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975B1 -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975B1
KR101442975B1 KR1020130053517A KR20130053517A KR101442975B1 KR 101442975 B1 KR101442975 B1 KR 101442975B1 KR 1020130053517 A KR1020130053517 A KR 1020130053517A KR 20130053517 A KR20130053517 A KR 20130053517A KR 101442975 B1 KR101442975 B1 KR 10144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belt conveyor
link
shaf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한가람
윤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5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할 때,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시료를 고르게 채취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는 회전축의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그 일단이 각각 고정 결합된 한 쌍의 상부링크; 상기 회전축 회전시 상기 상부링크와 별개로 항상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링크의 타단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하부링크; 그 양단이 상기 하부링크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 버켓 지지편; 및 상기 버켓 지지편에 안착되어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하는 버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SAMPLE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할 때,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시료를 고르게 채취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선공정에서 소결광을 만들기 위해서는 철광석과 분코크스, 무연탄, 석회석 등을 혼합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분코크스는 연료 저장호퍼(100)에 저장된 후 일정량씩 절출되면서 파쇄작업과 선별작업을 거쳐 벨트 컨베이어(140)의 상면에 분산되어 이동하여 소결기로 장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결광 제조과정에서 연료의 입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연료의 입도는 소결에서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며, 정확한 입도 관리를 통해 연료의 과파쇄 혹은 조파쇄를 방지할 수 있어 소결광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소결광 품질 확보에 따라 고로의 소결광 사용비가 상승하며, 용선 제조원가를 낮추는 원가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연료의 입도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실시한다.
종래에는 입도분석을 위한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벨트 컨베이어(140) 상면에 분포되어 이동하는 시료를 스쿱(110)을 이용하여 임의의 부분에서 채취한 후 시료용기(120)에 담는 방법을 사용 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채취된 시료는 작업상황 및 작업자에 따라 시료의 채취 위치 및 채취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입도분석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종래의 "소결용 분코크스의 입도시료 채취장치(공개특허 10-2004-0082791)" 및 "코크스용 석탄시료 채취장치(공개특허 10-2005-0019323)"에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소결용 분코크스의 입도시료 채취장치(공개특허 10-2004-0082791)"에서는 분코크스의 입도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실린더의 작동의 의해 정량의 시료를 채취하는 소결용 분코크스의 입도시료 채취장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소결용 분코크스의 입도시료 채취장치는 저장조, 파쇄기, 선별기를 거쳐 원료빈으로 이송되는 분코크스 중 시료를 채취하기위해 샘플러인 샘플컬렉터가 작동하여 이송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장입 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는 분코크스 중 대략 2kg 정도를 1회의 동작으로 채취하게 된다.
채취된 2kg 정도의 시료는 혼합슈트의 상부를 통해 낙하되게 되는데 이때 혼합슈트의 내부에서는 회전자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비록 이송 벨트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면서 입도편석이 발생되어 있던 상황이라 할지라도 회전자와 이에 부속된 브러쉬형태의 와이어에 의해 재혼합이 유도되어 입도편석이 현저히 줄어든 상태로 혼합슈트의 하부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배출되는 시료는 샘플회수슈트로 떨어짐과 동시에 장입 벨트 컨베이어로 재회수되어 원료빈으로 장입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동실린더가 전진작동하게 된다.
작동실린더의 전진에 의해 채취상자가 가이드레일을 타고 전진하여 낙하되던 입도편석이 줄어든 시료의 일부를 다시 채취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200g의 정량만이 자동적으로 채취되게 된다. 이때, 도어는 가이드레일에 의해 간섭을 받고 있으므로 채취상자의 하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시료의 채취가 가능하게 되며, 채취 완료후에는 작동실린더가 후진동작하게 된다.
