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500B1 - 스핀들장치 - Google Patents

스핀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500B1
KR102179500B1 KR1020200089998A KR20200089998A KR102179500B1 KR 102179500 B1 KR102179500 B1 KR 102179500B1 KR 1020200089998 A KR1020200089998 A KR 1020200089998A KR 20200089998 A KR20200089998 A KR 20200089998A KR 102179500 B1 KR102179500 B1 KR 102179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opening
panel
rod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현
Original Assignee
박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현 filed Critical 박문현
Priority to KR102020008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농업 용수관리와 하천의 역류를 차단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 농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장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핀들장치{Spindle device}
본 발명은 스핀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으로 스핀들이 형성되어 수문이 개폐되는 방식을 적용한 수문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시스템은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되어 배수량 조절 및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담수율 또는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며, 홍수로 인한 설비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 할 수 있도록 한다.
수문 개폐시 스핀들을 통해 개폐 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스핀들을 수문 양측에 배치하여 수문을 쉽고 빠르게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27058호
양측으로 스핀들이 형성되어 수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농업 용수관리와 하천의 역류를 차단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 농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장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문장치부는,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하천의 관로에 설치되는 수문프레임; 수문프레임 상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수문개폐판; 수문개폐판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수문프레임 내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홈; 승강장치의 작동시 회전하여 수문개폐판이 상승되도록 일측이 수문개폐판 상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무게추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스크류; 승하강스크류와 맞물려 회전시킴으로 수문개폐판을 상승시키며, 하강시 승하강스크류에서 떨어져 수문개폐판이 자유낙하되도록 수물프레임 상면에 형성되는 승강장치; 수문개폐판의 자유낙하를 위해 승하강스크류 상측으로 형성되는 무게추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문장치부는, 수문개폐판에 접혀져 힌지를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수문개폐판 하측으로 형성되는 절첩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첩구동부는, 수문개폐판 하측으로 개폐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절첩개폐판; 개폐실린더의 일측이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수문개폐판 중앙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힌지부재; 개폐실린더의 실린더축이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절첩개폐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절첩힌지부재; 일측이 고정힌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절첩힌지부재와 연결 형성되어 수문개폐판을 기준으로 절첩개폐판이 개폐되도록 작동되는 개폐실리더; 수문개폐판을 기준으로 절첩개폐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수문개폐판과 절첩개폐판 간의 연결 형성되는 개폐힌지; 관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속과 유량을 감지하지 하여 절첩개폐문의 개폐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수문개폐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유속유량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수문장치부는, 수문개폐판이 상승하지 않고도 유속과 유량에 따라 수문개폐판 상에서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유속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속개폐부는, 수문개폐판 상에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개폐프레임; 개폐패널이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개폐프레임 상측과 하측으로 형성되는 개폐홈; 개폐프레임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슬라이드 개폐되는 개폐패널이 맞닿아 물이 흐르지 못하도록 밀착되도록 개폐패널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개폐바; 개폐프레임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회전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해 개폐프레임 일측과 회전패널간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패널고정힌지; 개폐프레임의 일측에서 패널고정힌지를 통해 고정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패널; 회전패널의 회전시 회전패널 측으로 이동되거나, 개폐프레임 중앙측으로 펼쳐지도록 회전패널과 연결 형성되는 개폐패널; 개폐패널이 회전패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개폐패널과 회전패널 간의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패널힌지; 회전패널이 개폐패널 측으로 이동시 패널실린더의 실린더 축이 회전되도록 실린더 축을 회전패널 일측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개폐유동힌지; 일측이 패널고정힌지에 연결되고, 타측이 개폐유동힌지에 연결 형성되는 패널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문시스템은, 스핀로드를 이용하여 수문개폐판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장치는, 수문개폐판 상부 양측으로 수직 형성되어 수문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스핀로드; 스핀로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내장되도록 스핀로드가 관통되도록 수문프레임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로드하우징; 스핀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기어가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로드하우징 상측으로 형성되는 기어하우징; 스핀로드와 맞물린 핸들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기어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는 기어핸들; 승하강되는 스핀로드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기어하우징 상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로드가이드관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핀들장치는, 설정 입력된 각도에 따라 유속개폐판이 개폐되도록 하여 유속개폐판의 파손 및 물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수문프레임 내부로 형성되는 유속조절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속조절구동부는, 수문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조절패널이 조절모터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조절수단; 및 수문프레임을 중심으로 제1격자패널과 제2격자패널이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제1격자패널과 제2격자패널 상에 형성된 홈으로 유속과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격자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조절수단은, 수문프레임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조절모터; 조절모터의 구동으로 개폐되도록 각각의 조절모터에 각각 연결 형성되는 조절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패널이 수문프레임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패널이 수문프레임에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1회전부재; 타측으로 형성되는 조절패널이 수문프레임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패널이 수문프레임에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2회전부재; 개방되는 양측의 조절패널이 닫힘시 조절패널간의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일측의 조절패널에 형성되는 밀착부재가 밀착되도록 타측의 조절패널 일측 수직으로 형성되는 밀착단; 타측의 조절패널에 형성되는 밀착단에 밀착되도록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패널 일측 수직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격자조절수단은, 수문프레임 일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격자패널; 제1격자패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개폐모터; 제1격자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어 제2격자패널에 형성되는 제2격자홈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1격자홈; 수문프레임 타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격자패널; 제2격자패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개폐모터; 제2격자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어 제2격자패널에 형성되는 