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056B1 -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056B1
KR102608056B1 KR1020210158749A KR20210158749A KR102608056B1 KR 102608056 B1 KR102608056 B1 KR 102608056B1 KR 1020210158749 A KR1020210158749 A KR 1020210158749A KR 20210158749 A KR20210158749 A KR 20210158749A KR 102608056 B1 KR102608056 B1 KR 10260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water
river
sluice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2227A (ko
Inventor
전재권
전유석
신순하
Original Assignee
전재권
전유석
신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권, 전유석, 신순하 filed Critical 전재권
Priority to KR1020210158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0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방식으로 가동보를 간접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작동부를 수중이나 수면과 비 접촉시켜 부식이나 고장 발생에 대한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양측과 바닥의 구조물에 시공하는 수문, 상기 수문의 끝단을 들어올려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부, 상기 수문에 쌓여진 토사 및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거부를 구성하여; 하천이나 강의 물과 접촉은 수문만 이루어지도록 하며 작동부는 상부에 설치하여 물에 의한 부식이나 작동불능을 예방하여 장비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관리 유지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Conductive sluice actuation system}
본 발명은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보와 보의 작동을 위한 작동부를 분리하여 관리의 편의성과 장치의 수명을 증대시켜 강, 하천, 호수 유입로나 배수로, 기존의 보가 설치된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동보의 제작업체, 가동보 설치업체 등에 적용가능한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이란 일반적으로 농업 또는 산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물을 가둬 사용하는 것으로, 물을 일정량 가두기 때문에 어류의 생태계에 좋은 영향을 끼치며 홍수에 의해 물이 불어날 때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수해의 피해를 줄이는데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수문은 수문의 회전 중심을 하부에 형성하여 수문이 물 흐르는 방향으로 쓰러지면서 물이 수문을 타고 넘는 전도식과 수문의 회전 중심을 상부에 형성하여 수문의 하부가 물 흐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이 수문의 하부로 흐르도록 하는 하단 배출식으로 나누어진다.
전도식 수문은 수문 본체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가 하부에 형성되고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기립되거나 하천 바닥에 도복된 상태로 구성되어, 기립 상태에서 담수된 물이 수문 본체를 타고 넘어가면서 배출되며, 홍수시에는 지면과 밀착되도록 도복되어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도식 수문은 홍수시에는 물과 이물질(모래, 자갈, 나무뿌리, 바위 덩어리) 등이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꺾여진 수문 본체를 타고 넘어가면서 흐르기 때문에 수문 본체의 아래쪽에서 물이 소용 돌이치는 와류 현상이 일어난다.
즉, 와류 현상에 의해서 수문 본체의 아래쪽에 자갈과 모래가 쌓이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수문의 하부에 자갈과 모래등이 쌓이면 홍수 때 수문이 지면에 100% 개방이 되지 않아서 홍수 수위가 높아지므로 홍수피해를 가중시키며 홍수후에도 수문의 하부에 쌓인 자갈, 모래 등을 제거해야 하는 유지관리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특허 제0848186호 무언체 전도 수문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무언체 전도 수문은 담수된 물이 수문 본체를 넘어 배출될 때 수문 본체 저부에서 와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수문 본체 저부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문 본체가 하천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하천의 폭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하천 변의 언체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 또는 도복하면서 상기 하천을 막거나 개방하는 수문 본체와; 상기 수문 본체를 강제로 기립 또는 도복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수문 본체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 본체의 기립 및 도복과 연동하면서 상기 수문 본체를 타고 넘는 물과 이물질이 상기 수문 본체의 저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이물질 차단 및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차단 및 지지대는, 하단부가 상기 하천의 바닥면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단부가 상기 수문 본체의 저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천의 바닥에 매설되며 로드의 단부가 상기 이물질 차단 및 지지대의 저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이물질 차단 및 지지대와 상기 수문 본체를 구동시키는 구동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이물질 차단 및 지지대에 의해 수문 본체의 하류측에 각종 이물질이 쌓이지 않으므로 수문의 오동작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 차단 및 지지대는 하천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이물질 차단 및 지지대의 저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워 수질 오염을 야기시키며 이물질로 인해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은 수문의 전방 측에 모래나 토사, 부유물 등이 쌓여 수문을 작동시 수문의 회동이 어려우며 수문에 하중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수문을 가동시키기 위한 작동부가 물에 접촉하거나 접촉 가능성이 증대되어 부식이 발생됨으로써 손상이나 파손의 가능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전도식 수문의 자체는 물과 직접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하며, 작동부는 