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563B1 -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 - Google Patents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563B1
KR100830563B1 KR1020070001468A KR20070001468A KR100830563B1 KR 100830563 B1 KR100830563 B1 KR 100830563B1 KR 1020070001468 A KR1020070001468 A KR 1020070001468A KR 20070001468 A KR20070001468 A KR 20070001468A KR 100830563 B1 KR100830563 B1 KR 100830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feeder
scraper
main body
f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0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5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2Fodder mash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되는 포켓 일측에 설치되는 스크레퍼가 탄력적으로 회동되게 설치하여 볼트 등의 이물질에 의해 스크레퍼 및 포켓이 파손되거나 작동 중지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분쇄기(1)의 상부에 안착되며 속이 빈 함체형의 피더본체(10)와; 상기 피더본체(10)의 입구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칸막이(21)들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22)에 사료 원료를 공급받아 일정량씩 하부로 낙하시키는 포켓(20)과; 상기 포켓(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마그네틱(30)과; 이 마그네틱(30)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드럼(40)과; 상기 피더본체(10)의 하부 일측에서 수거된 이물질을 수납하도록 수거공간(61)이 마련되며 상기 피더본체(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거함(60)과; 상기 포켓(20)의 일측에 넘치는 원료를 긁기 위해 설치되는 스크레퍼(7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70)를 축핀(72)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설치하고, 스프링(80)으로 탄력 설치하는 것이다.
사료분쇄, 포켓피더, 이물질, 수거, 도어, 씸힘방지

Description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a crusher's pocket feeder}
도 1은 본 발명의 포켓피더가 사료분쇄기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장치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포켓피더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피더본체 11,12 - 가이드
20 - 포켓 21 - 칸막이
30 - 마그네틱 40 - 드럼
50 - 작동판 51 - 지지판
60 - 수거함 70 - 스크레퍼
80 - 스프링
본 발명은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되는 포켓 일측에 설치되는 스크레퍼가 탄력적으로 회동되게 설치하여 볼트 등의 이물질에 의해 스크레퍼 및 포켓이 파손되거나 작동 중지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쇄기의 분쇄장치는 호퍼를 통해 함체내에 투입된 사료를 구동샤프트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부착된 분쇄날들에 의해 분쇄되고, 상기 분쇄날의 외측에 원통형으로 감싸는 여과망을 통해 소정의 입도 이하로 분쇄된 입자가 통과되어 하부 이송부로 이송된 후 스크류 콘베어를 통해 배출구로 다시 이송되고 버켓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라인으로 이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분쇄작업시에는 분쇄능력을 증대시키고, 분쇄기 내부의 온도상승을 막기 위하여 필터가 내장된 집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진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을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된다.
한편, 분쇄기의 상부에는 정량으로 분쇄를 위한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포켓방식의 피더가 장착된다.
이 피더에는 옥수수 등의 사료 원료가 공급될 때 금속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해 원통형의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그 외부를 감싸는 드럼이 일정속도로 회전된다.
그리고, 피더 입구에는 사료 원료가 일정 분포로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의 칸막이들로 방들이 형성된 포켓이 일정 속도로 회전되며, 포켓 일측에는 사료원료가 넘치는 것을 긁어서 가능한 일정량씩 포켓에 담겨지게 한다.
따라서 포켓 상부로 투입된 사료 원료가 각 포켓에 일정량씩 채워진 후 회전에 의해 하부로 위치될 때 낙하되어 분쇄기 입구로 공급되는 것이다.
드럼의 하부 일측에는 집진기의 작동으로 분쇄기 내부에서 흡입력이 작용되는 것에 의해 원료에 포함된 이물질 및 피더의 외측에서 빨려들어오는 외부 먼지 등이 수집되는 수거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수집용 수거공간이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있어 장시간 경과 후 먼지 등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제거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종래, 포켓의 일측에 원료가 일정량씩만 쌓이고 용량 이상 쌓인 원료는 긁어내기 위해 설치되는 스크레퍼가 고정 설치되어 있었다.