제1격자홈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2격자홈를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장치는, 수문개폐판이 자동 승하강되도록 하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측으로 형성되는 자동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개폐부는, 스핀바 측으로 회전동력을 생산하여 제공하도록 수문프레임 상측 중앙으로 형성되는 승하강모터; 승하강모터로부터 제공받는 회전동력을 수문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핀로드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측으로 일정간격을 두도록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스핀바; 승하강모터의 모터축에 형성되는 모터기어로부터 기어벨트를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스핀바에 형성되는 바기어; 모터기어와 바기어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기어벨트; 스핀로드와 맞물리도록 스핀바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로드이동기어; 스핀바를 수문프레임 상에서 지지하도록 스핀바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지지부재와 고정되고, 타측은 수문프레임 상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바; 하강되는 수문개폐판과 바닥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수문개폐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거리감지센서; 수문개폐판의 하강시 바닥면과의 접촉시 수문개폐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수문개폐판 하측으로 형성되는 안착패드를 포함하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문시스템은, 수문개폐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측으로 형성되는 클러치권양장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권양장치부는, 수문개폐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승시키거나, 수문개폐판을 하강시키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측으로 형성되는 클러치수단; 및 클러치수단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수문개폐판의 상승을 위해 수문개폐판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클러치수단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로드수단; 및 클러치수단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수문개폐판의 상승을 위해 수문개폐판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클러치수단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로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수단은, 클러치수단이 내장되도록 수문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클러치함;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기 위해 클러치함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동력제공축; 기어연결체인에 연결되도록 동력제공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동력제공기어; 회전되는 동력제공축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클러치함 일측으로 형성되며, 동력제공축에 형성되는 클러치부재에 연결 형성되는 클러치핸들; 동력제공축을 정지시키기 위해 클러치함 일측으로 형성되며, 동력제공축에 형성되는 브레이크부재에 연결 형성되는 브레이크패널; 클러치핸들의 작동시 동력제공축의 회전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동력제공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클러치부재; 브레이크패널의 작동시 동력제공출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동력제공축 타측으로 형성되는 브레이크부재;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축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동력제공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클러치풀리; 클러치풀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클러치풀리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동력전달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동력전달기어; 동력제공축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작동축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클러치함 중앙으로 형성되는 동력전달축; 작동축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축 타측으로 작동풀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전달축풀리; 동력전달축으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으로 작동축이 회전되도록 전달축풀리와 맞물리도록 작동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작동풀리; 작동풀리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을 제1로드수단과 제2로드수단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클러치함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작동축; 작동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로드측플랜지; 작동축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로드측플랜지;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클러치함 상면에 형성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기어; 동력제공기어와 모터기어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기어연결체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로드수단은, 제1로드수단이 내장되도록 클러치함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로드함; 제1로드측플랜지와 연결되도록 제1하우징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하우징; 제1로드측플랜지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1로드함 내부로 형성되는 제1하우징축; 제1하우징축의 회전동력을 제1로드축으로 제공하기 위해 제1하우징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로드풀리; 제1로드풀리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1로드함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로드축; 제1로드풀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제1로드풀리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제1로드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축풀리; 제1축풀리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으로 제1로드바를 승하강 이동시키기 위해 제1로드축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1로드이송기어; 제1로드이송기어에 맞물려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제1로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로드수단은, 제2로드수단이 내장되도록 클러치함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로드함; 제2로드측플랜지와 연결되도록 제2하우징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하우징; 제2로드측플랜지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2로드함 내부로 형성되는 제2하우징축; 제2하우징축의 회전동력을 제2로드축으로 제공하기 위해 제2하우징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로드풀리; 제2로드풀리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2로드함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로드축; 제2로드풀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제2로드풀리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제2로드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축풀리; 제2축풀리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으로 제2로드바를 승하강 이동시키기 위해 제2로드축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로드이송기어; 제2로드이송기어에 맞물려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로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권양장치부는, 수문개폐판의 승하강시 오작동으로 인해 하강되는 수문개폐판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1로드바와 제2로드바 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하강되는 수문개폐판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1로드함과 제2로드함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역브레이크모터; 제1로드바와 제2로드바 일측면 상부로 형성되는 제1브레이크드럼; 제1로드바와 제2로드바 일측면 하부로 형성되는 제2브레이크드럼; 제1브레이크드럼을 지지하도록 제1로드함과 제2로드함 상면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제1드럼지지대; 제2브레이크드럼을 지지하도록 제1드럼지지대 상측으로 형성되는 제2드럼지지대; 역브레이크모터의 모터축과 제1브레이크드럼과 제2브레이크드럼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브레이크체인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권양장치부는, 하강되는 수문개폐판이 바닥면과 접촉시 일정 텐션을 갖도록 하여 수문개폐판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수문개폐판 하측으로 형성되는 낙하간격텐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낙하간격텐션부는, 수문개폐판 하면에서 내부로 매립 형성되는 텐션실린더; 수문개폐판의 하강시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텐션실린더 하측으로 형성되는 접촉패널; 수문개폐판의 하강시 바닥면과 접촉되는 접촉패널이 일정 텐션을 갖도록 접촉패널과 텐션실린더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스프링; 수문개폐판이 바닥면과 접촉시 접촉패널이 수문개폐판 측으로 삽입되도록 수문개폐판 하면에 형성되는 패널접촉홈를 포함한다.
