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737B1 - 전도식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전도식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737B1
KR101690737B1 KR1020160013701A KR20160013701A KR101690737B1 KR 101690737 B1 KR101690737 B1 KR 101690737B1 KR 1020160013701 A KR1020160013701 A KR 1020160013701A KR 20160013701 A KR20160013701 A KR 20160013701A KR 101690737 B1 KR101690737 B1 KR 10169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ase block
water
gat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규
이수강
안종섭
Original Assignee
이청규
이수강
안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청규, 이수강, 안종섭 filed Critical 이청규
Priority to KR102016001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로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블럭; 베이스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을 담수하거나 또는 방류시키는 전도 게이트; 베이스블럭에 구비되어 담수된 물을 수로에 쌓인 퇴적물로 고압 분사하는 전방 분사관; 베이스블럭에 구비되어 담수된 물을 전방 분사관으로 압송하여 공급하는 펌프; 및 전방 분사관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도식 수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도식 수문장치{Floodgate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도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도 게이트의 회전시 워터백 현상에 의해 눕혀진 전도 게이트 하부에 침전되어 쌓이는 퇴적물을 수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전도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또는 하천의 여수로에는 하측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눕혀지거나 세워지면서 물을 담수하거나 방류시키는 전도 게이트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전도 게이트는 담수된 물이 흘러내리는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갖고 경사지게 설치되고, 물이 전도 게이트의 상단을 넘어 흘러내리게 된다.
전도 게이트의 상단을 넘어 흘러내리는 물에는 각종 부유물(고목, 나뭇가지, 잡초, 쓰레기 등)이 섞여 있고, 이러한 부유물은 전도 게이트의 상단을 넘은 후 전도 게이트 하부의 수로에 쌓이게 되는데, 특히 전도 게이트의 개방시 눕혀지는 전도 게이트가 수로 바닥면에 근접될 때 워터백 현상에 의해 전도 게이트와 수로 바닥면 사이로 퇴적물이 흘러들어가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수로 바닥면에 쌓인 부유물 즉 퇴적물(이하 "퇴적물"이라 한다)에 의해 전도 게이트가 열릴 때 눕혀지는 전도 게이트가 퇴적물에 걸려 전도 게이트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시킬 수 없는 등의 오동작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종래의 한국 특허등록 제10-1040322호에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전도수문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040322호에는, 전도 게이트의 배면에 이물질 제거판을 힌지로 설치하되, 이물질 제거판의 하부는 바닥면에 밀착되게 하고, 이물질 제거판은 전도 게이트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어 전도 게이트를 세우고 눕히는 받침대의 바닥을 전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려지게 함으로써 전도 게이트가 세워질 때 이물질 제거판이 전도 게이트의 배면 공간을 막아주는 형태로 세워지고, 전도 게이트가 눕혀질 때 이물질 제거판이 눕혀지면서 전도 게이트가 안정적으로 눕혀지도록 함과 동시에 전도 게이트의 배면 하부에 쌓인 퇴적물을 밀어내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한국 특허등록 제10-1040322호에 개시된 전도수문은, 전도 게이트가 세워지거나 눕혀짐에 따라 이물질 제거판이 세워지거나 눕혀지게 한 것으로, 전도 게이트가 세워지고 눕혀짐에 따라 이물질 제거판도 세워지고 눕혀지는 구조가 복잡하고, 안정된 동작을 보장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 특허등록 제10-1040322호에 개시된 전도수문에서는, 전도 게이트가 개방 즉 눕혀질 때, 이물질 제거판이 연동되어 펼쳐지면서 전도 게이트의 배면에 쌓인 퇴적물을 외측으로 밀어내 제거하는데, 이 역시도 이물질 제거판의 안정되고 정확한 작동을 보장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전도 게이트와 연동되는 이물질 제거판은 그 하단부가 수로의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펼쳐지는데, 이때 회전되는 이물질 제거판의 하단부와 수로 바닥면 사이에는 갭이 생기게 되고, 이 갭을 통해 수로 바닥면의 퇴적물 중 일부는 그대로 수로에 남게 되므로 이물질 제거판에 의한 이물질 제거효율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전도 게이트 및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4032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도 게이트에 의해 담수된 하층수를 전도 게이트의 정면 하부에 쌓이는 퇴적물로 고압 분사하여 퇴적물을 수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전도식 수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전도 