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676B1 - 수문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수문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676B1
KR101147676B1 KR1020110118812A KR20110118812A KR101147676B1 KR 101147676 B1 KR101147676 B1 KR 101147676B1 KR 1020110118812 A KR1020110118812 A KR 1020110118812A KR 20110118812 A KR20110118812 A KR 20110118812A KR 101147676 B1 KR101147676 B1 KR 10114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earing
compression force
switching
elastic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이상근
박세진
김범중
Original Assignee
(유)신일
대경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일, 대경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신일
Priority to KR102011011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4Driving gear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스프링의 탄성력 변화에 따라 간편하게 탄성력을 조절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동/전동 전환용 클러치수단을 구비한 수문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구동기어를 가지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수동 및 전동식 전환에 따라 서로 물려진 전환기어와 클러치 기어가 분리되어 클러치 기능이 발휘되도록 구비되는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과;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의 전환기어와 연결되는 전달기어와 연동하도록 결합되고 수문과 연결된 체인이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구비된 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전환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환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하는 클러치 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를 회전지지하는 일측 베어링과 상기 전환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환기어를 상기 클러치 기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일측 베어링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압축력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문인양장치{Apparatus pulling up a water-gate}
본 발명은 탄성스프링의 탄성력 변화에 따라 간편하게 탄성력을 조절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동/전동 전환용 클러치수단을 구비한 수문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량(流量) 조절이나 수심(水深) 유지를 위하여 수로(水路)에 설치되는 수문을 용이하게 개폐하고, 개폐에 따른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동/전동식으로 구동하는 수문 인양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수동/전동식 수문 인양장치는 수동 및 전동식 구동에 따른 회전력 전달구성과 연결관계가 매우 복잡하여 파손에 대한 수리나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교체 및 수리 작업에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됨을 물론, 유지 보수에 대한 관리상에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수동/전동식 수문 인양장치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부위에서의 마찰효율이 커서 기동력이 많이 필요하여 인양장치의 제작과 설계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이 된다.
또한, 대부분 수동/전동식 수문 인양장치는 수동/전동식 전환장치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제작비의 상승을 초래하여 사용자에게 구입부담을 주게 되며, 아울러 수동/전동식 전환은 통상 기구적으로 동작되는데, 이때 기구적인 동작이 부드럽지 못하여 전환 시점에서 원활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전환 동작의 구현에 많은 애로 사항이 있었다.
이와 같은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40022호(수문인양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위 수문인양장치는 수문 인양을 위한 수동/전동식 동력전달 전환구조가 간단하면서 전환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고, 강하용 클러치 및 전환용 클러치의 구조적인 구성 및 동작이 간단하여 유지보수에 대한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수문인양장치의 수동/전동 전환용 클러치수단에 구비된 탄성스프링의 경우 시간경과에 따라 탄성력 변화가 발생하고, 많은 탄성력 변화가 발생한 경우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탄성스프링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동/전동 전환용 클러치수단의 탄성스프링이 시간경과에 따라 탄성력이 변화된 경우 탄성스프링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간편하게 탄성력을 조절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문인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구동기어를 가지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수동 및 전동식 전환에 따라 서로 물려진 전환기어와 클러치 기어가 분리되어 클러치 기능이 발휘되도록 구비되는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과;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의 전환기어와 연결되는 전달기어와 연동하도록 결합되고 수문과 연결된 체인이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구비된 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전환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환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하는 클러치 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를 회전지지하는 일측 베어링과 상기 전환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환기어를 상기 클러치 기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일측 베어링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압축력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인양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와 상기 일측 베어링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베어링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압축력조절부재는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베어링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압축력조절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력조절부재에는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수용홈 내부에 배치되고, 두리부에 상기 일측 베어링을 구성하는 외부링을 지지하는 환형턱이 구비된 조절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상기 압축력조절나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압축력조절나사의 회전정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가이드공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에는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고 일측방향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일측베어링과 상기 탄성스프링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을 탄성지지하는 보조링이 게재되고, 상기 보조링의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부링에 지지되는 환형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조링과 상기 탄성스프링 사이에 보조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수문인양장치에는 일측 베어링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압축력조절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탄성스프링을 교체하지 않고, 간편하게 상기 압축력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문인양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전환용 클러치수단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압축력조절나사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문인양장치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문인양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전환용 