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400Y1 -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400Y1
KR200436400Y1 KR2020070009232U KR20070009232U KR200436400Y1 KR 200436400 Y1 KR200436400 Y1 KR 200436400Y1 KR 2020070009232 U KR2020070009232 U KR 2020070009232U KR 20070009232 U KR20070009232 U KR 20070009232U KR 200436400 Y1 KR200436400 Y1 KR 200436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opening
closing plate
pi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to KR2020070009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4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4Air-mix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분기배기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배기관의 내주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메인배기관의 내주면에서 발생하는 와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메인배기관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되는 나선기울기각(θ)을 크게 하여 배기속도 및 배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기배기관에서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분기배기관이 자동 폐쇄되어 메인배기관으로 흐르는 공기가 분기배기관을 통해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은, 배기구를 가지고 메인배기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분기배기관이 끼워져 연결되는 원통부와, 상기 메인배기구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통체; 상기 메인배기관 내측으로 연통하는 배기구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메인배기관의 내주면과 일치하는 원호형상면을 가지며, 상기 배기구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된 개폐판; 상기 고정부와 개폐판 사이에 고정되어 배기구의 출구측을 개폐하도록 개폐판을 소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부재; 및 상기 개폐판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어 배기구 내부로 돌출 형성되고, 배출되는 공기를 상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배기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위로 향하는 곡면을 가지며, 개폐판의 개방시 개폐판과 배기구 사이의 하부를 차단하는 공기유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JOINT PIPE FOR DISTRIBUTING PIPE OF EXHAUST DUCT}
도 1은 종래에 따른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의 설치부분을 나타낸 배기덕트 내부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의 사시도로서, 개폐판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의 사시도로서, 개폐판이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의 설치부분을 나타낸 배기덕트 내부 정면도.
도 7은 도 6의 B-B 선 단면도로서, 개폐판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 선 단면도로서, 개폐판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 메인배기관 3 : 분기배기관
10 : 연결통체 11 : 원통부
11a : 배기구 12 : 고정부
21 : 개폐판 21a : 원호형상면
21b : 가이드부 22 : 힌지부재
23 : 공기유도판 23a : 곡면
24 : 스토퍼
본 고안은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배기관과 분기배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분기배기관에서 메인배기관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배기관내로 흐르는 공기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와류현상을 최대한 방지하고, 메인배기관내의 공기흐름을 나선방향으로 유도하되, 나선기울기각을 최대한 크게 하여 배기속도 및 배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기배기관에서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분기배기관을 폐쇄하여 메인배기관으로 흐르는 공기가 분기배기관을 통해 실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부설되는 배기덕트는, 건물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배기관과, 각 층의 실내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배기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기배기관과, 상기 분기배기관을 메인배기관에 연결하기 위해 메인배기관에 미리 고정되어 분기배기관을 끼워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관으로 구성되고, 메인배기관의 상부 에 설치된 배기팬(도시하지 않음)이 메인배기관 내부 및 각 층의 실내공기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각 층의 분기배기관과 연결된 실내의 환풍구에 환기팬이 설치된 경우에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일반적인 배기덕트의 구성은, 메인배기관의 중앙부에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이 고정되는 것이므로, 분기배기관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배기관의 중앙부로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메인배기관 내로 흐르는 공기와 충돌하여 메인배기관의 중앙부에서 와류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메인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잠시 멈추게 되어 배출속도가 느려지게 되므로, 배기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와류현상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15755호가 알려져 있다. 이는 메인배기관에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을 설치하되, 메인배기관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편심부에 설치한 것으로, 분기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배기관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편심위치로 배출되므로 메인배기관의 중심으로 흐르는 공기와 충돌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와류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에 의해서도 분기배기관으로부터 메인배기관으로 진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메인배기관의 중심으로 흐르는 공기와 충돌하므로 와류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었고, 또한 메인배기관과 분기배기관이 연결되는 부위가 항상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분기배기관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메인배기관내의 공기가 분기배기관을 통해 실내로 역류하여 아래층 세대에서 배출되는 냄새 및 소음이 위층의 다른 세대의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 특허제10-605199호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1a)를 가지며 메인배기관(2)을 관통 설치되어 분기배기관(3)이 끼워져 연결되는 원통부(1b)와, 상기 메인배기구(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c)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통체(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통체(1)를 메인배기관(2)에 연결시 메인배기관(2)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일측이 상기 배기구(1a)의 내측면에 고정지지 되는 고정편(4)의 단부에 접촉지지되고 일부가 절곡형성되는 원판형의 공기안내판(5)이 구비된 연결관의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분기배기관(3)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안내판(5)에 의해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도록 유도되므로, 메인배기관(2)의 중앙부로 흐르는 공기와 충돌하지 않아 와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가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공기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배기관(3)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측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이므로,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되는 나선기울기각(θ)이 작다. 