양측으로 스핀들이 형성되어 수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수문을 쉽고 빠르게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수문시스템의 수문장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수문장치부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절첩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수문장치부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유속개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수문시스템의 스핀들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스핀들장치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유속조절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스핀들장치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개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수문시스템의 클러치권양장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도 10b는 도 9에 대한 내부 상세도이다.
도 11은 클러치권양장치부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브레이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클러치권양장치부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낙하간격텐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수문시스템(10)의 수문장치부(1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문장치부(100)는 농업에서 사용되는 용수를 관리하고, 하천의 역류를 차단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문장치부(100)는 수문프레임(110), 수문개폐판(120), 승하강홈(130), 승하강스크류(140), 승하강장치, 무게추(160)를 포함한다.
상기 수문프레임(110)은 농업 용수가 흐르는 관로 또는 하천이 흐르는 관로 중 어느 하나의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문프레임(110)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문개폐판(120)은 수문프레임(110) 상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문개폐판(120)은 수문프레임(110)을 따라 이동되도록 사각의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홈(130)은 수문개폐판(120)이 결합되어 상측과 하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홈(130)은 수문프레임(110) 내부 양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홈(130)은 수문개폐판(120)으니 양측이 일부 삽입되도록 하여 승하강 슬라이드 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스크류(140)는 수문개폐판(120)을 수문프레임(110) 상에서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스크류(140)는 승강장치(150)의 작동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승하강스크류(140)의 일측 끝단이 수문개폐판(120)과 연결됨으로 승하강스크류(140)의 회전시 승강장치(150)를 기준으로 승하강스크류(140)가 회전상승되어 승하강스크류(140)와 연결된 수문개폐판(120)이 상승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스크류(140)는 승강장치(150) 내부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 이동되며, 기어가 떨어짐에 따라 승하강스크류(140)가 자유낙하되는 것으로, 무게추(160)의 무게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150)는 승하강스크류(140)를 회전시켜 상승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장치(150)는 수문프레임(110)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150)는 승하강스크류(140)를 회전 상승시키기 위해 승강장치(150) 내부에 형성되는 기어와 맞물리도록 하여 승강장치(150) 내의 모터가 작동시 기어를 회전시켜 기어와 맞물린 승하강스크류(140)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하강스크류(140)의 자유낙하는 승강장치(150)의 기어가 승하강스크류(140)에서 떨어짐으로 무게추(160)의 무게에 의해 승하강스크류(140)가 연결된 수문개폐판(120)이 자유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추(160)는 수문개폐판(120)을 자유낙하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무게추(160)는 승하강스크류(140)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수문개폐판(120)을 자유낙하시킴에 따라 무게추(160)의 무게에 의해 바닥측으로 수문개폐판(120)이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수문장치부(100)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절첩구동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첩구동부(200)는 수문개폐판(120)에 접혀져 힌지를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수문개폐판(120)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접구동부는 관로의 깊이가 깊은 경우 또는 수문개폐판(120)의 설치가 한정되는 깊이 인경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첩구동부(200)는 절첩개폐판(210), 고정힌지부재(220), 절첩힌지부재(230), 개폐실린더(240), 개폐힌지(250), 유속유량감지센서(260)를 포함한다.
상기 절첩개폐판(210)은 수문개폐판(120)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첩개폐판(210)은 수문개폐판(120)을 기준으로 수문개폐판(120)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첩개폐판(210)은 유속 및 유량에 따라 개폐되는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힌지부재(220)는 개폐실린더(240)의 일측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힌지부재(220)는 수문개폐판(120) 중앙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힌지부재(220)는 개폐실린더(240)의 작동시 개폐실린더(240)가 수문개폐판(120)으로부터 회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첩힌지부재(230)는 개폐실린더(240)의 실린더 축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첩힌지부재(230)는 절첩개폐판(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개폐실린더(240)의 작동시 돌출되는 실린더 축이 개폐되는 절첩개폐판(210)의 회전각도에 따라 회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힌지부재(220)와 개폐실린더(240) 간의 결합, 상기 절첩힌지부재(230)와 개폐실린더(240) 간의 결합은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실린더(240)는 절첩개폐판(210)이 수문개폐판(120)으로부터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초기는 수문개폐판(120)과 절첩개폐판(210)이 90°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후 유속과 유량에 따라 90° ~ 180°사이에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힌지(250)는 수문개폐판(120)과 절첩개폐판(210)이 상호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힌지(250)는 핀 형태로 형성되어 수문개폐판(120)으로부터 절첩개폐판(21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유량감지센서(260)는 관로를 따라 수문시스템(10) 측으로 흐르는 물의 유속과 유량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속유량감지센서(260)를 통해 감지되는 유속 및 유량 정보를 개폐실린더(240) 측으로 제공하여 이에 맞는 각도록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유량감지센서(260)는 수문개폐판(1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량이 적은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해 수문프레임(1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속유량감지센서(260)는 유량을 1차적으로 감지해야하는 것으로, 물이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수문장치부(100)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유속개폐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속개폐부(300)는 수문개폐판(120)이 상승하지 않고도 유속과 유량에 따라 개폐되도록 수문개폐판(12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개폐부(300)는 개폐프레임(310), 개폐홈(320), 개폐바(330), 패널고정힌지(340), 회전패널(350), 개폐패널(360), 패널힌지(370), 개폐유동힌지(380), 패널실린더(390)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프레임(310)은 수문개폐판(120) 상에서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홈(320)은 개폐프레임(310) 내부 상측과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홈(320)은 개폐패널(360)이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바(330)는 개폐패널(360)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으로, 개폐프레임(3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슬라이드 개폐되는 개폐패널(360)이 맞닿을 경우 물이 흐르지 못하도록 상호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바(330)는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개폐패널(360)의 닫힘시 개폐패널(360)의 닫히는 힘에 의해 일부가 눌러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고정힌지(340)는 회전패널(350)을 개폐프레임(3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고정힌지(340)는 개폐프레임(310)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회전패널(350)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패널(350)은 개폐프레임(310)의 일측에서 패널고정힌지(340)에 의해 고정 및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패널(350)은 패널실린더(390)의 작동시 개폐패널(360)이 