게이트에 의해 담수된 하층수를 공중으로 분사하여 순환시켜 줌으로써 녹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도식 수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장치는, 수로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블럭; 베이스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을 담수하거나 또는 방류시키는 전도 게이트; 베이스블럭에 구비되어 담수된 물을 수로에 쌓인 퇴적물로 고압 분사하는 전방 분사관; 베이스블럭에 구비되어 담수된 물을 전방 분사관으로 압송하여 공급하는 펌프; 및 전방 분사관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블럭에는 담수된 수중에 구비되어 펌프에 의해 물을 유입되었다가 전방 분사관으로 공급되는 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챔버는, 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브러쉬가 나선형으로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챔버 내로 유입된 물을 펌프 측으로 이송시켜 공급할 수 있으며, 챔버는 그 상면에 탈.부착 가능한 커버가 구비되고, 커버는 타공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브러쉬는 커버의 타공을 관통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커버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블럭에는 전방 분사관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구동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 구동기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기어; 각 피동기어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편 피동기어와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연동기어; 양 연동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양 연동기어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출력기어; 및 출력기어에 연결되어 출력기어와 같이 일체로 회전되는 한편 전방 분사관에 결합 고정되는 출력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연동기어는 기어부가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고, 양 연동기어의 기어부는 출력기어에 번갈아 가면서 치합되어 출력기어를 정.역 회전시킬 수 있으며, 구동부의 연결축에는 챔버에 구비되는 회전축이 연결되어 연결축과 회전축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블럭과 전도 게이트 사이에는 담수의 유출을 차단하면서 세워진 전도 게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차단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차단판은 그 양단부가 각각 베이스블럭과 전도 게이트에 결합 고정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방향으로 만곡된 탄성부가 형성되어, 세워진 전도 게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도 게이트는 그 상단부에 펌프에 의해 압송된 담수가 공급되어 공중으로 분사되는 상부 분사관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전도 게이트의 상단부에는 상부 분사관에 의해 공중으로 분사되는 담수를 안내하는 안내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도식 수문장치에 따르면, 전도 게이트에 의해 담수된 하층수를 전도 게이트의 정면 하부에 쌓이는 퇴적물로 고압 분사하여 퇴적물을 수시로 제거할 수 있고, 퇴적물이 쌓이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전도 게이트의 안정적이고 원활하면서도 정확한 작동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도식 수문장치에 따르면, 전도 게이트에 의해 담수된 하층수를 공중으로 분사하여 순환시켜 줌으로써 담수된 하층수의 녹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분수효과로 주변 경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장치의 이물질 제거 및 하층수 정화과정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장치의 이물질 제거 및 하층수 정화과정을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분사관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도시한 분리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장치의 구동부와 전방 분사관의 결합관계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장치의 하층수 공급수단에 구비되는 브러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층수 공급수단의 단면 및 브러쉬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인덕션 브라켓이 구비된 전도식 수문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인덕션 브라켓이 구비된 전도식 수문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수문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블럭(200)과, 베이스블럭(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을 담수하거나 또는 방류시키는 전도 게이트(100)와, 베이스블럭(200)에 구비되어 담수된 물을 수로에 쌓인 퇴적물(1)로 고압 분사하는 전방 분사관(130)과, 베이스블럭(200)에 구비되어 담수된 물을 전방 분사관(130)으로 압송하여 공급하는 펌프(180)와, 전방 분사관(130)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90)를 포함한다.
