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539B1 -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539B1
KR101054539B1 KR1020090000173A KR20090000173A KR101054539B1 KR 101054539 B1 KR101054539 B1 KR 101054539B1 KR 1020090000173 A KR1020090000173 A KR 1020090000173A KR 20090000173 A KR20090000173 A KR 20090000173A KR 101054539 B1 KR101054539 B1 KR 10105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ixed
sluice
fix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0871A (ko
Inventor
오재욱
Original Assignee
오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욱 filed Critical 오재욱
Priority to KR102009000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5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4Flash- board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를 개폐하여 수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문에 관한 내용으로서, 실제 설치된 사용 환경에서 장기적으로 수문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문의 표면에 FRP코팅을 적용하고, 수문을 여러 단으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서 수문의 중량을 경량화함과 동시에 수문의 개폐가 편리하도록 전용의 인출장치를 구비한 다단식 코팅인양수문 조립 및 설치구조와 인출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FRP수문, FRP인양수문, FRP코팅수문, FRP코팅인양수문, 다단수문, 수문, 수문인출장치.

Description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FRP COATING FLOODGATE AND HOISTING DEVICE}
본 발명은 수로를 계폐하여 수위를 제어하고 수자원을 관리하는 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인출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수로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문에 관련된 기술로서, 수문철관기술기준, 유체역학, 기구학, 금속재료학, FRP코팅기술을 주요 배경기술로 한다.
본 발명은 수문이 설치된 환경 조건에서 장기간 물과 접촉함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수문의 제어를 용이하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장기적인 수문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문 표면에 친환경적인 FRP코팅을 적용하고, 수문의 중량을 경량화하기 위하여 여러 단으로 분할하여 구성하며, 수문의 개폐가 수월하도록 전용의 인출장치를 구비한다.
금속으로 제작된 수문의 표면에 FRP코팅을 적용함으로 수문이 직접 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적으로 수문의 부식을 방지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수문을 여러 단으로 나누어 경량화함과 동시에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전용의 인출장치를 사용하여 수문의 개폐가 매우 용이하도록 개선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강, 하천, 여수토, 저수지 등 수로 내의 수위를 제어하여 수자원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수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문틀조립체(2)에 한 개 이상의 수문을 조립하여 수로를 전체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여러 단으로 수문조립체(1)를 구성하고,
전술한 수문조립체(1)는 설치되는 환경에서 수압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상부빔(20)과 수평빔(3)과 하부빔(21)을 배치하고,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직빔a(4)와 수직빔b(75)를 배치하여 용접하고 조립하며,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상부빔(2)과 수평빔(3)과 하부빔(21)의 양 측단에는 상부빔(20)의 상면과 하부빔(21)의 저면간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측면판(5)를 각각 용접하여 조립하고, 수문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대칭으로 동일한 거리상에 위치하며 상부빔(20)과 수평빔(3)의 사이에 조립된 수직빔a(4)의 상단부 인근에 수직빔(4)을 관통하여 파이프 형상의 중공축(8)을 용접하고 조립하며, 전술한 용접작업공정에 의하여 용접 조립된 모든 빔의 전면 일단에는 전면판(6)을 용접하고 모든 빔의 후면 일단에는 후면판(7)을 용접하며, 전면판(6)에는 중공축(8)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중공축관통공a(69)를 형성하고, 후면판(7)에는 중공축(8)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중공축관통공b(70)를 형성한다.
제 3도에는 전술한 전체 용접작업공정이 완료된 수문용접체(71)를 도시하였고, 수문용접체(71)의 전체 표면에는 부식방지를 위하여 FRP코팅(9)을 실시하는데, 제 4도에는 수문용접체(71)의 전체 외부 표면에 FRP코팅을 완료한 FRP코팅체(72)를 도시하였다.
