 의해 작동함에 따라, 전술한 담수의 '위험한 수위상승'과 후술한 담수의 '안전한 수위상승'에서 모두 동일 작용(수문 전도)하여, 위험한 수위에서는 이점을 제공하나 안전한 수위에서는 농지에 사용되어야 하는 관개용수를 모두 방류하여 버리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 위 전도수문에 이용되는 부유부재는 수위 상승에 따라 부상,작용하는 것으로, 일정길이의 부유부재를 수로 내측에 깊게 위치시켜 수위 상승의 변화로 작용되게 할 경우, 관개수로에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기타 사항에 의하여 부유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한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매우 높았다.
참고로, 상기 기재한 배경 기술은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7-0088942호"를 일 예로 하였다. 다만, 기술의 주요부분에 대한 명칭과 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기재는 본 발명이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간략 또는 일부 변경과 생략 설명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7-0022942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안전한 수위상승 조건이 아닌 우기 또는 폭우로 인하여 농업용 수로로 많은 량의 우수가 단시간 내에 급격히 유입되는 위험한 수위상승 조건에서만 선택적으로 수문을 전도하여 주는 농업용 수문 전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발명되었다.
한편, 본 발명은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에 있어서 그 전도장치의 구성을 최소화하면서 신뢰성을 극대화시켜 제작과 설치의 편리 및 비용절감 그리고 작동 정확성과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여줌에 특징으로 가지고 발명되었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제시하는 본 발명의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는 양 측판(11)(11')과 하판(12) 그리고 양 측판(11)(11')을 연결하는 설치프레임(13)과, 일측 측판(11)과 설치프레임(13)사이에 설치되는 설치판(14)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와;, 하판(12) 상부에서 전도되도록 힌지(15)로 설치되는 전도수문(16)과;, 일단이 전도수문(16)과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드럼(17)에 권취되는 와이어(18)와;, 상기 권취드럼(17)의 드럼회전축(19)과 연결되어 회전변속을 담당하는 회전변속기어부(2)와;, 회전변속기어부(2)와 연결되어 있는 래칫기어(21)의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로드(22)와;, 상기 래칫로드(22)의 일단을 가압하여 래칫기어(21)와의 걸림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23)와;, 수위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래칫기어(21)와 래칫로드(22)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부(a)로;, 구성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a)는 유속감지부(a2)와;, 단속해제부(a1)와;, 수직받침부(a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유속감지부(a2)는 다수개의 가동힌지(31)를 통해 전도수문(16) 상단과 연결되는 하부 결합판(32)과, 일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형성하는 상부 안착판(33)으로 이루어진 가동판(3)으로 구성하고,
상기 단속해제부(a1)는 표면에 타격부재이송공(41)과 손잡이이송공(42)이 일정길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4)과, 상단 일측에 승강손잡이(43)를 가지고 하단 일측에는 타격부재(44)를 가지는 중량조절대(45)와, 상기 중량조절대(45)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낙하이송대(46)로 구성하되, 상기 중량조절대(45)와 낙하이송대(46)를 가이드프레임(4) 내부에 위치시켜 낙하이송대(46)의 하단이 상기 가동판(3)의 안착판(33) 상부에 안착되게 하고, 상기 중량조절대(45)의 승강손잡이(43)와 타격부재(44)는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4)의 손잡이이송공(42)과 타격부재이송공(41) 내에 위치되게 구성하며,
상기 수직받침부(a3)는 전도수문(16) 양측부에 수직받침대(5)(5')를 각각 설치한 다음 상기 전도수문(16)과 접합는 수직받침대(5)(5')의 일측에 수밀패킹(51)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전도수문의 전도를 수로 내에 담수된 관개용수의 수위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로에 유입되는 우수 등의 담수 수위와 그 수위에서의 유속을 통해 전도결정되게 한 것으로, 꼭 필요한 조건에서만 자동 전도되게 하므로 불필요한 전도수문의 개방에 따른 관개용수의 낭비를 최대한 예방하면서, 농지로의 많은 관개용수 활용을 도모하여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그 전도장치의 구성과 부피를 최소화시켜 제작편의와 비용절감효과를 가지게 하고 더욱이 전도장치의 작동신뢰성을 극대화시켜 특정 사항에서 보다 정확하게 전도수문의 전도가 자동으로 실시되게 한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도수문의 개방 상태를 조절하여 수로 내의 담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조절된 담수 수위에서 위 동일한 자동 전도를 실시 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가'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유속감지부 실시 상태를 나타낸 유속감지부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도수문의 전도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단속해제부와 유속감지부 그리고 가압부와 회전변속기어부를 상세히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속해제부의 부분 조립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9는 도 5에서 제시하고 있는 또 다른 유속감지부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11은 도 5에서 제시하고 있는 또 다른 유속감지부에 의한 단속해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 부분 확대도,
도 12,13은 본 발명의 단속해제부에 의해 회전변속기어부의 회전단속 및 단속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가압부와 단속해제부 및 가압부의 배면확대도,
도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도수문의 전도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위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단, 아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은 생략 또는 간략 설명토록하고 또 동일 명칭에 대해서는 하나의 부호로 통일하여 설명토록 한다.