클러치수단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문인양장치는 도 1과 같이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고, 구동기어(210)를 가지는 구동수단(20)과; 상기 구동기어(210)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수동 및 전동식 전환에 따라 서로 물려진 전환기어(320)와 클러치 기어(330)가 분리되어 클러치 기능이 발휘되도록 구비되는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30)과;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30)의 전환기어(320)와 연결되는 전달기어(40)와 연동하도록 결합되고 수문과 연결된 체인(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축(310)이 구비된 감속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외측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20)이 설치되며, 구동수단(20)의 구동축에 결합 되는 구동기어(21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30) 및 전달기어(40) 등이 그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0), 구동수단(20), 전환기어(320), 체인 및 감속기(5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이 등록실용신안 제20-0440022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음에 따라 생략한다.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3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결합되는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에 결합되는 전환기어(320)와, 상기 회전축(310)의 타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환기어(320) 및 상기 구동기어(210)와 연동하는 클러치 기어(330)와, 상기 회전축(310)의 일단부를 회전지지하는 일측 베어링(340)과 상기 전환기어(3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환기어(320)를 상기 클러치 기어(33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350)과, 상기 일측 베어링(34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스프링(350)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압축력조절부재(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환기어(320) 및 클러치 기어(330)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자의 등록실용신안 제20-0440022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축(310)은 도 1과 같이 일단부 및 타단부가 일측 베어링(340) 및 타측 베어링(345)에 의해 각각 회전 결합된다. 상기 타측 베어링(345)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일측 베어링(340)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일측 베어링(340)은 상기 하우징(10)에 별도로 고정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370)의 수용홈(371)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일측 베어링(340)과 상기 전환기어(320) 사이에 상기 탄성스프링(350)이 배치된다. 상기 탄성스프링(350)은 상기 전환기어(320)를 상기 클러치 기어(330)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도 3은 압축력조절나사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압축력조절부재(360)는 상기 탄성스프링(350)의 압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일측 베어링(34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스프링(350)의 압축력을 조절한다. 시간경과에 따라 탄성력이 변화된 상기 탄성스프링(350)을 종래와 같이 교체하지 않고, 상기 압축력조절부재(36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350)의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3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압축력조절부재(360)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37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베어링(34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압축력조절나사(3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370)에 나사공(372)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력조절나사(362)는 상기 나사공(372)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압축력조절부재(360)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과 같이 상기 압축력조절부재(360)가 상기 일측 베어링(340)을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350)의 압축력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압축력조절부재(360)에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370)의 수용홈(371) 내부에 배치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일측 베어링(340)을 구성하는 외부링(342)을 지지하는 환형턱(364a)이 구비된 조절플레이트(364)가 포함된다. 상기 조절플레이트(364)는 상기 압축력조절나사(36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압축력조절나사(362)의 회전정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조절플레이트(364)의 환형턱(364a)은 상기 일측 베어링(340)의 내부링(344) 및 외부링(342)을 모두 지지하지 않고, 외부링(342)만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력이 상기 조절플레이트(364)에 전달되지 않아 상기 조절플레이트(364)가 회전되지 않아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력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조절플레이트(364)에는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핀(366)이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370)에는 상기 가이드핀(366)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공(373)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플레이트(364)는 상기 압축력조절부재(360)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핀(366)이 상기 가이드공(373)을 따라 인입 또는 인출되기 때문에 상기 조절플레이트(364)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나아가 가이드핀(366)에 의해 상기 조절플레이트(364)가 일측으로 틸팅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일측 베어링(340)을 올바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베어링(340)과 상기 탄성스프링(350) 사이에 보조링(380)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조링(38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 베어링(340)을 구성하는 내부링(344)에 지지되는 환형턱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링(380)의 일측면에 상기 일측 베어링(340)의 내부링(344)에 지지되는 환형턱(382)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350) 또는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력이 상기 일측 베어링(340)의 외부링(342), 베어링 하우징(370) 등에 방해받지 않고,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조링(380)과 상기 탄성스프링(350) 사이에 보조베어링(390)이 게재되거나, 상기 보조링(380)이 상기 보조베어링(39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베어링(390)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전환기어(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350)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30)에 압축력조절부재(360)가 구비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탄성스프링(350)의 탄성력의 변화에 따라 별도로 탄성스프링(350)을 교체할 필요 없이 상기 압축력조절부재(360)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스프링(350)의 압축력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30)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하우징,
20: 구동수단,
30: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
310: 회전축,
320: 전환기어,
330: 클러치기어,
340: 일측 베어링,
350: 탄성스프링,
360: 압축력조절부재,
40: 전달기어,
50: 감속기.

