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990Y1 -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990Y1
KR200438990Y1 KR2020070000043U KR20070000043U KR200438990Y1 KR 200438990 Y1 KR200438990 Y1 KR 200438990Y1 KR 2020070000043 U KR2020070000043 U KR 2020070000043U KR 20070000043 U KR20070000043 U KR 20070000043U KR 200438990 Y1 KR200438990 Y1 KR 200438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load
relay
uv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0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하를 동작시키는 제 1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제 2 전원을 부하에 공급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제 1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하고,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예비전원인 제 2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하며, 제 1 UVR(Under Voltage Relay)이 제 1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SR(Synchronous Relay)이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위상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제 1 UVR이 제 1 전원의 이상을 검출할 경우에 시퀀스 회로가 SR의 검출신호에 따라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1 부하로 제 2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후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1 전원을 차단하게 제어한다.
Figure R2020070000043
무정전, PT, UVR, 시퀀스, 예비전원, 발전소, 발전기

Description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ed Power Supply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일 예를 보인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310 : 제 1 및 제 2 PT(Potential Transformer)
320, 330 : 제 1 및 제 2 UVR(Under Voltage Relay)
340 : SR(Synchronous Relay) 350 : 시퀀스 회로
360, 370 :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
380 :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 361, 371, 381 : 코일
363, 365, 367, 373, 375, 377, 383, 385, 387 : 접점
본 고안은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소에서 발전장비의 여자기 등과 같은 소내 부하에 공급하는 제 1 전원이 정전 등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제 2 전원을 예비전원으로 소 내 부하에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이 차단되어서는 안되는 각종 부하에는 정전을 대비하여 별도의 예비전원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발전소에서 발전장비의 운전에 필요한 소내 부하에 전원이 차단되면, 발전장비의 발전동작이 정지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발전장비를 초기 동작부터 다시 수행하여 운전시켜야 된다.
그러므로 전원이 차단되어서는 안되는 부하에는 별도의 제 2 전원을 예비전원으로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부하에 공급되는 제 1 전원이 정전 등으로 차단되는지의 여부를 계속 감시하고, 제 1 전원의 차단이 검출될 경우에 제 2 전원을 부하로 공급하여 부하가 정지됨이 없이 계속 동작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 1 전원에서 제 2 전원으로 전환할 경우에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정전 현상이 발생하고, 또한 제 2 전원에서 다시 제 1 전원으로 전환할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정전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전원이 차단되는 순간에 부하가 정지하거나 오동작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일 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전압 레벨을 감압하는 PT(Potential Transformer)이다. 상기 PT는 부하로 공급되는 제 1 전원의 전압 레벨을 소정의 레벨로 감압한다.
부호 110은 저전압을 검출하는 UVR(Under Voltage Relay)이다. 상기 UVR(110)은 상기 PT(100)의 출력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서 PT(100)에서 정상전압이 출력될 경우에 a 접점(111)이 개방되고, b 접점(113)이 접속되며, PT(1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낮아질 경우 예를 들면, 정상전압에서 약 70% 이하로 낮아질 경우에 a 접점(111)이 접속되고, b 접점(113)이 개방된다.
부호 120은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이다.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120)는 상기 UVR(110)의 b 접점(113)이 접속될 경우에 교류전원(AC)이 코일(121)에 인가되어 구동되고, 접점(123, 125, 127)이 접속되며, b 접점(113)이 개방될 경우에 교류전원(AC)이 차단되어 코일(121)이 구동되지 않고, 접점(123, 125, 127)이 개방된다.
부호 130은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이다.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130)는 상기 UVR(110)의 a 접점(111)이 접속될 경우에 교류전원(AC)이 코일(131)에 인가되어 구동되고, 접점(133, 135, 137)이 접속되며, a 접점(111)이 개방될 경우에 교류전원(AC)이 차단되어 코일(131)이 구동되지 않고, 접점(133, 135, 137)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일 예는 제 1 전원이 인가될 경우에 이를 PT(100)가 소정의 전압레벨로 감압하여 출력하고, PT(100)의 출력전압으로 UVR(110)이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전원이 정상으로 공급되어 PT(100)에서 출력되는 전압 레벨이 정상 레벨일 경우에 UVR(110)은 a 접점(111)을 개방시키고, b 접점(113)을 접속시키게 된다.
