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085Y1 -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085Y1
KR200439085Y1 KR2020060027999U KR20060027999U KR200439085Y1 KR 200439085 Y1 KR200439085 Y1 KR 200439085Y1 KR 2020060027999 U KR2020060027999 U KR 2020060027999U KR 20060027999 U KR20060027999 U KR 20060027999U KR 200439085 Y1 KR200439085 Y1 KR 200439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orsion
braid
screw conveyo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진
변상철
Original Assignee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에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to KR2020060027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0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33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with feed accelerator inside the conveying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탈수기(원심형 고액분리장치)의 슬러지 공급관 내부에 별도의 라인믹서를 부설하여 보울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와 응집제가 주입 전에 최적의 상태로 완전 혼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응집에 따른 탈수 성능을 개선함은 물론, 상기 슬러지유입관의 주입구 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가변 주입 수단를 추가로 부설하여 일 방향으로 등 간격 배열된 다수개의 주입구를 슬러지 성상 및 농도조건에 따라 주입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탈수 성능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측에서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통보울(10)과, 상기 외통보울(1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한편, 일 측단에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되고, 외주 면에 나선형의 이송날개(21a)가 형성되는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와, 상기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일 측에 구동풀리(31)가 형성되며, 타 측에 메인베어링(32a)을 포함한 기어박스(32)가 구비되는 한편, 일 측에 분리된 여액이 배수되도록 배수부(33)가 형성되고, 타 측에 분리된 슬러지케익이 배출되도록 배출부(34)가 마련된 케이싱(3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슬러지 제거용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공급관(21) 내부 일 측에 수용되며 일 방향으로 비틀리며 선회하 도록 형성된 제1비틀림브레이드(110)와, 상기 제1비틀림브래이드(110)에 이웃하되 제1비틀림브래이드의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교차 설치된 혼합날이 선회하도록 형성된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와, 상기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에 이웃하되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와 수직되는 선상에서 선회점을 시작하도록 형성되되 십자형으로 교차 설치된 제3비틀림브래이드(130)가 플랜지(140)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되도록 라인믹서(100)가; 구성되는 한편, 상기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는 슬러지공급관(21)이 삽입되어 수용된 단부 일 측에 슬러지수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수용부(22) 내주 면에는 내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주입구(23)가 슬러지 유입방향에 대해 일정한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한편, 상기 배열된 주입구(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수용부(22)의 내경과 대응하며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는 단속링(210)과, 상기 단속링(210) 일측면에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을 조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로드(220)가 가변식 혼합주입수단(200)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R2020060027999
원심분리기, 슬러지, 보울, 스크류컨베이어피더, 라인믹서, 가변식 혼합주입수단

Description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 고액분리장치{CENTRIFUGAL SEPERATOR WITH MIXER AND CLUTCH}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인믹서의 일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각 비틀림브래이드부를 종방향에서 나타낸 일 측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의 이송상태를 나타낸 일 측면도,
도 6는 종래의 장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통보울 20 ... 스크류컨베이어피더
21 ... 슬러지공급관 21a ... 이송날개
22 ... 슬러지수용부 23 ... 주입구
30 ... 케이싱 31 ... 구동풀리
32 ... 기어박스 32a ... 메인베어링
33 ... 배수부 34 ... 배출부
100 ... 라인믹서 200 ... 가변식 혼합주입수단
210 ... 단속링 220 ... 연결로드
본 고안은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탈수기(원심형 고액분리장치)의 슬러지 공급관 내부에 별도의 라인믹서를 부설하여 보울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와 응집제가 주입 전에 최적의 상태로 완전 혼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응집에 따른 탈수 성능을 개선함은 물론, 상기 슬러지유입관의 주입구 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가변 주입 수단를 추가로 부설하여 일 방향으로 등 간격 배열된 다수개의 주입구를 슬러지 성상 및 농도조건에 따라 주입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탈수 성능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심형 고액분리장치는 하수처리장 및 폐수처리장의 마지막 단계에서 슬러지 중의 고형분을 고액 분리시켜 탈수시키도록 유도하는 한편, 슬러지를 탈수하여 최종 슬러지 케익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기서 분리된 슬러지 케익은 매립 하거나 소각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원심형 고액분리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회전체인 외통보울(10)과, 내부 회전체인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와, 이를 구동시키는 각각의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여액과 케익을 분리 배출하도록 별도의 배수부(33), 배출부(34)가 형성된 외부 케이싱(30)으로 크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러지공급관(21)의 내측 단부에는 공급된 슬러지가 수용되는 슬러지수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수용부(22) 외주 면에는 외통보울(10)의 내측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주입구(23)가 슬러지공급관(21)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러지는 슬러지공급관(21))과 슬러지수용부(22)를 경유하며 그 외주 면에 형성된 주입구(23)를 통하여 외통보울(10)의 내측으로 유입, 분배되고 고속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가벼운 여액은 직경이 큰 단부 측으로 배수되고, 무거운 슬러지 케익은 직경이 좁은 단부 측으로 배출된다.