베이스블럭(200)은 수로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고정되고, 그 양측부에는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측방블럭(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블럭(200)에는 후술될 펌프(180)와, 챔버(160)가 구성되고, 측방블럭(210)에는 후술될 전방 분사관(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90)가 구비된다.
전도 게이트(100)는 베이스블럭(200)과 양 측방블럭(21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된다.
즉, 베이스블럭(200)의 정면(담수되는 저수지의 반대편 쪽 면) 하부에는 복수의 힌지브라켓(110)(110a)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전방의 제 1 힌지브라켓(110)에는 전도 게이트(100)의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방의 제 2 힌지브라켓(110a)에는 전도 게이트(100)를 회전시키는 실린더(120)의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실린더(120)는 유압실린더로서, 그 상단부에는 피스톤(121)이 출입가능하게 구비되고, 실린더(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피스톤(121)의 단부는 전도 게이트(100)의 정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실린더(120)에서 피스톤(121)이 출입됨에 따라 전도 게이트(100)가 회전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면서 물을 담수하거나 방류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블럭(200)의 정면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분사관(130)이 구비되고, 이 전방 분사관(130)은 베이스블럭(200)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클램프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 고정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전방 분사관(130)은 그 전면부에 다수의 고압노즐이 일정간격마다 구비되어, 전방 분사관(130)으로 공급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전방 분사관(130)은 베이스블럭(200)의 정면 상에서 일정각도로 상,하로 회전되고, 이러한 전방 분사관(130)의 회전은 측방블럭(210)에 구비되는 구동부(19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구동부(190)는 도 4 및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되어 수밀 유지된 함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90a)과, 하우징(190a) 내에 구비되는 모터(191)와, 다수의 기어들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다수의 기어들은, 모터(191)에 의해 직접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192)와, 구동기어(19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구동기어(192)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기어(194)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구동기어(192)와 양 피동기어(194)는 같은 열에 나란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각 피동기어(194)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편 피동기어(194)와 연결축(195)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연동기어(196)와, 양 연동기어(196) 사이에 구비되어 양 연동기어(196)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출력기어(197)와, 출력기어(197)에 연결되어 출력기어(197)와 같이 일체로 회전되는 한편 전방 분사관(130)에 결합 고정되는 출력축(198)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양 연동기어(196)와 출력기어(197) 역시도 같은 열에 나란히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다수의 기어들 중, 양 피동기어(194)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한다. 이는, 하나의 수로에 2개의 전도 게이트(100)를 나란하게 설치하는 경우(이하에서는 2개의 전도 게이트(100)가 설치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양 전도 게이트(100)에 구비되는 후술될 회전축(170)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회전축(17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후술될 챔버(160) 내로 유입된 물을 각각의 펌프(180) 측으로 이동시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각 피동기어(194)와 연결축(195)으로 연결된 각 연동기어(196)는 이에 연결된 해당 피동기어(194)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되는 바, 이와 같은 연동기어(196)는 출력기어(197)와 치합되는 부채꼴 형상의 기어부(196a)가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고, 양 연동기어(196)의 기어부(196a)는 출력기어(197)에 번갈아 가면서 치합되어 출력기어(197)를 정.역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양 연동기어(196)는 기어부(196a)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양 연동기어(196)의 기어부(196a)가 출력기어(197)에 차례로 치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출력축(198)은 전방 분사관(130)과 직접 연결되어 전방 분사관(130)을 직접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신속한 응답력을 얻을 수 있고, 연결축(195)에는 2개의 전도 게이트(100)에 각각 구비되는 후술될 회전축(170)이 각각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즉, 일측 전도 게이트(100)에 구비되는 구동부(190)의 연결축(195)에 일측 전도 게이트(100)에 구비되는 회전축(170)이 연결되면, 타측 전도 게이트(100)에 구비되는 다른 구동부(190)의 연결축(195)에는 타측 전도 게이트(100)에 구비되는 회전축(170)이 연결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연결된 양 전도 게이트(100)의 회전축(170)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챔버(160)로 유입된 물을 각각의 펌프(18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연결축(195)과 회전축(170) 간에는 위치 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프로킷휠과 체인을 매개로 하여 연결축(195)과 회전축(170)을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블럭(200)의 중앙부에는 펌프(180)가 구비되고, 이 펌프(180)는 하우징(182) 내에 구비되어 담수의 각종 부유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러한 펌프(180)는 수중에 구비되는 볼텍스 펌프로서, 후술될 챔버(16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담수 중의 일부를 챔버(160) 내로 압송하여 공급할 수 있고, 연결관(181)을 매개로 전방 분사관(130) 및 후술될 상부 분사관(140)과 연결되어 챔버(160) 내로 압송된 물을 전방 분사관(130)과 상부 분사관(140)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블럭(200)에는 담수된 수중에 구비되어 펌프(180)에 의해 담수의 일부가 유입되는 챔버(160)가 구비된다.