물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여 부식이나 고장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0934335호 (대운하용 회전식수문) 등록특허 제10-0907021호 (유압식 전도 수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이나 강의 물과 접촉은 수문만 이루어지도록 하며 작동부는 상부에 설치하여 물에 의한 부식이나 작동불능을 예방하는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부를 수중이나 지속적인 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수명을 증대시키며 수중에서 대응력이 강한 수문만을 교체하도록 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문의 전방 및 상부에 쌓이는 퇴적 토사 및 부유물을 제거부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문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호이스트를 수평 및 상승 이동하도록 하여 수문의 회동성을 증대시키는 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가동부 및 제거부의 작동을 전력을 생산 및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작동을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은 하천이나 강 등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도록 하천의 양측과 바닥에 시공한 구조물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문,상기 구조물에 설치하며 크레인 방식으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리프팅 작동과 이동 작동을 동시에 수행하여 수문을 회동시키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각각 직접 설치하는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로프레임의 상부면에 올려지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을 수문이 세워지게 회동되는 궤적과 반대되는 곡률을 지니며 상부로 휘어진 상승단이 형성되며, 상기 상승단의 상부 끝단에는 호이스트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인양되는 권취기가 설치되어 수문의 회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의 권취작동과 상승단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호이스트의 상승이동에 의해 수문을 세워지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천이나 강의 물과 접촉은 수문만 이루어지도록 하며 작동부는 상부에 설치하여 물에 의한 부식이나 작동불능을 예방하여 장비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관리 유지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동부를 수중이나 지속적인 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수명을 증대시키며 수중에서 대응력이 강한 수문만을 교체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수문의 전방 및 상부에 쌓이는 퇴적 토사 및 부유물을 제거부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어 수문의 원활한 작동과 하중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수문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호이스트를 수평 및 상승 이동하도록 하여 수문의 회동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가동부 및 제거부의 작동을 전력을 생산 및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작동을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의 설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의 설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태양광셀이 적용된 설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태양광셀이 적용된 설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태양광셀이 적용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이동프레임이 변형 적용된 설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이동프레임이 변형 적용된 설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이동프레임이 변형 적용된 구성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의 작동 순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이동프레임이 변형 적용된 작동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하천이나 강 등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전도식 수문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양측과 바닥의 구조물(1)에 시공하는 수문(10), 상기 수문(10)의 끝단을 들어올려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부(20), 상기 수문(10)에 쌓여진 토사 및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거부(30)로 작동시스템(100)을 구성한다.
상기 작동시스템(100)은 하천의 양측과 바닥에 시공한 구조물(1)에 힌지(1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문(10)을 설치한다.
상기 구조물(1)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하천이나 강의 양측면과 바닥에 보 형태로 시공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하는 수문(10)은 하천이나 강을 가로 방향 폭에 맞는 길이를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판 형태로 전방 양 끝단에 구조물(1)에 결합되는 힌지(11)를 형성하며 상부면에는 물이 유동하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삼각형 보강판(12)을 설치하며 양 끝단 지점에는 작동부(20)와 연결을 위한 한 쌍의 후크단(13)을 형성한다.
상기 후크단(13)에는 작동부(20)에 연결하기 위하여 고리 형태의 슬링(14)을 설치한다.
상기 수문(10)은 후방 끝단이 하천의 물이 유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물을 담수할 수 있으며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물의 유동량을 조절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1)에 설치하며 크레인 방식으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리프팅 작동과 이동 작동을 동시에 수행하여 수문(10)을 회동시키는 작동부(20)를 구성한다.
상기 작동부(20)는 하천이나 강의 가로 방향으로 구조물(1)의 상부에 설치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21)을 형성한다.
상기 가로프레임(21)은 하천이나 강의 양측에 시공된 구조물(1)의 상부에 각각 직접 설치하는 기둥(21a)을 연결하면서 설치한다.