제 5도와 제 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FRP코팅이 완료된 FRP코팅체(72)의 전면 양 측단부에는 다수의 고정볼트a(12)를 스텐 재질의 평철에 다수의 조립용 구멍을 형성한 측부지지판(11)과 고무 재질로 형성된 "P"자형의 측부지수고무(10)를 관통하여 전술한 고정볼트a(12)에 상응하도록 FRP코팅체(72)의 양 측단 표면에 형성 된 볼트조립공(18)에 고정함으로 각각의 측부지수고무(10)는 FRP코팅체(72)에 견고히 고정되고, FRP코팅체(72)의 전면 하단부에는 역시 다수의 고정볼트a(12)를 스텐 재질의 평철에 다수의 조립용 구멍을 형성한 하부지지판(14)과 고무 재질로 형성된 "L"자형의 하부지수고무(13)를 관통하여 전술한 고정볼트a(12)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볼트조립공에 고정함으로 하부지수고무(13)는 FRP코팅체(72)에 견고히 고정됨으로 FRP코팅체(72)의 양 측부와 하부에는 모두 지수고무가 고정된다.
수로를 제어하기 위하여 문틀조립체(2)에 수문조립체(1)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수문조립체(1)가 문틀조립체(2)의 양 측단부에 형성된 "ㄷ"자 형태의 수문안내홈(36)의 내부에서 비틀어지거나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FRP코팅체(72)의 양 측면 상하부에는 각각 전후면롤러조립체(16)와 측면롤러조립체(15)를 다수의 고정볼트b(17)를 사용하여 FRP코팅체(72)에 견고히 조립하고,
제 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문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다수의 인출봉(19)을 수문조립체(1)의 용접작업공정에서 용접 고정된 다수의 중공축(8)을 관통하여 조립하여 수문조립체(1)가 완성된다.
수문조립체(1)의 양 측면 상하부에 조립되는 측면롤러조립체(15)는 제 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롤러브라켓(57)의 내측에 측면롤러(58)를 삽입하고 측면롤러브라켓(57)의 마주보는 양 측면부에 형성된 고정핀조립홀(60)과 측면롤러(58)를 관통하여 고정핀(59)을 고정함으로 측면롤러(58)는 고정핀(59)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측면롤러브라켓(57)의 내측 바닥면에는 측면롤러조립체(15)를 다수의 고정볼트b(17)를 사용하여 FRP코팅체(72) 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볼트조립공a(61)가 형성되어 있다.
수문조립체(1)의 양 측면 상하부의 측면롤러조립체(15) 인근에 조립되는 전후면롤러조립체(16)는 제 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늘려진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전후면롤러브라켓(62)의 내측에 전후면롤러(63)와 가이드롤러(64)를 삽입하고, 롤러고정볼트(65)를 가이드롤러(64)와 전후면롤러브라켓(62)의 길이방향 양 끝단부에 형성된 롤러고정볼트조립홀(66)를 관통하여 고정너트(67)로 고정함으로 전후면롤러(63)는 롤러고정볼트(65)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조립되며, 전후면롤러(63)를 관통하여 조립하는 가이드롤러(64)의 일단에는 멈춤돌기(76)가 형성되고 전후면롤러(63)의 일단에는 전술한 가이드롤러(64)에 형성된 멈춤돌기(76)를 수용하도록 멈춤홈(77)을 형성함으로 전후면롤러(63)는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하는 동시에 가이드롤러(64)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속되고, 전후면롤러브라켓(62)의 내측 바닥면에는 전후면롤러조립체(16)를 다수의 고정볼트b(17)를 사용하여 FRP코팅체(72)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볼트조립공b(68)가 형성되어 있다.
문틀조립체(2)는 제 7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부가 열려있는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판(23)을 기준으로 바닥판(23)의 좌우측단부 상면에 "ㄷ"자 형상의 문틀(22)을 고정하는 구조이고, 문틀(22)의 "ㄷ"자 형상 내측면은 수문안내홈(36)으로서 수문조립체(1)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문틀(22)의 표면에는 콘크리크구조물 내부에서 문틀(22)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앙카(24)와 보강앵글(25)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지수고무에 의한 수문조립체(1)와 문틀조립체(2) 사이의 지수작용의 원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제 7도에 나타낸 문틀조립체(2)의 수문안내홈(36)에 수문조립체(1)를 조립하여 문틀조립체(2)의 왯지b(74)가 수문조립체(1)의 후면 네 개의 모퉁이에 고정된 왯지a(73)를 전면으로 밀어내면 제 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구조물(29)에 고정되어 있는 문틀고정체(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수문조립체(1)가 전면으로 이동하며 측부지수고무(10)가 문틀(22)의 수문안내홈(36)의 내면을 압박함으로 수문조립체(1)의 측면과 문틀조립체(2)의 측면 사이로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지수작용을 한다.
