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636A -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 Google Patents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636A
KR20090114636A KR1020080040376A KR20080040376A KR20090114636A KR 20090114636 A KR20090114636 A KR 20090114636A KR 1020080040376 A KR1020080040376 A KR 1020080040376A KR 20080040376 A KR20080040376 A KR 20080040376A KR 20090114636 A KR20090114636 A KR 20090114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luice
fixed
door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두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Priority to KR102008004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4636A/ko
Publication of KR2009011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수문을 다수개의 분할된 블록으로 조립·결합시킴으로써 수문의 형상 변형 또는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에 관한 것으로, 양쪽 벽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수문 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으로서, 상기 수문 도어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블록이 다수개로 분할되고, 상기 블록과 블록이 접하는 면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의 고정홈에는 심재가 끼워져 다수의 블록이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비금속 재질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수문이 부식되지 않고, 중량이 가벼워 수문의 설치가 용이하며, 블록 사이에 심재가 고정되어 있어 블록의 뒤틀림 등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고, 가이드 레일과 블록에 경사면을 갖는 경사 프레임이 고정됨으로써 수문의 밀폐를 높이며, 블록의 형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수문을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수문, 비금속재, 블록, 심재

Description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Block Type Modification Prevention Nonmetal Sluice Gate}
본 발명은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댐, 하수처리시설, 상하수도 시설 및 농업 관개시설 등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수문에 강한 수압이 작용하므로 수압에 견디는 강도를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문은 금속재질의 특성상 접촉되는 공기에 의해 산화가 쉽게 이루어져 부식되고, 금속으로 된 수문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그 표면에는 페인트 등의 도료를 발라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부식성이 강한 폐수 또는 하수처리시설 등에 사용될 때에는 부식을 방지하는 도료로 방식처리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복이 벗겨져 부식 발생에 의한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문은 주물 성형으로 제작되므로 수문의 중량이 무거워 수문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가 대형화되어야 하고, 용수 저장 또는 처리시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규격이 요구되는 사양에 맞게 제작되므로 그 제작이 어려울 뿐 만 아니라 제작비가 상승하게 된다.
아울러 금속 재질의 수문은 그 중량이 무거워 운반 및 설치, 보수시에 취급이 어렵고, 수문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에는 패킹재가 설치되나 상기 패킹재는 금속과의 마찰로 인해 단기간에 마모되어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패킹재의 마모로 인해 누수가 발생된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2-36885호에 '수문장치의 보강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1a 내지 도1c에 도시하였다.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장치의 보강구조에는 게이트를 갖는 도어 플레이트(10), 상기 도어 플레이트(10) 양 측방에 형성된 가이드 찬낼(12)을 따라 승강부(20)에 의해 승강되면서 게이트를 개폐 작동하는 수문도어(30)가 구비되며, 수문도어(30)는 비금속재로 형성되고, 그 배면에 금속재로 된 찬낼을 격자 형태로 고정한 보강재(31)가 구비된다.
상기 수문도어(30)의 보강재(31)는 가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한 금속재 보강찬낼(32)을 가로 방향으로 다수 설치하고, 상기 보강찬낼(32)의 다수 위치에는 가로 방향의 동일 위치에 관통공(33)을 형성하여 나사봉(35)이 일체로 삽입 연결된다.