상기 가로프레임(21)의 상부에 설치하며 하천이나 강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이동프레임(22)을 설치한다.
상기 이동프레임(22)은 가로프레임(21)의 양 끝단 지점이며 수문(10)의 후크단(13)과 동일선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이동프레임(22)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호이스트(23)를 설치하며, 이동프레임(22)을 따라 이동을 위한 호이스트 이송모터(23a)의 하부에 후크(23b)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 권취모터(23c)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프레임(22)의 상부에 설치하여 호이스트(23)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강프레임(24)에 설치되는 태양광셀(25)을 설치한다.
상기 태양광셀(25)에서 생산하는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기(26)를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수문(10)의 전방이나 상부에 퇴적된 토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부(30)를 구성한다.
상기 제거부(30)는 구조물(1)에 설치하며 수문(10)의 전방부터 상부면에 존재하는 토사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브러쉬(32)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브러쉬(32)는 수중에서도 작동하는 브러쉬모터(31)와 연결되는 브러쉬축(32a)에 강철 또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바 형태로 제조한 브러쉬(32b)을 형성하여 수문(10)의 상부에 쌓여진 토사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구성한다.
상기 회전브러쉬(32)의 양 끝단에 연결하는 회동프레임(33)을 형성하는데, 상기 브러쉬모터(31)는 회동프레임(33)의 외측면에 고정하며, 브러쉬축(32a)은 회동프레임(33)을 관통하여 브러쉬모터(31)와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회동프레임(33)을 회동시켜 수문(10)의 전방부터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를 구성한다.
상기 회동프레임(33)의 상부는 구조물(1)에 회전되도록 회전축(33a)을 이용하여 회전되도록 설치하며, 회동프레임(33)의 상부 끝단 원형으로 형성되어 프레임기어(33b)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기어(33b)에 연결되는 구동기어(34a)가 설치된 구동모터(34)를 구조물(1)에 설치하여 구동모터(34)가 구동할 경우 구동기어(34a)의 구동력이 프레임기어(33b)로 전달되면 회동프레임(33)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작동부(20) 및 제거부(30)를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부(40)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40)와 연동되는 무선통신모듈(41)를 형성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41)을 통해 제어하는 개인통신단말기(42)를 이용하는데, 개인통신단말기(42)는 핸드폰, PDA, 개인용PC 등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이동프레임(22)을 수문(10)이 회동되는 방향으로 상부로 휘어진 상승단(22a)을 형성한다.
상기 상승단(22a)의 상부 끝단에는 호이스트(23)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하는 권취기(27)를 형성하여 수문(10)의 회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23)의 수평 이동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권취기(27)는 와이어(28)가 권취되어 있으며 호이스트이송모터(23a)의 일측에 와이어(28)를 연결하여 상승단(22a)을 따라 호이스트(23)의 이동시 상승 인양력을 추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작동시스템(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시스템(100)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하천이나 강의 폭에 맞게 별도로 제작한 수문(10)의 힌지(11)를 구조물(1)에 회전되도록 설치한다.
이후, 상기 작동부(20)를 구조물(1)에 기둥(21a)을 설치한 후 가로프레임(21) 및 호이스트(23)를 설치한 이동프레임(22)을 시공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20)에 태양광셀(25)이 적용될 경우 보강프레임(24)의 상부로 설치하며 구조물(1)의 일측에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기(26)를 설치한 후 호이스트(23)와 제거부(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부(40)와 연결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40)는 하천이나 강의 양측에 위치하며 마주보는 구조물(1)에 회동프레임(33)과 구동모터(34)를 설치하여 프레임기어(33b)와 구동기어(34a)는 기어 연결하고 회동프레임(33)의 사이에 회전브러쉬(32)를 설치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이러한, 상기 작동시스템(100)은 유동하는 물을 임시 저장하거나 하류로 유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문(1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물의 저장이나 유동량 조정이 불 필요할 경우에는 수문(10)은 작동부(20)와 연결시키지 않은 상태로 하천이나 강 바닥에 눕혀서 보관하여 물이 수문(10)을 넘어 유동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작동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수문(10)을 작동시킬 경우에는 장시간 수문(10)의 작동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수문(10)의 전방면이나 상부면에 퇴적 토사 및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어부(40)의 제어를 통해 브러쉬모터(31)를 회전시켜 회전브러쉬(32)를 수문(10)의 후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구동모터(34)를 작동시켜 구동기어(34a)와 기어 연결된 프레임기어(33b)를 회전시켜 회동프레임(33)을 수문(10)의 후방 방향으로 회동시켜 수문(1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토사 및 부유물을 수문(10)을 넘어 하류 방향으로 제거한 후 수문(10)의 작동하는 범위에 간섭되지 않는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제거부(30)의 작동이 완료되면 호이스트(23)의 호이스트 권취모터(23c)를 작동시켜 후크(23b)를 하부로 이동시켜 수문(10)의 슬링(14)을 후크(23b)에 걸림시킨다.