그러면, 교류전원(AC)이 UVR(110)의 b 접점(113)을 통해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120)의 코일(121)에 인가되므로 코일(121)이 자화되고, 코일(121)의 자화에 따라 접점(123, 125, 127)이 모두 접속되어 제 1 전원이 접점(123, 125, 127)을 통해 부하에 정상으로 인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정전 등으로 인하여 제 1 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면, PT(1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없으므로 UVR(110)이 동작하여 a 접점(111)을 접속시키고, b 접점(113)을 개방시키게 된다.
그러면, UVR(110)의 b 접점(113)이 개방됨에 따라 교류전원(AC)이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120)의 코일(121)에 인가되지 않으므로 코일(121)이 자화되지 않고, 접점(123, 125, 127)이 모두 개방된다.
그리고 UVR(110)의 a 접점(113)이 접속됨에 따라 교류전원(AC)이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130)의 코일(131)에 인가되므로 코일(131)이 자화되고, 접점(133, 135, 137)이 모두 접속되어 예비전원인 제 2 전원이 접점(133, 135, 137)을 통해 부하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제 1 전원이 정상으로 입력되면, 이를 UVR(110)이 검출하여 a 접점(111)을 개방시키고, b 접점(113)을 접속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UVR(110)의 a 접점(113)이 개방됨에 따라 교류전원(AC)이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130)의 코일(131)에 인가되지 않아 코일(131)이 자화되지 않고, 접점(133, 135, 137)이 모두 개방되므로 제 2 전원이 차단되어 부하에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UVR(110)의 b 접점(113)이 접속됨에 따라 교류전원(AC)이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120)의 코일(121)에 인가되어 자화되고, 코일(121)의 자화에 따라 접점(123, 125, 127)이 모두 접속되어 제 1 전원이 접점(123, 125, 127)을 통해 다시 부하에 공급된다.
즉, 상기한 종래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일 예는 제 1 전원이 정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먼저 제 1 전원공급용 계전기(120)를 정지시킨 후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130)를 동작시켜 제 2 전원을 부하로 공급하고, 또한 제 1 전원이 다시 정상으로 입력될 경우에 먼저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130)를 정지시킨 후 제 1 전원공급용 계전기(120)를 동작시켜 부하에 제 1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종래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200 및 210은 제 1 및 제 2 PT(Potential Transformer)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PT(200, 210)는 제 1 및 제 2 부하로 각기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전원을 감압한다.
부호 220 및 230은 제 1 및 제 2 UVR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UVR(220, 230)은 상기 제 1 및 제 2 PT(200, 2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낮아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부호 240은 시퀀스 회로이다. 상기 시퀀스 회로(240)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UVR(220, 230)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를 검출할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시퀀스 동작을 수행하여 제 1 및 제 2 전원의 공급을 제어한다.
부호 250은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이다.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는 상기 시퀀스 회로(240)의 제어에 따라 코일(251)이 구동될 경우에 접점(253, 255, 257)이 접속되어 상기 제 1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한다.
부호 260은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이다.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60)는 상기 시퀀스 회로(240)의 제어에 따라 코일(261)이 구동될 경우에 접점(263, 265, 267)이 접속되어 상기 제 2 전원을 제 2 부하로 공급한다.
부호 270은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이다. 상기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는 상기 시퀀스 회로(240)의 제어에 따라 코일(261)이 구동될 경우에 접점(273, 275, 277)이 접속되어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가 출력하는 제 1 전원을 제 2 부하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60)가 출력하는 제 2 전원을 제 1 부하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다른 예는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전원을 제 1 및 제 2 PT(200, 210)가 소정의 전압레벨로 감압하여 출력하고, 제 1 및 제 2 PT(200, 210)의 출력전압 레벨을 제 1 및 제 2 UVR(220, 230)이 검출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전원이 모두 정상전압의 레벨로 입력될 경우에 제 1 및 제 2 UVR(220, 230)이 정상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시퀀스 회로(240)로 입력된다.
