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311B1 -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 - Google Patents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311B1
KR101702311B1 KR1020150101381A KR20150101381A KR101702311B1 KR 101702311 B1 KR101702311 B1 KR 101702311B1 KR 1020150101381 A KR1020150101381 A KR 1020150101381A KR 20150101381 A KR20150101381 A KR 20150101381A KR 101702311 B1 KR101702311 B1 KR 10170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ittent
plate
present
force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231A (ko
Inventor
조동준
Original Assignee
(주)대양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기연 filed Critical (주)대양기연
Priority to KR102015010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5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bles, e.g. bowde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관 본체(댐퍼 관)의 일측 힌지를 기준으로 단속판(개폐판)이 회동하면서 개폐시 무동력(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 없이 복귀되는 구조) 기계식 방식으로 열고 닫히도록 하는 댐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속판은 세대 내 배기휀의 가동 시 연동하여 열리고, 정지시에는 배기 토출측 옥상에 설치된 흡입휀이나 바람, 타 세대의 토출 기류 등에 의하여 형성된 음압으로부터 쉽게 열리거나 들뜨지 않도록(들뜸 현상 방지) 최소한의 적정 단속력을 유지 및 조정하여(외부 흡입력 < 단속력 < 내부 토출력) 일측 면상에 배기휀의 정압(기류) 발생 유무에 따라 위치 이동(단속판의 개폐각에 따라 균형추의 위치 변경)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무게 중심이 가변되도록 하는 균형레버가 결합되어 종전의 복귀용 스프링 사용 대비 정압 손실(배기시 기류가 스프링의 탄성을 이기며 단속판을 밀어내야 하는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함은 물론 균형추의 나사 조임 위치에 따라 단속력과 배기 성능(정압 손실 최소화 위치)을 간단하고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에 따른 단속 성능이 강화됨은 물론 단속 신뢰도가 향상되어 제품의 품질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단속판의 일측 면상에 소음방지홈으로부터 돌출된 밀착턱이 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복귀시 관 본체의 개구된 단부와 닫히는 면적이 감소되어 충격 소음이 절감되도록 함은 물론 특히 관 본체 내에는 가이드 베인이 임의 선택에 따라 구비되어 배기되는 기류(정압) 풍속의 순간 가속(증속)을 유도하여 배기 효율이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수직입상관 내에서 상승하는 사이클론 기류와 충돌없이 상향 편승(차등 구획된 기류 이송 분포면적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발생소음을 최소화하는 바, 이는 결국 거주 환경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A BACK DRAFT DAMPER}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0-1162062호의 이용발명으로서, 관 본체(댐퍼 관)의 일측 힌지를 기준으로 단속판(개폐판)이 회동하면서 개폐시 무동력(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 없이 복귀되는 구조) 기계식 방식으로 열고 닫히도록 하는 댐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속판은 세대 내 배기휀의 가동 시 연동하여 열리고, 정지시에는 배기 토출측 옥상에 설치된 흡입휀이나 바람, 타 세대의 토출 기류 등에 의하여 형성된 음압으로부터 쉽게 열리거나 들뜨지 않도록(들뜸 현상 방지) 최소한의 적정 단속력을 유지 및 조정하여(외부 흡입력 < 단속력 < 내부 토출력) 일측 면상에 배기휀의 정압(기류) 발생 유무에 따라 위치 이동(단속판의 개폐각에 따라 균형추의 위치 변경)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무게 중심이 가변되도록 하는 균형레버가 결합되어 종전의 복귀용 스프링 사용 대비 정압 손실(배기시 기류가 스프링의 탄성을 이기며 단속판을 밀어내야 하는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함은 물론 균형추의 나사 조임 위치에 따라 단속력과 배기 성능(정압 손실 최소화 위치)을 간단하고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에 따른 단속 성능이 강화됨은 물론 단속 신뢰도가 향상되어 제품의 품질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단속판의 일측 면상에 소음방지홈으로부터 돌출된 밀착턱이 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복귀시 