회전패널(350)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패널(350) 측으로 개폐패널(360)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패널(360)은 회전패널(350) 측으로 접혀지거나, 회전패널(350) 반대측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패널(360)은 일칙이 개폐프레임(31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패널(360)의 일측은 회전패널(350)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힌지(370)는 개폐패널(360)과 회전패널(350)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패널실린더(390)의 작동시 패널힌지(370)를 통해 개폐패널(360)이 회전패널(350) 측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유동힌지(380)는 패널실린더(390)의 실린더 축이 연결되어 개폐패널(360)의 접힘 및 펼쳐짐시 패널실린더(390)의 실린더 축이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실린더(390)는 회전패널(350) 측으로 개폐패널(360)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실린더(390)의 일측은 패널고정힌지(340)에 회전패널(350)과 함께 고정 형성되며, 패널실린더(390)의 타측은 개폐유동힌지(380)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수문시스템(10)의 스핀들장치(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핀들장치(400)는 스핀로드(410)를 이용하여 수문개폐판(12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핀들장치(400)는 수문프레임(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핀들장치(400)는 스핀로드(410), 로드하우징(420), 기어하우징(430), 기어핸들(440), 로드가이드관(450)을 포함한다.
상기 스핀로드(410)는 수문개폐판(120) 상부 양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핀로드(410)는 수문프레임(110)을 관통하여 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수문개폐판(120)과 연결되며, 연결시 스핀로드(410)가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하우징(420)은 스핀로드(4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로드하우징(420)은 스핀로드(410)가 관통되도록 수문프레임(110)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하우징(430)은 스핀로드(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기어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하우징(430)은 로드하우징(42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로드하우징(420)과 기어하우징(43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스핀로드(410)에 핸들기어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핸들(440)은 기어하우징(430) 내부에 형성되는 핸들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기어핸들(440)의 작동시 핸들기어가 회전되며, 핸들기어와 맞물린 스핀로드(410)가 회전됨으로 핸들기어를 기준으로 스핀로드(410)가 상승되거나 하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가이드관(450)은 승하강되는 스핀로드(410)가 흔들림없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로드가이드관(450)은 기어하우징(430) 상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스핀들장치(400)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유속조절구동부(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속조절구동부(500)는 수문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조절패널(512)이 조절모터(511)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조절구동부(500)는 개폐조절수단(510)과 격자조절수단(520)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조절수단(510)은 수문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조절패널(512)이 조절모터(511)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조절수단(510)은 조절모터(511), 조절패널(512), 제1회전부재(513), 제2회전부재(514), 밀착단(515), 밀착부재(516)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모터(511)는 수문프레임(110)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조절패널(512)을 개폐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모터(511)는 설정되는 회전각도를 통해 작동되는 것으로, 유속 및 유량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패널(512)은 조절모터(511)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패널(512)은 각각의 조절모터(511)가 형성되어 조절모터(511)의 작동에 의해 설정되는 각도로 조절패널(512)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513)는 수문프레임(110) 상에 조절패널(512)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회전부재(513)는 수문프레임(110)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회전부재(513)가 조절모터(511)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조절모터(511)의 회전시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조절패널(512)이 형성된 제1회전부재(513)가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회전부재(514)는 수문프레임(110) 상에 조절패널(512)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회전부재(514)는 수문프레임(110)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2회전부재(514)가 조절모터(511)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조절모터(511)의 회전시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조절패널(512)이 형성된 제2회전부재(514)가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단(515)은 개방되는 양측으로 조절패널(512)이 닫힘시 조절패널(512) 간의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일측의 조절패널(512)에 형성되는 밀착부재(516)가 밀착되도록 타측의 조절패널(512) 일측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516)는 밀착단(515)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재(516)는 조절패널(512) 일측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밀착부재(516)는 밀착단(515)의 밀착 접촉시 완벽한 밀착을 위해 밀착부재(516)가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자조절수단(520)은 수문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제1격자패널(521)과 제2격자패널(524)이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1격자패널(521)과 제2격자패널(524) 상에 형성된 홈의 크기를 조절하여 유속과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자조절단은 제1격자패널(521), 제1개폐모터(522), 제1격자홈(523), 제2격자패널(524), 제2격자모터, 제2격자홈(526)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격자패널(521)은 수문프레임(110) 일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격자패널(521)은 제2격자패널(524)과 일측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수문프레임(110)을 따라 수평상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개폐모터(522)는 제1격자패널(521)을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제1개폐모터(522)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모터기어(731)가 제1격자패널(521) 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랙기어와 맞물려 제1개폐모터(522)의 작동시 제1격자패널(521)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격자홈(523)은 제1격자패널(521)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물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격자홈(523)은 제2격자패널(524)에 형성되는 제2격자홈(526)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물이 관통되어 흐를 수 있도록 하며, 제1격자홈(523)이 제2격자홈(526)과 교차 형성시 물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격자패널(524)은 수문프레임(110) 일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격자패널(524)은 제1격자패널(521)과 일측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수문프레임(110)을 따라 수평상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개폐모터(525)는 제2격자패널(524)을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제2개폐모터(525)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모터기어(731)가 제2격자패널(524) 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랙기어와 맞물려 제2개폐모터(525)의 작동시 제2격자패널(524)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격자홈(526)은 제2격자패널(524)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물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격자홈(526)은 제1격자패널(521)에 형성되는 제1격자홈(523)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물이 관통되어 흐를 수 있도록 하며, 제2격자홈(526)이 제1격자홈(523)과 교차 형성시 물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스핀들장치(400)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개폐부(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개폐부(600)는 수문개폐판(120)이 