따라서 공기가 나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리드거리가 짧기 때문에, 공기가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지 못하여 배기시간이 길어지고 배기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안내판(5)이 평편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기배기관(3)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을 향하여 직선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가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에 부딪치게 되어 완류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었으며, 공기안내판(5)이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이격되어 고정형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배기구(1a)가 항상 개방되어 있고, 이로 인해 분기배기관(3)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메인배기관(2)으로 흐르는 공기가 분기배기관(3)을 통해 실내로 역류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분기배기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배기관의 내주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메인배기관의 내주면에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와류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메인배기관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되는 나선기울기각(θ)을 크게 하여 배기속도 및 배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기배기관에서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분기배기관이 자동 폐쇄되어 메인배기관으로 흐르는 공기가 분기배기관을 통해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기구를 가지고 메인배기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분기배기관이 끼워져 연결되는 원통부와, 상기 메인배기구의 내주 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통체; 상기 메인배기관 내측으로 연통하는 배기구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메인배기관의 내주면과 일치하는 원호형상면을 가지며, 상기 배기구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된 개폐판; 상기 고정부와 개폐판 사이에 고정되어 배기구의 출구측을 개폐하도록 개폐판을 소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부재; 및 상기 개폐판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어 배기구 내부로 돌출 형성되고, 배출되는 공기를 상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배기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위로 향하는 곡면을 가지며, 개폐판의 개방시 개폐판과 배기구 사이의 하부를 차단하는 공기유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연결통체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개폐판이 열림방향으로 회전시 개폐판의 바깥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개폐판의 열림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욱 포함하는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공기유도판에 의한 공기유도방향으로 배출 공기를 더욱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개폐판에 더욱 연장하여 형성한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개폐판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은, 배기구(11a)를 가지고 메인배기관(2)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분기배기관(3)이 끼워져 연결되는 원통부(11)와, 상기 메인배기구(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2)로 구성된 공지의 연결통체(10)를 구비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공지의 연결통체(10)에 상기 메인배기관(2) 내측으로 연통하는 배기구(11a)의 출구측에 설치된 개폐판(21)을 더욱 포함한다. 이 개폐판(21)은 배기구(11a)보다 적어도 큰 사이즈로 형성되고,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과 일치하는 원호형상면(21a)을 가진다. 따라서 개폐판(21)이 배기구(11a)를 폐쇄하는 닫임위치에 있을 때에는 개폐판(21)이 연결통체(10)의 고정부(12)에 밀착되어 배기구(11a) 전체를 막게 되므로 메인배기관(2)내로 흐르는 공기가 분기배기관(3)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개폐판(21)이 배기구(11a)를 개방하는 열림위치에 있을 때에는 분기배기관(3)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원호형상면(21a)에 의해 유도되어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게 되어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21)은 힌지부재(22)에 의해 연결통체(10)에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힌지부재(22)의 일측은 연결통체(10)의 고정부(12)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힌지부재(22)의 타측은 개폐판(21)의 일측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개폐판(21)이 힌지부재(22)에 의해 배기구(11a)의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힌지부재(22)는 통상의 경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판(21)의 내측 하부에는 연결통체(10)의 배기구(11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유도판(23)이 고정되어 있다. 공기유도판(23)은 배기구(11a) 내부로 돌출형성되고, 배기구(11a)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에서 위로 향하는 곡면(23a)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곡면(23a)에 의해 공기를 상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고, 배기구(11a)의 개방시에는 개폐판(21)과 배기구(11a) 사이의 하부를 차단하여 메인배기관(2)내의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는 공기가 분기배기관(3)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폐판(21)에는 공기유도판(23)에 의해 상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유도되는 공기를 더욱 가이드하기 위해 공기유도방향으로 가이드부(21b)를 더욱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고정부(12)에 스토퍼(24)가 고정되어 있고, 이 스토퍼(24)는 개폐판(21)이 열림위치로 회전할 때, 개폐판(21)의 바깥면에 접촉하여 개폐판(21)의 열림 정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연결통체(10), 개폐판(21), 힌지부재(22), 공기유도판(23) 및 스토퍼(24)는 메인배기관(2)이나 분기배기관(3)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 부식되지 않은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통체(10)의 원통부(11)를 메인배기관(2)에 관통시켜 고정부(12)를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에 고정하고, 원통부(11)에 분기배기관(3)을 끼워 연결함으로써 메인배기관(2)과 분기배기관(3)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층 세대의 실내공기는 실내와 연결된 분기배기관(3)을 통해 연결통체(10)의 배기구(11a)에서 메인배기구(11a)로 배출된다. 