관 본체의 개구된 단부와 닫히는 면적이 감소되어 충격 소음이 절감되도록 함은 물론 특히 관 본체 내에는 가이드 베인이 임의 선택에 따라 구비되어 배기되는 기류(정압) 풍속의 순간 가속(증속)을 유도하여 배기 효율이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수직입상관 내에서 상승하는 사이클론 기류와 충돌없이 상향 편승(차등 구획된 기류 이송 분포면적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발생소음을 최소화하는 바, 이는 결국 거주 환경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역류 방지 댐퍼(백 드래프트 댐퍼)는 실내공기 또는 외기가 급배기되도록 하는 레인지 후드, 전열교환기, 전동댐퍼, 고정압 휀, 직배기관을 포함한 각종 공조기의 연결관 내부에 장착되어 역풍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로서, 정풍량 휀(예컨데, 레인지후드 또는 환기팬)을 바탕으로 배경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풍량 휀은 화장실 또는 욕실의 천장 등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발생된 오염된 공기를 수직입상관으로 하여금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종래의 정풍량 휀은 본체 하부에 형성된 유입공을 통해 휀 구동장치로 하여금 실내 공기를 흡입시킨 뒤, 개구된 일측 배기관으로 배출시키면 상기 배기관과 연결된 수직입상관을 거쳐 실내공기는 건물 옥상의 배기팬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종래의 정풍량 휀은 배기관의 외측 단부에 별도의 날개판을 구비하여 실내에서 풍압이 발생되면 열리고, 풍압이 정지되면 닫히도록 형성되어 수직입상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역류성 외기가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날개판이 닫힌 상태에서는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날개판은 배기관의 외측 단부에서 단순히 힌지 고정되어 개폐되도록만 형성되는 바, 결국 역풍 발생시 날개판과 배기관 간에 들뜸이 발생되어 밀폐성 저하에 따른 기밀유지가 어렵게 됨은 물론 수직입상관을 통해 유입된 외기는 풍압에 의해 들뜬 날개판은 지속적으로 유동되어 배기관 단부를 계속 타격하도록 하는 바, 이는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의 근원이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원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162062호(이하, '선행문헌' 이라 함)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날개판의 하부 일측에 코일 스프링을 구성하여 베인 관의 개구된 단부를 기준으로 날개판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닫히도록 하는 구조를 개발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의 스프링 백 닫힘 구조는 정압 발생에 따른 기류 배기시 기류가 스프링의 탄성을 이기며 날개판을 계속 밀어내야 함으로써, 적지 않은 정압 손실이 발생됨은 물론 그에 따른 스프링의 탄성도 선정시 일일이 정압을 계산하여 대비시켜야 하는 바, 이는 결국 정밀도가 저하되어 단속 성능까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선행문헌에 따르면 날개판의 닫힘 과정에서 텐션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귀시 베인 관의 개구된 일측 단부와 상기 날개판이 접촉되면서 적지 않은 충격 소음을 발생시키는 바, 소비자로 하여금 개선 요구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2062호(2012.06.27.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관 본체(댐퍼 관)의 일측 힌지를 기준으로 단속판(개폐판)이 회동하면서 개폐시 무동력(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 없이 복귀되는 구조) 기계식 방식으로 열고 닫히도록 하는 댐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속판은 세대 내 배기휀의 가동 시 연동하여 열리고, 정지시에는 배기 토출측 옥상에 설치된 흡입휀이나 바람, 타 세대의 토출 기류 등에 의하여 형성된 음압으로부터 쉽게 열리거나 들뜨지 않도록(들뜸 현상 방지) 최소한의 적정 단속력을 유지 및 조정하여(외부 흡입력 < 단속력 < 내부 토출력) 일측 면상에 배기휀의 정압(기류) 발생 유무에 따라 위치 이동(단속판의 개폐각에 따라 균형추의 위치 변경)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무게 중심이 가변되도록 하는 균형레버가 결합되어 종전의 복귀용 스프링 사용 대비 정압 손실(배기시 기류가 스프링의 탄성을 이기며 단속판을 밀어내야 하는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함은 물론 균형추의 나사 조임 위치에 따라 단속력과 배기 성능(정압 손실 최소화 위치)을 간단하고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에 따른 단속 성능이 강화됨은 물론 단속 신뢰도가 향상되어 제품의 품질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단속판의 일측 면상에 소음방지홈으로부터 돌출된 밀착턱이 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복귀시 