후진에 따라 채취상자는 샘플 회수슈트로부터 샘플 분리슈트측으로 이동되게 되고,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레일이 끝나는 부분에 이르게 되면 도어는 자동개방되게 되므로 채취된 정량의 시료는 자동적으로 샘플 분리슈트로 낙하되게 되고, 낙하된 시료는 분석실로 이송되게 되어 분석작업이 행해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소결용 분코크스의 입도시료 채취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장치가 대형화 되어 공간상의 제약이 많다. 그리고, 채취된 시료는 벨트 컨베이어의 상면에 분산되어 이동하는 시료의 임의의 위치에서 채취된 것과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입도분석 데이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의 "코크스용 석탄시료 채취장치(공개특허 10-2005-0019323)"에서는 슈트내에서 낙하하는 코크스용 석탄을 간편하게 시료 채취하기 위해, 회전판의 회동 시 낙하하는 석탄을 채취하는 코크스용 석탄시료 채취장치를 제시 하였다.
이러한 코크스용 석탄시료 채취장치는 석탄시료가 채취박스의 내부에 충진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록킹수단이 작동하면 회전판은 웨이트들의 중량으로 석탄이 낙하하는 위치로 회전하여 석탄시료가 채취되고, 반대로 석탄 채취량이 증가하여 웨이트보다 채취박스가 무겁게 되면, 지지판의 바닥부위에 하중이 가해지고 회전판은 초기 위치 즉, 슈트 개구의 외곽으로 채취박스가 노출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완충블록은 실질적으로 슈트에 접촉 충돌하는 고무블록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슈트의 측벽에 충돌하여도 파손되지 않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코크스용 석탄시료 채취장치는 슈트 내부에 장착되고, 채취량을 조절하는 웨이트가 슈트 내부에 있어 채취량 변경 시 웨이트의 변경이 어려우며, 소량의 시료가 필요할 경우 웨이트를 미세조절하지 못하여 정확한 양의 시료를 채취하기 어렵다.
또한, 시료 채취장치의 위치가 슈트 내부로 고정되어 작업상황에 따른 이동이 어려우며, 웨이트에 완충블록이 장착되지만 장기간 사용시 슈트 내부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어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시료를 채취함에 있어, 종래의 "소결용 분코크스의 입도시료 채취장치(공개특허 10-2004-0082791)" 및 "코크스용 석탄시료 채취장치(공개특허 10-2005-0019323)"로는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할 때,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시료를 고르게 채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입도분석 데이터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082791 (2004. 09. 30) 한국공개특허 10-2005-0019323 (2005. 03. 03)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쉬우며, 장치가 소형화되어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장치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할 때,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시료를 고르게 채취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는 회전축의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그 일단이 각각 고정 결합된 한 쌍의 상부링크, 상기 회전축 회전시 상기 상부링크와 별개로 항상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링크의 타단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하부링크, 그 양단이 상기 하부링크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 버켓 지지편 및 상기 버켓 지지편에 안착되어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하는 버켓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링크축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상부링크의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 브라켓과, 이 연결 브라켓의 일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링크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 결합공이 형성된 제 1 수직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의 타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링크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2 결합공이 형성된 제 2 수직 브라켓과, 상기 하부링크의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직 브라켓 및 제 2 수직 브라켓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링크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3 결합공이 형성된 제 3 수직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 외주면 일단에 고정 결합된 제 1 회전링과, 이 제 1 회전링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수직바와, 이 수직바의 끝단에서 굴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조작부 및 상기 제 1 회전링과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체결된 제 2 회전링과, 상기 수직바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회전링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걸림바를 포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켓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버켓 지지편의 평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버켓의 일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 안착되는 버켓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버켓의 일측면은 개방되며, 상기 버켓의 일측면에는 버켓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켓의 폭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입도분석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시료를 채취할 시 신뢰도가 높은 대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시료를 고르게 채취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입도 분석에 필요한 시료량을 일정하게 채취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외부에서 조작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공간상의 제약이 없다.