이 스크레퍼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료 원료에 포함된 이물질들 중에 특히 예로서 큰 돌이나 볼트 등이 원료에 섞여서 투입될 경우 포켓과 스크레퍼 사이에 돌이나 볼트가 끼여서 포켓과 스크레퍼중 어느 하나 내지 둘다 파손된다.
또, 회전되던 포켓과 스크레퍼 사이에 강하게 끼일 경우 회전이 중단되거나 고장 발생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레퍼가 큰 이물질과 접촉될 경우 탄성적으로 후퇴된 후 금속 이물질은 제거토록 함과 동시에 다시 신속히 복귀되어 포켓이나 스크레퍼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장의 염려가 없어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쇄기(1)의 상부에 안착되며 속이 빈 함체형의 피더본체(10)와;
상기 피더본체(10)의 입구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칸막이(21)들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22)에 사료 원료를 공급받아 일정량씩 하부로 낙하시키는 포켓(20)과;
상기 포켓(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마그네틱(30)과;
이 마그네틱(30)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드럼(40)과;
상기 피더본체(10)의 하부 일측에서 수거된 이물질을 수납하도록 수거공간(61)이 마련되며 상기 피더본체(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거함(60)과;
상기 포켓(20)의 일측에 넘치는 원료를 긁기 위해 설치되는 스크레퍼(7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70)를 축핀(72)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설치하고, 스프링(80)으로 탄력 설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볼트와 같이 큰 금속 이물질이 포켓에 담겨져 회전될 때 스크레 퍼(70)가 회동되며 씹힘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또, 씹힘에 의한 고장의 원인이 제거되므로 피더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피더가 사료분쇄기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장치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피더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레퍼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분쇄기(1)는 상부에 설치되는 피더본체(10)를 통해 투입된 내용물이 분쇄칼과 해머에 의해 분쇄된 후 분쇄된 내용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스크류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분쇄기(1)에는 덕트를 통해 집진기와 연결되고, 분쇄된 내용물이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일측부에 형성된 덕트를 통해 집진부에서 구동되는 팬을 통해 외부로 분진이 배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분쇄기 작동과 동시 집진기능이 이루어지므로 분쇄능력이 증대되고 분쇄기내부의 마찰열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피더본체(10)는 분쇄기(1)의 입구와 연통된 상태로 안착되며 속이 빈 함체형상으로 내부에 각종 구조물들이 장치될 수 있도록 케이싱 역할을 갖게 된다.
상기 피더본체(10)의 입구측에는 포켓(20)이 설치되고, 이 포켓(20)의 하부 에는 마그네틱(30)을 감싸는 드럼(40)을 설치하게 된다.
포켓(20)은 대략 원통형으로 다수의 칸막이(21)들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22)들이 형성되어 상부에서부터 투입된 사료 원료를 수납한 후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수납공간(22)이 하부로 향할 때 일정량씩 하부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때, 넘치는 사료 원료를 긁어내어 가능한 일정량의 원료가 낙하 공급될 수 있도록 포켓(20)의 일측에는 스크레퍼(70)가 스프링(80)으로 탄력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크레퍼(70)는 도 4에서와 같이 양측에서 브라켓트(74)에 지지된 상태로 축핀(72)에 봉체(73)가 끼워져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비틀림 형식의 스프링(80)들이 수개가 봉체(73)에 감겨진 상태로 일단은 피더본체(10)의 상부 내측에 지지되고, 타단은 스크레퍼(70)에 지지되어 스크레퍼(70)가 스프링(80)의 탄력으로 포켓(20)에 항상 접촉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포켓(20)과 스크레퍼(70) 사이에 큰 돌이나 금속재인 볼트 등이 끼일 경우 도 3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되어 틈새를 허용하게 되므로 일단 큰 이물질이 씹히거나 틈새로 끼이지 않고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물질에 의해 후퇴되었던 스크레퍼(70)는 이물질과의 접촉이 끝난 후 바로 스프링(80)의 탄성력으로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20)에 밀착되어 넘치는 원료를 긁기 위한 상태로 즉시 전환된다.