먼저, 농지 관리를 위한 관개용수의 담수 목적으로 관개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 등에 설치사용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는,
양 측판(11)(11')과 하판(12) 그리고 양 측판(11)(11')을 연결하는 설치프레임(13)과, 일측 측판(11)과 설치프레임(13)사이에 설치되는 설치판(14)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로 구성된다.
또, 하판(12) 상부에서 전도되도록 힌지(15)로 설치되는 전도수문(16)으로 구성된다.
또 일단이 전도수문(16)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의 설치프레임(13)에 구성된 권취드럼(17)에 권취되는 와이어(18)로 구성된다.
와이어(18)는 그 일단이 전도수문(16) 일측면의 연결고리(18')와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드럼(17)에 권취되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본체(1)의 설치프레임(13)에 구성된 가이드롤러(18")로 경유시켜 설치프레임(13)과의 마찰을 회피되게 하면서 감김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 권취드럼(17)의 드럼회전축(19)과 연결되어 회전변속을 담당하는 회전변속기어부(2)로 구성된다.
회전변속기어부(2)는 드럼회전축(19)과 연결되는 구동기어(24)와 상기 구동기어(24)와 연결되는 피동기어(25) 그리고 피동기어(25)와 연결되는 종동기어(2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러개의 기어들은 각각 그 회전축(27)에 의해 연결설치 된다.
또 회전변속기어부(2)와 연결되어 있는 래칫기어(21)의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로드(22)로 구성된다.
래칫기어(23)는 그 일측이 회전변속기어부(2)의 종동기어(26)와 연결되고, 타측은 래칫로드(22)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9)에 걸림되어 일방향 회전단속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래칫로드(22)는 그 일단의 연결부(28)가 래칫로드회전축(22')에 연결되면서 그 외측으로 걸림돌기(29)를 가지고 있어, 래칫로드(22)가 승,하강 될 때, 상기 걸림돌기(29)가 래칫기어(21)로 걸림과 해제가 반복되면서 그 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또 래칫로드(22)의 일단을 가압하여 래칫기어(21)와의 걸림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23)로 구성된다.
가압부(23)는 래칫로드(22)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스프링(23')이 탄발된 가압대(23")로 래칫로드(22) 일측을 상시 상부측으로 승강시켜 래칫로드(22) 타측부의 연결부(28)에 형성된 걸림돌기(29)가 래칫기어(21)에 상시 물림되게 한다.
즉, 래칫로드(22)는 타측 연결부(28)를 래칫로드회전축(22')에 설치하여 고정 및 회전작용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래칫로드(22)의 일측이 가압부(23)에 의해 상시 상부측으로 상승되면, 연결부(28)가 래칫로드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그 외주의 걸림돌기(29)를 래칫기어(21)에 걸어 래칫기어(21)의 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반대로, 래칫로드(22)의 일측이 하부측으로 하강작용할 경우, 연결부(28)가 래칫로드회전축(22')을 중심으로 위와 반대 회전하면서 그 외주의 걸림돌기(29)를 래칫기어(21)로부터 이탈시켜 래칫기어(21)의 회전단속을 해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래칫기어(21)와 래칫로드(22)의 걸림상태 및 그 해제를 위한 작동부(a)로 구성된다.