자동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동개폐부(600)는 관리자가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하며, 유속 및 유량에 따라 자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개폐부(600)는 승하강모터(610), 스핀바(611), 바기어(612), 기어벨트(613), 로드이동기어(614), 지지부재(615), 지지바(616), 거리감지센서(620), 안착패드(630)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모터(610)는 스핀바(611) 측으로 회전동력을 생산하여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모터(610)는 수문프레임(110) 상측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핀바(611)는 승하강모터(610)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을 수문프레임(110)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핀로드(41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핀바(611)는 수문프레임(110)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핀바(611)는 지지부재(615)와 지지바(616)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기어(612)는 승하강모터(610)의 모터축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제공받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기어(612)는 승하강모터(610)의 모터축과 동일한 위치인 스핀바(61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벨트(613)는 승하강모터(610)에 형성되는 모터기어(731)와 스핀바(611)에 결합 형성되는 바기어(612)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기어벨트(613)는 체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이동기어(614)는 스핀로드(410)와 맞물리도록 하여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드이동기어(614)는 스핀바(611)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615)는 스핀바(611)를 수문프레임(110)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615)는 스핀바(611)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615)는 지지바(616)에 의해 고정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616)는 각각의 지지부재(615) 하츠긍로 형성되며, 일측은 지지부재(615)에 연결 타측은 수문프레임(110)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감지센서(620)는 하강되는 수문개폐판(120)과 바닥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문개폐판(1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패드(630)는 수문개폐판(120)의 하강시 바닥면과의 접촉으로 수문개폐판(1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패드(630)는 수문개폐판(120)의 하면에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문장치부와 스핀들장치는 수동 내지 자동의 구성으로 상호 복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의 구성에 도 7 내지 도 8의 구성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의 구성에 도 3 내지 도 4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구성에 도 2 내지 도 3의 또다른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의 구성에 도 6 내지 도 7의 또다른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의 구성에 도 3 내지 도 8의 구성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의 구성에 도 1과 도 3 내지 도 4와 도 7 내지 도 8의 구성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 수문시스템(10)의 클러치권양장치부(7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a, 도 10b는 도 9에 대한 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러치권양장치부(700)는 수문개폐판(12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러치권양장치부(700)는 수문프레임(110) 상부와 지면에 복합적으로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권양장치부(700)의 경우 농업용 관로에서 사용되는 소형의 수문이 아닌 하천과 댐 등에서 사용되는 수문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클러치권양장치부(700)는 클러치수단(710)과 제1로드수단(740)과 제2로드수단(750)을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수단(710)은 수문개폐판(1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승시키거나, 수문개폐판(120)을 하강시키기 위해 수문프레임(11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수단(710)은 클러치함(711), 동력제공축(712), 동력제공기어(713), 클러치핸들(714), 브레이크패널(715), 클러치부재(716), 브레이크부(800)재(717), 클러치풀리(718), 동력전달기어(719), 동력전달축(720), 전달축풀리(721), 작동풀리(722), 작동축(723), 제1로드측플랜지(724), 제2로드측플랜지(725), 구동모터(730), 모터기어(731), 기어연결체인(732)을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함(711)은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어 클러치수단(710)이 내장되도록 수문프레임(1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제공축(712)은 구동모터(730)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제공축(712)은 클러치함(71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제공기어(713)는 기어연결체인(732)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동력제공축(7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핸들(714)은 회전되는 동력제공축(712)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클러치함(7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러치핸들(714)은 동력제공축(712)에 형성되는 클러치부재(716)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패널(715)은 동력제공축(712)을 정지시키기 위해 클러치함(7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패널(715)은 동력제공축(712)에 형성되는 브레이크부(800)재(717)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부재(716)는 클러치핸들(714)의 작동시 동력제공축(712)의 회전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러치부재(716)는 동력제공축(7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부(800)재(717)는 브레이크패널(715)의 작동시 동력제공축(712)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동력제공축(712)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풀리(718)는 구동모터(730)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축(72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러치풀리(718)는 동력제공축(7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719)는 클러치풀리(718)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기어(719)는 클러치풀리(718)보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동려전달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축(720)은 동력제공축(712)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작동축(723)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축(720)은 클러치함(711)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축풀리(721)는 작동축(723)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달축풀리(721)는 작동축(723) 타측으로 작동풀리(722)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풀리(722)는 동력전달축(720)으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으로 작동축(723)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작동풀리(722)는 전달축풀리(721)와 맞물리도록 작동축(72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축(723)은 작동풀리(722)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을 제1로드수단(740)과 제2로드수단(75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작동축(723)은 클러치함(711)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드측플랜지(724)는 작동축(723) 일측으로 형성되어 제1연결하우징(74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로드측플랜지(725)는 작동축(723) 타측으로 형성되어 제2연결하우징(75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730)는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730)는 클러치함(711)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기어(731)는 구동모터(7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기어(731)는 기어연결체인(732)에 의해 동력제공기어(713) 측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연결체인(732)은 모터기어(731)와 동력제공기어(713)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드수단(740)은 클러치수단(710)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수문개폐판(120)의 상승을 위해 수문개폐판(12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클러치수단(7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드수단(740)은 제1로드함(741), 제1연결하우징(742), 제1하우징축(743), 제1로드풀리(744), 제1로드축(745), 제1축풀리(746), 제1로드이송기어(747), 제1로드바(748)를 포함한다.