챔버(160)는 베이스블럭(200)의 상면 내측으로 삽입되어 구비되고, 챔버(160)의 상면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1)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커버(161)는 타공판으로 구비되는 한편 그 중앙부가 후술될 회전축(170)의 브러쉬(171)가 그리는 원호 형상을 따라 만곡 형성되어, 담수를 챔버(160) 내로 유입할 수 있고, 담수 중의 부유물(이물질) 들은 커버(161)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한편, 챔버(160)는 그 내부에 회전축(170)이 챔버(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축(170)의 외주면에는 브러쉬(171)가 나선형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부(190)의 연결축(195)에 의해 회전축(170)이 회전될 시는 챔버(160) 내로 유입된 물을 펌프(180) 측으로 이송시켜 공급하게 된다.
특히, 회전축(17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브러쉬(171)는 커버(161)의 타공을 관통하는 길이로 구비되어 커버(161)에 걸린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챔버(160) 내에 구비되는 회전축(170)은 전도 게이트(100)에 대응한 수로 구비된다. 즉, 베이스블럭(200)에 하나의 전도 게이트(100)가 설치되면 회전축(170) 역시도 하나만 설치되지만, 베이스블럭(200)의 양편으로 2개의 전도 게이트(100)가 각각 설치되는 경우에는 회전축(170) 역시도 각 전도 게이트(100)마다 설치되어 2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양 회전축(170)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커플러(172)로서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때, 양 회전축(17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결합홈(170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커플러(172)의 양단부에는 결합홈(170a)에 대응한 형상으로 돌출된 결합돌부(172a)가 형성되어, 결합돌부(172a)와 결합홈(170a)은 상대 회전 불가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특히, 커플러(172)는 그 양단부의 결합돌부(172a)가 독립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커플러(172)의 양 결합돌부(172a)에 각각 결합된 양 회전축(170)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각각 독립되게 회전되므로 양 회전축(17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챔버(160)로 유입된 물을 각각 양 펌프(180) 측으로 이송시켜 공급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블럭(200)과 전도 게이트(100) 사이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의 유출을 차단하면서 세워진 전도 게이트(1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차단판(1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차단판(150)은 그 양단부가 각각 베이스블럭(200)과 전도 게이트(100)에 결합 고정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방향으로 만곡된 탄성부(151)가 형성되어, 세워진 전도 게이트(100)에 탄성력 즉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도 게이트(100)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차단판(150)이 압축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차단판(150)에 발생되는 탄성력은 세워진 전도 게이트(100)를 눕히려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 게이트(100)는 그 상단부에 펌프(180)에 의해 압송된 담수가 공급되어 공중으로 분사되는 상부 분사관(140)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부 분사관(140)을 통해 담수를 공중으로 분사하여 순환시켜 줌으로써 담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담수의 오염 즉 녹조 등과 같은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부 분사관(140)이 있는 전도 게이트(100)의 상단부에는 상부 분사관(140)에 의해 공중으로 분사되는 담수를 안내하는 안내판(141)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이 안내판(141)은 다양한 각도와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안내판(141)에 의해 상부 분사관(140)으로 분사되는 담수는 다시 저수지로 공급되거나 또는 전도 게이트(100) 정면의 수로 측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상부 분사관(140)을 통해 분사되는 담수는 분수효과를 가져 주변 경관을 수려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 게이트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수로의 폭 방향으로 베이스블럭(200)을 설치하고, 베이스블럭(200)의 전면부에 전도 게이트(100)를 설치하여 물을 막아 줌으로써 저수지에 물을 채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전도 게이트(100)는 전도 게이트(100)의 정면 측에 설치된 실린더(120)와 피스톤(121)의 인출작동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지지 고정되고, 피스톤(121)이 실린더(120) 내로 인입되면 전도 게이트(100)가 눕혀져 담수된 물을 하류 측으로 방류하게 된다.