이상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a)는 첨부된 도면 도1에서와 같이 유속감지부(a2)와;, 단속해제부(a1)와;, 수직받침부(a3)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속감지부(a2)는 전도수문(16)상단에 구성되어 유속에 의해 작동되고, 단속해제부(a1)은 상기 유속감지부(a2)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변속기어부(2)와 연결된 래칫기어(21)의 회전단속을 해제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유속감지부(a2) 상부측에 구성되며, 수직받침부(a3)은 전도수문(16)을 정위치로 받쳐줌과 동시에 수로(101) 내로 관개용수의 담수가 가능토록 수밀유지가 이루어지게 구성되면서, 전도수문(16) 양측부에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속감지부(a2)는 다수개의 가동힌지(31)를 통해 전도수문(16) 상단과 연결되는 하부 결합판(32)과, 일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형성하는 상부 안착판(33)으로 이루어진 가동판(3)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동판(3)은 그 하부 결합판(32)과 전도수문(16)을 연결하는 가동힌지(31)의 구성을 고정체(31a)와 유동체(31b)로 구분 한 다음 상기 고정체(31a)는 전도수문(16) 상단에 설치하고, 유동체(13b)는 하부 결합판(32) 하단에 설치하여 상호 핀(31c)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체(31a)로부터 유동체(31b)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핀(31c) 결합시키면서 고정체(31a) 상단에 걸림단턱(31d)을 형성하여 가동판(3)의 하부 결합판(32)이 상기 고정체(31a)와 유동체(31b)에 의해 일방향 즉, 도3에 도시된 "b방향"으로 회전작용될 때, 상기 고정체(31a) 상단의 걸림단턱(31d)에 의해 소정의 각도(고정체(31a)와 유동체(31b)의 설치간격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허용각도(도3의 (나)참조))로만 회전되게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고, 또 가동판(3)의 상부 안착판(33)을 하부 결합판(32)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형성 한 다음 소정의 길이를 부여하여, 가동판(3)이 도3의 (가)에서와 같이 전도수문(16) 상단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하였을 때, 상부 안착판(33)의 무게로 타측방향(a방향) 쏠림현상을 유발시켜 하기에 설명할 수직받침대(5)(5') 상단의 고정돌기(52)에 안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가동판(3)이 유속에 의하여 "b방향"으로 밀려 회전될 때, 그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역 작용시 수직선상에서 상부 안착판(33)의 "a방향"으로의 무게 중심이동에 따른 원위치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속해제부(a1)는 표면에 타격부재이송공(41)과 손잡이이송공(42)이 일정길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4)과, 상단 일측에 승강손잡이(43)를 가지고 하단 일측에는 타격부재(44)를 가지는 중량조절대(45)와, 상기 중량조절대(45)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낙하이송대(4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중량조절대(45)와 낙하이송대(46)는 가이드프레임(4) 내부에 위치되어 낙하이송대(46)의 하단이 상기 가동판(3)의 안착판(33)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중량조절대(45)의 승강손잡이(43)와 타격부재(44)는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4)의 손잡이이송공(42)과 타격부재이송공(41) 내에 안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속해제부(a1)의 가이드프레임(4)은 도1 내지 도7에서와 같이 본체(1) 일측 측판(11)과 설치프레임(13)사이의 설치판(14)에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회전변속기어부(2) 일측에 위치되게 하고, 동시에 표면 일측 길이선상으로 일정길이의 타격부재이송공(41)과 그 표면의 또 다른 일측(상기 타격부재이송공과 직교되는 표면) 길이선상에 일정길이의 손잡이이송공(4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중량조절대(45)는 일정무게를 가지는 중량체로 구성하면서 그 상단일측에 승강손잡이(43)를 설치하고 하단 일측(상기 손잡이이송공와 직교되는 위치의 표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타격부재(44)를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중량조절대(45)를 가이드프레임(4) 내부에 위치시켜 상단의 승강손잡이(43)는 가이드프레임(4)의 손잡이이송공(42)에 위치시키고, 하단의 타격부재(44)는 가이드프레임(1)의 타격부재이송공(41)에 위치시켜 구성한다.
상기 낙하이송대(46)는 일정 길이로 구성하면서 상기 중량조절대(45) 하부에 상단을 나사결합시키고 하단은 상기 가동판(3)의 안착판(33) 상부면에 안착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받침부(a3)는 전도수문(16) 양측부에 수직받침대(5)(5')를 각각 설치한 다음 상기 전도수문(16)과 접합는 수직받침대(5)(5')의 일측에 수밀패킹(51)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수직받침대(5)(5')를 본체(1)의 양 측판(11)(11') 내측에 수직선상으로 설치하되, 상기 전도수문(16)을 고정하고 있는 힌지(15)와 동일 선상에 위치시켜 전도수문(16)이 도2에서와 같이 와이어(18)의 당김에 의해 닫힘이 되었을 때, 양측 수직받침대(15)(15')가 전도수문(16) 양측부를 지지하여 수직상태가 되게 한다.
또 상기 수직받침대(15)(15') 일측 즉, 전도수문(16)이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 전도수문(16)과 접합는 수직받침대(15)(15') 일측면으로 수밀패킹(51)을 설치하여 전도수문(16)의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 상세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전도수문(16)을 포함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수로(101) 내부에 본체(1)의 하부 즉, 하판(12)과 측판(11)(11') 하부를 내설하여 전도수문(16)이 수로(101)의 길목을 막아 일정량의 관개용수가 담수되게 한다.
이때, 전도수문(16)은 통상적으로 수로(101)의 최상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본체(1) 상부측에 구성되는 전도장치는 수로(101) 최상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따라서, 위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는 강수량이 적은 건기에는 수로(101) 내로 우수 등의 물을 최대한 담수시켜 관개용수로 그 활용을 도모하고, 반대로 강수량이 많은 우기 또는 기상이변에 의한 급작스러운 폭우로 우수 등의 집수가 급격히 증가될 경우에는 전도수문(16)을 자동 전도시켜 우수의 역류로 인한 농지의 침수를 예방하여 준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2에서와 같이 수로(101) 내부에 본체(1)를 설치한 다음 그 본체(1) 내측의 전도수문(16)을 수직상태로 세워 수로의 길목을 차단시킨다.