일곱째, 본 발명은 쉽게 이동이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위치 변경을 할 수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은 장치가동 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시료 채취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따른 힌지 결합부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에 담긴 시료 취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는, 하우징(200), 회전축(220), 상부링크(300), 하부링크(320), 버켓(400), 버켓 지지편(500)을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상술한 회전축(220), 상부링크(300), 하부링크(320), 버켓(400), 버켓 지지편(500)을 구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본 일 실시예에서는 하단과 후단 및 전단이 개방되고 전단에는 좌우로 개폐 가능한 두개의 하우징 도어(210)가 설치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하우징(200)의 전단은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시료가 낙하할 때 발생하는 분진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하우징 도어(2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후단은 상술한 버켓(400)이 벨트 컨베이어 방향으로 위치하여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200)의 위치, 형상, 크기 및 높이 등과 같은 설계 인자들은 해당 하우징(200)이 설치되는 작업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회전축(220)은 그 양단이 하우징(200)의 내면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체결된 한 쌍의 지지 브라켓(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단은 하우징(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상부링크(3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220)의 양단에 그 일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고, 회전축(220)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상부링크(300)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힌지 결합을 위한 제 1 수직 브라켓(310)과 제 2 수직 브라켓(312)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하부링크(320)는 그 일단에 제 3 수직 브라켓(321)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상부링크(300)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 제 1 수직 브라켓(310) 및 제 2 수직 브라켓(312)과 힌지 결합된다. 회전축(220)이 회전 시 회전축(220)에 고정 결합된 상부링크(300)는 회전하고, 하부링크(320)는 무게에 의해 상부링크(300)와 별개로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항상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한다.
버켓 지지편(500)은 그 양단이 한 쌍의 하부링크(320) 타단에 고정 결합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버켓 지지편(500)은, 그 평면에 후술하는 버켓(400)이 안착할 수 있도록 버켓(400)과 동일한 형상의 안착홈(50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버켓 손잡이(410)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삽입홈(5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켓(400)의 일면에는 버켓 손잡이(410)가 돌출 형성되며, 버켓 손잡이(410)의 형상 및 길이는 작업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켓(400)의 일측면은 시료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버켓 도어(42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버켓(400)의 폭은 벨트 컨베이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할 때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시료의 일부분에서만 채취하는 시료는 입도 분석 데이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 버켓(400)으로 채취함으로써, 시료의 위치에 따른 편차를 제거하여 신뢰성 높은 대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하부링크(320)가 상부링크(300)와 별개로 항상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하기 위한 힌지 결합 구성을 설명한다
상부링크(300)의 타단에는 연결 브라켓(340)이 회전축(220)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 연결 브라켓(340)의 일단에는 제 1 결합공(311)이 그 중심부에 형성된 제 1 수직 브라켓(310)이 회전축(22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결 브라켓(340)의 타단에는 제 2 결합공(313)이 그 중심부에 형성된 제 1 수직 브라켓(312)이 회전축(22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 브라켓(340)의 양단에 회전축(220)과 수직하게 형성된 제 1 브라켓 및 제 2 브라켓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링크(300)의 타단에 연결 브라켓(340)을 형성 하였지만, 연결 브라켓(340)을 형성하지 않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상부링크(300)의 양측면에 제 1 수직 브라켓(310)과 제 1 수직 브라켓(312)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링크(320)의 일단에는 그 중심부에 제 3 결합공(322)이 형성된 제 3 수직 브라켓(321)이 회전축(22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러한 제 3 브라켓은 제 1 수직 브라켓(310) 및 제 1 수직 브라켓(312)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삽입되고, 링크축(330)이 제 1 결합공(311) 및 제 2 결합공(313), 제 3 결합공(322)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때, 상부링크(300)와 하부링크(320)는 링크축(330)을 매개로하여 별개의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200), 회전축(220), 상부링크(300), 하부링크(320), 링크축(330), 버켓(400), 버켓 지지편(500), 조작부(230), 제 1 회전링(231), 제 1 수직바(232), 수평바(233), 스토퍼(240), 제 2 회전링(241), 걸림바(2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230)는 상술한 회전축(220) 외주면 일단에 고정 결합된 제 1 회전링(231)과, 제 1 회전링(23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수직바(232) 및 이 수직바(232)의 끝단에서 회전축(220)과 평행하게 굴곡 연장 형성된 수평바(233)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작부(230)는 버켓(400)에 시료(130)를 채취할 수 있도록 회전축(2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200)의 