이후, 상기 호이스트 권취모터(23c)를 반대로 작동시켜 후크(23b)가 상승하게 되면 수문(10)의 후방 끝단측이 힌지(11)를 기준으로 상부로 회전하게 되는데, 수문(10)은 회전축(33a)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호이스트(23)의 호이스트 이송모터(23a)를 작동시켜 수문(10)이 회동하는 방향으로 호이스트(23)를 이동시켜 수문(1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호이스트(23)의 호이스트 권취모터(23c)의 작동에 의한 후크(23b)의 상승 높이와 호이스트 이송모터(23a)의 작동에 의한 호이스트(23)가 이동하는 수평 이동시키는 거리에 따라 수문(10)의 회동 각도를 간단히 조정하는 특징이 있다.
반대로, 상기 수문(10)의 회동 각도를 복귀시킬 경우에는 호이스트(23)를 최초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후크(23b)를 하강시키면 수문(10)의 자체 중량에 의해 하천이나 강의 바닥에 눕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22)을 굴곡시켜 상승단(22a)을 형성한 경우에는 후크(23b)에 수문(10)의 슬링(14)이 연결된 상태에서 후크(23b)의 상승작동과 호이스트 이송모터(23a)과 권취기(27)의 작동으로 호이스트(23)가 상승단(22a)을 따라 이동하면 상승단(22a)이 적용하지 않은 이동프레임(22)을 이용할 경우보다 수문(10)의 최대 회동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23)의 수평 이동거리를 감소하게 되어 빠르면서 작동부(20)의 체적을 절감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문(10)을 세우지도록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호이스트(23)의 이동 및 권취 작동에 의해 수문(10)이 상부로 당겨져 세워지며, 상기 호이스트(23)와 연결된 와이어가 권취기(27)의 작동에 의해 권취되면서 호이스트(23)가 상승단(22a)을 따라 상승되면서 수문(10)을 직립시키기 위한 호이스트(23)의 수평 이동거리를 감소되는 동시에 수문(10)을 빠르게 직립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작동시스템(100)를 개인통신단말기(42)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호이스트(23)의 후크(23b)에 수문(10)의 슬링(14)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에서 관리자나 사용자가 개인통신단말기(42)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모듈(41)에 의해 무선신호를 전달하면 제어부(40)에서 충전기(26)의 전원을 제어하여 작동부(20)의 후크(23b)의 상승과 하강작동 및 호이스트(23)의 수평이동작동, 제거부(30)의 작동을 시행시킬 수 있어 원거리나 근거리에서 제어 및 조정을 간단하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작동시스템(100)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구조물 10 : 수문
11 : 힌지 12 : 보강판
13 : 후크단 14 : 슬링
20 : 작동부 21 : 가로프레임
21a : 기둥 22 : 이동프레임
22a : 상승단 23 : 호이스트
23a : 이송모터 23b : 후크
23c : 권취모터 24 : 보강프레임
25 : 태양광셀 26 : 충전기
27 : 권취기 28 : 와이어
30 : 제거부 31 : 브러쉬모터
32 : 회전브러쉬 32a : 브러쉬축
32b : 브러쉬 33 : 회동프레임
33a : 회전축 33b : 프레임기어
34 : 구동모터 34a : 구동기어
40 : 제어부 41 : 무선통신모듈
42 : 개인통신단말기 100 : 작동시스템

Claims (5)

  1. 하천이나 강 등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도록 하천의 양측과 바닥에 시공한 구조물(1)에 힌지(1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문(10),상기 구조물(1)에 설치하며 크레인 방식으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리프팅 작동과 이동 작동을 동시에 수행하여 수문(10)을 회동시키는 작동부(20)로 이루어지는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조물(1)의 상부에 각각 직접 설치하는 기둥(21a)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로프레임(21)의 상부면에 올려지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2)을 수문(10)이 세워지게 회동되는 궤적과 반대되는 곡률을 지니며 상부로 휘어진 상승단(22a)이 형성되며,