다시 말해, 외측 회전체인 외통보울(10)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의 침강속도가 중력하에서보다 수천배 이상 높아져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고형물은 외통보울(10) 내측으로 모이게 되고 내측 회전체인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가 반대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외통보울(10) 내측에 침적된 고형분을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외측 회전체인 외통보울(10)은 역시 고속으로 회전하는 바, 이러한 양 회전체에는 원심력에 의해 좁은 직경 측으로의 침강속도가 중력하에서 보다 수천배 이상 빨라져 이송 배출하게 되고 여액은 반대 방향의 직경이 큰 단부 측으로, 무거운 슬러지 케익은 직경이 좁은 단부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러지는 스크류컨베이어피더(21)를 포함한 외통보울(10)의 내측에 공급 시 슬러지가 고분자 응집제에 의해 비중이 가벼운 고형물과 무거운 고형물이 결합하여 비중이 무거운 플럭 형태의 덩어리로써 유입되는 바, 이는 비중 차를 유도하여 원심 분리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가벼운 여액과 무거운 슬러지 케익은 상술한 원리에 의해 분리된다 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원심형 고액분리장치는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공급관으로 투입시킨 후 주입구를 통해 분배함에 있어서, 유입된 슬러지는 슬러지공급관 내에서 응집제와 혼합을 도모하게 되는 바, 이때 상술한 슬러지는 응집제와 혼합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에서 탈수기의 보울 내부(외통 보울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 사이 공간부)로 바로 분배된다.
즉, 상술한 슬러지는 응집제와 혼합 시 슬러지공급관 내에서 보울 내로 주입되기 전에 혼합되는 것이 아니라, 외통보울 내부 공간에서 원심 회전력에 의해 이때 비로서 혼합을 시작하는 바, 이는 혼합반응 성능이 미흡하여 적정 반응량의 응집제 주입으로는 재 성능을 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한편, 슬러지공급관 내측에 형성된 주입구는 최초 제작에 따라 변형이 불가능한 것으로, 이는 슬러지의 성상과 농도 조건에 따라 슬러지 분배 위치를 가변시 켜가며 탈수 효율을 얻는데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다시 말해, 최초 제작 시와 다르게 슬러지의 성상과 농도가 변화되면 이에 적절히 대응하며 원심 회전에 따른 분배 위치를 적절하게 제공하지 못하여 탈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탈수기(원심형 고액분리장치)의 슬러지공급관 내부에 별도의 라인믹서를 부설하여 보울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와 응집제가 주입 전에 최적의 상태로 완전 혼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응집에 따른 탈수 성능을 개선함은 물론, 상기 슬러지유입관의 주입구 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가변 주입수단를 더 부설하여 일 방향으로 일정한 등간격 배열된 다수개의 주입구를 슬러지 성상 및 농도조건에 따라 주입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탈수 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 라인믹서 및 가변식 주입수단를 갖는 원심형 고액분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측에서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통보울(10)과, 상기 외통보울(1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한편, 일 측단에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되고, 외주 면에 나선형의 이송날개(21a)가 형성되는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와, 상기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일 측에 구동풀리(31)가 형성되며, 타 측에 메인베어링(32a)을 포함한 기어박스(32)가 구비되 는 한편, 일 측에 분리된 여액이 배수되도록 배수부(33)가 형성되고, 타 측에 분리된 슬러지케익이 배출되도록 배출부(34)가 마련된 케이싱(3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슬러지 제거용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공급관(21) 내부 일 측에 수용되며 일 방향으로 비틀리며 선회하도록 형성된 제1비틀림브레이드(110)와, 상기 제1비틀림브래이드(110)에 이웃하되 제1비틀림브래이드의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교차 설치된 혼합날이 선회하도록 형성된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와, 상기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에 이웃하되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와 수직되는 선상에서 선회점을 시작하도록 형성되되 십자형으로 교차 설치된 제3비틀림브래이드(130)가 