전도수문(16)은 그 상부 일측에 와이어(18)가 연결되어 있고 그 와이어(18)는 다시 권취드럼(17)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권취드럼(17)의 와이어 권취에 따라 전도수문(16)의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인양되어 위와 같은 수직상태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8)를 권취하는 권취드럼(17)의 회전작용은 도7에서와 같이 드럼회전축(19)과 연결된 구동기어(24)와 피동기어(25) 그리고 종동기어(26)로 구성된 회전변속기어부(2)를 통해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변속기어부(2)의 종동기어(26)와 연결된 래칫기어(21)에 회전손잡이(102)를 설치하여 래칫기어(21)와 상기 회전변속기어부(2)를 연동회전작용으로 권취드럼(17)의 회전을 도모하고 동시에 권취드럼(17)으로의 와이어(18) 권취가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래칫기어(21)와 회전변속기어부(2)의 연동회전작용시, 상기 래칫기어(21)에는 래칫로드(22)의 연결부(28)가 가지는 걸림돌기(29)가 걸림되어 있어, 일방향(와이어를 권취시키는 회전방향)회전만 가능케 하므로 와이어(18)의 권취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또 상기 래칫로드(22)는 그 일측이 가압부(23)의 승강대(23")에 의해 상시 상부측으로 가압위치되면서 연결부(28)의 걸림돌기(29)로 상기 래칫기어(21)를 걸어 회전단속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작용을 통해 전도수문(16)이 수직상태로 위치하면, 전도수문 (16)상단에 구성된 가동판(3)이 도3의(가)에서와 같이 하부의 결합판(32)은 수직상태가 되고 상부의 안착판(33)은 수평상태가 된다.
즉, 유속감지부(a2)의 가동판(3)은 상부 안착판(33)이 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절곡형성되어 그 무게하중에 의한 "a방향"으로의 쏠림현상을 가지고, 동시에 하부 결합판(32)은 가동힌지(31)의 고정체(31a)에 형성된 걸림단턱(21d)에 의해 "b방향"으로의 회전제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3의(나)와 같이 전도수문(16)을 수직상태로 세워 위치시키면, 그 상부의 가동판(3)이 위 가동힌지(31)의 고정체(31a)에 형성된 걸림단턱(31d)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가진 상태에서 상부 안착판(31b)의 무게하중으로 "a방향" 쏠림되고, 동시에 전도수문(16) 양측부에 구성된 수직받침대(5)(5')의 상단 고정돌기(52)에 의해 받침되어 상기 "a방향"으로 쏠림되는 안착판(33)이 도3의(가)와 같은 수평위치를 가지게 한다.
아울러, 상기 전도수문(16)과 그 상부의 가동판(3) 위치상태가 위와 같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속해제부(a1)의 낙하이송대(46)를 상기 가동판(3)의 상부 안착판(33)위에 안착되게 한다.
낙하이송대(46)는 그 상부의 중량조절대(45)와 함께 가이드프레임(4) 내에 위치된 구성으로 무게에 의한 자유낙하 상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낙하이송대(46)를 중량조절대(45)의 승강손잡이(43)를 이용하여 일정높이로 올려 낙하이송대(46) 하단이 가동판(3)의 상부 안착판(33) 상부면에 안착되게 위치시킨다.
이상 전도수문(16)과 그 상부의 가동판(3) 및 낙하이송대(46)의 초기설정 상태는 수로(101) 내부로 관개용수의 담수를 위한 제1실시예이다.