또 도어 플레이트(10)의 가이드찬낼(12)을 따라 승강 안내되는 보강재(31)의 양 측방에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보강찬낼(32) 사이에 비금속재의 블록(40)이 삽입되고, 그 외측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찬낼(32)을 덮어 씌우도록 비금속재 가이드 플레이트(45)가 상기 블록(40)과 함께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나사봉(35)에는 보강찬낼(32)의 상하부에 고정너트(36)를 결합하여 보강찬낼(32)의 상하 방향에서 체결하여 상호 연결되고, 상기 보강찬낼(32)은 나사봉(35)을 따라 이동하면서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금속 수문도어(30), 블록(40), 가이드 플레이트(45) 등은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문장치는 수문도어, 블록 및 가이드 플레이트가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어 수문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장기간 사용에 따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수문도어, 블록 및 가이드 플레이트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문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비금속재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수문 도어에 변형이 발생되는데, 햇빛에 의해 가열되거나, 일교차에 의해 폴리에틸렌이 가열 또는 냉각을 반복함에 따라 수문의 형상 변형이나 뒤틀림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수문이 변형되거나 뒤틀리게 되면 수문이 밀폐되지 않아 차단하고 있는 물이 누수 되는 단점이 있으며, 수문도어 배면에 고정되는 블록은 가이드 찬낼 내측에만 고정되므로 수문도어의 변형 또는 뒤틀림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수문을 다수개의 분할된 블록으로 조립시킴으로써 수문의 형상 변형 또는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은 양쪽 벽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수문 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으로서, 상기 수문 도어에는 비금속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블록이 다수개로 분할되고, 상기 블록과 블록이 접하는 면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의 고정홈에는 심재가 끼워져 다수의 블록이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홈은 상기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재는 상기 고정홈과 동일한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재는 상기 고정홈과 동일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일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한 제1경사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블록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경사 프레임의 경사면과 대향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2경사 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경사 프레임에는 고정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제1경사 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홈에는 제1수직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심재에는 상기 제1수직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수직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구멍과 제2수직구멍에는 고정봉이 끼워져 다수의 블록과 심재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경사 프레임에는 상기 블록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수평구멍과 대응되는 제2수평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 사이에 위치한 심재의 양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3수평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다수개로 조립된 블록의 최상면에는 상기 제1수직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수직구멍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로 조립된 블록의 최하면에는 상기 제1수직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수직구멍이 형성된 하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제1경사 프레임을 고정하며, 상기 경사면의 하부가 상부 보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 쪽으로 근접하게 고정되고, 상기 블록에 고정되는 상기 제2경사 프레임의 경사면 상부는 상기 제1경사 프레임의 상부와 근접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심재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기 블록이 변형되지 않도록 강도 및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의 일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패킹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홈과 심재는 마름모 또는 육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비금속 재질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수문이 부식되지 않고, 중량이 가벼워 수문의 설치 및 운반 등이 용이하며, 블록 사이에 심재가 고정되어 있어 블록의 뒤틀림 등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고, 가이드 레일과 블록에 경사면을 갖는 경사 프레임이 고정됨으로써 수문의 밀폐를 높이며, 블록의 형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수문을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이 결합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 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6은 도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금속 수문(100)은 수문이 설치되는 벽체(도면상 미도시됨)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110), 상기 가이드 레일(110) 전면에 고정되는 도어 플레이트(130), 상기 도어 플레이트(130) 배면에 승강되게 설치되는 수문 도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레일(110)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절곡되어 일측이 벽체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제1경사 프레임(111)이 고정되며, 가이드 레일(110)에는 제1경사 프레임(111)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도록 다수의 장공(112)이 형성된다.
또 제1경사 프레임(111)에는 장공(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멍(113)이 형성되며, 고정구멍(113)의 반대면은 하부가 도어 플레이트(130)에 근접되게 경사면(114)이 형성된다.
아울러 장공(112)과 고정구멍(113)에는 제1경사 프레임(111)이 움직이지 않도록 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체결되고, 제1경사 프레임(111)은 그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고정구멍(113)를 장공(112)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고정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제1경사 프레임(1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110) 상면에는 수평 프레임(115)이 고정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115)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승강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승강장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통상의 승강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130)에는 수문 도어(150)가 개방됨에 따라 물이 통과되는 구멍(13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 플레이트(130) 상부에는 홈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32)에는 플레이트(133)가 끼워져 고정되며, 도어 플레이트(130) 하부에는 수문 도어(150)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134)가 고정된다.