플랜지(140)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되도록 라인믹서(1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는 슬러지공급관(21)이 삽입되어 수용된 단부 일 측에 슬러지수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수용부(22) 내주 면에는 내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주입구(23)가 슬러지 유입방향에 대해 일정한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한편, 상기 배열된 주입구(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수용부(22)의 내경과 대응하며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는 단속링(210)과, 상기 단속링(210) 일측면에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을 조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로드(220)가 가변식 혼합주입수단(2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심형 고액분리장치는 외측에서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통보울(10)과, 상기 외통보울(10)의 내측에서 회 전하는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와, 상기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각각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통보울(10)은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에 비해 협소한 직경을 형성하도록 깔대기(콘) 형상이 된다.
이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 제공시 비중이 큰 슬러지는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며 비중이 적은 액은 축방향으로 고액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분리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는 외통보울(1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한편, 일 측 단부에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되고, 외주 면에 나선형의 이송날개(2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날개(21a)는 외통보울(10) 내측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의 외주면 사이에서 유영하는 슬러지에 선회류를 일으켜 보다 큰 원심력을 제공하는 한편, 고액 분리되어 침적된 슬러지를 이송, 탈수하여 케익화하고, 이를 배출공(12)으로 배출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30)은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일 측에 구동풀리(31)가 형성되며, 타측에 메인베어링(32a)을 포함한 기어박스(32)가 구비되는 한편, 일 측에 분리된 여액이 배수되도록 배수공(11)과 연통되는 배수부(33)가 형성되고, 타 측에 분리된 슬러지케익이 배출되도록 배출부(34)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32)는 별도의 감속기어군(미도시)이 형성되어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의 속도비를 유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에서 응집된 슬러지를 공급하도록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러지공급관(21) 내부 일 측(슬러지가 공급되는 단부 측)에는 제1,2,3비틀림브래이드(110,120,130) 및 플렌지(140)를 일체로 구비한 라인믹서(100)가 내장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라인믹서(100)는 상기 슬러지공급관(21) 내부 일측에 수용되며 일 방향으로 비틀리며 선회하도록 형성된 제1비틀림브레이드(110)와, 상기 제1비틀림브래이드(110)에 이웃하되 제1비틀림브래이드의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교차 설치된 혼합날이 선회하도록 형성된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와, 상기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에 이웃하되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와 수직되는 선상에서 선회점을 시작하도록 형성되되 십자형으로 교차 설치된 제3비틀림브래이드(130)가 플랜지(140)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2,3비틀림브래이드(110,120,130)는 얇은 판재가 일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각각 비틀려 유입된 슬러지를 교차 회전시키며 혼합(섞임 또는 교반시키도록 함)시키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플렌지(140)는 링 타입으로 형성되어 몸체 중앙에 일 방향으로 관통된 투입공(141)이 형성되고, 이러한 플렌지(140)는 슬러지공급관(21)의 외측 단부(플렌지)와 결합되는 한편, 제3비틀림브래이드(130)의 휘어진 