위 제1실시예는 강수량이 적은 건기에 수로(101)를 전도수문(16)으로 차단시켜 우수 등의 물이 최대한 담수 되게하고, 동시에 우기나 폭우 등으로 인하여 우수가 급격히 유입 및 역류하여 농지의 침수 우려가 있을 경우, 자동으로 전도수문(16)을 전도시켜 방류토록 하는 전도수문(16)의 전도 대기상태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실시예인 위 상태에서 우기나 기상변화에 의한 급작스러운 폭우 등으로 많은 량의 우수가 수로(101)내에 급격히 유입되어 전도(16)수문을 범란하게 되면, 본 발명의 가동판(3)이 단속해제부(a1)를 작동시켜 전도수문(16)의 자동전도와 그에 따른 방류를 실시하는 제2실시예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실시예는 위와 같은 특정 이유에 의하여 전도수문(16)으로의 범란이 발생할 경우(도3의(가)상태), 그 범란되는 우수의 유속에 의하여 가동판(3)이 "b방향"으로 밀림,회전하면서 상부 안착판(33)에 안착시킨 낙하이송대(46)의 받침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더불어, 상기 가동판(3)은 상부의 안착판(33)으로 반원형상의 안착구(33')를 구성하여 낙하이송대(46) 하단을 상기 안착구(33') 상에 안착(받침)시킬 경우, 위 작용시 낙하이송대(46)의 낙하신뢰성이 반원형상의 안착구(33')에 의해 미끌림 되면서 보다 빠르고 정확한 낙하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낙하이송대(46)는 가동판(3)의 받침 해제에 의해 상부 중량조절대(45)와 함께 자유낙하상태가 되어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자유낙하 하게 되고, 동시에 낙하이송대(46) 상부에 연결된 중량조절대(45)의 타격부재(44)가 승강대(23")에 의해 상승 고정된 래칫로드(22)를 타격하면서 그 무게 하중으로 래칫로드(22)를 눌러 하강/위치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낙하이송대(46)와 중량조절대(45)는 일정무게중량을 통해 자유낙하시 적정 속도를 가지게 함과 동시에 중량조절대(45)의 타격부재(44)로 래칫로드(22)를 하강시켜 그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가지게 한다.
또 상기 낙하이송대(46)와 중량조절대(45)는 가이드프레임(4)에 의해 수직낙하유도되고, 동시에 중량조절대(45) 상,하단의 승강손잡이(43)와, 타격부재(44)는 각각 손잡이이송공(42)과 타격부재이송공(41)에 안내되어 정이동 및 적정거리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중량조절대(45)는 필요에 따라 상부에 나사결합공을 형성하여 중량체의 추가 결합으로 무게하중의 조절이 가능토록 한다.
한편, 위 작용에 의하여 래칫로드(22)가 중량조절대(45)의 타격부재(44)에 의해 하강되면, 상기 래칫로드(22)는 도12의 상태(래칫로드(22)가 승강대(23")에 의해 상승,위치되었을 때, 그 일측의 연결부(28)가 래칫로드회전축(22')을 중심으로 일방향 회전하면서 외측의 걸림돌기(29)로 래칫기어(21)의 회전을 단속하는 상태)에서 도13의 상태(래칫로드(22)가 중량조절대(45)의 타격부재(44)에 의해 눌림되었을 때, 그 일측의 연결부(28)가 래칫로드회전축(22')을 중심으로 타방향 회전하면서 외측의 걸림돌기(29)에 의한 래칫기어(21) 회전단속을 해제한 상태)로 변환작동하여, 래칫기어(21)의 회전단속을 해제하게 되고 동시 래칫기어(21)와 연결된 회전변속기어부(2) 및 드럼회전축(19)과 그 선상의 권취드럼(17)이 자유회전상태를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가동판(3)의 회전(낙하이송대(46)의 받침회피)으로 낙하이송대(46)와 중량조절대(45)가 자유낙하되면 중량조절대(45)의 타격부재(44)가 래칫로드(22)를 하강고정시켜 위와 같은 래칫기어(21)의 회전단속을 해제하고 동시에 회전변속기어부(2)와 드럼회전축(19) 그리고 권취드럼(17)의 자유회전상태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 설명한 다수 연계 작용을 통해 회전변속기어부(2)와 드럼회전축(19) 그리고 권취드럼(17)의 자유회전상태를 제공하면, 전도수문(16)을 고정하고 있는 와이어(18)의 당김력이 해제되어 전도수문(16)이 범란하는 우수의 유속 및 그 수압에 의하여 자동으로 일측 방향 전도되어 위험한 수위상승에 따른 방류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도수문(16)의 전도 후 원위치 복귀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중량조절대(45)와 낙하이송대(46)를 상부로 일정위치 상승시킨 상태에서 래칫기어(22)에 연결되는 승강손잡이(43)로 회전변속기어부(2)를 회전시켜 권취드럼(17)으로의 와이어(18) 권취 및 그로 인한 전도수문(16)의 복귀를 실시한다.