도면에서는 비틀림 형식으로 된 스프링(80)이 봉체(73)에 끼워진 상태를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스크레퍼(70)가 포켓(20)에 접촉하기 위해 탄성을 갖도록 하는 어떠한 형태의 스프링 및 탄성부재도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할 것이다.
한편, 상기 포켓(20)의 하부 일측에는 원통형의 마그네틱(30)이 설치된다.
마그네틱(30)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모두 포함하게 되는데 대략 원통형상으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약 180도 내지 250도 사이의 각도(빗금친 부분)는 자력이 작용되고 그 나머지는 자력이 없거나 약하게 설계한다.
그리고, 이 마그네틱(30)의 외부에는 드럼(40)이 약간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정속도로 회전된다.
드럼(40)은 비자성체로 외부를 통과하는 금속이물질들이 마그네틱(30)의 자력에 의해 그 표면에 자착(磁着)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에는 수개의 턱(41)들을 돌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마그네틱(30)의 하부에는 작동판(50)이 스프링(52)에 의해 탄력 설치된다.
즉, 피더본체(10)의 저면판에서부터 지지판(51)을 세워 고정하고, 이 지지판(51)에 비틀림 스프링(52)으로 작동판(50)이 드럼(40)의 회전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절첩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부피와 중량이 비교적 큰 금속 이물질, 즉 예로서 볼트 등이 원료와 함께 투입되는 과정에서 마그네틱(30)의 자력에 의해 드럼(40)의 표면에 자착된 후 드럼(40)과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때 작동판(50)에 접촉될 경우 작동판(50)을 강제로 회전시킨 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판(50)은 마그네틱(30)의 자력이 없거나 매우 약해지는 경계 부분에 설치되므로 작동판(50)을 회동시킨 후 드럼(40)과 함께 이동된 볼트는 자력이 상실되므로 수거공간(61)에 탈락되는 것이다.
이 수거공간(61)을 갖는 수거함(60)은 상기 피더본체(10)의 하부 일측에 마그네틱(30)이 설치되는 치우친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볼트와 같이 수거된 금속 이물질 및 분진이나 먼지 등이 쌓여진 후 피더본체(10)로부터 슬라이드 인출시킨 후 수거시키게 된다.
그리고, 수거함(60)은 비교적 많은 양의 이물질이 수거공간(61)에 쌓여 있을 때 로킹수단을 제거하여 인출한 후 수거공간(61) 전체에 쌓여진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피더본체(10)의 내부에는 사료 원료가 낙하될 때 마그네틱(30)의 자력 영향을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작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11)(12)들이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작동판(50)이 드럼(40)에 근접되게 설치되므로 틈새가 거의 없게 되는데, 분쇄기(1) 내에 마련된 집진기 등에서 흡입력이 작용될 때 외부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이 분쇄기(1) 내로 흡입되는 것도 어느 정도 차단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포켓(20)과 드럼(40)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더본체(10)의 외측에서 모터(15)의 동력으로 체인(16)과 스프라켓(17)이 동력을 전달하는 것에 의해 일정 속도로 각각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볼트와 같이 큰 금속 이물질이 포켓에 담겨져 회전될 때 스크레퍼(70)가 회동되며 씹힘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또, 씹힘에 의한 고장의 원인이 제거되므로 피더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분쇄기(1)의 상부에 안착되며 속이 빈 함체형의 피더본체(10)와;
    상기 피더본체(10)의 입구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칸막이(21)들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22)에 사료 원료를 공급받아 일정량씩 하부로 낙하시키는 포켓(20)과;
    상기 포켓(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마그네틱(30)과;
    이 마그네틱(30)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드럼(40)과;
    상기 피더본체(10)의 하부 일측에서 수거된 이물질을 수납하도록 수거공간(61)이 마련되며 상기 피더본체(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거함(60)과;
    상기 포켓(20)의 일측에 넘치는 원료를 긁기 위해 설치되는 스크레퍼(7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70)를 축핀(72)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설치하고, 스프링(80)으로 탄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70)는 양측에서 브라켓트(74)에 지지된 상태로 축핀(72)에 봉체(73)가 끼워져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비틀림 형태로 된 스프링(80)들이 수개가 봉체(73)에 감겨진 상태로 포켓(20)에 항상 접촉되게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