또 도2 및 도3에 도시된 도면 부호 (135)는 수평 프레임(115)을 관통하여 승강장치에 연결되는 수직 바를 나타내며, 상기 수직 바(135)에는 수평 프레임(115) 및 도어 플레이트(13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브래킷(136)이 구비되며, 이들 브래킷(136)은 통상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문 도어(150)는 다수개로 분할된 블록(151), 상기 블록(151)과 블록(151)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심재(160) 및 상기 블록(151)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제2경사 프레임(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151)은 비금속 재질인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블록(151)에는 분할된 블록(151)이 서로 조립되도록 제1수직구멍(152a)이 다수개 형성되고, 블록(151)끼리 접하는 면에는 일정 깊이의 고정홈(153)이 형성된다.
또 상기 블록(151) 양측면에는 제2경사 프레임(170)과 결합되도록 제1수평구멍(152b)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151)의 고정홈(153)에 끼워져 고정되는 심재(160)가 구비된다.
상기 심재(160)는 강도(强度) 및 강성(剛性)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심재(160)는 인접한 블록(151)의 고정홈(153) 사이에 끼워지는 높이를 갖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 프레임(170)에 결합되도록 블록(151) 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아울러 심재(160)는 단면에서 보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블록(151)과 블록(151)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물이 누수 되지 않도록 억지끼움으로 끼워지거나 심재(160)를 둘러싸는 패킹재(도면상 미도시됨)가 고정될 수 있다.
또 심재(160)에는 블록(151)의 제1수직구멍(15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수직구멍(161)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적층되는 블록(151) 최상면에는 상판(154a)이 마련되고, 적층되는 블록(151)의 최하면에는 하판(154b)이 마련되며, 이들 상판(154a)과 하판(154b)에도 제1수직구멍(152a)과 대응되는 제3수직구멍(155)이 형성된다.
아울러 블록(151), 심재(160), 상판(154a)과 하판(154b)이 일체로 조립되도록 고정봉(156)이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고정봉(156)의 상단과 하단에는 너트 등의 고정수단이 체결된다.
또 분할된 다수의 블록(151) 일면 즉, 도어 플레이트(130)와 접하는 면에는 끼움홈(157)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57)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부(157a)가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홈(157)은 도2,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다수의 블록(151)에 형성되는데, 최상단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블록(151)에는 끼움홈(157) 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들 끼움홈(157)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된 패킹재(158)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패킹재(158)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플레이트(130)의 구멍(131) 보다 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어 플레이트(130)와 수문 도어(150) 사이에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또 패킹재(158)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플레이트(130)와 수문 도어(150)의 밀폐를 높이기 위해 일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연장부(158a)와 타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연장부(158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블록(151) 양측면에는 제2경사 프레임(170)이 고정된다. 이러한 제2경사 프레임(170)에는 제1경사 프레임(111)의 경사면(114)과 접촉되는 면에 경사면(171)이 형성되고, 상기 각 블록(151)의 제1수평구멍(152b)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수평구멍(172)이 다수개 형성되며, 제2수평구멍(172) 사이에는 심재(16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3수평구멍(17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이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110) 사이를 차단하는 도어 플레이트(130)가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110)에 제1경사 프레임(111)이 고정된다.
이때 제1경사 프레임(111)은 그 경사면(114)이 도어 플레이트(130) 쪽을 향해 고정되며, 제1경사 프레임(111)과 도어 플레이트(130) 사이에는 수문 도어(15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문 도어(150)는 블록(151)의 고정홈(153)에 심재(160)를 끼워 넣고, 그 상면에 다른 블록(151)을 위치시켜 그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53)을 심재(160)에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51)과 심재(160)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블록(151)과 블록(151) 사이에 심재(160)가 조립되며, 이들 블록(151)과 심재(160)는 수직으로 적층되어 도어 플레이트(130)의 구멍(131)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로 조립된다.