판재가 투 입공(141)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빈공간인 투입공(141)으로부터 슬러지공급관 내부로 슬러지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3비틀림브래이드(130)는 슬러지공급관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는 플렌지로 인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일체로 연결된 제1,2비틀림브래이드(110,120)도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상술한 슬러지를 외통보울 내로 분배하기 전 응집제와 최상의 혼합을 이루도록 조장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2,3비틀림브래이드(110,120,130)에서 슬러지가 선회하는 시작점이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비틀린 것이 아니라, 서로에 대해 대향되는 직교점 및 다른 방향으로 슬러지가 교차 선회하도록 시작점을 설치함으로써, 제1비틀림브래이드에서 일 방향으로 선회한 슬러지는 응집한 슬러지를 제2비틀림브래이드에서 급속히 반대방향으로 선회함으로 슬러지와 응집제가 효과적으로 혼합되는 바, 이는 이중날로 보다 구석구석 혼합하고, 이를 제3비틀림브래이드에서 다시 제1비틀림브래이드와 동일 방향으로 선회시켜 즉 각 비틀림브레이드에서 선회 방향을 교차시키므로서 혼합효과를 최대로하여 최상의 응집 혼합성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는 슬러지공급관(21)이 삽입되어 수용된 단부 일측에 슬러지수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수용부(22) 내주 면에는 내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주입구(23)가 슬러지 유입방향에 대해 일정한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한편, 상기 배열된 주입구(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수용부(22)의 내경과 대응하며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단속 링(210)과, 상기 단속링(210) 일측면에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을 조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로드(220)가 가변식 혼합주입수단(200)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슬러지수용부의 주입구(23)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측에서부터 진행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분배 위치를 갖는 것으로, 이는 슬러지의 성상(특성)과 농도에 따라 그 원심 분리를 시작하는 분배(주입) 위치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특히 주입구(23)는 별도의 가변식 혼합주입수단(200)에 의해 개폐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 방향으로 단위간격 배열된 다수개의 주입구(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된 단속링(210)은 내측에 배출홈(211)이 형성한 원통형 링처럼 형성되어 그 외주 면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주입구를 밀폐 또는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한편, 내측 배출홈(211)을 슬러지가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슬러지공급관(21)의 슬러지 투입구 측인 외측부에 형성된 실린더 등의 전동수단에 의해 연결로드가 연동되어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즉, 슬러지 상태에 따라 주입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220)는 일측이 단속링(2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슬러지공급관 외측에 형성된 별도의 구동수단(실린더 등: 미도시)과 연결됨에 있어서, 상술한 라인믹서(10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라인믹서의 길이방향에 대한 중앙 정점을 관통 경유하며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라인믹서(100)의 각 비틀림브래이드들과 플렌지 중앙 선상에는 연결로드(220)가 직선왕복 운동하는데 간섭이 되지 않도록 소정의 가이드관통공이 별 도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먼저, 슬러지공급관(21)으로 유입된 슬러지는 별도로 투입된 응집제와 혼합을 도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러지는 응집제와 잘 섞여야만 효율적인 플록을 얻을 수 있다.
이를 강제로 혼합시키는 라인믹서(100)가 슬러지공급관 투입구 측에 부설되어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슬러지를 교차 선회시키면서 상술한 응집제와 최적의 혼합을 도모하게 된다.
즉, 상기 라인믹서(100)는 다수개의 비틀림브래이드들을 이용하여 슬러지가 외통보울 내부로 분배되기 전에 미리 응집제와 최상의 혼합상태를 이뤄 중량(비중) 차에 의해 원심분리가 되는 슬러지의 탈수성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게 된다.