단, 필요에 따라 상기 승강손잡이(43)를 대신하여 회전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상기 중량조절대(45) 상단에 구성된 승강손잡이(43)를 중량조절대(45)에서 수평회전가능케 설치하고 동시에 가이드프레임(4)의 손잡이이송공(42) 상단에 고정공(103)을 연결형성하여, 상기 작용을 위한 중량조절대(45)와 낙하이송대(46)의 일정위치 상승시, 상기 승강손잡이(43)를 손잡이이송공(42) 상단의 고정공(103)에 걸어 위치고정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전기한 본 발명의 작동부(a) 구성에 있어, 상기 유속감지부(a2)는 설치베어링(6)과, 저항판회전축(61)과, 안착판고정홈(62)과, 받침대(63)와, 저항판(6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 도5 내지 도11에서와 같이 본체(1)의 일측 측판(11)에 설치되는 설치베어링(6)과, 상기 설치베어링(6)에 축설되는 저항판회전축(61)과, 상기 저항판회전축(61) 상부 선상에 형성되는 안착판고정홈(62)과, 상기 안착판고정홈(62)에 볼트장착하여 상기 단속해제부(a1)의 낙하이송대(46) 하단을 받침하는 받침대(63)와, 상기 저항판회전축(61) 하부선상에 설치되는 저항판(64)으로 유속감지부(a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세하게는 상기 구성의 유속감지부(a2)는 먼저, 도6과 도9에서와 같이 본체(1)의 일측 측판(11) 내측면 소정의 높이에 설치베이링(6)을 설치한 다음 그 설치베이링(6)으로 일정길이의 저항판회전축(61)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저항판회전축(61)의 상부 중심 선상에 일정깊이의 안착판고정홈(62)을 형성한 다음 그 내에 받침대(63)의 일측을 결합시켜, 상기 받침대(63)가 저항판회전축(61)에서 일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돌출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63)는 전술한 단속해제부(a1)의 낙하이송대(46)와 동일 선상에 위치시켜 낙하이송대(46)의 하단이 안착(받침)되도록 한다.
또 저항판회전축(61)은 그 하부 중심선상으로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저항판(64)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의 저항판(64)은 저항판회전축(61)이 낙하이송대(46)의 무게하중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의 무게로 구성한다.
즉, 저항판회전축(61)이 설치베어링(6)에 자유회전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그 상부의 받침대(63)로 낙하이송대(46)의 하단을 안착시킬 경우, 낙하이송대(46)의 무게하중에 의해 뜻하지 않은 회전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저항판회전축(61) 하부 중심선상으로 상기 낙하이송대(46)(낙하이송대 상부에 연결된 중량조절대 및 그에 구성된 타격부재와 승강손잡이 모두의 무게하중을 포함)의 무게하중에 의한 저항판회전축(61)의 회전작용을 감쇄시킬 수 있는 무게를 가지는 저항판(64)을 설치(참고 '시소 원리')토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유속감지부(a2)는 전술한 전도수문(16) 상단의 가동판(3)과 동일한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우기 또는 기상이변에 의한 급작스러운 폭우로 우수 등의 집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전도수문(16)의 범란이 발생할 경우, 그 우수의 흐르는 유속에 의하여 상기 저항판(64)이 저항판회전축(61)을 중심으로 강제회전되면서 저항판회전축(61)의 받침대(63)에 안착시킨 낙하이송대(46)의 받침상태를 해제시켜 자유낙하시킨다. 그러면 위 제2실시예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저항판(64)은 앞서 설명한 가동판(3)과는 그 구성이 일부 상이하나 그 작용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하지 않고 생략한다.
참고로, 저항판(64)이 유속에 의해 강제 밀림되어 회전할 경우, 낙하이송대(46)의 무게하중에 대한 저항판(64)의 무게 저항력이 일부 상실되면서 낙하이송대(46)의 자연낙하를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유속감지부(a2)는 본체(1)의 일측 측판(11)으로 그 높낮이를 조절하여 구성할 경우, 다양한 수위에서의 작용을 가능케 하고 더욱이 전도수문(16)과 별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전도수문(16)의 개방 상태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조건하에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유속감지부(a2)의 저항판회전축(61) 하부 중심선상으로 일측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판(65)을 구성하고 또 그 경사판(65) 하단에 다시 상기 경사판(65)의 경사각과 반대되는 경사각을 가지는 저항판(64)을 일체구성시키는 것을 특정으로 한다.