또한, 전술한 동작과 같이 문틀조립체(2)의 수문안내홈(36)에 수문조립체(1)를 조립하면 수문조립체(1)는 자중에 의하여 수문조립체(1)의 하부에 고정된 하부지수고무(13)를 압축하는 힘이 작용하며, 이러한 수문조립체(1)의 자중으로 인하여 수문조립체(1)의 하부와 문틀조립체(2)의 바닥판(23) 사이로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지수작용을 하며 수문조립체(1)와 수문조립체(1)의 연결부위 사이로도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지수작용을 한다.
제 8도에서는 수문의 실제 설치상태를 볼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수문은 콘크리트구조물(29) 내부에 설치되며, 수문을 개폐조작하기 위한 인출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이미 설치가 완료된 수문의 최상단에 형성된 장비취부면(78)에 다수의 수직철구조물(26)을 앙카볼트(34)로 고정하고 수직철구조물(26)의 최상단에 상부철구조물(27)을 고정하여 연결하며, 상부철구조물(27)의 저면 중앙부를 연결하는 수 평철구조물(28)을 고정함으로 수평철구조물(28)을 따라서 호이스트(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철구조물을 형성한다.
통상의 호이스트(30)는 내부에 동력을 발생하는 전동기와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출력을 증가시키는 감속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감속기의 후단에는 와이어(31)가 감기도록 와이어드럼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스위치(33)를 조작하면 전동기와 감속기에 의해 와이어드럼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며 드럼에 와이어를 감거나 풀면서 와이어(31)의 끝단에 고정된 후크(32)에 매달린 부하를 인양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부하를 대신하여 후크(32)에 수문을 인출할 수 있는 전용의 수문인출장치(35)를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수문인출장치(35)는 제 13도, 제 14도, 제 15도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44)를 기본 골격으로 하며, 지지체(44)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상에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가 지지체(44)의 전후면에 위치하고,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에는 수문조립체(1)에 고정된 인출봉(19)이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에 형성된 경사면(80)을 따라 미끄러지고 결합할 수 있는 걸림턱(46)이 형성되어 있고,
힌지볼트(52)가 인출봉고정구a(39)와 와셔(54)와 관통공(55)을 거쳐서 인출봉고정구b(40)를 관통하여 힌지너트(53)에 조립되며, 다수의 고정볼트c(79)를 사용하여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가 연동하도록 연결구(43)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연결구(4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너트(56)에 고정된 스프링고정볼트a(49)의 종단부에 뚫린 구멍과 지지체(44)의 내측 바닥면 양 끝단부 인근을 관통하 여 너트(56)에 조립된 스프링고정볼트b(50)의 종단부에 뚫린 구멍 사이에 스프링(42)을 연결함으로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는 힌지볼트(52)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하며,
제12도에서 볼 수 있듯이 수문인출장치(35)를 문틀조립체(2)의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에 수문조립체(1)에 고정된 인출봉(19)이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에 형성된 경사면(80)을 따라 미끄러지고 결합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42)은 연결구(43)와 지지체(44)의 상단부에 의해 정지하는 위치까지 복원되어 정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고,
유도체(41)는 지지체(44)의 양 측단부 인근의 전후면에 고정되며, 수문인출장치(35)가 수문조립체(1)와 수월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지지체(44)의 양 측단면에 고정되는 측면지지구(45)에는 전후면롤러조립체(16)와 측면롤러조립체(15)가 다수의 고정볼트b(17)로 고정되며, 수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문인출장치(35)를 문틀조립체(2)의 수문안내홈(36)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수문인출장치(35)가 비틀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문인출장치(35)를 호이스트(30)에 연결하기 위하여 지지체(44)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상에 대칭으로 다수의 상부고정체(48)를 고정하고 상부고정체(48)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아이볼트(47)를 고정하며, 아이볼트에 고정와이어(38)를 관통하여 매듭을 만들고 매듭의 끝단을 클램프(51)로 고정하며, 고정와이어(51)의 중앙부에 고리(37)를 끼워 와이어(31)의 끝단에 고정된 후크(32)에 연결한다.