한편, 전도 게이트(100)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피스톤(121)이 실린더(120)로부터 인출된 상태이고, 이때의 차단판(150)은 탄성부(151)에 의해 휘어진 상태로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저수지의 담수는 커버(161)의 타공을 통해 챔버(160) 내로 유입되고, 챔버(160) 내로 유입된 담수는 회전축(170)에 의해 펌프(180) 측으로 이송된다.
즉, 구동부(190)의 모터(191)가 작동되면, 모터(191)와 연결된 구동기어(192)가 회전되고, 구동기어(192)의 회전에 의해 이에 치합된 피동기어(194)와 전달기어(193)가 회전되며, 전달기어(193)의 회전에 의해 또 다른 피동기어(194)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양 피동기어(194)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피동기어(194)에 연결된 연결축(195)으로 연결된 연동기어(196)는 피동기어(194)와 같이 회전되고, 양 피동기어(194) 사이에 구비된 출력기어(197)는 양 피동기어(194)의 기어부(196a)가 번갈아 가면서 치합됨으로써 정회전 및 역회전하게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회전되는 연결축(195)에 연결된 회전축(170)이 연결축(195)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전축(170)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형의 브러쉬(171)에 의해 챔버(160) 내의 담수가 펌프(180) 측으로 이동되고, 이때 브러쉬(171)의 회전에 의해 커버(161)의 타공에 걸린 미세한 이물질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제거된 이물질이 챔버(160) 내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펌프(180)에 의해 전방 분사관(130)과 상부 분사관(140)으로 공급되어 담수와 같이 분사된다.
그리고, 전방 분사관(130)에서 분사되는 담수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전도 게이트(100)의 정면 측의 수로에 쌓인 퇴적물(1)로 고압 분사되어 퇴적물(1)을 제거하게 되고, 특히 전방 분사관(130)이 상하로 회전되면서 담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퇴적물(1)의 제거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방 분사관(130)의 상하 회전은 구동부(190)의 출력기어(197)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출력축(198)에 전방 분사관(130)이 연결되어 구비됨으로써 전방 분사관(130)이 출력기어(197)의 정.역회전과 연동되어 상하로 반복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펌프(180)에 의해서 챔버(160) 내의 담수는 전방 분사관(130)으로 공급될 뿐 아니라 전도 게이트(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분사관(140)으로도 공급되며, 상부 분사관(140)으로 공급된 담수는 공중으로 분사되어 저수지로 재유입되거나 또는 수로 측으로 유입되어 흐르게 된다.