KR1020070001468A 2007-01-05 2007-01-05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 Active KR100830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468A KR100830563B1 (ko) 2007-01-05 2007-01-05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468A KR100830563B1 (ko) 2007-01-05 2007-01-05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563B1 true KR100830563B1 (ko) 2008-05-21

Family

ID=3966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468A Active KR100830563B1 (ko) 2007-01-05 2007-01-05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5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029B1 (ko) 2011-08-08 2011-12-22 주식회사 세광플랜트 사료 원료 분쇄기용 리니어 정량공급장치
CN104886733A (zh) * 2015-04-22 2015-09-09 安徽盛昌生物能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生物制粒机翻板冷却器
CN108158014A (zh) * 2017-12-27 2018-06-15 贵州大学 一种饲料打浆机
CN117139339A (zh) * 2023-11-01 2023-12-01 徐州市科诺门窗有限公司 一种金属废料均匀式收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776A (ja) 1983-10-18 1985-05-17 Yutaka Sangyo Kikai Hanbai Kk 餌料用凍結魚の破砕細断装置
JPH02273554A (ja) * 1989-04-13 1990-11-08 Fukami Tekko Kk 穀物の加工装置
KR19980015069U (ko) * 1996-09-05 1998-06-25 김석현 사료분쇄기의 분쇄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776A (ja) 1983-10-18 1985-05-17 Yutaka Sangyo Kikai Hanbai Kk 餌料用凍結魚の破砕細断装置
JPH02273554A (ja) * 1989-04-13 1990-11-08 Fukami Tekko Kk 穀物の加工装置
KR19980015069U (ko) * 1996-09-05 1998-06-25 김석현 사료분쇄기의 분쇄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029B1 (ko) 2011-08-08 2011-12-22 주식회사 세광플랜트 사료 원료 분쇄기용 리니어 정량공급장치
CN104886733A (zh) * 2015-04-22 2015-09-09 安徽盛昌生物能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生物制粒机翻板冷却器
CN108158014A (zh) * 2017-12-27 2018-06-15 贵州大学 一种饲料打浆机
CN117139339A (zh) * 2023-11-01 2023-12-01 徐州市科诺门窗有限公司 一种金属废料均匀式收集装置
CN117139339B (zh) * 2023-11-01 2024-01-23 徐州市科诺门窗有限公司 一种金属废料均匀式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79782B2 (ja) ガラス粉砕機及びそれを用いたガラス粉砕システム
KR100830563B1 (ko) 사료분쇄기용 포켓피더
CN211051613U (zh) 一种多效研磨破碎机
KR101612534B1 (ko) 산업폐기물 분쇄기
EP1268073B1 (en) Apparatus for crushing glass or ceramic material
KR101051972B1 (ko) 해머 밀의 원료 공급장치
WO2012095626A1 (en) Apparatus for crushing glass or ceramic material
CN110314730A (zh) 一种建筑废料粉碎回收装置
KR100755792B1 (ko) 비닐선별분쇄기
KR200440009Y1 (ko) 사료분쇄기용 피더의 금속이물질 제거장치
CN113457797A (zh) 粉煤灰超细粉研磨系统
KR20190000425U (ko) 분쇄기
KR200440010Y1 (ko) 사료분쇄기용 피더
KR20160020941A (ko)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
KR20130000779A (ko) 장용 고추분쇄기의 고추가루 덩어리 파쇄장치
KR100896632B1 (ko) 분코크스 파쇄장치
KR100855881B1 (ko) 정량공급기가 구비된 고추분쇄기
JP7484867B2 (ja) 縦型粉砕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おける粉砕ロールの付着物除去方法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101042330B1 (ko) 고춧가루용 이물질제거장치
JP2014018756A (ja) 粉砕機
KR102480567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고순도 비성형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KR20090014877A (ko) 분쇄기 분말 분리장치
KR20060097697A (ko) 사이클론 장치가 구비된 고추분쇄기
KR20060097090A (ko) 에어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추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