제 10도 내지 제 12도에서는 수문조립체(1)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수평철구조물(28)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호이스트(30)에 연결된 와이어(31)의 종단에 고정된 후크(32)에 수문인출장치(35)를 조립하고, 수문인출장치(35)를 활용하여 문틀조립체(2)로부터 수문조립체(1)를 분리하여 들어내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제 1도. 수문조립체와 문틀조립체의 전체 조립 상태도
제 2도. 수문조립체의 분해도
제 3도. 수문조립체의 용접작업완료 상태도
제 4도. 수문조립체의 FRP코팅완료 상태도
제 5도. 수문조립체의 부품 조립 상태도
제 6도. 수문조립체의 조립완료 상태도
제 7도. 문틀조립체의 외형도
제 8도. 수문의 설치 상태도
제 9도.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1(수문개방준비상태)
제 10도.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2(수문인출장비하강)
제 11도.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3(수문인출)
제 12도.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4(수문인출진행)
제 13도. 수문인출장치의 조립 사시도
제 14도. 수문인출장치의 분해도
제 15도. 수문인출장치의 부분 상세도
제 16도. 측면롤러조립체의 분해도
제 17도. 전후면롤러조립체의 분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수문조립체 2. 문틀조립체
3. 수평빔 4. 수직빔a
5. 측면판 6. 전면판
7. 후면판 8. 중공축
9. FRP코팅 10. 측부지수고무
11. 측부지지판 12. 고정볼트a
13. 하부지수고무 14. 하부지지판
15. 측면롤러조립체 16. 전후면롤러조립체
17. 고정볼트b 18. 볼트조립공
19. 인출봉 20. 상부빔
21. 하부빔 22. 문틀
23. 바닥판 24. 앙카
25. 보강앵글 26. 수직철구조물
27. 상부철구조물 28. 수평철구조물
29. 콘크리트구조물 30. 호이스트
31. 와이어 32. 후크
33. 작동스위치 34. 앙카볼트
35. 수문인출장치 36. 수문안내홈
37. 고리 38. 고정와이어
39. 인출봉고정구a 40. 인출봉고정구b
41. 유도체 42. 스프링
43. 연결구 44. 지지체
45. 측면지지구 46. 걸림턱
47. 아이볼트 48. 상부고정체
49. 스프링고정볼트a 50. 스프링고정볼트b
51. 클램프 52. 힌지볼트
53. 힌지너트 54. 와셔
55. 관통공 56. 너트
57. 측면롤러브라켓 58. 측면롤러
59. 고정핀 60. 고정핀조립홀
61. 고정볼트조립공a 62. 전후면롤러브라켓
63. 전후면롤러 64. 가이드롤러
65. 롤러고정볼트 66. 롤러고정볼트조립홀
67. 고정너트 68. 고정볼트조립공b
69. 중공축관통공a 70. 중공축관통공b
71. 수문용접체 72. FRP코팅제
73. 왯지a 74. 왯지b
75. 수직빔b 76. 멈춤돌기
77. 멈춤홈 78. 장비취부면
79. 고정볼트 80.경사면

Claims (4)

  1. 수로를 제어하는 다단식 FRP코팅인양수문에 있어서, 수문조립체(1)는 설치되는 환경에서 수압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상부빔(20)과 수평빔(3)과 하부빔(21)을 배치하고,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직빔a(4)와 수직빔b(75)를 배치하여 용접하고 조립하며,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상부빔(20)과 수평빔(3)과 하부빔(21)의 양 측단에는 상부빔(20)의 상면과 하부빔(21)의 저면간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측면판(5)를 각각 용접하여 조립하고,
    수문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대칭으로 동일한 거리상에 위치하며 상부빔(20)과 수평빔(3)의 사이에 조립된 수직빔a(4)의 상단부 인근에 수직빔a(4)를 관통하여 파이프 형상의 중공축(8)을 용접하고 조립하며,
    용접작업공정에 의하여 용접 조립된 모든 빔의 전면 일단에는 전면판(6)을 용접하고 모든 빔의 후면 일단에는 후면판(7)을 용접하며, 전면판(6)에는 중공축(8)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중공축관통공a(69)를 형성하고, 후면판(7)에는 중공축(8)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중공축관통공b(70)를 형성하며,