상기 제1로드함(741)은 제1로드수단(740)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로드수단(740)은 클러치함(7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하우징(742)은 제1로드측플랜지(724)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하우징(742)은 제1하우징축(74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하우징(742)과 제1로드측플랜지(724)는 볼트를 통해 결합되거나, 결속밴드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우징축(743)은 제1로드측플랜지(724)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축(743)은 제1로드함(741)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드풀리(744)는 제1하우징축(743)의 회전동력을 제1로드축(745)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로드풀리(744)는 제1하우징축(74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드축(745)은 제1로드풀리(744)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로드축(745)은 제1로드함(74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제1축풀리(746)는 제1로드풀리(744)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제1로드풀리(744)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축풀리(746)는 제1로드축(74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드이송기어(747)는 제1축풀리(746)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으로 제1로드바(748)를 승하강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로드이송기어(747)는 제1로드축(745)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드바(748)는 제1로드이송기어(747)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로드바(748)는 제1로드이송기어(747)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로드수단(750)은 클러치수단(710)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수문개폐판(120)의 상승을 위해 수문개폐판(12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클러치수단(71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로드수단(750)은 제2로드함(751), 제2연결하우징(752), 제2하우징축(753), 제2로드풀리(754), 제2로드축(755), 제2축풀리(756), 제2로드이송기어(757), 제2로드바(758)를 포함한다.
상기 제2로드함(751)은 제2로드수단(750)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로드수단(750)은 클러치함(7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하우징(752)은 제2로드측플랜지(725)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연결하우징(752)은 제2하우징축(75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하우징(752)과 제2로드측플랜지(725)는 볼트를 통해 결합되거나, 결속밴드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하우징축(753)은 제2로드측플랜지(725)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하우징축(753)은 제2로드함(751)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지응로 한다.
상기 제2로드풀리(754)는 제2하우징축(753)의 회전동력을 제2로드축(755)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로드풀리(754)는 제2하우징축(75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로드축(755)은 제2로드풀리(754)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로드축(755)은 제2로드함(75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제2축풀리(756)는 제2로드풀리(754)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제2로드풀리(754)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축풀리(756)는 제2로드축(75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로드이송기어(757)는 제2축풀리(756)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으로 제2로드바(758)를 승하강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로드이송기어(757)는 제2로드축(755)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로드바(758)는 제2로드이송기어(757)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로드바(758)는 제2로드이송기어(757)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클러치권양장치부(700)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브레이크부(8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부(800)는 수문개폐판(120)의 승하강시 오작동으로 인해 하강되는 수문개폐판(120)을 정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부(800)는 제1로드바(748)와 제2로드바(758) 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부(800)는 역브레이크모터(810), 제1브레이크드럼(820), 제2브레이크드럼(830), 제1드럼지지대(840), 제2드럼지지대(850), 브레이크체인(860)을 포함한다.
상기 역브레이크모터(810)는 하강되는 수문개폐판(120)을 정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역브레이크모터(810)는 제1로드함과 제2로드함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로드바(748) 측과 제2로드바(758) 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브레이크드럼(820)은 제1로드바(748)와 제2로드바(758) 일측면 상부로 형성되어 제1로드바(748)와 제2로드바(758) 일측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브레이크드럼(820)은 제1로드바(748)와 제2로드바(758)의 일측면에 밀착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 힘이 가해지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브레이크드럼(830)은 제1로드바(748)와 제2로드바(758) 일측면 하부로 형성되어 제1로드바(748)와 제2로드바(758) 일측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브레이크드럼(830)은 제1로드바(748)와 제2로드바(758)의 일측면에 밀착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 힘이 가해지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드럼지지대(840)는 제1브레이크드럼(82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드럼지지대(840)는 제1로드함과 제2로드함 상면 일측과 수문프레임(110) 상면 타측으로 제1로드바(748) 측과 제2로드바(758) 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드럼지지대(850)는 제2브레이크드럼(83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드럼지지대(850)는 제1드럼지지대(84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체인(860)은 역브레이크모터(810)의 모터축과 제1브레이크드럼(820)과 제2브레이크드럼(830)을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제1브레이크드럼(820)과 제2브레이크드럼(830)이 회전되지 않도록 모터축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클러치권양장치부(700)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예인 낙하간격텐션부(9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낙하간격텐션부(900)는 하강되는 수문개폐판(120)이 바닥면과 접촉시 일정 텐션을 갖도록 하여 수문개폐판(12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수문개폐판(120)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하간격텐션부(900)는 텐션실린더(910), 접촉패널(920), 완충스프링(930), 패널접촉홈(940)을 포함한다.