외부에 결합되며, 그 형상 및 크기, 길이, 재료 등의 인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스토퍼(240)는 하우징(200)의 외측에 체결된 제 2 회전링(241)과, 제 2 회전링(241)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회전축(220)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걸림바(242)를 포함하며, 하우징(200)과 조작부(230)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스토퍼(240)는 조작부(23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축(220)과 제 2 회전링(241)이 체결되며, 걸림바(242)의 위치에 따라 조작부(230)의 회전 위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스토퍼(240)를 체결 시 링 형태의 스토퍼(240)를 회전시켜 걸림바(24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를 참고로 시료 분석을 위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장호퍼의 벨트 컨베이어를 작동하기 전에 작업자가 버켓(400)을 버켓 지지편(500)의 안착홈(501)에 장착하고 버켓 손잡이(410)를 삽입홈(502)에 안착시킨 후 하우징 도어(210)를 닫고, 하우징(200)의 개방된 측면이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시료가 낙하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그 후 저장호퍼를 작동하여 연료 저장호퍼로부터 취출된 시료가 벨트 컨베이어 상면에 분산되어 이송되기 시작하면 조작부(230)를 회전시킨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20)이 조작부(230)의 회전력을 상부링크(300)로 전달하고, 회전축(220)과 고정 결합된 상부링크(300)도 회전한다.
상부링크(300)가 회전하면, 상부링크(300)와 힌지 결합된 하부링크(320)도 회전하고, 이때, 하부링크(320)는 무게에 의해 링크축(330)을 중심으로하여 상부링크(300)와는 별개로 항상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한다.
조작부(230)가 회전하여 수직바(232)가 스토퍼(240)의 걸림바(242)에 접촉하면 조작부(230)의 회전이 정지하게 되고, 벨트 컨베이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버켓(400)에서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한다. 이때, 낙하하는 시료의 종류 및 형태, 크기에 따라 스토퍼(240)의 걸림바(242) 위치를 조절하여 조작부(230)의 움직임을 변경하여 시료를 채취한다.
시료 채취 완료 후 조작바의 위치를 원상복귀 시키면, 상부링크(300) 및 하부링크(320)도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며, 하우징 도어(210)를 개방하여 버켓 손잡이(410)를 이용하여 버켓(400)을 버켓 지지편(500)으로 부터 탈착한다.
시료가 담긴 버켓(400)을 입도분석 장소로 이동하여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400)도어를 개방하고 버켓(400)을 기울여 채취된 시료를 취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할 때,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시료를 고르게 채취하여 시료 분석 데이터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 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공간상의 제약이 없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연료 저장호퍼 110 : 스쿱
120 : 시료용기 130 : 시료
140 : 벨트 컨베이어 200 : 하우징
210 : 하우징 도어 220 : 회전축
221 : 지지 브라켓 230 : 조작부
231 : 제 1 회전링 232 : 수직바
233 : 수평바 240 : 스토퍼
241 : 제 2 회전링 242 : 걸림바
300 : 상부링크 310 : 제 1 수직 브라켓
311 : 제 1 결합공 312 : 제 2 수직 브라켓
313 : 제 2 결합공 320 : 하부링크
321 : 제 3 수직 브라켓 322 : 제 3 결합공
330 : 링크축 340 : 연결 브라켓
400 : 버켓 410 : 버켓 손잡이
420 : 버켓 도어 500 : 버켓 지지편
501 : 안착홈 502 : 삽입홈

Claims (5)

  1.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는 회전축의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그 일단이 각각 고정 결합된 한 쌍의 상부링크;
    상기 회전축 회전시 상기 상부링크와 별개로 항상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링크의 타단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하부링크;
    그 양단이 상기 하부링크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 버켓 지지편; 및
    상기 버켓 지지편에 안착되어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시료를 채취하는 버켓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링크축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상부링크의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 브라켓과, 이 연결 브라켓의 일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링크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 결합공이 형성된 제 1 수직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의 타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링크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2 결합공이 형성된 제 2 수직 브라켓과,
    상기 하부링크의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직 브라켓 및 제 2 수직 브라켓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링크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3 결합공이 형성된 제 3 수직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 외주면 일단에 고정 결합된 제 1 회전링과, 이 제 1 회전링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수직바와, 이 수직바의 끝단에서 굴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조작부; 및
    상기 제 1 회전링과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체결된 제 2 회전링과, 상기 수직바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회전링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걸림바를 포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켓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버켓 지지편의 평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버켓의 일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 안착되는 버켓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버켓의 일측면은 개방되며, 상기 버켓의 일측면에는 버켓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켓의 폭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 채취장치.