    전체 용접작업이 완료된 수문용접체(71)의 전체 표면에는 물과의 접촉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FRP코팅(9)을 실시하며,
    FRP코팅이 완료된 FRP코팅체(72)의 전면 양 측단부에는 다수의 고정볼트a(12)를 스텐 재질의 평철에 다수의 조립용 구멍을 형성한 측부지지판(11)과 고무 재질로 형성된 "P"자형의 측부지수고무(10)를 관통하여 전술한 고정볼트a(12)에 상응하도록 FRP코팅체(72)의 양 측단 표면에 형성된 볼트조립공(18)에 고정함으로 각각의 측부지수고무(10)는 FRP코팅체(72)에 견고히 고정되고,
    FRP코팅체(72)의 전면 하단부에는 역시 다수의 고정볼트a(12)를 스텐 재질의 평철에 다수의 조립용 구멍을 형성한 하부지지판(14)과 고무 재질로 형성된 "L"자형의 하부지수고무(13)를 관통하여 전술한 고정볼트a(12)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볼트조립공에 고정함으로 하부지수고무(13)는 FRP코팅체(72)에 견고히 고정되며,
    문틀조립체(2)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열려있는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판(23)을 기준으로 바닥판(23)의 좌우측단부 상면에 "ㄷ"자 형상의 문틀(22)을 고정하는 구조이고, 문틀(22)의 "ㄷ"자 형상 내측면은 수문안내홈(36)으로서 수문조립체(1)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문틀(22)의 표면에는 콘크리크구조물 내부에서 문틀(22)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앙카(24)와 보강앵글(25)을 용접하여 고정하며,
    수로를 제어하기 위하여 문틀조립체(2)에 수문조립체(1)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수문조립체(1)가 문틀조립체(2)의 양 측단부에 형성된 "ㄷ"자 형태의 수문안내홈(36)의 내부에서 비틀어지거나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FRP코팅체(72)의 양 측면 상하부에는 각각 전후면롤러조립체(16)와 측면롤러조립체(15)를 다수의 고정볼트b(17)를 사용하여 FRP코팅체(72)에 견고히 조립하고,
    수문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다수의 인출봉(19)을 수문조립체(1)의 용접작업공정에서 용접 고정된 다수의 중공축(8)을 관통하여 조립하여 수문조립체(1)를 완성하는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수문조립체(1)의 양 측면 상하부에 조립되는 측면롤러조립체(15)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롤러브라켓(57)의 내측에 측면롤러(58)를 삽입하고 측면롤러브라켓(57)의 마주보는 양 측면부에 형성된 고정핀조립홀(60)과 측면롤러(58)를 관통하여 고정핀(59)을 고정함으로 측면롤러(58)는 고정핀(59)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측면롤러브라켓(57)의 내측 바닥면에는 측면롤러조립체(15)를 다수의 고정볼트b(17)를 사용하여 FRP코팅체(72)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볼트조립공a(61)가 형성되고,
    전후면롤러조립체(16)는 길이방향으로 늘려진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전후면롤러브라켓(62)의 내측에 전후면롤러(63)와 가이드롤러(64)를 삽입하고,
    롤러고정볼트(65)를 가이드롤러(64)와 전후면롤러브라켓(62)의 길이방향 양 끝단부에 형성된 롤러고정볼트조립홀(66)를 관통하여 고정너트(67)로 고정함으로 전후면롤러(63)는 롤러고정볼트(65)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조립되며,
    전후면롤러(63)를 관통하여 조립하는 가이드롤러(64)의 일단에는 멈춤돌기(76)가 형성되고 전후면롤러(63)의 일단에는 전술한 가이드롤러(64)에 형성된 멈춤돌기(76)를 수용하도록 멈춤홈(77)을 형성함으로 전후면롤러(63)는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하는 동시에 가이드롤러(64)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속되고, 전후면롤러 브라켓(62)의 내측 바닥면에는 전후면롤러조립체(16)를 다수의 고정볼트b(17)를 사용하여 FRP코팅체(72)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볼트조립공b(68)가 형성되어 있는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구조.