관 본체의 개구된 단부와 닫히는 면적이 감소되어 충격 소음이 절감되도록 함은 물론 특히 관 본체 내에는 가이드 베인이 임의 선택에 따라 구비되어 배기되는 기류(정압) 풍속의 순간 가속(증속)을 유도하여 배기 효율이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수직입상관 내에서 상승하는 사이클론 기류와 충돌없이 상향 편승(차등 구획된 기류 이송 분포면적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발생소음을 최소화하는 바, 이는 결국 거주 환경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기류 이송을 위한 중공이 형성되는 관 본체(100)와; 상기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에 결합되도록 하되, 하부 일측에 힌지구(210)가 형성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단속판(200)과; 상기 단속판(200)의 일측 면상에 결합되어 배기휀의 정압에 의해 기류가 발생되면 균형추(310)를 갖는 링크 아암(320)이 단속판(200)의 힌지 회동에 따라 기울기가 대응되면서 위치 이동이 발생되면 무게 중심이 변동하면서 단속판(200)의 무동력 기계식 개폐를 조장하도록 형성되는 균형레버(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링크 아암(320)은 연결봉(321)과 볼트 체결구(322)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균형추(310)는 설정된 무게를 갖는 너트(Nut)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 체결구(322)에 대응되어 나사체결 조립시 조임 위치에 따라 무게 중심이 정밀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속판(200)은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를 향한 면상에 걸쇠(241)를 갖는 쐐기형 클립(240)과 좌우 유동방지용 홀더(25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봉(321)은 단면이 '∩' 형상의 터널 구조로서 상면 일측에 쐐기형 클립의 걸쇠(241)와 대응되도록 걸림홈(321-1)이 형성되고, 내부홈(321-2)에는 상기 홀더(250)가 대응되면서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탈장착식 조립구조를 이루면서 결합시 견고한 고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단속판(200)은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에 결합시 수납홈(110)에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수납홈(110)의 단턱면과 맞닿는 단속판의 면상에는 소음방지홈(220)으로부터 돌출된 밀착턱(230)이 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복귀시 적은 단면부로 인해 충격 소음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관 본체(100)는 내부에 유입된 기류의 풍속을 구획별로 증속시키며, 증속된 기류의 풍향이 목적한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다수개의 안내 날개(410,420,430,440)를 갖는 기류 가이드 베인(4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 본체(댐퍼 관)의 일측 힌지를 기준으로 단속판(개폐판)이 회동하면서 개폐시 무동력(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 없이 복귀되는 구조) 기계식 방식으로 열고 닫히도록 하는 댐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속판은 세대 내 배기휀의 가동 시 연동하여 열리고, 정지시에는 배기 토출측 옥상에 설치된 흡입휀이나 바람, 타 세대의 토출 기류 등에 의하여 형성된 음압으로부터 쉽게 열리거나 들뜨지 않도록(들뜸 현상 방지) 최소한의 적정 단속력을 유지 및 조정하여(외부 흡입력 < 단속력 < 내부 토출력) 일측 면상에 배기휀의 정압(기류) 발생 유무에 따라 위치 이동(단속판의 개폐각에 따라 균형추의 위치 변경)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무게 중심이 가변되도록 하는 균형레버가 결합되어 종전의 복귀용 스프링 사용 대비 정압 손실(배기시 기류가 스프링의 탄성을 이기며 단속판을 밀어내야 하는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균형추의 나사 조임 위치에 따라 단속력과 배기 성능(정압 손실 최소화 위치)을 간단하고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에 따른 단속 성능이 강화됨은 물론 단속 신뢰도가 향상되어 제품의 품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단속판의 일측 면상에 소음방지홈으로부터 돌출된 밀착턱이 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복귀시 관 본체의 개구된 단부와 닫히는 면적이 감소되어 충격 소음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관 본체 내에 가이드 베인이 임의 선택에 따라 구비되어 배기되는 기류(정압) 풍속의 순간 가속(증속)을 유도하여 배기 효율이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수직입상관 내에서 상승하는 사이클론 기류와 충돌없이 상향 편승(차등 구획된 기류 이송 분포면적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발생소음을 