이는 상기 경사판(65)을 저항판회전축(61) 하부 중심선상에서 유속에 의해 회전되어야 하는 방향 (도11을 참조하였을 때, 그 도면을 보는 시점에서 좌측방향의 각도)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구성하고, 상기 저항판(64)은 경사판(65) 하단에서 상기 경사판(65)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각을 가지게 일체 구성하여 유속에 의한 저항판(64)의 저항력을 증대시켜 보다 신속,정확한 회전작용을 도모하고 또 상부 저항판회전축(61)의 회전각도를 크게하여 낙하이송대(46)의 안착(받침상태)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 : 본체 11, 11' : 측판
12 : 하판 13 : 설치프레임
14 : 설치판 15 : 힌지
16 : 전도수문 2 : 회전변속기어부
21 : 래칫기어 22 : 래칫로드
22' : 래칫로드회전축 23 : 가압부
23' : 스프링 23" : 승강대
24 : 구동기어 25 : 피동기어
26 : 종동기어 27 : 회전축
28 : 연결부 29 : 걸림돌기
3 : 가동판 31 : 가동힌지
31a : 고정체 31b : 유동체
31c : 핀 31d : 걸림단턱
32 : 결합판 33 : 안착판
4 : 가이드프레임 41 : 타격부재이송공
42 : 손잡이이송공 43 : 승강손잡이
44 : 타격부재 45 : 중량조절대
46 : 낙하이송대 5,5' : 수직받침대
51 : 수밀패킹 101 : 수로
102 : 회전손잡이 103 : 고정공
a : 작동부 a1 : 단속해제부
a2 : 유속감지부 a3 : 수직받침부

Claims (6)

  1. 양 측판(11)(11')과 하판(12) 그리고 양 측판(11)(11')을 연결하는 설치프레임(13)과, 일측 측판(11)과 설치프레임(13)사이에 설치되는 설치판(14)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와;, 하판(12) 상부에서 전도되도록 힌지(15)로 설치되는 전도수문(16)과;, 일단이 전도수문(16)과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드럼(17)에 권취되는 와이어(18)와;, 상기 권취드럼(17)의 드럼회전축(19)과 연결되어 회전변속을 담당하는 회전변속기어부(2)와;, 회전변속기어부(2)와 연결되어 있는 래칫기어(21)의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로드(22)와;, 상기 래칫로드(22)의 일단을 가압하여 래칫기어(21)와의 걸림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23)와;, 수위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래칫기어(21)와 래칫로드(22)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부(a)로;, 구성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작동부(a)는 유속감지부(a2)와;, 단속해제부(a1)와;, 수직받침부(a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유속감지부(a2)는 다수개의 가동힌지(31)를 통해 전도수문(16) 상단과 연결되는 하부 결합판(32)과, 일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형성하는 상부 안착판(33)으로 이루어진 가동판(3)으로 구성하고,
    상기 단속해제부(a1)는 표면에 타격부재이송공(41)과 손잡이이송공(42)이 일정길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4)과, 상단 일측에 승강손잡이(43)를 가지고 하단 일측에는 타격부재(44)를 가지는 중량조절대(45)와, 상기 중량조절대(45)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낙하이송대(46)로 구성하되, 상기 중량조절대(45)와 낙하이송대(46)를 가이드프레임(4) 내부에 위치시켜 낙하이송대(46)의 하단이 상기 가동판(3)의 안착판(33) 상부에 안착되게 하고, 상기 중량조절대(45)의 승강손잡이(43)와 타격부재(44)는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4)의 손잡이이송공(42)과 타격부재이송공(41) 내에 위치되게 구성하며,
    상기 수직받침부(a3)는 전도수문(16) 양측부에 수직받침대(5)(5')를 각각 설치한 다음 상기 전도수문(16)과 접합는 수직받침대(5)(5')의 일측에 수밀패킹(51)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전도수문(16)과 가동판(3)을 연결하는 가동힌지(31)를 고정체(31a)와 유동체(31b)로 구분 구성하여 상기 고정체(31a)는 전도수문(16) 상단에 설치하고, 유동체(31b)는 가동판(3)의 하부 결합판(32) 하단에 설치하여 상호 핀(31c)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체(31a)로부터 유동체(31b)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핀(31c) 결합시키면서 고정체(31a) 상단에 걸림단턱(31d)을 형성하여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받침대(5)(5') 상단으로 각각 가동판(3)의 상부 안착판(33)을 위치고정하여 주는 고정돌기(5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3)의 상부 안착판(33)으로 반원형상의 안착구(33')를 구성하여 낙하이송대(46) 하단이 상기 안착구(33') 상에 안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5. 양 측판(11)(11')과 하판(12) 그리고 양 측판(11)(11')을 연결하는 설치프레임(13)과, 일측 측판(11)과 설치프레임(13)사이에 설치되는 설치판(14)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와;, 하판(12) 상부에서 전도되도록 힌지(15)로 설치되는 전도수문(16)과;, 일단이 전도수문(16)과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드럼(17)에 권취되는 와이어(18)와;, 상기 권취드럼(17)의 드럼회전축(19)과 연결되어 회전변속을 담당하는 회전변속기어부(2)와;, 회전변속기어부(2)와 연결되어 있는 래칫기어(21)의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로드(22)와;, 상기 래칫로드(22)의 일단을 가압하여 래칫기어(21)와의 걸림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23)와;, 수위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래칫기어(21)와 래칫로드(22)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부(a)로;. 구성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작동부(a)는 유속감지부(a2)와;, 단속해제부(a1)와;, 수직받침부(a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유속감지부(a2)는 본체(1)의 일측 측판(11)에 설치하는 설치베어링(6)과;, 상기 설치베어링(6)에 축설하는 저항판회전축(61)과;, 상기 저항판회전축(61) 선상에 형성하는 안착판고정홈(62)과;, 상기 안착판고정홈(62)에 볼트장착하여 상기 단속해제부(a1)의 낙하이송대(46) 하단을 받침하는 받침대(63)와;, 상기 저항판회전축(61) 하부길이선상으로 설치되는 저항판(64)으로 구성하고,