상기 텐션실린더(910)는 수문개폐판(120) 하면에서 내부로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실린더(910)는 수문개폐판(120) 내부에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패널(920)은 수문개폐판(120)의 하강시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촉패널(920)은 일측이 텐션실린더(910)와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패널(920)은 패널접촉홈(940)에 삽입되는 것으로 수문개폐판(120)이 바닥면에 완전 밀착시 접촉패널(920)이 패널접촉홈(94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930)은 수문개폐판(120)의 하강시 바닥면과 접촉되는 접촉패널(920)이 일정 텐션을 갖도록 하여 접촉되도록 함으로, 접촉패널(920)이 바닥면과 접촉시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수문개폐판(120)이 바닥면과 접촉시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930)은 텐션실린더(910)와 접촉패널(9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접촉홈(940)은 접촉패널(9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접촉홈(940)은 수문개폐판(120) 하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문시스템
100 : 수문장치부 110 : 수문프레임
120 : 수문개폐판 130 : 승하강홈
140 : 승하강스크류 150 : 승강장치
160 : 무게추
200 : 절첩구동부
210 : 절첩개폐판 220 : 고정힌지부재
230 : 절첩힌지부재 240 : 개폐실리더
250 : 개폐힌지 260 : 유속유량감지센서
300 : 유속개폐부
310 : 개폐프레임 320 : 개폐홈
330 : 개폐바 340 : 패널고정힌지
350 : 회전패널 360 : 개폐패널
370 : 패널힌지 380 : 개폐유동힌지
390 : 패널실린더
400 : 스핀들장치
410 : 스핀로드 420 : 로드하우징
430 : 기어하우징 440 : 기어핸들
450 : 로드가이드관
500 : 유속조절구동부
510 : 개폐조절수단 511 : 조절모터
512 : 조절패널 513 : 제1회전부재
514 : 제2회전부재 515 : 밀착단
516 : 밀착부재 520 : 격자조절수단
521 : 제1격자패널 522 : 제1개폐모터
523 : 제1격자홈 524 : 제2격자패널
525 : 제2개폐모터 526 : 제2격자홈
600 : 자동개폐부
610 : 승하강모터 611 : 스핀바
612 : 바기어 613 : 기어벨트
614 : 로드이동기어 615 : 지지부재
616 : 지지바 620 : 거리감지센서
630 : 안착패드
700 : 클러치권양장치부
710 : 클러치수단 711 : 클러치함
712 : 동력제공축 713 : 동력제공기어
714 : 클러치핸들 715 : 브레이크패널
716 : 클러치부재 717 : 브레이크부재
718 : 클러치풀리 719 : 동력전달기어
720 : 동력전달축 721 : 전달축풀리
722 : 작동풀리 723 : 작동축
724 : 제1로드측플랜지 725 : 제2로드측플랜지
730 : 구동모터 731 : 모터기어
732 : 기어연결체인 740 : 제1로드수단
741 : 제1로드함 742 : 제1연결하우징
743 : 제1하우징축 744 : 제1로드풀리
745 : 제1로드축 746 : 제1축풀리
747 : 제1로드이송기어 748 : 제1로드바
750 : 제2로드수단 751 : 제2로드함
752 : 제2연결하우징 753 : 제2하우징축
754 : 제2로드풀리 755 : 제2로드축
756 : 제2축풀리 757 : 제2로드이송기어
758 : 제2로드바
800 : 브레이크부
810 : 역브레이크모터 820 : 제1브레이크드럼
830 : 제2브레이크드럼 840 : 제1드럼지지대
850 : 제2드럼지지대 860 : 브레이크체인
900 : 낙하간격텐션부
910 : 텐션실린더 920 : 접촉패널
930 : 완충스프링 940 : 패널접촉홈

Claims (2)

  1. 농업 용수관리와 하천의 역류를 차단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 농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장치부를 포함하는 수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문시스템은,
    스핀로드를 이용하여 수문개폐판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핀들장치는,
    수문개폐판 상부 양측으로 수직 형성되어 수문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스핀로드;
    스핀로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내장되도록 스핀로드가 관통되도록 수문프레임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로드하우징;
    스핀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기어가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로드하우징 상측으로 형성되는 기어하우징;
    스핀로드와 맞물린 핸들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기어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는 기어핸들;
    승하강되는 스핀로드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기어하우징 상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로드가이드관를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장치는,
    설정 입력된 각도에 따라 유속개폐판이 개폐되도록 하여 유속개폐판의 파손 및 물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수문프레임 내부로 형성되는 유속조절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속조절구동부는,
    수문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조절패널이 조절모터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조절수단; 및
    수문프레임을 중심으로 제1격자패널과 제2격자패널이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제1격자패널과 제2격자패널 상에 형성된 홈으로 유속과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격자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조절수단은,
    수문프레임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조절모터;
    조절모터의 구동으로 개폐되도록 각각의 조절모터에 각각 연결 형성되는 조절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패널이 수문프레임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패널이 수문프레임에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1회전부재;
    타측으로 형성되는 조절패널이 수문프레임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패널이 수문프레임에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2회전부재;
    개방되는 양측의 조절패널이 닫힘시 조절패널간의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일측의 조절패널에 형성되는 밀착부재가 밀착되도록 타측의 조절패널 일측 수직으로 형성되는 밀착단;
    타측의 조절패널에 형성되는 밀착단에 밀착되도록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패널 일측 수직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격자조절수단은,
    수문프레임 일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격자패널;
    제1격자패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개폐모터;
    제1격자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어 제2격자패널에 형성되는 제2격자홈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1격자홈;
    수문프레임 타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격자패널;
    제2격자패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개폐모터;
    제2격자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어 제2격자패널에 형성되는 제1격자홈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2격자홈를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장치는,
    수문개폐판이 자동 승하강되도록 하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측으로 형성되는 자동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개폐부는,
    스핀바 측으로 회전동력을 생산하여 제공하도록 수문프레임 상측 중앙으로 형성되는 승하강모터;
    승하강모터로부터 제공받는 회전동력을 수문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핀로드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수문프레임 상측으로 일정간격을 두도록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스핀바;
    승하강모터의 모터축에 형성되는 모터기어로부터 기어벨트를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스핀바에 형성되는 바기어;
    모터기어와 바기어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기어벨트;
    스핀로드와 맞물리도록 스핀바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로드이동기어;
    스핀바를 수문프레임 상에서 지지하도록 스핀바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지지부재와 고정되고, 타측은 수문프레임 상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바;
    하강되는 수문개폐판과 바닥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수문개폐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거리감지센서;
    수문개폐판의 하강시 바닥면과의 접촉시 수문개폐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수문개폐판 하측으로 형성되는 안착패드를 포함하며를 포함하는 수문시스템.