최소화하는 바, 이는 결국 거주 환경이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댐퍼의 일측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단속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로서, 관 본체에 가이드 베인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가이드 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류방지 댐퍼는 크게 관 본체(100)와 단속판(200) 및 균형레버(30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관 본체(100)는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기류 이송을 위한 중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속판(200)은 상기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에 결합되도록 하되, 하부 일측에 힌지구(210)가 형성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균형레버(300)는 상기 단속판(200)의 일측 면상에 결합되어 배기휀의 정압에 의해 기류가 발생되면 균형추(310)를 갖는 링크 아암(320)이 단속판(200)의 힌지 회동에 따라 기울기가 대응되면서 위치 이동이 발생되면 무게 중심이 변동하면서 단속판(200)의 무동력 기계식 개폐를 조장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링크 아암(320)은 연결봉(321)과 볼트 체결구(322)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균형추(310)는 설정된 무게를 갖는 너트(Nut)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 체결구(322)에 대응되어 나사체결 조립시 조임 위치에 따라 무게 중심이 정밀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속판(200)은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를 향한 면상에 걸쇠(241)를 갖는 쐐기형 클립(240)과 좌우 유동방지용 홀더(25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봉(321)은 단면이 '∩' 형상의 터널 구조로서 상면 일측에 쐐기형 클립의 걸쇠(241)와 대응되도록 걸림홈(321-1)이 형성되고, 내부홈(321-2)에는 상기 홀더(250)가 대응되면서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탈장착식 조립구조를 이루면서 결합시 견고한 고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속판(200)은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에 결합시 수납홈(110)에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수납홈(110)의 단턱면과 맞닿는 단속판의 면상에는 소음방지홈(220)으로부터 돌출된 밀착턱(230)이 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복귀시 적은 단면부로 인해 충격 소음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균형추(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한 단속(스프링의 단점보완)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균형레버로 하여금 단속판의 단속력을 조절(균형추의 위치이동으로 적정 단속력 조절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단속력은 외부의 힘에 의한 들뜸, 열림 현상이 없이 내부 힘에 의해서만 개폐가 되도록 적정 단속력으로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이는 외부 힘 < 단속력 > 내부 힘의 공식이 성립되는 바, 본 발명의 균형레버는 상기한 공식에 최적의 응답성을 가지며 간편하고 정밀하게 대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시공)된 배기휀의 정압 맞춤형으로 조절이 가능하고, 기존 스프링 복귀형 타입의 댐퍼 대비 손실 정압(기류 저항)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기존의 스프링 복귀형 댐퍼는 단속판의 열림각도가 클수록 정압손실이 크고, 본 발명은 열림 각도가 클수록 정압손실이 적어지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경우는 단속판이 열리면 탄성체가 없어 단속판의 자중 또는 중력방향에 따른 기울기 토크에 대하여 정압 손실이 없는 반면 기존 스프링 복귀형 댐퍼는 단속판이 열리면 열릴수록 단속판의 자중 또는 중력 방향에 따른 기울기 토크에 대하여 탄성체를 이겨야하는 정압의 손실이 발생된다.(즉, 단속판은 수직 개폐구조로서, 기존 스프링형은 열림 각도가 커질수록 토크가 켜져 복원이 안되는 상태가 발생하는데 이를 근원적으로 개선함)