Claims (6)

  1.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구동기어를 가지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수동 및 전동식 전환에 따라 서로 물려진 전환기어와 클러치 기어가 분리되어 클러치 기능이 발휘되도록 구비되는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과;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의 전환기어와 연결되는 전달기어와 연동하도록 결합되고 수문과 연결된 체인이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구비된 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동/자동 전환용 클러치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전환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환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하는 클러치 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를 회전지지하는 일측 베어링과 상기 전환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환기어를 상기 클러치 기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일측 베어링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압축력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와 상기 일측 베어링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베어링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압축력조절부재는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베어링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압축력조절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인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조절부재에는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수용홈 내부에 배치되고, 두리부에 상기 일측 베어링을 구성하는 외부링을 지지하는 환형턱이 구비된 조절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상기 압축력조절나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압축력조절나사의 회전정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인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가이드공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에는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고 일측방향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인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베어링과 상기 탄성스프링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을 탄성지지하는 보조링이 게재되고,
    상기 보조링의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부링에 지지되는 환형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인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과 상기 탄성스프링 사이에 보조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인양장치.
  6. 삭제
KR1020110118812A 2011-11-15 2011-11-15 수문인양장치 KR10114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12A KR101147676B1 (ko) 2011-11-15 2011-11-15 수문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12A KR101147676B1 (ko) 2011-11-15 2011-11-15 수문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676B1 true KR101147676B1 (ko) 2012-05-22

Family

ID=4627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812A KR101147676B1 (ko) 2011-11-15 2011-11-15 수문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6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55Y1 (ko) 2012-06-08 2013-11-25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용배수로용 수문
KR101674430B1 (ko) * 2016-03-22 2016-11-10 우일산업 주식회사 감속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문 권양기
KR20170110489A (ko) * 2016-08-09 2017-10-11 우일산업 주식회사 감속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문 권양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649Y1 (ko) 2002-04-18 2002-08-21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KR200440022Y1 (ko) 2007-05-14 2008-05-20 (유)신일 수문 인양장치
KR100858281B1 (ko) 2008-03-24 2008-09-11 김상국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649Y1 (ko) 2002-04-18 2002-08-21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KR200440022Y1 (ko) 2007-05-14 2008-05-20 (유)신일 수문 인양장치
KR100858281B1 (ko) 2008-03-24 2008-09-11 김상국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55Y1 (ko) 2012-06-08 2013-11-25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용배수로용 수문
KR101674430B1 (ko) * 2016-03-22 2016-11-10 우일산업 주식회사 감속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문 권양기
KR20170110489A (ko) * 2016-08-09 2017-10-11 우일산업 주식회사 감속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문 권양기
KR101908189B1 (ko) * 2016-08-09 2018-10-16 우일산업 주식회사 감속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문 권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925B1 (ko)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KR101147676B1 (ko) 수문인양장치
KR100799351B1 (ko) 수문용 권양장치
CN101982037A (zh) 智能割草机的割草高度自动调节结构
KR200440022Y1 (ko) 수문 인양장치
CN201797741U (zh) 智能割草机的割草高度自动调节结构
KR101762566B1 (ko) 수문 개폐 제어장치
CN105155480A (zh) 转杆式闸门启闭机
CN218969926U (zh) 一种水利闸门启闭装置
KR101005862B1 (ko) 전동형 수문개폐기의 동력제어식 클러치장치
CN203146996U (zh) 一种圆柱齿轮传动的阀门手动装置
KR20030082720A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9990021781U (ko) 수문권양기의브레이크장치
CN202076890U (zh) 一种自动门无刷直流减速电机
CN102927232B (zh) 停车信号臂动力输出装置
CN215669362U (zh) 一种水利工程用升降式水利闸门
CN101813168B (zh) 一种双速比减速机
CN114438975B (zh) 一种传动效率可调节的手动螺杆式启闭机
CN104676085B (zh) 具有横向行程的执行器
CN201672009U (zh) 一种双速比减速机
CN220364963U (zh) 一种渠道闸板的提拉结构
CN103256426B (zh) 双向动作手轮机构
CN205329646U (zh) 一种可分流泄水的闸门
CN203560575U (zh) 一种矿用隔爆型一体化阀门电动装置的力矩控制装置
CN215655644U (zh) 一种破碎机智能控制系统用控制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