  3. 통상적으로 수문은 콘크리트구조물(29) 내부에 설치되며, 수문을 개폐조작하기 위한 인출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이미 설치가 완료된 수문의 최상단에 형성된 장비취부면(78)에 다수의 수직철구조물(26)을 앙카볼트(34)로 고정하고 수직철구조물(26)의 최상단에 상부철구조물(27)을 고정하여 연결하며, 상부철구조물(27)의 저면 중앙부를 연결하는 수평철구조물(28)을 고정함으로 수평철구조물(28)을 따라서 호이스트(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철구조물을 형성하며,
    통상의 호이스트(30)는 내부에 동력을 발생하는 전동기와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출력을 증가시키는 감속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감속기의 후단에는 와이어(31)가 감기도록 와이어드럼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스위치(33)를 조작하면 전동기와 감속기에 의해 와이어드럼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며 드럼에 와이어를 감거나 풀면서 와이어(31)의 끝단에 고정된 후크(32)에 매달린 부하를 인양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부하를 대신하여 후크(32)에 수문을 인출할 수 있는 전용의 수문인출장치(35)를 연결하는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설치구조.
  4. 제 3항의 수문인출장치(35)는 지지체(44)를 기본 골격으로 하며, 지지체(44) 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상에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가 지지체(44)의 전후면에 위치하고,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에는 수문조립체(1)에 고정된 인출봉(19)이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에 형성된 경사면(80)을 따라 미끄러지고 결합할 수 있는 걸림턱(46)이 형성되어 있고,
    힌지볼트(52)가 인출봉고정구a(39)와 와셔(54)와 관통공(55)을 거쳐서 인출봉고정구b(40)를 관통하여 힌지너트(53)에 조립되며, 다수의 고정볼트c(79)를 사용하여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가 연동하도록 연결구(43)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연결구(4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너트(56)에 고정된 스프링고정볼트a(49)의 종단부에 뚫린 구멍과 지지체(44)의 내측 바닥면 양 끝단부 인근을 관통하여 너트(56)에 조립된 스프링고정볼트b(50)의 종단부에 뚫린 구멍 사이에 스프링(42)을 연결함으로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는 힌지볼트(52)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하며,
    수문인출장치(35)를 문틀조립체(2)의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에 수문조립체(1)에 고정된 인출봉(19)이 인출봉고정구a(39)와 인출봉고정구b(40)에 형성된 경사면(80)을 따라 미끄러지고 결합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42)은 연결구(43)와 지지체(44)의 상단부에 의해 정지하는 위치까지 복원되어 정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고,
    유도체(41)는 지지체(44)의 양 측단부 인근의 전후면에 고정되며, 수문인출장치(35)가 수문조립체(1)와 수월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지지체(44)의 양 측단면에 고정되는 측면지지구(45)에는 전후면롤러조립체(16) 와 측면롤러조립체(15)가 다수의 고정볼트b(17)로 고정되며,
    수문인출장치(35)를 호이스트(30)에 연결하기 위하여 지지체(44)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상에 대칭으로 다수의 상부고정체(48)를 고정하고 상부고정체(48)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아이볼트(47)를 고정하며, 아이볼트에 고정와이어(38)를 관통하여 매듭을 만들고 매듭의 끝단을 클램프(51)로 고정하며, 고정와이어(51)의 중앙부에 고리(37)를 끼워 와이어(31)의 끝단에 고정된 후크(32)에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인출장치.