그러면, 시퀀스 회로(240)는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 260)의 코일(251, 261)을 모두 구동시키고, 코일(251, 261)의 구동에 따라 접점(253, 255, 257)(263, 265, 267)이 모두 접속되므로 제 1 및 제 2 전원이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 260)의 접점(253, 255, 257)(263, 265, 267)을 통해 제 1 및 제 2 부하에 각기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전원이 정전 등으로 정상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이를 제 1 UVR(220)이 검출하여 시퀀스 회로(240)로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시퀀스 회로(240)는 제 1 전원이 이상이 있음을 판단하고,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의 코일(25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정지시키고, 코일(251)의 정지에 따라 접점(253, 255, 257)이 모두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시퀀스 회로(240)는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의 접점(253, 255, 257)이 모두 개방된 후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의 코일(271)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키고, 코일(271)의 구동에 따라 접점(273, 275, 277)이 접속되므로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60)의 접점(263, 265, 267)을 통과한 제 2 전원이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의 접점(273, 275, 277)을 통해 제 1 부하에 예비전원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전원이 다시 정상전압으로 입력될 경우에 이를 제 1 UVR(220)이 검출하여 시퀀스 회로(240)로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시퀀스 회로(240)는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의 코일(271)로 공급하던 전원을 차단하여 정지시키고, 코일(271)의 정지에 따라 접점(273, 275, 277)이 모두 개방되어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60)의 접점(263, 265, 267)을 통과한 제 2 전원이 제 1 부하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가 정지된 상태에서 시퀀스 회로(240)는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의 코일(251)을 구동시키고, 코일(251)의 구동에 따라 접점(253, 255, 257)이 모두 접속되어 제 1 전원이 다시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의 접점(253, 255, 257)을 통해 제 1 부하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 2 전원이 정전 등으로 정상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제 2 UVR(230)이 검출하여 시퀀스 회로(240)로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시퀀스 회로(240)는 제 2 전원이 이상이 있음을 판단하고,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60)의 코일(26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정지시키고, 코일(261)의 정지에 따라 접점(263, 265, 267)이 모두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시퀀스 회로(240)는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60)의 접점(263, 265, 267)이 모두 개방된 후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의 코일(271)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키고, 코일(271)의 구동에 따라 접점(273, 275, 277)이 접속되므로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의 접점(253, 255, 257)을 통과한 제 1 전원이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의 접점(273, 275, 277)을 통해 제 2 부하에 예비전원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전원이 다시 정상전압으로 입력될 경우에 이를 제 2 UVR(240)이 검출하여 시퀀스 회로(240)로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시퀀스 회로(240)는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의 코일(271)로 공급하던 전원을 차단하여 정지시키고, 코일(271)의 정지에 따라 접점(273, 275, 277)이 모두 개방되어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260)의 접점(263, 265, 267)을 통과한 제 1 전원이 제 2 부하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가 정지된 상태에서 시퀀스 회로(240)는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60)의 코일(261)을 구동시키고, 코일(261)의 구동에 따라 접점(263, 265, 267)이 모두 접속되어 제 2 전원이 다시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60)의 접점(263, 265, 267)을 통해 제 2 부하에 공급된다.
이러한 종래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다른 예는 제 1 전원이 정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의 코일(251)을 정지시켜 접점(253, 255, 257)을 개방시킨 후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를 구동시켜 제 2 전원을 제 1 부하에 공급하고, 또한 제 2 전원이 정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60)의 코일(261)을 정지시켜 접점(263, 265, 267)을 개방시킨 후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를 구동시켜 제 1 전원을 제 2 부하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전원이 정상으로 입력될 경우에는 먼저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270)를 정지시켜 접점(273, 275, 277)을 개방시킨 후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250)(260)를 구동시켜 접점(253, 255, 257)(263, 265, 267)을 접속시키고, 제 1 및 제 2 전원이 다시 제 1 및 제 2 부하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일 예 및 다른 예는 부하로 공급되는 전원이 정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먼저 부하로 전원이 공급되는 라인 을 차단하고, 정상으로 입력되는 다른 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전원을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부하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순간정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생하는 순간정전의 시간은 매우 짧으나 정밀한 동작을 요구하는 부하들은 상기 순간정전에 의해 동작을 정지하거나 또는 현재 작업중인 소중한 데이터 등이 손실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부하가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발전장비의 소내 부하일 경우에 상기 순간정전에 의해 발전장비의 운전이 정지되어 발전장비를 초기 동작부터 다시 운전을 시작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부하로 공급되는 제 1 전원이 차단되기 시작할 경우에 먼저 제 2 전원을 부하로 공급한 후 제 1 전원을 차단하여 순간 정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하로 제 2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다시 제 1 전원이 정상으로 입력될 경우에 그 정상 입력되는 제 1 전원을 먼저 부하로 공급한 후 제 2 전원을 차단하여 순간 정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따르면, 제 1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하는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 예비전원인 제 2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하는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 상기 제 1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UVR(Under Voltage Relay); 상기 제 1 전원과 예비전원인 제 2 전원의 위상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SR(Synchronous Relay); 및 상기 제 1 UVR이 상기 제 1 전원의 이상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SR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1 부하로 제 2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1 전원을 차단하게 제어하는 시퀀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퀀스 회로는; 상기 제 1 부하에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한 이후에 상기 제 1 UVR이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임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1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하게 한 후 상기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2 전원을 차단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시퀀스 회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전원을 제 2 부하로 공급하는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 상기 제 2 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시퀀스 회로로 입력시키는 제 2 UVR; 및 상기 제 2 전원을 감압하여 상기 제 2 UVR로 입력시키는 제 2 P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퀀스 회로는; 상기 제 2 UVR이 상기 제 2 전원의 이상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SR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2 부하로 제 1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2 전원을 차단하게 제어하고, 상기 제 2 부하에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한 이후에 상기 제 2 UVR이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임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2 전원을 제 2 부하로 공급하게 한 후 상기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1 전원을 차단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300 및 310은 제 1 및 제 2 PT(Potential Transformer)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PT(300, 310)는 제 1 및 제 2 부하로 각기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전원을 감압한다.