  2. 삭제
KR1020200089998A 2020-07-21 2020-07-21 스핀들장치 KR102179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98A KR102179500B1 (ko) 2020-07-21 2020-07-21 스핀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98A KR102179500B1 (ko) 2020-07-21 2020-07-21 스핀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500B1 true KR102179500B1 (ko) 2020-11-16

Family

ID=7368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998A KR102179500B1 (ko) 2020-07-21 2020-07-21 스핀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5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9028A (zh) * 2022-05-30 2022-09-16 华能西藏雅鲁藏布江水电开发投资有限公司 一种免维护自清理的水下闸门
CN115059027A (zh) * 2022-05-30 2022-09-16 华能西藏雅鲁藏布江水电开发投资有限公司 一种启闭机止水装置
CN115262495A (zh) * 2022-09-19 2022-11-01 李典基 一种水利工程闸门调节结构
CN117288272A (zh) * 2023-07-25 2023-12-26 武汉新烽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闸门流量检测装置
CN117288272B (zh) * 2023-07-25 2024-06-11 武汉新烽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闸门流量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916A (ko) * 2003-06-21 2004-12-31 박이환 원터치 수문 개폐장치
KR20090100762A (ko) * 2008-03-21 2009-09-24 오재욱 회전형 유압식 수문 권양기
KR20140127058A (ko) 2013-04-24 2014-11-03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일체식 수문 시스템
KR20190055519A (ko) * 2017-11-15 2019-05-23 유한회사 강전산업 수문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983371B1 (ko) * 2018-06-21 2019-09-19 한상관 대형 빗물저장고 겸용 인공양어장을 조성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916A (ko) * 2003-06-21 2004-12-31 박이환 원터치 수문 개폐장치
KR20090100762A (ko) * 2008-03-21 2009-09-24 오재욱 회전형 유압식 수문 권양기
KR20140127058A (ko) 2013-04-24 2014-11-03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일체식 수문 시스템
KR20190055519A (ko) * 2017-11-15 2019-05-23 유한회사 강전산업 수문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983371B1 (ko) * 2018-06-21 2019-09-19 한상관 대형 빗물저장고 겸용 인공양어장을 조성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9028A (zh) * 2022-05-30 2022-09-16 华能西藏雅鲁藏布江水电开发投资有限公司 一种免维护自清理的水下闸门
CN115059027A (zh) * 2022-05-30 2022-09-16 华能西藏雅鲁藏布江水电开发投资有限公司 一种启闭机止水装置
CN115059028B (zh) * 2022-05-30 2023-12-01 华能西藏雅鲁藏布江水电开发投资有限公司 一种免维护自清理的水下闸门
CN115059027B (zh) * 2022-05-30 2023-12-01 华能西藏雅鲁藏布江水电开发投资有限公司 一种启闭机止水装置
CN115262495A (zh) * 2022-09-19 2022-11-01 李典基 一种水利工程闸门调节结构
CN115262495B (zh) * 2022-09-19 2024-05-03 李典基 一种水利工程闸门调节结构
CN117288272A (zh) * 2023-07-25 2023-12-26 武汉新烽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闸门流量检测装置
CN117288272B (zh) * 2023-07-25 2024-06-11 武汉新烽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闸门流量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500B1 (ko) 스핀들장치
KR102169199B1 (ko) 수문개폐장치
KR102179578B1 (ko) 클러치권양장치
DK2971366T3 (en) Flood protection barrier lift system
KR101507693B1 (ko)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KR20050080148A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의구성방법
KR101260206B1 (ko) 전도식 수문 시스템
JP5718792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407911B1 (ko)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KR101922524B1 (ko) 저수조용 수문
KR101439225B1 (ko) 수로 개폐형 협잡물 제진장치
KR101302203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JP5926152B2 (ja) 親子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710463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KR101369868B1 (ko) 수문개폐기용 전도방지장치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JP5565741B1 (ja) 異常時の増水を防御する防水装置
KR101062162B1 (ko)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KR101181496B1 (ko) 셔터식 침수방지게이트
KR101722200B1 (ko) 전도 게이트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KR101453010B1 (ko) 유압식 인양 수문 시스템
KR100822400B1 (ko) 무동력 전도 게이트
KR100769345B1 (ko)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