더욱이, 전도 게이트(100)의 상단부에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절곡된 안내판(141)을 구비하여 공중으로 분사된 담수를 원하는 곳으로 분사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분사관(140)에서 분사되는 담수에 의해 분수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체되어 있는 저수지의 물을 순환시켜 줌으로써 녹조 발생 등과 같은 담수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전도 게이트 110,110a : 힌지브라켓
120 : 실린더 121 : 피스톤
130 : 전방 분사관 140 : 상부 분사관
141 : 안내판 150 : 차단판
151 : 탄성부 160 : 챔버
161 : 커버 170 : 회전축
170a : 결합홈 171 : 브러쉬
172 : 커플러 172a : 결합돌부
180 : 펌프 181 : 연결관
182 : 하우징 190 : 구동부
190a : 하우징 191 : 모터
192 : 구동기어 193 : 전달기어
194 : 피동기어 195 : 연결축
196 : 연동기어 196a : 기어부
197 : 출력기어 198 : 출력축
200 : 베이스블럭 210 : 측방블럭

Claims (12)

  1. 수로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블럭;
    베이스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을 담수하거나 또는 방류시키는 전도 게이트;
    베이스블럭에 구비되어 담수된 물을 수로에 쌓인 퇴적물로 고압 분사하는 전방 분사관;
    베이스블럭에 구비되어 담수된 물을 전방 분사관으로 압송하여 공급하는 펌프; 및
    전방 분사관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베이스블럭에는 담수된 수중에 구비되어 펌프에 의해 물을 유입되었다가 전방 분사관으로 공급되는 챔버가 구비되고,
    챔버는, 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브러쉬가 나선형으로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챔버 내로 유입된 물을 펌프 측으로 이송시켜 공급하는 전도식 수문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챔버는 그 상면에 탈.부착 가능한 커버가 구비되고, 커버는 타공판으로 구비되는 전도식 수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브러쉬는 커버의 타공을 관통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커버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도식 수문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블럭에는 전방 분사관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구동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
    구동기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기어;
    각 피동기어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편 피동기어와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연동기어;
    양 연동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양 연동기어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출력기어; 및
    출력기어에 연결되어 출력기어와 같이 일체로 회전되는 한편 전방 분사관에 결합 고정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전도식 수문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연동기어는 기어부가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고, 양 연동기어의 기어부는 출력기어에 번갈아 가면서 치합되어 출력기어를 정.역 회전시키는 전도식 수문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구동부의 연결축에는 챔버에 구비되는 회전축이 연결되어 연결축과 회전축이 일체로 회전되는 전도식 수문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블럭과 전도 게이트 사이에는 담수의 유출을 차단하면서 세워진 전도 게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차단판이 구비되는 전도식 수문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차단판은 그 양단부가 각각 베이스블럭과 전도 게이트에 결합 고정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방향으로 만곡된 탄성부가 형성되어, 세워진 전도 게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도식 수문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도 게이트는 그 상단부에 펌프에 의해 압송된 담수가 공급되어 공중으로 분사되는 상부 분사관이 더 구비되는 전도식 수문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전도 게이트의 상단부에는 상부 분사관에 의해 공중으로 분사되는 담수를 안내하는 안내판이 더 구비되는 전도식 수문장치.
KR1020160013701A 2016-02-03 2016-02-03 전도식 수문장치 KR101690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701A KR101690737B1 (ko) 2016-02-03 2016-02-03 전도식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701A KR101690737B1 (ko) 2016-02-03 2016-02-03 전도식 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737B1 true KR101690737B1 (ko) 2016-12-29

Family

ID=5773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701A KR101690737B1 (ko) 2016-02-03 2016-02-03 전도식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7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332B1 (ko) * 2017-04-11 2018-01-25 (주)청성하이텍 퇴적물 제거 구조를 갖는 전도식 가동보