KR1020090000173A 2009-01-03 2009-01-03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KR10105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173A KR101054539B1 (ko) 2009-01-03 2009-01-03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173A KR101054539B1 (ko) 2009-01-03 2009-01-03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871A KR20100080871A (ko) 2010-07-13
KR101054539B1 true KR101054539B1 (ko) 2011-08-04

Family

ID=4264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173A KR101054539B1 (ko) 2009-01-03 2009-01-03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5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04B1 (ko) 2014-09-02 2014-10-13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이앤엠 기계적 안전장치를 구비한 수문장치
KR20220158903A (ko) 2021-05-24 2022-12-02 조선이공대학교산학협력단 쇼트기를 사용한 후 페날카민 에폭시 도료를 적용한 수문 제조방법과 코팅수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084B1 (ko) * 2010-12-27 2012-03-22 주식회사 이산 그리드 코어를 갖는 문비
KR101287465B1 (ko) * 2012-10-25 2013-07-19 (주)덕유 에프알피 접착 수문
KR101312121B1 (ko) * 2013-05-21 2013-09-26 주식회사 삼안 수문구조물의 수문 유지보수를 위한 수문 탈거장치 및 그 방법
CN105442501B (zh) * 2015-12-28 2017-07-1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平面闸门定轮偏心轴的定位装置及方法
CN110747824A (zh) * 2019-11-01 2020-02-04 山东省水利勘测设计院 一种一体化钢闸门
KR102350850B1 (ko) * 2021-10-20 2022-01-14 해전산업 주식회사 비용접식 조인트 수문장치
KR102608056B1 (ko) * 2021-11-17 2023-11-29 전재권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334B1 (ko) 2001-03-26 2004-12-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수문 인상장치
KR20060054592A (ko) * 2004-11-15 2006-05-23 한국동서발전(주) 분절식 수문
KR20090114636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334B1 (ko) 2001-03-26 2004-12-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수문 인상장치
KR20060054592A (ko) * 2004-11-15 2006-05-23 한국동서발전(주) 분절식 수문
KR20090114636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04B1 (ko) 2014-09-02 2014-10-13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이앤엠 기계적 안전장치를 구비한 수문장치
KR20220158903A (ko) 2021-05-24 2022-12-02 조선이공대학교산학협력단 쇼트기를 사용한 후 페날카민 에폭시 도료를 적용한 수문 제조방법과 코팅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871A (ko) 201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539B1 (ko)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RU139316U1 (ru) Шлагбаум противотаранный мобильный шпм-l
CN204753443U (zh) 电动翻板式道闸
CN209025450U (zh) 一种自动收放式卸料平台
EP2460963B1 (de) Verriegelung für ein Vertikalschiebefenster oder -türe
US7086443B2 (en) High wind cable support systems
KR100934335B1 (ko) 대운하용 회전식수문
CN214034895U (zh) 一种侧面开口式预制剪力墙构件用临时支撑装置
CN109516390B (zh) 一种便于人力搬运安装的平头塔式起重机以及现场安装方法
CN210562040U (zh) 一种闸门的启闭结构
CN210341819U (zh) 一种泵闸锁定装置
JPH07895B2 (ja) 鉄筋篭の建込み装置
CN207846350U (zh) 一种闸门搁门器检测装置
KR101250232B1 (ko) 로프식 유압수문
CN211228397U (zh) 一种升船机闸首工作门与承船厢工作门联动启闭装置
CN206090486U (zh) 一种弧形水利闸门
CN107630420B (zh) 重型防冲撞通道拦截挡板
JP2020159018A (ja) ポンプゲート
CN218712682U (zh) 一种平板闸门锁定装置
CN216583854U (zh) 一种跨梁吊装组合架
CN220620012U (zh) 一种便于运输的分体式钢闸门
CN209429564U (zh) 一种房建施工电梯井道防护结构
CN213976663U (zh) 水利闸门安装用吊装设备
CN220490555U (zh) 灌浆套筒拉拔实验装置
CN216810883U (zh) 推拉式悬挑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