또한, 본 발명은 새대 내 환기설비가 가동하는 경우에 기계적인 힘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로서 종전의 전기적 구조에 비해 에러나 고장률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속판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충격발생 소음을 현저하게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에 기밀성을 개선되며, 가이드 베인 겸용에서는 단속판의 적정 열림 각도 확보를 위하여 베인 간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S형 레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균형추는 비중이 커 부피가 작고, 조절 고정이 용이한 너트를 활용할 수 있는 바, 개선된 유지보수와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정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부합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 규정 중 제11조(배기설비) 제6항 '가'호의 규정인 "세대 안의 배기통에 자동역류방지댐퍼(세대 안의 배기구가 열리거나 전동환기설비가 가동하는 경우 전기 또는 기계적인 힘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된 설비를 말한다)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의 배기설비 장치를 설치할 것" 에 부합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관 본체(100)는 내부에 유입된 기류의 풍속을 구획별로 증속시키며, 증속된 기류의 풍향이 목적한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다수개의 안내 날개(410,420,430,440)를 갖는 기류 가이드 베인(4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입상관의 목적방향(P)은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사이클론 기류에 충돌없이 편승하도록 기류가 원주방향을 따라 흐르는 포인트 중 일 포인트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류의 순방향 중 수직입상관의 내주벽 방향을 의미한다.
이에, 상기 기류 가이드 베인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 날개(210,220,230,240)는 기류 이송 분포 면적(A,B,C,D)을 차등 구획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차등 구획된 기류 이송 분포 면적(A,B,C,D)은 기류 안내 목적방향(P)으로부터 D > C > B > A 부등식의 면적차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D면적에 해당하는 구획은 목적방향(P)과 가장 인접한 곳으로, 기류의 흐름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C면적 내지 A면적으로 갈수록 기류의 흐름이 적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승하는 기류와의 충돌이 최소화 되도록 함은 물론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류 가이드 베인은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이, 실내로부터 기류가 흡입되는 측에 비해 토출되는 측의 풍속이 증속되도록 흡입측 기류 분포 단면적(V-1) 대비 토출측의 기류 분포 단면적(V-2)이 10~20%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69182770-pat00001

이때, 상기 안내 날개(210,220,230,240)는 아래 표 2에서와 같이, 수직입상관(10a) 내에서 상승 중인 사이클론 기류에 대해 실내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충돌과 소음 없이 목적방향(P)으로 선회하면서 상향 편승할 수 있도록 설정된 곡률(R)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69182770-pat00002

이에, 상기 멀티 가이드 베인은 엇각 또는 정각 관연결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멀티 가이드 베인의 안내 날개는 베인 관의 직경에 따라 안내 날개의 갯수가 증감될 수 있도록 변형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지지면은 단면적이 가장 협소한 A면적 부분에 위치하여 단속판의 고정되는 부분이 고정판에 의해 체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관 본체 110 ... 수납홈
200 ... 단속판 210 ... 힌지구
220 ... 소음방지홈 230 ... 밀착턱
240 ... 쐐기형 클립 241 ... 걸쇠
250 ... 유도방지용 홀더
300 ... 균형레버 310 ... 균형추
320 ... 링크 아암 321 ... 연결봉
321-1 ... 걸림홈 321-2 ... 내부홈
322 ... 볼트 체결구 400 ... 가이드 베인
410~440 ... 안내 날개

Claims (5)

  1.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기류 이송을 위한 중공이 형성되는 관 본체(100)와; 상기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에 결합되도록 하되, 하부 일측에 힌지구(210)가 형성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단속판(200)과; 상기 단속판(200)의 일측 면상에 결합되어 배기휀의 정압에 의해 기류가 발생되면 균형추(310)를 갖는 링크 아암(320)이 단속판(200)의 힌지 회동에 따라 기울기가 대응되면서 위치 이동이 발생되면 무게 중심이 변동하면서 단속판(200)의 무동력 기계식 개폐를 조장하도록 형성되는 균형레버(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자동 역류방지 