CN110725290A (zh) * 2019-11-19 2020-01-24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闸门槽底部自主清理设备及清理方法
CN112253353A (zh) * 2020-10-16 2021-01-22 贵州省草业研究所 一种水电站生态流量监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681246A (zh) * 2021-01-16 2021-04-20 陈清尧 一种水利闸门启闭装置
KR102278001B1 (ko) * 2021-03-12 2021-07-14 안종범 이물질 퇴적을 방지하여 하천 정화를 위한 장스판 전도식 가동보
KR20230072227A (ko) * 2021-11-17 2023-05-24 전재권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CN116905445A (zh) * 2023-09-13 2023-10-20 山东大禹水务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泄水闸门启闭机的布置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827A (ko) * 2003-01-14 2003-03-17 한상관 수문에 구성되는 물 분사장치의 역할에 의해 수문의상단이나 측면 또는 수문과 문틀사이에 끼이는 이물질을제거 시킬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양기식 수문과 수중보용수문의 구성방법
KR101005842B1 (ko) * 2010-04-13 2011-01-05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하천환경정화기구
KR101019659B1 (ko) * 2010-02-25 2011-03-07 유일정공 주식회사 이물질 차단구조를 갖는 전도식 수문
KR101040322B1 (ko) 2010-10-21 2011-06-1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전도수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827A (ko) * 2003-01-14 2003-03-17 한상관 수문에 구성되는 물 분사장치의 역할에 의해 수문의상단이나 측면 또는 수문과 문틀사이에 끼이는 이물질을제거 시킬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양기식 수문과 수중보용수문의 구성방법
KR101019659B1 (ko) * 2010-02-25 2011-03-07 유일정공 주식회사 이물질 차단구조를 갖는 전도식 수문
KR101005842B1 (ko) * 2010-04-13 2011-01-05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하천환경정화기구
KR101040322B1 (ko) 2010-10-21 2011-06-1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전도수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332B1 (ko) * 2017-04-11 2018-01-25 (주)청성하이텍 퇴적물 제거 구조를 갖는 전도식 가동보
CN110725290A (zh) * 2019-11-19 2020-01-24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闸门槽底部自主清理设备及清理方法
CN110725290B (zh) * 2019-11-19 2024-03-29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闸门槽底部自主清理设备及清理方法
CN112253353A (zh) * 2020-10-16 2021-01-22 贵州省草业研究所 一种水电站生态流量监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253353B (zh) * 2020-10-16 2022-04-01 贵州省草业研究所 一种水电站生态流量监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681246A (zh) * 2021-01-16 2021-04-20 陈清尧 一种水利闸门启闭装置
KR102278001B1 (ko) * 2021-03-12 2021-07-14 안종범 이물질 퇴적을 방지하여 하천 정화를 위한 장스판 전도식 가동보
KR20230072227A (ko) * 2021-11-17 2023-05-24 전재권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KR102608056B1 (ko) * 2021-11-17 2023-11-29 전재권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CN116905445A (zh) * 2023-09-13 2023-10-20 山东大禹水务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泄水闸门启闭机的布置结构
CN116905445B (zh) * 2023-09-13 2023-12-01 山东大禹水务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泄水闸门启闭机的布置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737B1 (ko) 전도식 수문장치
JP3895505B2 (ja) 沈殿物を収集移送する設備
JP5179159B2 (ja) 揚砂装置
KR101265457B1 (ko) 침전지용 유체이송 슬러지 배출장치
KR100875803B1 (ko) 순환 유수식 양어장
JP2008126145A (ja) 沈砂池の集砂装置
CN203692209U (zh) 池塘网箱自动清污养殖装置
KR101815701B1 (ko) 수초 컷터가 부착된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초 제거방법
CN211472651U (zh) 一种水利工程清淤设备
JP4396977B2 (ja) 沈殿物除去装置
CN207727726U (zh) 一种市政道路工程防堵清淤系统
KR101363099B1 (ko) 드럼 스크린
CN104740925A (zh) 泵前浮式自清洗微滤装置
CN209442768U (zh) 一种工业污水处理用过滤装置
CN104740924A (zh) 水涡轮推动型微滤机
CN113502780B (zh) 一种水利工程的引水结构
KR101893392B1 (ko)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KR200437861Y1 (ko) 물 공기 분사기를 이용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CN204723866U (zh) 水涡轮推动型微滤机
CN204502547U (zh) 泵前浮式自清洗微滤装置
CN210841202U (zh) 一种微生物循环触发水产养殖装置
CN209967772U (zh) 一种沉降物排出装置
CN106000967B (zh) 一种隧道洗药机
CN211141593U (zh) 一种方便清洗的隔油池
CN205196869U (zh) 高效节能的水产品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