이러한 블록(151)과 심재(160)의 조립이 완료되면 조립된 블록(151)의 최상면과 최하면에 각각 상판(154a)과 하판(154b)을 위치시키며, 각 수직구멍(152a,155,161)에 고정봉(156)을 끼운 상태에서 고정봉(156)의 상단과 하단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블록(151)과 심재(160)가 일체로 조립된다.
아울러 블록(151) 양측면에는 제2경사 프레임(170)이 결합되며, 제2수평구멍(172)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체결되고, 제3수평구멍(173)에는 심재(160)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제2경사 프레임(170)의 경사면(171)은 제1경사 프레임(111)의 경사면(114)과 접촉되는 것으로, 수문 도어(150)가 하강되면 제1경사 프레임(111)과 가이드 레일(110) 사이에 제2경사 프레임(170)이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때 수문 도어(150) 하단은 도어 플레이트(130)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134)에 걸려 수문 도어(150)가 하강되는 높이가 제한된다.
이렇게 제2경사 프레임(170)이 하강되어 물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승강장치의 구동으로 수문 도어(150)을 상승시켜 도어 플 레이트(130)의 구멍(131)이 개방된다.
이러한 수문 도어(150)는 승강장치에 의해 서서히 승강되며, 수문 도어(150)가 상승됨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130)의 구멍(131)이 개방되어 수문 도어(150)에 의해 차단된 물이 흐르게 된다.
또한 수문 도어(150)는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되는데, 수문 도어(150)의 하강 시 제2경사 프레임(170)의 경사면(171)이 제1경사 프레임(111)의 경사면(114)과 미끄럼 접촉되면서 하강되므로, 수문 도어(150) 급격한 속도로 하강됨을 방지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고정홈(153a)과 심재(160a)의 형상이 제1실시예와 다른 것이므로, 이들 고정홈(153a)과 심재(160a)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홈(153a)은 연속된 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53a)에 끼워져 고정되는 심재(160a) 또한 고정홈(153a)과 동일하게 파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홈(153a)은 사각 형상을 갖도록 일정 깊이만큼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홈(153a)은 마름모 또는 육각 형상이 절반으로 잘린 형상으로 형성되고, 심재(160a) 또한 고정홈(153a)과 동일하게 마름모 또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고정홈(153b)과 심재(160b)의 형상이 다른 것으로, 이들 고정홈(153b)과 심재(160b)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에 의한 고정홈(153b)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53b)에 끼워져 고정되는 심재(160b) 또한 고정홈(153b)과 동일한 형상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홈(153b)은 사각 형상을 갖도록 일정 깊이만큼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3실시예에 의한 고정홈(153b)은 마름모 또는 육각 형상이 절반으로 잘린 형상으로 형성되고, 심재(160b) 또한 고정홈(153b)과 동일하게 마름모 또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록 사이에 심재가 끼워져 수문도어의 휨이나 뒤틀림 등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약한 재질 사이에 심재를 끼워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1a는 종래의 수문장치 보강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1b는 종래의 수문장치 보강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1c는 도1b의 요부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이 결합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도시한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6은 도5의 A-A선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도시한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을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비금속 수문 110: 가이드 레일
111: 제1경사 프레임 112: 장공
113: 고정구멍 114: 경사면
115: 수평 프레임 130: 도어 플레이트
131: 구멍 132: 홈부
133: 플레이트 134: 스토퍼
150: 수문 도어 151: 블록
152a: 제1수직구멍 152b: 제1수평구멍
153: 고정홈 154a: 상판
154b: 하판 155: 제3수직구멍
156: 고정봉 157: 끼움홈
157a: 돌기부 158: 패킹재
158a: 제1연장부 158b: 제2연장부
160,160a,160b: 심재 161: 제2수직구멍
170: 제2경사 프레임 171: 경사면
172: 제2수평구멍 173: 제3수평구멍

Claims (12)

  1. 양쪽 벽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수문 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으로서,