배기구(11a)에 설치된 개폐판(21)은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밀려 열리게 되고, 스토퍼(24)에 의해 더 이상 열리지 않고 정지하여 배기구(11a)와 소정 간격 유지된 상태로 열려 있게 되며, 배기구(11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과 일치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호형상면(21a)에 의해 유도되어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메인배기관(2) 내에서 와류가 발생되지 않아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개폐판(21)의 내측에 구비된 공기유도판(23)에 의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곡면(23a)에 의해 공기를 상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시키는 나선기울기각(θ)이 커지게 되고, 또한 공기가 나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리드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공기를 신속하게 상승시켜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배기속도 및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유도판(23)은 개폐판(21)의 열림위치에서 배기구(11a)와 개폐판(21) 사이의 하부를 차단하는 것이므로, 메인배기관(2)의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배출공기가 배기구(11a)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폐판(21)에 상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가이드부(21b)에 의해서는, 공기유도판(23)에 의해 상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도길이를 더욱 연장함으 로써 배기구(11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속도를 더욱 가속시킴과 동시에 더욱 확실하게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분기배기관(3)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지 않거나, 실내의 환기구에 설치된 환풍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경우, 메인배기관(2)내의 공기압보다 분기배기관(3)내의 배출공기압이 작기 때문에, 배기구(11a)를 통해 메인배기관(2)내의 공기가 역류할 염려가 있다. 이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21)이 메인배기관(2)내의 공기압에 의해 밀리게 되어 배기구(11a)를 폐쇄하게 되므로 분기배기관(3)으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에 의하면, 분기배기관(3)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개폐판(21)에 형성된 원호형상면(21a)에 의해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도록 유도되어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과 충돌되지 않음에 따라 와류발생이 방지되어 메인배기관(2)내에서 배출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개폐판(21)의 내측에 구비된 공기유도판(23)이 메인배기관(2)내에서 나선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나선기울기각(θ)을 크게 함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속도 및 배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 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기유도판(23)이 개폐판(21)의 열림상태에서 배기구(11a)와 개폐판(21) 사이의 하부를 차단하므로 메인배기관(2)내에서 상승하는 공기가 분기배기관(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분기배기관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연결통체(10)의 배기구(11a)를 자동 폐쇄하게 되므로 메인배기관(2)으로 흐르는 공기가 분기배기관(3)을 통해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배기구(11a)를 가지고 메인배기관(2)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분기배기관(3)이 끼워져 연결되는 원통부(11)와, 상기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2)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통체(10);
    상기 메인배기관(2) 내측으로 연통하는 배기구(11a)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메인배기관(2)의 내주면과 일치하는 원호형상면(21a)을 가지며, 상기 배기구(11a)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된 개폐판(21);
    상기 고정부(12)와 개폐판(21) 사이에 고정되어 배기구(11a)의 출구측을 개폐하도록 개폐판(21)을 소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부재(22); 및
    상기 개폐판(21)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어 배기구(11a) 내부로 돌출 형성되고, 배출되는 공기를 상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배기구(11a)의 둘레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위로 향하는 곡면(23a)을 가지며, 개폐판(21)의 개방시 개폐판(21)과 배기구(11a) 사이의 하부를 차단하는 공기유도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체(10)의 고정부(12)에 고정되어 개폐판(21)이 열림방향으로 회전시 개폐판(21)의 바깥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개폐판(21)의 열림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24)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판(23)에 의한 공기유도방향으로 배출 공기를 더욱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b)를 개폐판(21)에 더욱 연장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KR2020070009232U 2007-06-05 2007-06-05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KR200436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232U KR200436400Y1 (ko) 2007-06-05 2007-06-05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232U KR200436400Y1 (ko) 2007-06-05 2007-06-05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400Y1 true KR200436400Y1 (ko) 2007-08-10

Family

ID=4163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232U KR200436400Y1 (ko) 2007-06-05 2007-06-05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4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756B1 (ko) * 2015-03-10 2017-04-25 피코앤테라(주) 퓸 제거장치용 배기 덕트 및 이를 이용한 퓸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756B1 (ko) * 2015-03-10 2017-04-25 피코앤테라(주) 퓸 제거장치용 배기 덕트 및 이를 이용한 퓸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4718A2 (en) Air Conditioner
CN216479098U (zh) 一种外导流式防火止回阀
JP4984664B2 (ja) シャッター機構
WO2017043479A1 (ja) 空調室内機
KR200436400Y1 (ko)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KR101188851B1 (ko) 환풍기용 역류 방지 댐퍼
KR101195061B1 (ko) 캠 구동 개폐식 전동댐퍼
KR200203368Y1 (ko) 욕실환풍기의 역풍방지댐퍼
US10914489B2 (en) Shutter structure
KR101702311B1 (ko)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
CN108468838B (zh) 烟道止回阀和具有其的烟道系统
JP2008096037A (ja) 送風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CN110537059B (zh) 空调机的室内机
CN107366940B (zh) 吸油烟机
KR100605199B1 (ko) 수직배기관 연결용 분배관
KR200440947Y1 (ko)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KR100648384B1 (ko) 역류 방지 댐퍼
JP2020085398A (ja) シャッター機構
KR200360096Y1 (ko) 관류형 송풍팬의 와류방지구조
CN205117809U (zh) 蜗壳及具有其的涡流风机、空调器
KR20100035072A (ko) 와류 및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수직배기관 연결용 분배관
KR102203883B1 (ko) 환풍기
KR200410228Y1 (ko) 비닐하우스용 분배관
KR101516265B1 (ko) 풍향 감응식 윈드 가이드
JP2012180984A (ja) シャ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