한편, 응집제와 혼합된 슬러지는 슬러지공급관으로부터 배출되어 스크류컨베이어피더의 슬러지수용부(22)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슬러지수용부에는 슬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등간격 배열되며 타공 된 다수개의 주입구(23)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슬러지수용부(22) 내측에는 별도의 가변식 혼합주입수단(200)이 부설되는 바, 이는 슬러지의 성상 및 농도 등의 기타 조건에 따라 외통보울로 분배되는 주입구 위치를 가변하며 단속하게 된다.
이는 원심분리되는 효율이 슬러지의 성상 또는 농도에 따라 각각 다르기 때문으로 외통보울로 주입시키는 위치를 피스톤 운동처럼 일 방향으로 단속링(210)을 이동시켜가며 주입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라인믹서(100)를 통해 원심분리 전 최상의 조건으로 응집제와 혼합된 슬러지는 외통보울에서 원심분리를 시작하기 전에 가변식 혼합주입수단(200)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성상과 농도에 따라 최적의 주입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며 탈수 효율을 극대화하는 장점을 갖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원심형 고액분리장치의 슬러지공급관 내부에 별도의 라인믹서를 부설하여 보울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와 응집제가 주입 전에 최적의 상태로 완전 혼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탈수에 따른 응집 성능을 개선함은 물론, 상기 슬러지유입관의 주입구 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가변식 혼합 주입수단을 더 부설하여 일 방향으로 일정한 등간격 배열된 다수개의 주입구를 슬러지 성상 및 농도조건에 따라 주입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탈수 성능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측에서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통보울(10)과, 상기 외통보울(1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한편, 일 측단에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되고, 외주 면에 나선형의 이송날개(21a)가 형성되는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와, 상기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일 측에 구동풀리(31)가 형성되며, 타 측에 메인베어링(32a)을 포함한 기어박스(32)가 구비되는 한편, 일 측에 분리된 여액이 배수되도록 배수부(33)가 형성되고, 타 측에 분리된 슬러지케익이 배출되도록 배출부(34)가 마련된 케이싱(3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슬러지 제거용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공급관(21) 내부 일 측에 수용되며 일 방향으로 비틀리며 선회하도록 형성된 제1비틀림브레이드(110)와, 상기 제1비틀림브래이드(110)에 이웃하되 제1비틀림브래이드의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교차 설치된 혼합날이 선회하도록 형성된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와, 상기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에 이웃하되 제2비틀림브래이드(120)와 수직되는 선상에서 선회점을 시작하도록 형성되되 십자형으로 교차 설치된 제3비틀림브래이드(130)가 플랜지(140)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되도록 라인믹서(1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 고액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는
    슬러지공급관(21)이 삽입되어 수용된 단부 일 측에 슬러지수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수용부(22) 내주 면에는 내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주입구(23)가 슬러지 유입방향에 대해 일정한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한편, 상기 배열된 주입구(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수용부(22)의 내경과 대응하며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는 단속링(210)과, 상기 단속링(210) 일측면에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을 조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로드(220)가 가변식 혼합주입수단(200)을;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 고액분리장치.