댐퍼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아암(320)은 연결봉(321)과 볼트 체결구(322)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균형추(310)는 설정된 무게를 갖는 너트(Nut)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 체결구(322)에 대응되어 나사체결 조립시 조임 위치에 따라 무게 중심이 정밀 조절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속판(200)은 관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단부를 향한 면상에 걸쇠(241)를 갖는 쐐기형 클립(240)과 좌우 유동방지용 홀더(25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봉(321)은 단면이 '∩' 형상의 터널 구조로서 상면 일측에 쐐기형 클립의 걸쇠(241)와 대응되도록 걸림홈(321-1)이 형성되고, 내부홈(321-2)에는 상기 홀더(250)가 대응되면서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탈장착식 조립구조를 이루면서 결합시 견고한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01381A 2015-07-17 2015-07-17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 KR10170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381A KR101702311B1 (ko) 2015-07-17 2015-07-17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381A KR101702311B1 (ko) 2015-07-17 2015-07-17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231A KR20170010231A (ko) 2017-01-26
KR101702311B1 true KR101702311B1 (ko) 2017-02-06

Family

ID=5799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381A KR101702311B1 (ko) 2015-07-17 2015-07-17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282B1 (ko) * 2022-01-06 2023-07-04 휴미텍코리아(주)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한 무게추 유동으로 계폐되는 역류방지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244B1 (ko) * 2020-03-20 2022-02-25 박지성 환기팬용 무동력 댐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71Y1 (ko) * 2005-08-17 2005-11-15 윤정덕 축사 환기용 안착형 입기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4603A (ko) * 2008-12-24 2010-07-02 박재현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과압배출용 댐퍼장치
KR101162062B1 (ko) * 2010-11-15 2012-07-03 (주)대양기연 멀티 가이드 베인을 갖는 백 드래프트 댐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71Y1 (ko) * 2005-08-17 2005-11-15 윤정덕 축사 환기용 안착형 입기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282B1 (ko) * 2022-01-06 2023-07-04 휴미텍코리아(주)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한 무게추 유동으로 계폐되는 역류방지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231A (ko)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7175B (zh) 通风风闸系统和方法
CN113790291A (zh) 一种防火止回阀
WO2005072171A2 (en) Vertical door fan shutter
KR101702311B1 (ko) 단속력 조절형 자동 역류방지 댐퍼
CN216479098U (zh) 一种外导流式防火止回阀
KR101162062B1 (ko) 멀티 가이드 베인을 갖는 백 드래프트 댐퍼
US20190242405A1 (en) Blower and a blower diffuser
CN205481212U (zh) 一种吸油烟机
CN208419151U (zh) 蜗壳、风机及空调器
CN1220832C (zh) 导流式止回排气阀
WO2007059582A1 (en) Backdraft damper
CN108397892A (zh) 蜗壳、风机及空调器
KR102030553B1 (ko) 개폐 및 바이패스가 가능한 전동댐퍼
KR102267740B1 (ko) 열교환기용 댐퍼장치
KR200203368Y1 (ko) 욕실환풍기의 역풍방지댐퍼
KR20180051773A (ko) 화재 제연용 케이싱 내부 장착형 직결구동식 축류형 사류송풍기
CN205822707U (zh) 防火型移动式变压排气道
CN108468838B (zh) 烟道止回阀和具有其的烟道系统
CN220931193U (zh) 一种拢烟机构及吸油烟机
KR20120076996A (ko) 수직입상 환기덕트에 연결되는 배기관상의 댐퍼구조
CN220453797U (zh) 一种空调器
KR20080094255A (ko) 관류 송풍기
CN213271154U (zh) 防火止回阀
KR20110108105A (ko) 역풍방지를 위한 환기시스템
CN108050278B (zh) 防火止回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