    상기 단속해제부(a1)는 표면에 타격부재이송공(41)과 손잡이이송공(42)이 일정길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4)과, 상단 일측에 승강손잡이(43)를 가지고 하단 일측에는 타격부재(44)를 가지는 중량조절대(45)와, 상기 중량조절대(45)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낙하이송대(46)로 구성하되, 상기 중량조절대(45)와 낙하이송대(46)를 가이드프레임(4) 내부에 위치시켜 낙하이송대(46)의 하단이 상기 유속감지부(a2)의 저항판회전축(61)에 구성된 받침대(63) 상부에 안착되게 하고, 상기 중량조절대(45)의 승강손잡이(43)와 타격부재(44)는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4)의 손잡이이송공(41)과 타격부재이송공(42) 내에 위치되게 구성하며,
    상기 수직받침부(a3)는 전도수문(16) 양측부에 수직받침대(5)(5')를 각각 설치한 다음 상기 전도수문(16)과 접합는 수직받침대(5)(5')의 일측에 수밀패킹(51)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판회전축(61) 하부 선상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사판(65)과 상기 경사판(65) 하단에 일체 구성시키면서 경사판(65)과 반대되는 경사각을 가지게 한 저항판(64)을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KR20140161305A 2014-11-19 2014-11-19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KR101507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1305A KR101507693B1 (ko) 2014-11-19 2014-11-19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1305A KR101507693B1 (ko) 2014-11-19 2014-11-19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693B1 true KR101507693B1 (ko) 2015-04-07

Family

ID=5303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1305A KR101507693B1 (ko) 2014-11-19 2014-11-19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6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9019A (zh) * 2015-06-08 2015-11-25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超高水头的闸门充压止水方法及装置
KR101867216B1 (ko) * 2017-02-15 2018-07-19 박기철 보(洑)전용 전도수문
CN112709197A (zh) * 2020-12-23 2021-04-27 山西水投防护技术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建设用的防泄漏水闸装置
KR20230072227A (ko) * 2021-11-17 2023-05-24 전재권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CN117868057A (zh) * 2024-03-12 2024-04-12 辉县市中州水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闸门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588U (ko) * 1989-10-20 1991-10-02
KR100768082B1 (ko) 2006-06-29 2007-10-18 주식회사 광명산업기계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851860B1 (ko) 2006-11-24 2008-08-13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유압모터구동식 와이어드럼 수문구조
KR20100128588A (ko) * 2009-05-28 2010-12-08 윤영직 수문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588U (ko) * 1989-10-20 1991-10-02
KR100768082B1 (ko) 2006-06-29 2007-10-18 주식회사 광명산업기계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851860B1 (ko) 2006-11-24 2008-08-13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유압모터구동식 와이어드럼 수문구조
KR20100128588A (ko) * 2009-05-28 2010-12-08 윤영직 수문고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9019A (zh) * 2015-06-08 2015-11-25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超高水头的闸门充压止水方法及装置
KR101867216B1 (ko) * 2017-02-15 2018-07-19 박기철 보(洑)전용 전도수문
CN112709197A (zh) * 2020-12-23 2021-04-27 山西水投防护技术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建设用的防泄漏水闸装置
KR20230072227A (ko) * 2021-11-17 2023-05-24 전재권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KR102608056B1 (ko) * 2021-11-17 2023-11-29 전재권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CN117868057A (zh) * 2024-03-12 2024-04-12 辉县市中州水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闸门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693B1 (ko)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KR100693310B1 (ko) 안전록킹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전도 수문
KR102179500B1 (ko) 스핀들장치
KR100712604B1 (ko) 힌지식 수문 및 그 구동방법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KR100662861B1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KR102169199B1 (ko) 수문개폐장치
KR102179578B1 (ko) 클러치권양장치
KR101075941B1 (ko) 수문조절장치
KR100885968B1 (ko)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KR200463153Y1 (ko) 선박용 에어벤트의 개폐장치
KR101439225B1 (ko) 수로 개폐형 협잡물 제진장치
KR100838201B1 (ko) 장애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수문
KR200470055Y1 (ko) 용배수로용 수문
KR20090027496A (ko) 합류식 하수 시스템의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US10053829B2 (en) Flashboard riser system and method for water management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KR200442618Y1 (ko) 부력을 이용한 자동수문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20110125057A (ko) 자동 어도 장치
JP4038436B2 (ja) 転倒ゲート装置
JP2008106461A (ja) フラッシュゲート
KR200377424Y1 (ko) 하천수량에 따라 배수량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
JP2009100683A (ja) 水田貯水装置
KR100769345B1 (ko)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