부호 320 및 330은 제 1 및 제 2 UVR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UVR(320, 330)은 상기 제 1 및 제 2 PT(300, 3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낮아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부호 340은 SR(Synchronous Relay)이다. 상기 SR(340)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의 위상이 상호간에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부호 350은 시퀀스 회로이다. 상기 시퀀스 회로(350)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UVR(320, 330)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를 검출할 경우에 상기 SR(340)이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의 동기를 검출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SR(340)이 동기를 검출할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시퀀스 동작을 수행하여 제 1 및 제 2 전원의 공급을 제어한다.
부호 360은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이다.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360)는 상기 시퀀스 회로(350)의 제어에 따라 코일(361)이 구동될 경우에 접점(363, 365, 367)이 접속되어 상기 제 1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한다.
부호 370은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이다.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370)는 상기 시퀀스 회로(350)의 제어에 따라 코일(361)이 구동될 경우에 접점(373, 375, 377)이 접속되어 상기 제 2 전원을 제 2 부하로 공급한다.
부호 380은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이다. 상기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380)는 상기 시퀀스 회로(350)의 제어에 따라 코일(381)이 구동될 경우에 접점(383, 385, 387)이 접속되어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360)가 출력하는 제 1 전원을 제 2 부하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370)가 출력하는 제 2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전원을 제 1 및 제 2 PT(300, 310)가 소정의 전압레벨로 감압하여 출력하고, 제 1 및 제 2 PT(300, 310)의 출력전압 레벨을 제 1 및 제 2 UVR(320, 330)이 검출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전원이 모두 정상전압의 레벨로 입력될 경우에 제 1 및 제 2 UVR(320, 330)이 정상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시퀀스 회로(350)로 입력된다.
그러면, 시퀀스 회로(350)는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360, 370)의 코일(361, 371)을 모두 구동시키고, 코일(361, 371)의 구동에 따라 접점(363, 365, 367)(373, 375, 377)이 모두 접속되므로 제 1 및 제 2 전원이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360, 370)의 접점(363, 365, 367)(373, 375, 377)을 통해 제 1 및 제 2 부하에 각기 공급된다.
그리고 SR(340)은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의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한 위상이 상호간에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의 위상이 일치할 경우에 위상일치 검출신호를 발생하여 시퀀스 회로(350)로 입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전원이 정전 등으로 정상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이를 제 1 UVR(320)이 검출하여 시퀀스 회로(350)로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시퀀스 회로(350)는 제 1 전원이 이상이 있음을 판단하고, 상기 SR(340)이 위상일치 검출신호를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R(340)이 위상일치 검출신호를 발생할 경우에 시퀀스 회로(350)는 먼저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380)의 코일(381)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키고, 코일(381)의 구동에 따라 접점(383, 385, 387)이 접속되므로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370)의 접점(373, 375, 377)을 통과한 제 2 전원이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380)의 접점(383, 385, 387)을 통해 제 1 부하에 예비전원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시퀀스 회로(350)는 상기 제 1 부하에 제 2 전원을 예비전원으로 공급한 상태에서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360)의 코일(36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정지시키고, 코일(361)의 정지에 따라 접점(363, 365, 367)이 모두 개방되어 제 1 전원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전원이 다시 정상전압으로 입력될 경우에 이를 제 1 UVR(320)이 검출하여 시퀀스 회로(350)로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시퀀스 회로(350)는 제 1 전원이 정상으로 입력됨을 판단하고, 상기 SR(340)이 위상일치 검출신호를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R(340)이 위상일치 검출신호를 발생할 경우에 시퀀스 회로(350)는 먼저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360)의 코일(361)을 구동시키고, 코일(361)의 구동에 따라 접점(363, 365, 367)이 모두 접속되어 제 1 전원이 다시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360)의 접점(363, 365, 367)을 통해 제 1 부하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 1 전원이 제 1 부하에 다시 공급되는 상태에서 시퀀스 회로(350)는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380)의 코일(371)로 공급하던 전원을 차단하여 정지시키고, 코일(381)의 정지에 따라 접점(383, 385, 387)이 모두 개방되어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370)의 접점(373, 375, 377)을 통과한 제 2 전원이 제 1 부하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 2 전원이 정전 등으로 정상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SR(340)의 검출신호에 따라 시퀀스 회로(350)가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370) 및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380)를 스위칭시키는 동작은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360) 및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380)를 스위칭시키는 동작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동작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 1 전원이 정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제 1 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먼저 부하로 제 2 전원을 공급한 후 제 1 전원을 차단하고, 또한 제 2 전원이 정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도 제 2 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먼저 부하로 제 1 전원을 공급한 후 제 2 전원을 차단하므로 부하에는 전원이 차단되는 순간정전이 발생하지 않고, 계속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 동작하게 된다.