KR2020060027999U 2006-10-18 2006-10-18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KR200439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99U KR200439085Y1 (ko) 2006-10-18 2006-10-18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99U KR200439085Y1 (ko) 2006-10-18 2006-10-18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085Y1 true KR200439085Y1 (ko) 2008-03-20

Family

ID=4162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999U KR200439085Y1 (ko) 2006-10-18 2006-10-18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085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880B1 (ko) 2008-06-24 2009-01-08 김전국 고액분리형 원심탈수기
KR200459173Y1 (ko) * 2010-07-02 2012-03-22 주식회사 로얄정공 방향성 분사각을 가진 분사노즐로 구성된 데칸더형 원심분리기의 스크류컨베이어
WO2014069761A1 (ko) * 2012-11-01 2014-05-08 주식회사 송포하이테크 슬러지 응집공급시스템이 구비된 원심분리기
KR102086681B1 (ko) 2019-10-17 2020-03-09 원진기계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슬러지와 응집제 혼합부를 구비한 원심탈수기
KR20210094803A (ko) 2020-01-22 2021-07-30 원진기계 주식회사 내부 막힘이 없는 다중 유체 혼합용 혼합기
KR102287744B1 (ko) * 2021-01-05 2021-08-06 윤창진 효율적인 원수투입 기능을 갖는 원심 분리기
KR20210109295A (ko) 2020-02-27 2021-09-06 원진기계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유체혼합부가 내장된 원심탈수기
KR102545054B1 (ko) * 2022-06-13 2023-06-20 (주)플루엔 슬러지 처리효율 향상을 위한 고속혼화기 내장형 원심분리, 농축 및 탈수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880B1 (ko) 2008-06-24 2009-01-08 김전국 고액분리형 원심탈수기
KR200459173Y1 (ko) * 2010-07-02 2012-03-22 주식회사 로얄정공 방향성 분사각을 가진 분사노즐로 구성된 데칸더형 원심분리기의 스크류컨베이어
WO2014069761A1 (ko) * 2012-11-01 2014-05-08 주식회사 송포하이테크 슬러지 응집공급시스템이 구비된 원심분리기
CN104781011A (zh) * 2012-11-01 2015-07-15 松浦高科技有限公司 具有污泥凝聚供给系统的离心分离机
KR102086681B1 (ko) 2019-10-17 2020-03-09 원진기계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슬러지와 응집제 혼합부를 구비한 원심탈수기
KR20210094803A (ko) 2020-01-22 2021-07-30 원진기계 주식회사 내부 막힘이 없는 다중 유체 혼합용 혼합기
KR20210109295A (ko) 2020-02-27 2021-09-06 원진기계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유체혼합부가 내장된 원심탈수기
KR102287744B1 (ko) * 2021-01-05 2021-08-06 윤창진 효율적인 원수투입 기능을 갖는 원심 분리기
KR102545054B1 (ko) * 2022-06-13 2023-06-20 (주)플루엔 슬러지 처리효율 향상을 위한 고속혼화기 내장형 원심분리, 농축 및 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085Y1 (ko)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TWI542552B (zh) Centrifugal dewatering and centrifugal dewatering
KR101127015B1 (ko) 교반회전체를 구비하는 원심분리기
WO2015107988A1 (ja) 有機性汚泥の脱水システム
KR100740608B1 (ko) 응집,농축 및 원심탈수장치
CN110183093A (zh) 一种污泥调质装置
EP3233738A1 (fr) Procédé de déshydratation de boues assistée par réactif floculant et install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édé
KR101771502B1 (ko) 고액분리장치
CN103803774B (zh) 污泥浓缩装置及其污泥处理方法
KR101869300B1 (ko) 원수의 난류형성 제한 기능을 갖는 원심 분리기
KR101913944B1 (ko) 내구성 및 탈수효율을 증대시킨 원심농축 탈수기
JP6700934B2 (ja) 遠心脱水機および運転方法
KR101552506B1 (ko) 미생물 슬러지 농축장치
JP4014531B2 (ja) 脱水システム
KR100867762B1 (ko) 미세슬러지 제거효율을 높이는 스크루 테칸타형 원심분리기
KR102204812B1 (ko) 원심력을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100458327B1 (ko) 원심분리기의 차단판 유격 조절장치
KR200425773Y1 (ko) 회전식 스크래퍼를 갖는 다중판식 농축장치
JP2002239600A (ja) 凝集反応槽
KR102545054B1 (ko) 슬러지 처리효율 향상을 위한 고속혼화기 내장형 원심분리, 농축 및 탈수장치
JP2005066455A (ja) 固液分離装置
CN116022979B (zh) 一种工业废水处理装置
KR200306709Y1 (ko) 원심분리기의 차단판 유격 조절장치
CN108863002A (zh) 一种油田浑浊废水处理装置
CN203715472U (zh) 污泥浓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