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010Y1 - 사료분쇄기용 피더 - Google Patents

사료분쇄기용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010Y1
KR200440010Y1 KR2020060032962U KR20060032962U KR200440010Y1 KR 200440010 Y1 KR200440010 Y1 KR 200440010Y1 KR 2020060032962 U KR2020060032962 U KR 2020060032962U KR 20060032962 U KR20060032962 U KR 20060032962U KR 200440010 Y1 KR200440010 Y1 KR 200440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collection box
magnetic
main body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Priority to KR2020060032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2Fodder m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66Feed means of revolving drum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료분쇄기용 피더의 이물질 수거함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더 내에 먼지나 금속 등의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거함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분쇄기(1)의 상부에 안착되며 속이 빈 함체형의 피더본체(10)와; 상기 피더본체(10)의 입구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칸막이(21)들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22)에 사료 원료를 공급받아 일정량씩 하부로 낙하시키는 포켓(20)과; 상기 포켓(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마그네틱(30)과; 이 마그네틱(30)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드럼(40)과; 상기 마그네틱(30)의 하부에 위치되며 피더본체(10)의 저면판에서부터 세워지는 지지판(51)에 스프링(52)으로 탄력설치되는 작동판(50)과; 상기 피더본체(10)의 하부 일측에서 수거된 이물질을 수납하도록 수거공간(61)이 마련되며 상기 피더본체(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거함(60)과; 상기 수거함(60)이 피더본체(10)에서부터 진동 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로킹수단(70)과; 상기 수거함(60)과 피더본체(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80)으로 구성된다.
사료분쇄, 포켓피더, 이물질, 수거, 도어, 통풍,