KR1020130053517A 2013-05-13 2013-05-13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KR10144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517A KR101442975B1 (ko) 2013-05-13 2013-05-13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517A KR101442975B1 (ko) 2013-05-13 2013-05-13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975B1 true KR101442975B1 (ko) 2014-09-23

Family

ID=5176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517A KR101442975B1 (ko) 2013-05-13 2013-05-13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242A (ko) 2018-08-16 2020-02-26 티피에스 주식회사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KR20200089051A (ko) * 2019-01-16 2020-07-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료 채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356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다개소 코크스시료 채취장치
KR20050019323A (ko) * 2003-08-18 2005-03-0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용 석탄시료 채취장치
JP2009102817A (ja) * 2007-10-22 2009-05-14 Takenaka Komuten Co Ltd ソイルセメント採取装置と既成杭先端根固め強度確認方法
KR20120071669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철광석의 정립광 샘플 채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356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다개소 코크스시료 채취장치
KR20050019323A (ko) * 2003-08-18 2005-03-0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용 석탄시료 채취장치
JP2009102817A (ja) * 2007-10-22 2009-05-14 Takenaka Komuten Co Ltd ソイルセメント採取装置と既成杭先端根固め強度確認方法
KR20120071669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철광석의 정립광 샘플 채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242A (ko) 2018-08-16 2020-02-26 티피에스 주식회사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KR20200089051A (ko) * 2019-01-16 2020-07-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료 채취장치
KR102190505B1 (ko) 2019-01-16 2020-12-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료 채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20521A1 (zh) 无皮带式汽车全自动机械化采样系统
KR101581446B1 (ko) 광물제품용 샘플 채취장치
CN108970720B (zh) 一种固体矿物制样系统
KR10144297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KR101268341B1 (ko) 용광로용 미분탄의 입도 분석장치
CN110834967A (zh) 一种配置在线取样装置的连续式拌和站料仓与取样方法
CN209894506U (zh) 一种无皮带式汽车全自动机械化采样系统
US4558602A (en) Large capacity sample bucket and bucket sampler having low clearance
CN111871755B (zh) 一种基于计算机控制的物料分拣装置
KR101082513B1 (ko)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장치
CN211589407U (zh) 一种除杂筛的废料收集装置
CN206356102U (zh) 小型粉碎机
KR102457464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회전형 적재함
CN110575898A (zh) 一种可自动给料的制样破碎机
KR100815806B1 (ko) 원료의 이물질 자동 분리수거장치
KR100517342B1 (ko) 소결용 분코크스의 입도시료 채취장치
CN211282947U (zh) 一种配置在线取样装置的连续式拌和站料仓
KR102213967B1 (ko) 원료 이송 장치
KR100962661B1 (ko) 소결 배합원료의 수분 측정 장치
JP3557304B2 (ja) コークスの強度試験機及びコークス強度の自動測定装置
KR101502410B1 (ko) 열간 시료 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563548A (zh) 一种小型粉碎机
KR101885969B1 (ko) 소결용 결합재 채취를 위한 샘플링 장치 및 그 방법
CN112964515B (zh) 一种水泥熟料自动取样系统
KR20110108999A (ko) 소결광 입도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