    상기 수문 도어에는 비금속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블록이 다수개로 분할되고, 상기 블록과 블록이 접하는 면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의 고정홈에는 심재가 끼워져 다수의 블록이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재는 상기 고정홈과 동일한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재는 상기 고정홈과 동일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일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한 제1경사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블록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경사 프레임의 경사면과 대향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2경사 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 프레임에는 고정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제1경사 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에는 제1수직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심재에는 상기 제1수직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수직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구멍과 제2수직구멍에는 고정봉이 끼워져 다수의 블록과 심재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 프레임에는 상기 블록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수평구멍과 대응되는 제2수평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 사이에 위치한 심재의 양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3수평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로 조립된 블록의 최상면에는 상기 제1수직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수직구멍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로 조립된 블록의 최하면에는 상기 제1수직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수직구멍이 형성된 하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제1경사 프레임을 고정하며, 상기 경사면의 하부가 상부 보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 쪽으로 근접하게 고정되고, 상기 블록에 고정되는 상기 제2경사 프레임의 경사면 상부는 상기 제1경사 프레임의 상부와 근접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기 블록이 변형되지 않도록 강도 및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일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패킹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과 심재는 마름모 또는 육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KR1020080040376A 2008-04-30 2008-04-30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KR20090114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376A KR20090114636A (ko) 2008-04-30 2008-04-30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376A KR20090114636A (ko) 2008-04-30 2008-04-30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636A true KR20090114636A (ko) 2009-11-04

Family

ID=4155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376A KR20090114636A (ko) 2008-04-30 2008-04-30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46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39B1 (ko) * 2009-01-03 2011-08-04 오재욱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CN105274969A (zh) * 2014-07-25 2016-01-27 (株)Sh机术 提升式闸门装置的门框板
US9926682B2 (en) 2011-08-24 2018-03-27 Hitachi Zosen Corporation Door structure for floating flap gate
KR102350850B1 (ko) * 2021-10-20 2022-01-14 해전산업 주식회사 비용접식 조인트 수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39B1 (ko) * 2009-01-03 2011-08-04 오재욱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US9926682B2 (en) 2011-08-24 2018-03-27 Hitachi Zosen Corporation Door structure for floating flap gate
CN105274969A (zh) * 2014-07-25 2016-01-27 (株)Sh机术 提升式闸门装置的门框板
KR102350850B1 (ko) * 2021-10-20 2022-01-14 해전산업 주식회사 비용접식 조인트 수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795B1 (ko)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KR20090114636A (ko) 블록형 변형방지 비금속 수문
CN201459695U (zh) 河道水面垃圾拦污栅
KR20160013364A (ko) 인양식 수문장치
KR100757950B1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CN203530944U (zh) 自动控制灌溉水位的闸门
EP1950352A2 (de) Hochwasserschutzvorrichtung
CN217104969U (zh) 一种斜压闸门
CN216640491U (zh) 一种水利工程施工用止水装置
CN107761681A (zh) 一种悬挂漂浮式拦污装置
KR20160013363A (ko) 인양식 수문장치의 문틀 플레이트
CN212670498U (zh) 一种海堤防浪墙道口的防汛挡潮闸门
CN210917248U (zh) 双浮箱式生态取水卷帘闸门
KR20090001585U (ko) 수문 인양장치
KR200310473Y1 (ko) 수문장치의 보강구조
CN2756700Y (zh) 铸铁双孔方闸门
KR102641126B1 (ko) 관리수위에 따른 수위자동제어 기능과 밸런싱 조절이 가능한 관개수문용 다단 수위조절 자동수문
KR200377415Y1 (ko) 시트 경사형 수문
CN217711079U (zh) 一种斜压式过流控制装置
CN106480861A (zh) 一种深水分段加强式闸门
CN206418468U (zh) 一种水利闸门设备
CN218263762U (zh) 一种水利水电堤防工程用排水闸板
KR200361643Y1 (ko) 쐐기 가이드 타입 수문장치
KR102508927B1 (ko) 방재수문
CN215828452U (zh) 一种分水控流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