Description

사료분쇄기용 피더{a crusher's feeder}
도 1은 본 고안의 피더가 사료분쇄기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장치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피더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피더의 확대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피더본체 11,12 - 가이드
20 - 포켓 21 - 칸막이
30 - 마그네틱 40 - 드럼
50 - 작동판 51 - 지지판
60 - 수거함 70 - 로킹수단
80 - 가이드수단
본 고안은 사료분쇄기용 피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더 내에 먼지나 금속 등의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거함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쇄기의 분쇄장치는 호퍼를 통해 함체내에 투입된 사료를 구동샤프트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부착된 분쇄날들에 의해 분쇄되고, 상기 분쇄날의 외측에 원통형으로 감싸는 여과망을 통해 소정의 입도 이하로 분쇄된 입자가 통과되어 하부 이송부로 이송된 후 스크류 콘베어를 통해 배출구로 다시 이송되고 버켓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라인으로 이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분쇄작업시에는 분쇄능력을 증대시키고, 분쇄기 내부의 온도상승을 막기 위하여 필터가 내장된 집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진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을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된다.
한편, 분쇄기의 상부에는 정량으로 분쇄를 위한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포켓방식의 피더가 장착된다.
이 피더에는 옥수수 등의 사료 원료가 공급될 때 금속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해 원통형의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그 외부를 감싸는 드럼이 일정속도로 회전된다.
그리고, 피더 입구에는 사료 원료가 일정 분포로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의 칸막이들로 방들이 형성된 포켓이 일정 속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포켓 상부로 투입된 사료 원료가 각 포켓에 일정량씩 채워진 후 회전에 의해 하부로 위치될 때 낙하되어 분쇄기 입구로 공급되는 것이다.
드럼의 하부 일측에는 집진기의 작동으로 분쇄기 내부에서 흡입력이 작용되는 것에 의해 원료에 포함된 이물질 및 피더의 외측에서 빨려들어오는 외부 먼지 등이 수집되는 수거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수집용 수거공간이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있어 장시간 경과 후 먼지 등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제거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종래, 수거공간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피더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의 일측면 전체를 분해하여 내부가 트여지게 한 후 쌓어진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케이스를 덮은 후 볼트나 비스 등으로 일일이 체결해야 하는 작업을 여러번 반복해야 한다.
따라서, 그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워 이물질 수거작업을 기피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사료분쇄기용 피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분쇄기용 피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쇄기(1)의 상부에 안착되며 속이 빈 함체형의 피더본체(10)와;
상기 피더본체(10)의 입구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칸막이(21)들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22)에 사료 원료를 공급받아 일정량씩 하부로 낙하시키는 포켓(20)과;
상기 포켓(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마그네틱(30)과;
이 마그네틱(30)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드럼(40)과;
상기 마그네틱(30)의 하부에 위치되며 피더본체(10)의 저면판에서부터 세워지는 지지판(51)에 스프링(52)으로 탄력설치되는 작동판(50)과;
상기 피더본체(10)의 하부 일측에서 수거된 이물질을 수납하도록 수거공간(61)이 마련되며 상기 피더본체(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거함(60)과;
상기 수거함(60)이 피더본체(10)에서부터 진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로킹수단(70)과;
상기 수거함(60)과 피더본체(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8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볼트와 같이 부피와 중량이 큰 금속 이물질은 물론 분쇄시 발생되는 분진 및 외부 이물질 등이 수거공간(61)에 쌓여 있을 때 보다 손쉽게 수거함(60)을 인출하여 제거할 수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피더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피더가 사료분쇄기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장치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피더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피더본체로부터 수거함이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분쇄기(1)는 상부에 설치되는 피더본체(10)를 통해 투입된 내용물이 분쇄칼과 해머에 의해 분쇄된 후 분쇄된 내용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스크류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분쇄기(1)에는 덕트를 통해 집진기와 연결되고, 분쇄된 내용물이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일측부에 형성된 덕트를 통해 집진부에서 구동되는 팬을 통해 외부로 분진이 배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분쇄기 작동과 동시 집진기능이 이루어지므로 분쇄능력이 증대되고 분쇄기내부의 마찰열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피더본체(10)는 분쇄기(1)의 입구와 연통된 상태로 안착되며 속이 빈 함체형상으로 내부에 각종 구조물들이 장치될 수 있도록 케이싱 역할을 갖게 된다.
상기 피더본체(10)의 입구측에는 포켓(20)이 설치되고, 이 포켓(20)의 하부에는 마그네틱(30)을 감싸는 드럼(40)을 설치하게 된다.
포켓(20)은 대략 원통형으로 다수의 칸막이(21)들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22)들이 형성되어 상부에서부터 투입된 사료 원료를 수납한 후 일정속도로 회전 되는 것에 의해 수납공간(22)이 하부로 향할 때 일정량씩 하부로 낙하시키게 된다.
상기 포켓(20)의 하부 일측에는 원통형의 마그네틱(30)이 설치된다.
마그네틱(30)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모두 포함하게 되는데 대략 원통형상으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약 180도 내지 250도 사이의 각도(빗금친 부분)는 자력이 작용되고 그 나머지는 자력이 없거나 약하게 설계한다.
그리고, 이 마그네틱(30)의 외부에는 드럼(40)이 약간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정속도로 회전된다.
드럼(40)은 비자성체로 외부를 통과하는 금속이물질들이 마그네틱(30)의 자력에 의해 그 표면에 자착(磁着)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에는 수개의 턱(41)들을 돌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마그네틱(30)의 하부에는 작동판(50)이 스프링(52)에 의해 탄력 설치된다.
즉, 피더본체(10)의 저면판에서부터 지지판(51)을 세워 고정하고, 이 지지판(51)에 비틀림 스프링(52)으로 작동판(50)이 드럼(40)의 회전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절첩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부피와 중량이 비교적 큰 금속 이물질, 즉 예로서 볼트 등이 원료와 함께 투입되는 과정에서 마그네틱(30)의 자력에 의해 드럼(40)의 표면에 자착된 후 드럼(40)과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때 작동판(50)에 접촉될 경우 작동판(50)을 강제로 회전시킨 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판(50)은 마그네틱(30)의 자력이 없거나 매우 약해지는 경계 부분에 설치되므로 작동판(50)을 회동시킨 후 드럼(40)과 함께 이동된 볼트는 자력이 상실되므로 수거공간(61)에 탈락되는 것이다.
이 수거공간(61)을 갖는 수거함(60)은 상기 피더본체(10)의 하부 일측에 마그네틱(30)이 설치되는 치우친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볼트와 같이 수거된 금속 이물질 및 분진이나 통풍구멍(65)을 통해 유입된 먼지 등이 쌓여진 후 피더본체(10)로부터 슬라이드 인출시킨 후 수거시키게 된다.
수거함(60)에는 도어(62)들이 경첩(6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62)의 외측에는 손잡이(64)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62)는 시건수단(90)에 의해 평상시에는 도어(62)가 개폐되지 않도록 잠금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시 시건수단(90)을 개방한 후 도어(62)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시건수단(90)으로는 도면에서 레버(91)의 회동으로 링크작동으로 압착봉(92)이 도어(62)를 압착시키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어(62)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잠금 및 개방이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시건장치도 선택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도어(62)에는 통풍구멍(65)이 뚫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거함(60)이 피더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파쇄기(1)의 작동으로 진동이 계속 전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킹수단(70)이 마련된다.
이 로킹수단(70)으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손잡이(71)은 피더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로킹수단(70)의 회전으로 고리(72)가 수거함(60)에 고정된 후크(73)에 걸어져서 로킹되는 구성이 적용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거함(6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잠금 및 개방이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로킹장치도 선택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 상기 수거함(60)이 슬라이드 인출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수단(80)이 마련된다.
이 가이드수단(80)으로는 피더본체(10)의 측벽에 가이드홈(81)을 파여지게 하고, 수거함(60)에는 이 가이드홈(81)에 헐겁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돌기(82)를 부착하여 수거함(60)이 인출되거나 수납될 때 그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하고 장착된 상태에서 수거함(60)의 흔들림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62)는 비교적 적은 양의 이물질을 수시로 제거하고자 할 때 개방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수거함(60)은 비교적 많은 양의 이물질이 수거공간(61)에 쌓여 있어 도어(62)의 개방으로는 수거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때 로킹수단(70)을 제거하여 인출한 후 수거공간(61) 전체에 쌓여진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피더본체(10)의 내부에는 사료 원료가 낙하될 때 마그네틱(30)의 자력 영향을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작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11)(12)들이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작동판(50)이 드럼(40)에 근접되게 설치되므로 틈새가 거의 없게 되는데, 분쇄기(1) 내에 마련된 집진기 등에서 흡입력이 작용될 때 외부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이 분쇄기(1) 내로 흡입되는 것도 어느 정도 차단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포켓(20)과 드럼(40)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더본체(10)의 외측에서 모터(15)의 동력으로 체인(16)과 스프라켓(17)이 동력을 전달하는 것에 의해 일정 속도로 각각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볼트와 같이 부피와 중량이 큰 금속 이물질은 물론 분쇄시 발생되는 분진 및 외부 이물질 등이 수거공간(61)에 쌓여 있을 때 보다 손쉽게 수거함(60)을 인출하여 제거할 수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피더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분쇄기(1)의 상부에 안착되며 속이 빈 함체형의 피더본체(10)와;
    상기 피더본체(10)의 입구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칸막이(21)들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22)에 사료 원료를 공급받아 일정량씩 하부로 낙하시키는 포켓(20)과;
    상기 포켓(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마그네틱(30)과;
    이 마그네틱(30)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드럼(40)과;
    상기 마그네틱(30)의 하부에 위치되며 피더본체(10)의 저면판에서부터 세워지는 지지판(51)에 스프링(52)으로 탄력설치되는 작동판(50)과;
    상기 피더본체(10)의 하부 일측에서 수거된 이물질을 수납하도록 수거공간(61)이 마련되며 상기 피더본체(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거함(60)과;
    상기 수거함(60)이 피더본체(10)에서부터 진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로킹수단(70)과;
    상기 수거함(60)과 피더본체(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분쇄기용 피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70)은 피더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손잡이(71)의 회전으로 고리(72)가 수거함(60)에 고정된 후크(73)에 걸어져서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분쇄기용 피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80)으로는 피더본체(10)의 측벽에 가이드홈(81)을 파여지게 하고, 수거함(60)에는 이 가이드홈(81)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돌기(82)를 부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분쇄기용 피더.
KR2020060032962U 2006-12-29 2006-12-29 사료분쇄기용 피더 KR200440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962U KR200440010Y1 (ko) 2006-12-29 2006-12-29 사료분쇄기용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962U KR200440010Y1 (ko) 2006-12-29 2006-12-29 사료분쇄기용 피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010Y1 true KR200440010Y1 (ko) 2008-05-19