    상기 상승단(22a)의 상부 끝단에는 호이스트(23)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인양되는 권취기(27)가 설치되어 수문(10)의 회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23)의 권취작동과 상승단(22a)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호이스트(23)의 상승이동에 의해 수문(10)을 세워지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58749A 2021-11-17 2021-11-17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KR10260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749A KR102608056B1 (ko) 2021-11-17 2021-11-17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749A KR102608056B1 (ko) 2021-11-17 2021-11-17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227A KR20230072227A (ko) 2023-05-24
KR102608056B1 true KR102608056B1 (ko) 2023-11-29

Family

ID=8654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749A KR102608056B1 (ko) 2021-11-17 2021-11-17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0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876B2 (ja) * 1992-11-20 2001-08-20 株式会社東芝 プログラム解析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941317B1 (ko) * 2009-08-27 2010-02-05 이종문 원격 제어식 전도식 가동보
KR101507693B1 (ko) * 2014-11-19 2015-04-07 박기철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KR101690737B1 (ko) * 2016-02-03 2016-12-29 이청규 전도식 수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35B1 (ko) 2008-03-04 2009-12-29 오재욱 대운하용 회전식수문
KR100907021B1 (ko) 2008-09-11 2009-07-09 주식회사 우진산업 유압식 전도 수문
KR101054539B1 (ko) * 2009-01-03 2011-08-04 오재욱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JP3199876U (ja) * 2015-04-24 2015-09-17 仁久 宇野 ウオームギア式減速機駆動方式小水路用小型起伏ゲ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876B2 (ja) * 1992-11-20 2001-08-20 株式会社東芝 プログラム解析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941317B1 (ko) * 2009-08-27 2010-02-05 이종문 원격 제어식 전도식 가동보
KR101507693B1 (ko) * 2014-11-19 2015-04-07 박기철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KR101690737B1 (ko) * 2016-02-03 2016-12-29 이청규 전도식 수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227A (ko) 202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275B1 (ko) 무언체 수문
KR100929613B1 (ko) 복합게이트 수문비
CN211816540U (zh) 一种水利水电大坝用清淤装置
CN211080161U (zh) 一种水电站防污打捞装置
US2922282A (en) Fishway
KR102608056B1 (ko)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CN205492149U (zh) 一种集鱼池拦鱼装置
CN109056879A (zh) 一种河道淤泥清理装置及施工方法
KR101302203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CN100543236C (zh) 防淤闸门
CN110273407B (zh) 转向装置、过鱼系统及过鱼方法
CN209907331U (zh) 一种具有自动刮除表面污垢功能的水利用闸门
CN113431000B (zh) 一种具有导流槽的水力清污翻板闸门及其清污运行方法
CN105794708A (zh) 一种集鱼池拦鱼电栅结构
JP5859761B2 (ja) ダム堆砂集積装置と集積方法
CN210857146U (zh) 自动输送过坝的水利装置
KR101067725B1 (ko) 환경친화형 리프트식 어도
KR100932665B1 (ko) 하천유속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바닥 블록 시설물
CN209941629U (zh) 闸阀管道式过鱼设施
CN108661021B (zh) 江海近岸入海口源头垃圾拦截及收集系列控制系统
JP2015135056A5 (ko)
KR101030948B1 (ko) 로타리식 제진기의 레이크 장치
CN106193160A (zh) 一种鼹鼠掀沙型自动排沙及淤沙有效利用装置
CN219298138U (zh) 一种水利闸口积淤拦截装置
CN210827371U (zh) 一种水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