이 때, SR(340)로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의 위상을 검출하고, 두 전원의 위상이 일치할 경우에 전원의 전환을 수행함으로써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이 상호간에 충돌하는 합선(spark)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전원이 제 2 부하에 공급하지 않을 경우에 제 2 PT(310), 제 2 UVR(330) 및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370)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하로 공급하는 제 1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제 1 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먼저 제 2 전원을 공급한 후 제 1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부하로 공급되는 전원의 순간정전이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부하를 안정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제 1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하는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
    예비전원인 제 2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하는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
    상기 제 1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UVR(Under Voltage Relay);
    상기 제 1 전원과 예비전원인 제 2 전원의 위상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SR(Synchronous Relay);
    상기 제 1 UVR이 상기 제 1 전원의 이상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SR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1 부하로 제 2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1 전원을 차단하게 제어하는 시퀀스 회로를 포함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을 감압하여 상기 제 1 UVR로 입력시키는 제 1 PT(Potential Transform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회로는;
    상기 제 1 부하에 상기 제 2 전원을 공급한 이후에 상기 제 1 UVR이 상기 제 1 전원이 정상임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제 1 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1 전원을 제 1 부하로 공급하게 한 후 상기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2 전원을 차단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회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전원을 제 2 부하로 공급하는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
    상기 제 2 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시퀀스 회로로 입력시키는 제 2 UV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을 감압하여 상기 제 2 UVR로 입력시키는 제 2 P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회로는;
    상기 제 2 UVR이 상기 제 2 전원의 이상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SR의 검출신 호에 따라 상기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2 부하로 제 1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2 전원을 차단하게 제어하고,
    상기 제 2 부하에 상기 제 1 전원을 공급한 이후에 상기 제 2 UVR이 상기 제 2 전원이 정상임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제 2 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2 전원을 제 2 부하로 공급하게 한 후 상기 예비전원 공급용 계전기가 상기 제 1 전원을 차단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2020070000043U 2007-01-02 2007-01-02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200438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43U KR200438990Y1 (ko) 2007-01-02 2007-01-02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43U KR200438990Y1 (ko) 2007-01-02 2007-01-02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990Y1 true KR200438990Y1 (ko) 2008-03-14

Family

ID=4162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043U KR200438990Y1 (ko) 2007-01-02 2007-01-02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9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89633A (ja) 無停電電源装置の並列運転方法
US20090322152A1 (en)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switch and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ing method
JP2004048964A (ja) 無停電電源装置及び無瞬断系統切換装置
JP2001069689A (ja) 無停電電源装置のバイパス回路
JP4935707B2 (ja) 変電所における変圧器のタップ切換制御装置
KR200438990Y1 (ko)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JP5629639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2010220339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5486180B2 (ja) 直流配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554301B2 (en) Fault current limiting in an electrical power network
JP4442228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方法
JP6450508B2 (ja) ヒステリシス電動機用ドライブ装置
KR100465986B1 (ko) 런-인 롤러 테이블 비상운전장치
KR101257239B1 (ko) 가스절연개폐기의 전원공급장치
CN107546711B (zh) 动力设备系统及动力设备系统的控制方法
JP4644104B2 (ja) 無停電電源装置の並列運転システム
KR101592059B1 (ko) 동기검출 계전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H10304598A (ja) 電源切替装置
JP2019146331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219877B2 (ja) 節電機
US20230261512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03050290A (ja) 原子炉制御棒制御装置
JPH11136880A (ja) 無停電電源供給装置
KR20060112838A (ko) 수처리 장치의 비상전원 공급시스템
JPH06327136A (ja) 負荷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