Family

ID=4163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962U KR200440010Y1 (ko) 2006-12-29 2006-12-29 사료분쇄기용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0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954B1 (ko) * 2017-11-28 2019-03-19 안광태 철제 이물질 선별과 오염 방지가 가능한 사료 운반 컨베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954B1 (ko) * 2017-11-28 2019-03-19 안광태 철제 이물질 선별과 오염 방지가 가능한 사료 운반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698B1 (ko) 분쇄기능을 갖는 자력선별기
KR102162083B1 (ko)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US8662429B2 (en) Modular document destruction system
JP2011131169A (ja) 粉砕機及び粉砕システム
JP5614927B2 (ja) 粉砕機
KR200440010Y1 (ko) 사료분쇄기용 피더
JP4271035B2 (ja) 粉砕機ミル
KR100830563B1 (ko)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
CN110449239A (zh) 一种无尘碎纸机
CN110314730A (zh) 一种建筑废料粉碎回收装置
KR10111249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5489652B2 (ja) スクラップシュレッダー設備
US6988683B2 (en) Apparatus for crushing glass or ceramic material
JP5711106B2 (ja) 竪型粉砕機の付着物除去装置
KR200440009Y1 (ko) 사료분쇄기용 피더의 금속이물질 제거장치
KR20170029069A (ko) 쿨링타워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102388481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90000425U (ko) 분쇄기
KR10144297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KR100923287B1 (ko) 폐타이어 스크랩에서 고무와 철심을 분리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
CN209451953U (zh) 一种新型矿山用物料粉碎装置
KR20060097697A (ko) 사이클론 장치가 구비된 고추분쇄기
JP2006272050A (ja) プラスチック製成形箱の縦型破砕機
CN218516909U (zh) 一种石材废料用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